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912A -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 Google Patents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912A
KR20170113912A KR1020160037577A KR20160037577A KR20170113912A KR 20170113912 A KR20170113912 A KR 20170113912A KR 1020160037577 A KR1020160037577 A KR 1020160037577A KR 20160037577 A KR20160037577 A KR 20160037577A KR 20170113912 A KR20170113912 A KR 2017011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magnet
vibration
leaf spr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진영
정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닉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닉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닉월드
Priority to KR102016003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3912A/ko
Publication of KR2017011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3/0236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using sonic waves, e.g. using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50Application to a particular transducer type
    • B06B2201/52Electrodynamic transducer
    • B06B2201/53Electrodynamic transducer with vibrating magnet or co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판 스프링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진동 엑추에이터 중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Oscillation actuator using leaf spring and stimul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세기가 증가하여도 내구성에 이상이 없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누적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이 경직되고, 신경의 피로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근육의 경직 및 신경의 피로를 이완시켜 주기 위해 신체의 일부분만을 자극하는 자극기 및 신체의 전체를 자극하는 자극기 등 여러 형태의 자극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극기는 모터 및 진동 스피커에 의한 진동 방식이 사용된다.
진동 스피커는 소리 정보를 가진 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 보이스 코일과 이격되어 보빈을 감싸도록 설치된 마그네트 및 보빈에 고정된 진동판을 포함한다. 보이스 코일에 소리 정보를 가진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코일이 감겨진 보빈이 상하로 진동한다. 이 때, 보빈에 고정된 진동판도 함께 진동하여 신체와 접촉되는 자극기의 표면을 진동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자극기는 금속 소재의 판 스프링으로 사용하면 진동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판 스프링에 가중되는 힘이 커져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강한 진동 세기에도 내구성에 문제가 없는 판 스프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6065호(2012.10.2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부분만 진동하도록 진동 위치를 제어하여 진동의 강도 및 세기를 증가시켜 자극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무 소재를 판 스프링에 적용하여 진동 스피커의 진동 세기가 증가하여도 내구성에 이상이 없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진동 엑추에이터 중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일면의 테두리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판 스프링 몸체, 상기 판 스프링 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나사가 관통되는 중심구멍 및 상기 중심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판 스프링 몸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진동 완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는, 중앙에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코일 권취홈이 형성되는 보빈 및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빈은,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판 스프링의 일면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형성된 두 개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는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홀을 따라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제1 마그네트 지지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제2 마그네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그네트 지지부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판 스프링의 경계선을 덮도록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된 나머지 코일 권취홈에 상기 제1 코일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는 코일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을 따라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상기 마그네트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보빈의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지지부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기는,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보빈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진동 엑추에이터 중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자극기 몸체 및 상기 자극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는 특정 부분만 진동하도록 진동 위치를 제어하여 진동의 강도 및 세기를 증가시켜 자극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 소재를 판 스프링에 적용하여 진동 스피커의 진동 세기가 증가하여도 내구성에 이상이 없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의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는 특정 부분만 진동하도록 진동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진동의 강도 및 세기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자극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진동 엑추에이터(10)는 고무 소재를 판 스프링에 적용하여 진동 스피커의 진동 세기가 증가하여도 내구성에 이상이 없을 수 있다.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외관상으로 자기 회로부(20), 판 스프링(30) 및 고정 플레이트(40)로 구분된다. 여기서,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양권선으로 코일이 감겨진다.
자기 회로부(20)는 자기장에 흐르는 진동 신호 전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킨다. 자기 회로부(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코일(22)과 제2 코일(23)이 감겨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보빈(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코일(22)과 제2 코일(2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코일(22)은 시계방향으로 감겨지고, 제2 코일(23)은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진다. 자기 회로부(20)는 내부에 마그네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판 스프링(30)은 보닛(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자기회로부(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판 스프링(3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자기회로부(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가 증가하여도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0)는 보빈(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제1 고정 플레이트(41)와 제2 고정 플레이트(43)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40)는 판 스프링(30)이 보빈(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의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자기 회로부(20), 판 스프링(30), 고정 플레이트(40) 및 마그네트 지지부(50)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20)는 보빈(21), 보빈(21)에 감겨지는 제1 코일(22), 제2 코일(23) 및 마그네트(24)를 포함한다.
