KR20170115668A - 부엌칼 - Google Patents

부엌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68A
KR20170115668A KR1020160043106A KR20160043106A KR20170115668A KR 20170115668 A KR20170115668 A KR 20170115668A KR 1020160043106 A KR1020160043106 A KR 1020160043106A KR 20160043106 A KR20160043106 A KR 20160043106A KR 20170115668 A KR20170115668 A KR 2017011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pain
kitchen knife
present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535B1 (ko
Inventor
채홍인
Original Assignee
채홍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홍인 filed Critical 채홍인
Priority to KR102016004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부엌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엌칼에 의하면, 칼본체의 칼등에 손잡이와 인접된 위치에 통증방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장시간동안 칼을 사용하여도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엌칼{KITCHEN KNIFE}
본 발명은 부엌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엌칼의 칼등부분에 통증방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부엌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은 일정 크기를 이루어 일방향으로 사용처에 따라 길게 형성되는 칼날과, 칼날의 일단부를 내입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엌칼은 사용용도와 크기에 따라 부엌칼(식도), 과도, 사시미 등으로 구분된다.
이 부엌칼은 가정뿐만 아니라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식당 등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료에 따라 해당 자료를 용이하게 썰기 위해 손가락(검지손가락)을 칼등에 얹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칼등에 손가락을 얹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해당 손가락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손목에 무리를 주는 등의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12987호(2013.09.24)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568호(2013.09.2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시간동안 칼을 사용하여도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엌칼은, 하단에는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칼등이 형성된 칼본체와, 칼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부엌칼에 있어서, 칼등에 손잡이와 인접된 부위에 고정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통증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증방지부는 칼본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칼등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증방지부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된 지지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통증방지부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증방지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엌칼에 의하면, 장시간동안 칼을 사용하여도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증방지부가 구비된 부엌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엌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엌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증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싱예에 따른 통증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증방지부가 구비된 부엌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엌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엌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증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싱예에 따른 통증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엌칼(100)은, 절단날(112)과 칼등(114)이 형성된 칼본체(110)와, 칼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부엌칼(100)에 있어서, 칼등(114)에 구비되어 통증을 방지하는 통증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단날(112)은 칼본체(110)의 하단측에 위치하여 원하는 재료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날(112)은 재료와 접하는 부위가 전체적으로 날카롭게 형성되어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절단날(112)의 상단에는 칼등(114)이 형성되는 데, 칼등(114)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엌칼의 제조공정에서 부엌칼의 재료가 되는 금속재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측방향에서 보아 통상적으로 일정두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칼등(114)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통증방지부(130)가 구비되는 바, 이 통증방지부(130)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요소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구성요소인 통증방지부(130)는 손잡이(120)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부엌칼(100)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재료를 썰기 위해 부엌칼(100)을 잡는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을 손목쪽으로 접어 부엌칼(100)을 잡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을 칼등(114)에 얹는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종래에 의하면, 부엌칼(100)을 잡는 형태에 따라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 또는 검지손가락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 또는 검지손가락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증방지부(130)는 손잡이(120)와 인접된 위치의 칼등(114)에 열융착방식 등을 통해 고정가능하게 부착하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칼등(114)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통증방지부(130)는 재료를 써는 과정에서 절단된 재료를 안내하여 외부로 밀어주는 경사면(132)을 형성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통증방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본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칼등(114)에 끼워 고정하거나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증방지부(130)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된 지지편(13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편(134)은 통증방지부(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통증방지부(1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증방지부(13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끼움홈(134b)을 형성하고, 지지편(134)의 하부에 슬라이딩끼움홈(134b)과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돌출편(134a)을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돌출편(134a)이 슬라이딩끼움홈(134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의 통증방지부(130)는 소정의 완충작용이 가능하며 인체 및 재료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부엌칼,
110 : 칼본체,
112 : 절단날,
114 : 칼등,
120 : 손잡이,
130 : 통증방지부,
132 : 경사면.

Claims (5)

  1. 하단에는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칼등이 형성된 칼본체와, 칼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부엌칼에 있어서,
    칼등에 손잡이와 인접된 부위에 고정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통증방지부가 마련되는 부엌칼.
  2. 제1항에 있어서,
    통증방지부는 칼본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칼등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엌칼.
  3. 제2항에 있어서,
    통증방지부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된 지지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엌칼.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편은 통증방지부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엌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증방지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엌칼.




KR1020160043106A 2016-04-08 2016-04-08 부엌칼 KR10198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6A KR101985535B1 (ko) 2016-04-08 2016-04-08 부엌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6A KR101985535B1 (ko) 2016-04-08 2016-04-08 부엌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68A true KR20170115668A (ko) 2017-10-18
KR101985535B1 KR101985535B1 (ko) 2019-06-03

Family

ID=6029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06A KR101985535B1 (ko) 2016-04-08 2016-04-08 부엌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30Y1 (ko) * 2001-07-27 2001-12-24 권일승 칼 부착용 손가락 받침구
KR200339135Y1 (ko) * 2003-10-30 2004-01-16 허석 식칼
JP2005198972A (ja) * 2004-01-19 2005-07-28 Shin Nippon Kagu:Kk 包丁
JP3115227U (ja) * 2005-04-21 2005-11-04 英俊 山手 (調理用具)包丁押え治具
KR20130005568U (ko) 2012-03-13 2013-09-25 최찬두 네가지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부엌칼.
KR101312987B1 (ko) 2013-05-31 2013-10-01 한국폴리텍6대학 산학협력단 엇썰기용 기능성 부엌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227B2 (ja) * 1996-02-15 2000-12-04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開閉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30Y1 (ko) * 2001-07-27 2001-12-24 권일승 칼 부착용 손가락 받침구
KR200339135Y1 (ko) * 2003-10-30 2004-01-16 허석 식칼
JP2005198972A (ja) * 2004-01-19 2005-07-28 Shin Nippon Kagu:Kk 包丁
JP3115227U (ja) * 2005-04-21 2005-11-04 英俊 山手 (調理用具)包丁押え治具
KR20130005568U (ko) 2012-03-13 2013-09-25 최찬두 네가지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부엌칼.
KR101312987B1 (ko) 2013-05-31 2013-10-01 한국폴리텍6대학 산학협력단 엇썰기용 기능성 부엌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35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3411S1 (en) Table knife
USD932863S1 (en) Multifunction pocket knife
USD823048S1 (en) Potato slicing rack
KR101985535B1 (ko) 부엌칼
US9701030B1 (en) Kitchen utensil
USD853810S1 (en) Cutting tool and handle
USD852005S1 (en) Knife
JP2019205539A (ja) まな板
JP3208958U (ja) 調理器具
JP4956326B2 (ja) 押さえ具付スライサ
KR20160079225A (ko) 칼 가이드가 달린 도마
JP3115227U (ja) (調理用具)包丁押え治具
JP2012045262A (ja) 野菜おろし器とおろし補助板フック
JP3197377U (ja) 飲食用具
HK1133621A1 (en) Kitchen slicer
JP7048069B2 (ja) 果実収穫具
JP3180108U (ja) スライサー
JP2014217715A (ja) 包丁の切断用補助具
JP2013111452A (ja) まな板用トレイ
KR20170063283A (ko) 집게 겸용 과일 커팅기
CN204218762U (zh) 一种切片工具
JP6490405B2 (ja) フードカッター
EP3320813A1 (en) Cutlery article
JP3146869U (ja) 包丁
CN108078356A (zh) 防划伤式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