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328A -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328A
KR20170115328A KR1020160042838A KR20160042838A KR20170115328A KR 20170115328 A KR20170115328 A KR 20170115328A KR 1020160042838 A KR1020160042838 A KR 1020160042838A KR 20160042838 A KR20160042838 A KR 20160042838A KR 20170115328 A KR20170115328 A KR 2017011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distance
subject
portabl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4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328A/ko
Publication of KR2017011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generating planar views from image data, e.g. extracting a coronal view from a 3D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Abstract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엑스선 발생기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동기되어 또는 별도로 동작 가능한 3D 스캐너;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Portable X-ray Apparatus Having 3D Photographing Capability}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오늘날 의료 분야에서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엑스선 발생기와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데, 피사체의 후방에 엑스선 검출기를 배치하고 피사체의 전방에서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영상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와 해당 부위의 엑스선 영상을 정합(superimposition)시켜 진단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스캐너 탑재형 엑스선 촬영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스캐너 탑재형 엑스선 촬영 장치는 특정 장소에 고정된 장치이기 때문에, 동 촬영 장치가 구비된 촬영 장소로 이동하기 어려운 피사체, 가령 크기가 큰 말 또는 소와 같은 동물의 경우 동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을 위해 단순히 기존의 스캐너 탑재형 엑스선 촬영 장치를 작게 만드는 경우, 크기가 큰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해당 부분의 엑스선 영상과 정합시킬 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사체를 촬영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 피사체의 3D 포토 촬영과 엑스레이 촬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피사체를 촬영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의 3D 포토 촬영과 엑스레이 촬영을 동시에 진행하여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해당 부위의 엑스선 영상과 정확히 정합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엑스선 발생기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동기되어 또는 별도로 동작 가능한 3D 스캐너;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측정 센서는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스캐너로부터 상기 3D 포토 촬영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상기 피사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로부터 상기 X선 검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3D 포토 촬영결과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선 영상과 상기 3D 포토 촬영 결과를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엑스선 발생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 피사체의 3D 포토 촬영과 엑스레이 촬영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촬영의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의 3D 포토 촬영과 엑스레이 촬영을 동시에 진행하여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해당 부위의 엑스선 영상과 정확히 정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에 수용된 전자기계 모듈에 대한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엑스선 영상과 3D 포토를 합성한 3D 진단 엑스선 영상의 예로서, 두개골에 대한 엑스선 영상과 3D 외관 이미지(얼굴 이미지)를 함께 정합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엑스선을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발생기(110) 및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촬영 버튼을 눌러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여러 방향으로 엑스선을 자유롭게 조사할 수 있도록 건(gun) 또는 카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치(10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3D 스캐너(130) 및 상기 엑스선 발생기(11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거리측정 센서(1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엑스선 발생기(11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3D 스캐너(130)의 적어도 일부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본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0)에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기계 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엑스선 영상의 촬영을 위하여 X-Ray(X 선)를 출사하며, 이를 위하여 엑스선 소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엑스선 검출기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기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며, 엑스선 발생기(110)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기(110)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피사체를 위치시키고 엑스선 발생기(110) 및 엑스선 검출기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엑스선 발생기(110)에 의해 피사체를 향해 엑스선이 조사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기(110) 및 엑스선 검출기의 원리 및 구성 자체는 공지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D 스캐너(130)는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3차원 사진(포토)으로서 획득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부로서, 피사체의 외관에 대한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D 스캐너(130)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에 탈착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D 스캐너(130)는 엑스선 발생기(110)와 상하로 위치하거나 또는 나란히 위치할 수 있고, 또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본체(150)에 적어도 그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때 이와 동시에 3D 스캐너(130)를 이용하여 3D 포토 촬영을 하여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고, 엑스선 촬영과 외관 스캔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사체의 엑스선 영상과 외관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촬영 시간 구간 내에서 피사체의 외관 이미지와 엑스선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거리측정 센서(140a)는 엑스선 발생기(11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일 수 있다. 거리측정 센서(140a)는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빔 발생부 및 상기 방사된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가 상기 피사체에 반사된 반사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빔 발생부에서 레이저 빔 또는 적외선 빔이 방사된 시간 및 검출부에서 반사빔을 검출한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리측정 센서(140a)는 상기 방사된 시간 및 상기 검출한 시간에 근거하여 엑스선 발생기(11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엑스선 발생기(110) 및 3D 스캐너(130)의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는 경우 이에 동기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에 탈착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발생기(1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거리측정 센서(140a)를 엑스선 발생기(110)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3D 스캐너(130)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본체(15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거리측정 센서(140a)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설치된 거리만큼 캘리브레이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체에 수용된 전자기계 모듈에 대한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계 모듈(200)은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는 기준면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와 지면과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측정된 기울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피사체를 여러 번 촬영할 때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기울기가 일정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자기계 모듈(200)은 거리측정 센서(140a) 및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와 접속된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거리측정 센서(140a)로부터 엑스선 발생기(11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레이(27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60)는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에 의해 측정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70)로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60)는 거리측정 센서(140a)로부터의 처음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 및 다시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에 응답하여 처음 계산된 거리와 다시 계산된 거리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 차이가 사전 정의된 오차 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260)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스피커(280)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자기계 모듈(200)은 디스플레이(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0)는 제어부(260)로부터 출력된 엑스선 발생기(11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및/또는 기울기 센서/자이로센서(140b)에 의해 측정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정면, 좌측면, 우측면 등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촬영할 수 있는데, 이렇게 촬영된 복수의 엑스선 영상과 복수의 포토 영상을 정합하기 위해서는 각 촬영이 이루어진 촬영 각도에서의 촬영 거리에 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거리는 서로 일치할수록 정확한 정합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센서(140a)는 촬영이 이루어질 때마다 촬영이 이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260)는 각 촬영마다 일정한 촬영 거리가 유지되도록 사용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스선 발생부(110) 및 3D 스캐너(130)에 의한 제1 촬영 시 이와 동기되어 작동되는 거리측정 센서(140a)가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와 피사체간의 제1 촬영 거리를 계산하고, 그 결과 제어부(260)에서 제1 촬영 거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후 연속된 제2 촬영 시 거리측정 센서(140a)가 다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와 피사체간의 제2 촬영 거리를 계산하고 그 결과가 제어부(260)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60)는 거리측정 센서(140a)로부터의 제1 촬영 거리가 제2 촬영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사전 정의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스피커(280)로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촬영시의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와 피사체간의 거리가 제1 촬영시의 그것과 같은 범위내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자기계 모듈(200)은 제어부(260)와 결합된 저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엑스선 촬영으로 획득한 엑스선 영상 및 3D 스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함에 따른 중간 결과의 영상 데이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결과 영상 데이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변수값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제어부(260)의 구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펌웨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100)의 모든 기능부를 반영한 것이 아니고 필수적인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엑스선 영상과 3D 포토를 합성한 3D 진단 엑스선 영상의 예로서, 두개골에 대한 엑스선 영상과 3D 외관 이미지(얼굴 이미지)를 함께 정합한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100)를 이용하면 피사체인 두개골과 그 외관 이미지가 정합되어 함께 표시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영상을 참조하면 피사체의 어느 부위를 촬영한 것인지를 또는 피사체를 어느 각도에서 촬영한 것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진단과 치료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발명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 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 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110: 엑스선 발생기
120: 손잡이
130: 3D 스캐너
140a: 거리측정 센서
140b: 가속도 센서/자이로센서
150: 본체
260: 제어부
270: 디스플레이
280: 스피커
290: 저장부