보빈(21)은 상부면과 하부면 및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보빈(21)의 상부면 중앙에는 보빈(21)의 하부면까지 관통된 삽입홀(27)이 형성된다. 보빈(21)은 외주면에 제1 코일(22)을 쉽게 감기 위한 제1 코일 권취홈(25)과 제2 코일(23)을 쉽게 감기 위한 제2 코일 권취홈(26)이 형성된다. 보빈(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판 스프링 삽입홈(28) 및 고정 플레이트(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9)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마그네트(24)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보빈(21)의 삽입홀(27)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코일(22, 23)과 함께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제1 및 제2 코일(22, 23)에 진동 신호 전류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삽입홀(27) 내부에서 상하 수직운동을 한다. 마그네트(24)는 마그네트(24)의 상단 일부분이 제1 코일(22)과 겹쳐지고, 하단 일부분이 제2 코일(23)과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마그네트(24)의 직경은 삽입홀(27)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마그네트(24)의 외주면과 보빈(21)의 내주면 사이에 자기 갭(magnetic gap)이 발생된다. 이 때, 자기 갭이 좁을수록 진동의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마그네트 지지부(50)는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마그네트(24)의 상부면을 제1 마그네트 지지부(51)가 지지하고, 마그네트(24)의 하부면을 제2 마그네트 지지부(53)가 지지한다. 여기서, 마그네트 지지부(50)가 금속인 경우, 마그네트(24)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24)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고정된다. 마그네트 지지부(50)는 마그네트 삽입홈(55), 판 스프링 진동홈(57) 및 판 스프링 고정홈(59)을 포함한다.
마그네트 삽입홈(55)은 마그네트(24)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마그네트 삽입홈(55)은 마그네트 지지부(50)가 마그네트(24)에 고정될 때, 마그네트 지지부(50)의 중심과 마그네트(24)의 중심이 어긋나지 않도록 마그네트(24)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진다.
판 스프링 진동홈(57)은 판 스프링(30)과 마주보는 마그네트 지지부(50)의 상부면과 하부면 가장자리에서부터 마그네트 지지부(5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앙쪽으로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을 갖는다. 판 스프링 진동홈(57)은 판 스프링(30)이 수직으로 진동할 때 판 스프링(30)의 진동 공간을 발생시킨다.
판 스프링 고정홈(59)은 내부에서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고정홈으로, 마그네트 지지부(50)의 중앙에 형성된다.
판 스프링(30)은 삽입홀(27)을 덮도록 보빈(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판 스프링 삽입홈(2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판 스프링(30)은 보빈(2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일면의 테두리에 돌출부(36)가 형성되어 보다 쉽게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30)은 상부면에 제1 판 스프링(31)을 고정시키고, 하부면에 제2 판 스프링(33)을 고정시킨다. 판 스프링(30)은 삽입홀(27)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24) 및 마그네트 지지부(50)가 진동할 때, 수직으로 진동한다.
고정 플레이트(40)는 보빈(21)과 판 스프링(30)의 경계선을 덮도록 보빈(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제1 고정 플레이트(41)과 제2 고정 플레이트(43)가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40)는 보빈(21)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홈(4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판 스프링(30)은 보빈(21)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10)는 후술되는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100)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제1 및 제2 코일(22, 23)에서 흔들어줌에 따라 진동세기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은 탄성 완충구멍이 3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은 탄성 완충구멍이 4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은 탄성 완충구멍이 2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판 스프링(30)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생산이 용이하고, 고무 소재를 적용하여 내구성이 높다. 판 스프링(30)은 판 스프링 몸체(31), 중심 구멍(32) 및 진동 완충구멍(33)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 몸체(31)는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보빈(21)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삽입되는 일면의 테두리가 돌출되어 삽입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 몸체(31)는 기존의 판 스프링의 소재인 금속 소재에서 고무 소재로 변경함으로써, 강한 진동에도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판 스프링 몸체(31)는 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금속 소재와 달리 분산 또는 흡수를 시킬 수 있다.
중심구멍(32)은 판 스프링 몸체(31)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이다. 중심구멍(32)은 보빈(21)을 관통하는 나사(미도시)가 관통되는 구멍이다.
진동 완충구멍(33)은 중심구멍(32)을 중심으로 판 스프링 몸체(3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다. 특히, 진동 완충구멍(33)은 자기 회로부(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판 스프링 몸체(31)에 발생되는 비틀림을 완화시켜주어 진동으로부터 판 스프링 몸체(31)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진동 완충구멍(32)은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 또는 자기 회로부(20)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진동 완충구멍(32)은 원, 반원, 부채꼴,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자기 회로부(200), 판 스프링(300), 진동 전달부(400), 마그네트 지지부(500) 및 소음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200)는 보빈(210), 보빈(210)에 감겨지는 코일(220) 및 마그네트(230)를 포함한다.
보빈(210)은 상부면과 하부면 및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보빈(210)의 상부면 중앙에는 보빈(210)의 하부면까지 관통된 삽입홀(212)이 형성되고, 보빈(210)의 외주면에는 코일(220)을 쉽게 감기 위한 코일 권취홈(214)이 형성된다. 보빈(210)의 하부면에는 스프링 고정홈(216)들 및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자극기(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8)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마그네트(2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보빈(210)의 삽입홀(212) 내부에 설치되어 코일(220)과 함께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코일(220)에 진동 신호 전류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삽입홀(212) 내부에서 상하 수직운동을 한다. 마그네트(230)는 마그네트(230)의 상단 일부분이 보빈(210)에 감겨진 코일(220)과 겹쳐지도록 삽입홀(212)에 설치된다. 여기서, 마그네트(230)의 직경은 삽입홀(2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마그네트(230)의 외주면과 보빈(210)의 내주면 사이에 자기 갭이 발생된다. 이 때, 자기 갭이 좁을수록 진동의 강도는 높아질 수 있다.
진동 전달부(40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자기 회로부(200)에 의해 발생된 수직방향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한다.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갭이 발생되도록 삽입홀(21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삽입홀(212)에 삽입되고, 마그네트(23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즉, 진동 전달부(400)의 하부면은 마그네트(230)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23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제1 마그네트 삽입홈(410) 및 제1 소음 방지부 삽입홈(420)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 삽입홈(410)은 마그네트(230)와 마주보는 진동 전달부(40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제1 마그네트 삽입홈(410)은 진동 전달부(400)가 마그네트(230)에 고정될 때, 진동 전달부(400)의 중심과 마그네트(230)의 중심이 어긋나지 않도록 마그네트(230)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제1 소음 방지부 삽입홈(420)은 진동 전달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마그네트(230)에 고정된 진동 전달부(400)의 상부면 높이는 보빈(210)의 상부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빈(21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하여 진동 전달부(400)의 상단을 보빈(210)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한다.
마그네트 지지부(500)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마그네트(230)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13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마그네트 지지부(500)는 제2 마그네트 삽입홈(510), 판 스프링 진동홈(520) 및 판 스프링 고정홈(530)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 삽입홈(510)은 마그네트(230)와 마주보는 마그네트 지지부(5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2 마그네트 삽입홈(510)은 마그네트 지지부(500)가 마그네트(230)에 고정될 때, 마그네트 지지부(500)의 중심과 마그네트(230)의 중심이 어긋나지 않도록 마그네트(230)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판 스프링 진동홈(520)은 판 스프링(300)과 마주보는 마그네트 지지부(50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서부터 마그네트 지지부(500)의 하부면 중앙 쪽으로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을 갖는다. 판 스프링 진동홈(520)은 판 스프링(300)이 수직으로 진동할 때 판 스프링(300)의 진동 공간을 발생시킨다.
판 스프링 고정홈(530)은 내부에서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고정홈으로, 마그네트 지지부(500)의 중앙에 형성된다.