Claims (7)

  1.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로서,
    엑스선 발생기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동기되어 또는 별도로 동작 가능한 3D 스캐너;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 센서는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인,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스캐너로부터 상기 3D 포토 촬영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로부터 상기 X선 검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3D 포토 촬영결과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발생기와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선 영상과 상기 3D 포토 촬영 결과를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발생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
KR1020160042838A 2016-04-07 2016-04-07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KR20170115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838A KR20170115328A (ko) 2016-04-07 2016-04-07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838A KR20170115328A (ko) 2016-04-07 2016-04-07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28A true KR20170115328A (ko) 2017-10-17

Family

ID=6029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838A KR20170115328A (ko) 2016-04-07 2016-04-07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3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766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나노레이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20220075728A (ko) 2020-11-30 2022-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이미지의 3차원 메쉬 생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766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나노레이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WO2021230612A1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나노레이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20220075728A (ko) 2020-11-30 2022-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이미지의 3차원 메쉬 생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949B2 (ja) 追跡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
US10772576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17646B (zh) 用于移动式射线摄影术系统的管对准
CN108095761B (zh) 空间对准设备、空间对准系统及用于指导医疗过程的方法
US20120059239A1 (en) Body mo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s well as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10085710B2 (en) Radiograph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radiograph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of computer program
US9766308B2 (en) Magnetic resonance unit, a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with the magnetic resonance unit, and a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movement by a patient during a magnetic resonance examination
JP2005040613A (ja) 医療技術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医療技術の検査および/または治療装置の操作方法
US9125623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program
KR101753473B1 (ko) 의료 영상 촬영 유닛, 의료 영상 촬영 유닛을 구비한 의료 영상 촬영 장치 및 환자 운동 검출 방법
KR20180086709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98156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and method
JP2000023955A (ja) 放射線撮影装置
US11207048B2 (en) X-ray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50306A1 (en) Method for quickly and precisely calibrating medical imaging component after position change
JP2016190009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並びに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244834B (zh) 用于x射线定位的用户接口
CN109717888A (zh) 医用装置以及程序
KR101792952B1 (ko) 네비게이션 기반의 초음파 촬영장치
KR20170115328A (ko)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US20170020409A1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with a positioning unit,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postion on a positioning surface thereof
EP30724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ental three-dimensional surface image
CN112568922B (zh) 自动安置x射线源的方法、x射线系统、程序产品和介质
JP2009261762A (ja) X線撮影装置
US10018598B2 (en)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