소음 방지부(600)는 진동 전달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소음 방지부 삽입홈(420)에 끼워진다. 소음 방지부(60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오링(O-ring)으로 소음을 흡수한다. 즉, 외부의 충격 또는 보빈(210) 내에 설치된 마그네트(230), 진동 전달부(400), 마그네트 지지부(500) 등의 설계 오차로 인해 보빈(210)의 내주면에 이들 부품이 마찰될 경우, 소음 방지부(600)는 보빈(210)의 내주면과 가장 먼저 접촉되어 소음을 흡수한다.
판 스프링(300)은 삽입홀(212)을 덮도록 보빈(2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판 스프링(300)은 삽입홀(212) 내부에 설치된 진동 전달부(400), 마그네트(230) 및 마그네트 지지부(500)가 진동할 때, 수직으로 진동하여 진동 전달부(400)의 진동 강도를 증가시킨다. 판 스프링(300)은 도 3에 도시된 판 스프링(3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40)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엑추에이터는 진동 전달부를 마그네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자기 회로부(200), 판 스프링(300), 진동 전달부(400), 연결부(450), 마그네트 지지부(500) 및 소음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연결부(450)는 진동 전달부(400)와 마그네트(230) 사이에 설치되어 마그네트(230)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 전달부(400)에 전해질 수 있도록 진동 전달부(400)를 마그네트(230)에 연결시킨다. 연결부(450)는 삽입홀(212)에 삽입되고 마그네트(23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즉, 연결부(450)는 금속을 형성되어 마그네트(230)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23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연결부(450)는 자기 갭이 발생되도록 삽입홀(21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450)는 제3 마그네트 삽입홈(452), 제2 소음 방지부 삽입홈(454) 및 제1 고정부(456)를 포함한다.
제3 마그네트 삽입홈(452)은 마그네트(230)와 마주보는 연결부(45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제3 마그네트 삽입홈(452)은 연결부(450)가 마그네트(230)에 고정될 때 연결부(450)의 중심과 마그네트(230)의 중심이 어긋나지 않도록 마그네트(230)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제2 소음 방지부 삽입홈(454)은 보빈(21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연결부(4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고정부(456)는 연결부(450)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홈이다. 제1 고정부(456)는 진동 전달부(400)를 소음 방지부(6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홈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56)의 내부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회로부(200)에 의해 발생된 수직방향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한다.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갭이 발생되도록 삽입홀(21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삽입홀(212)에 삽입되고, 소음 방지부(60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이 때, 진동 전달부(400) 및 연결부(450)는 상호 정렬된 제1 고정부(456) 및 제2 고정부(426)에 나사(미도시)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456)를 나사산이 형성된 홈으로 형성하고, 제2 고정부(426)를 나사산이 형성된 홀로 형성하여 나사로 진동 전달부(400) 및 연결부(450)에 고정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제1 고정부(456)를 홈으로 형성하고, 제2 고정부(416)를 돌기가 끼워지는 홈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연결부(450)에 고정된 진동 전달부(400)의 상부면의 높이는 보빈(210)의 상부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빈(21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하여 진동 전달부(400)의 상단을 보빈(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전달부(400)는 자력에 의해 마그네트(230)에 의해 부착되지 않는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진동 전달부(400)를 마그네트(230)에 부착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할 경우, 진동 전달부(400) 및 마그네트(230) 사이에 연결부(450)와 같이 마그네트(230)에 부착되는 부품이 필요하다. 이는, 마그네트(230)의 가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즉, 자력에 의해 마그네트(230)에 부착되지 않는 재질은 마그네트(230)에 곧 바로 고정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엑추에이터는 보빈 및 진동 전달부를 제외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자기 회로부(200), 판 스프링(300), 진동 전달부(400), 마그네트 지지부(500) 및 소음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200)는 보빈(210), 보빈(210)에 감겨지는 코일(220) 및 마그네트(230)를 포함한다.
보빈(210)은 상부면과 하부면 및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빈(210)의 상부면은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자극기(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8)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보빈(210)의 상부면과 대향되는 보빈(210)의 하부면은 스프링 고정홈(216)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회로부(200)에 의해 발생된 수직방향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한다. 진동 전달부(400)는 보빈(2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마그네트 지지부(500)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30) 및 제1 고정축(440)을 포함한다.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30)는 보빈(210)의 하부면에 판 스프링(3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진동 전달 몸체(430)는 원통형상, 다각형상 및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축(440)은 판 스프링(30과 마주하는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30)를 마그네트 지지부(500)에 고정시킨다. 제1 고정축(440)은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30)를 판 스프링(30으로부터 이격시켜 판 스프링(30이 수직으로 진동할 때, 판 스프링(30의 진동 공간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진동 전달부(400)를 보빈(210)의 외부에 설치하면, 삽입홀(212)이라는 한정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30)의 면적을 넓게 하여 넓은 범위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엑추에이터는 진동 전달부 및 보조 진동 전달부를 제외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자기 회로부(200), 판 스프링(300), 진동 전달부(400), 마그네트 지지부(500), 소음 방지부(600) 및 보조 진동 전달부(700)를 포함한다.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회로부(200)에 의해 발생된 수직방향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한다. 진동 전달부(400)는 자기 갭이 발생되도록 삽입홀(21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삽입홀(212)에 삽입되고, 소음 방지부(60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부(400)는 제2 고정부(416) 및 제3 고정부(418)을 포함한다.
제2 고정부(416)는 진동 전달부(400)의 하부면에 각각의 제1 고정부(456)들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2 고정부(416)는 진동 전달부(4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하는 홀이며, 홀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3 고정부(418)는 진동 전달부(400)의 상부면 중앙에 홈으로 형성되어 보조 진동 전달부(700)를 진동 전달부(400)에 고정시킨다.
보조 진동 전달부(700)는 진동 전달부(400)에서 전달된 수직방향의 진동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보조 진동 전달부(700)는 보빈(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진동 전달부(400)에 고정된다. 보조 진동 전달부(700)는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 및 제2 고정축(720)를 포함한다.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는 보빈(210)의 상부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는 원통형상, 다각형상 및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축(720)은 보빈(210)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의 하부면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축(720)은 제3 고정부(418)에 끼워져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를 진동 전달부(4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보조 진동 전달부(700)를 진동 전달부(400)에 고정시켜 보빈(210)의 외부에 설치하면, 삽입홀(212)이라는 한정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2 진동 전달부 몸체(710)의 면적을 넓게 하여 넓은 범위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양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가 내장된 것으로, 자극기(60)에 내장된 진동 엑추에이터는 도 2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극기(60)는 진동 엑추에이터(10), 자극기 몸체(80) 및 구동부(90)를 포함한다.
자극기(60)는 휴대용으로 형성되고, 자극기 몸체(8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한 형태로 작게 형성된다. 이 때, 자극기 몸체(80)는 하나의 진동 엑추에이터(10)가 내장된다.
자극기 몸체(80)의 내부는 진동 엑추에이터(10)를 내장하기 위한 수납홈(81)이 형성되고, 판 스프링(300)과 마주보는 수납홈(8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고정 플레이트(40)의 나사홈(45)과 대응하여 나사홀이 형성된다.
진동 엑추에이터(10)는 자극기 몸체(80)에 형성된 수납홈(81)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홈(45)과 자극기 몸체(80)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가 체결되면, 진동 엑추에터(10)는 자극기 몸체(80)에 고정된다.
구동부(90)는 진동 엑추에이터(1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1), 진동 엑추에이터(10)에 가해지는 전류의 세기, 주파수, 진동이 지속되는 시간 등을 제어하는 위한 제어부(92), 제어부(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92)로부터 입력된 주파수 및 전류의 세기를 출력하는 파워부(93) 및 파워부(93)와 진동 엑추에이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파워부(93)로부터 전달된 주파수 및 전류의 세기를 증폭하여 진동 엑추에이터(10)로 출력하는 엠프(94)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권선인 진동 엑추에이터가 내장된 것으로, 자극기에 내장된 진동 엑추에이터는 도 10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극기(60)는 진동 엑추에이터(100), 자극기 몸체(80) 및 구동부(90)를 포함한다.
자극기(60)는 휴대용으로 형성되고, 자극기 몸체(8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한 형태로 작게 형성된다. 이 때, 자극기 몸체(80)는 하나의 진동 엑추에이터(100)가 내장된다.
자극기 몸체(80)의 내부는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내장하기 위한 수납홈(81)이 형성되고, 판 스프링(300)과 마주보는 수납홈(81)의 하부면에 보빈(210)의 나사홈(218)과 대응하여 나사홀이 형성된다.
진동 엑추에이터(100)는 자극기 몸체(80)에 형성된 수납홈(81)에 삽입된다. 또한, 보빈(210)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홈(218)과 자극기 몸체(80)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가 체결되면, 진동 엑추에터(100)는 자극기 몸체(80)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진동 엑추에이터(100)의 보조 진동 전달부(700)는 자극기 몸체(8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극기 몸체(80)에 보조 진동 전달부(700)가 포함한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내장하였지만, 도 4,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엑추에이터를 내장할 수도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엑추에이터(100)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자극기 몸체(80)의 수납홈(81)에 수납하고,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키는 경우, 수납홈(81)의 외부로 진동 전달부(400)의 상부면이 노출된다. 따라서, 자극기가 작동되면, 수직으로 진동하는 진동 전달부(400)가 자극기 몸체(81)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진동을 전달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엑추에이터(100)가 자극기 몸체(80)의 수납홈(81)에 수납될 경우, 나사홈(218)이 형성된 보빈(210)의 상부면이 수납홈(81)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호 정렬된 자극기 몸체(80)의 나사홀 및 보빈(210)의 나사홈(218)에 나사가 체결되어 진동 엑추에이터(100)가 자극기 몸체(80)에 고정된다. 이 때, 보빈(210)의 외부에 설치된 진동 전달부(400)의 제1 진동 전달부 몸체(420)는 자극기 몸체(80)의 외부로 노출되며, 자극기 몸체(80)의 상부면을 덮는다.
구동부(90)는 진동 엑추에이터(10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1), 진동 엑추에이터(100)에 가해지는 전류의 세기, 주파수, 진동이 지속되는 시간 등을 제어하는 위한 제어부(92), 제어부(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92)로부터 입력된 주파수 및 전류의 세기를 출력하는 파워부(93) 및 파워부(93)와 진동 엑추에이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파워부(93)로부터 전달된 주파수 및 전류의 세기를 증폭하여 진동 엑추에이터(100)로 출력하는 엠프(94)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 및 설명된 진동 엑추에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극기(60)는 진동 엑추에이터(10), 자극기 몸체(80) 및 구동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 엑추에이터(10)를 양권선인 진동엑추에이터로 한정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 및 설명된 단권선인 진동엑추에이터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자극기(60)는 의자 형상으로 형성된 자극기로써, 자극기 몸체(80)의 전체에 진동 엑추에이터(10)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진동 엑추에이터(10)가 내장된 부분을 강하게 진동시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자극기(60)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0: 진동 엑추에이터 20, 200: 자기 회로부
21, 210: 보빈 22: 제1 코일
23: 제2 코일 24, 230: 마그네트
25: 제1 코일 권취홈 26: 제2 코일 권취홈
27, 212: 삽입홀 28: 판 스프링 삽입홈
29, 45, 218: 나사홈 30, 300: 판 스프링
31: 제1 판 스프링 33: 제2 판 스프링
35: 판 스프링 몸체 36: 돌출부
37: 제2 삽입홀 39: 진동 완충홈
40: 고정 플레이트 41: 제1 고정 플레이트
43: 제2 고정 플레이트 50, 500: 마그네트 지지부
51: 제1 마그네트 지지부 53: 제2 마그네트 지지부
55: 마그네트 삽입홈 57, 520: 판 스프링 진동홈
59, 530: 판 스프링 고정홈 60: 자극기
80: 자극기 몸체 81: 수납홈
90: 구동부 91: 전원부
92: 제어부 93: 파워
94: 엠프 214: 코일 권취홈
216: 스프링 고정홈 220: 코일
400: 진동 전달부 410: 제1 마그네트 삽입홈
416: 제2 고정부 420: 제1 소음 방지부 삽입홈
430: 제1 진동 전달부 몸체 440: 제1 고정축
450: 연결부 452: 제3 마그네트 삽입홈
454: 제2 소음 방지부 삽입홈 456: 제1 고정부
510: 제2 마그네트 삽입홈 520: 판 스프링 진동홈
600: 소음 방지부 700: 보조 진동 전달부
710: 제2 진동 전달부 몸체 720: 제2 고정축

Claims (8)

  1.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진동 엑추에이터 중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일면의 테두리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판 스프링 몸체;
    상기 판 스프링 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나사가 관통되는 중심구멍; 및
    상기 중심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판 스프링 몸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진동 완충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
  3. 중앙에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코일 권취홈이 형성되는 보빈; 및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판 스프링의 일면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형성된 두 개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는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홀을 따라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제1 마그네트 지지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제2 마그네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그네트 지지부;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판 스프링의 경계선을 덮도록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된 나머지 코일 권취홈에 상기 제1 코일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형성된 하나의 코일 권취홈에 감겨지는 코일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을 따라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상기 마그네트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보빈의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지지부;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8.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보빈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진동하는 마그네트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고무로 형성되고, 진동 엑추에이터 중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자극기 몸체; 및
    상기 자극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엑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자극기.
KR1020160037577A 2016-03-29 2016-03-29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KR20170113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77A KR20170113912A (ko) 2016-03-29 2016-03-29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77A KR20170113912A (ko) 2016-03-29 2016-03-29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12A true KR20170113912A (ko) 2017-10-13

Family

ID=6013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77A KR20170113912A (ko) 2016-03-29 2016-03-29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39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66B1 (ko) 2020-04-24 2020-11-16 주식회사 소닉월드 회오리형 판스프링을 채용한 음파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기
KR20220126513A (ko) 2021-03-09 2022-09-16 박성미 성능이 향상된 음파진동자
KR20230093677A (ko) * 2021-12-20 2023-06-27 신희섭 음파 진동자
KR102593809B1 (ko) * 2022-12-22 2023-10-25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마사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66B1 (ko) 2020-04-24 2020-11-16 주식회사 소닉월드 회오리형 판스프링을 채용한 음파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기
KR20220126513A (ko) 2021-03-09 2022-09-16 박성미 성능이 향상된 음파진동자
KR20230093677A (ko) * 2021-12-20 2023-06-27 신희섭 음파 진동자
KR102593809B1 (ko) * 2022-12-22 2023-10-25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9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mped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lanar motion for audio-frequency vibrations
US10375480B2 (en) Loudspeaker unit
KR20170113912A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자극기
KR101607526B1 (ko) 음파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안마기
KR101055508B1 (ko) 선형 진동모터
CN101330988B (zh) 多功能型振动促动器
KR101514677B1 (ko) 골전도 출력장치
WO2007046836A9 (en) Inertial voice type coil actuator systems
JP2007222794A (ja) 振動体
WO2019194223A1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20150542A (ja) 骨伝導スピーカー
US11192141B2 (en) Vibrating actuator
KR20150053104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02640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179266B1 (ko) 회오리형 판스프링을 채용한 음파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기
JP2005323054A (ja) 骨伝導スピーカ
JPH06311597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KR20160014453A (ko) 진동발생장치
KR20170042525A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20210002223U (ko) 균형 잡힌 특성을 가진 음향 변환기
JP3725528B2 (ja) 平面スピーカ
KR102530626B1 (ko) 성능이 향상된 음파진동자
JP5085503B2 (ja)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277087A1 (ja) 振動伝達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る警告通知装置、オーディオ装置及びマッサージ装置
JP3787777B2 (ja) 体感音響装置用電気−機械振動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