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182A - 예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예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182A
KR20170113182A KR1020170036055A KR20170036055A KR20170113182A KR 20170113182 A KR20170113182 A KR 20170113182A KR 1020170036055 A KR1020170036055 A KR 1020170036055A KR 20170036055 A KR20170036055 A KR 20170036055A KR 20170113182 A KR20170113182 A KR 2017011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tterfly valve
valve
gas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803B1 (ko
Inventor
마사이키 노노야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1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7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공기공급로(3) 및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버터플라이밸브(7) 및 전환밸브(8)와, 버터플라이밸브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하는 연동기구(9)를 구비하는 예혼합장치에 있어서, 공기공급로 및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소능력상태와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대능력상태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8)를 전폐상태로 유지하고, 버터플라이밸브(7)가 열림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7)를 전개상태로 유지하도록 연동기구(9)를 구성한다.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를 닫힘측정지각도로 설정하는 동시에,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를 열림측정지각도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예혼합장치{Premixing Apparatus}
본발명은,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混合氣)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예혼합장치로서, 특허문헌1에 의해,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 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大小)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유량조절밸브로서 비례밸브를 이용하는 경우는,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비례밸브가 제어되고, 그리고, 버너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연비가 일정하게 되도록, 요구연소량에 따라서 팬회전수가 제어된다. 단,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어, 팬회전수가 송풍량의 비례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한회전수 이하가 되거나, 비례밸브전류(비례밸브로의 통전전류)가 가스공급량의 비례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한전류 이하가 된 경우에는,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량조절밸브로서, 2차가스압을 대기압으로 유지하는 제로가바나를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연료가스의 공급량은, 2차가스압인 대기압과 공기공급로내의 부압과의 차압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리고, 공기공급로내의 부압이 팬회전수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은 팬회전수 즉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요구연소량에 따라서 팬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 및 연료가스가 버너에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것이라도, 팬회전수가 송풍량의 비례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하한회전수 이하가 되면,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해,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에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여, 팬회전수를 상기 하한회전수 이하로 하지 않고,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것 만으로는, 공기공급로내의 부압의 증가로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을 넘어버리기 때문에,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것에 맞춰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종례예에서는,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한 소능력상태로서,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한 대능력상태로 복귀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로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고,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공급로의 치수오차 등에 의해,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로 회동시킨 소능력상태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고, 마찬가지로, 버터플라이밸브를 열림상태로 회동시킨 대능력상태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공기공급로의 지름을 변경하여, 공기과잉률을 적정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공기공급로의 관계부품을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어 버린다.
JP 2015-230113 A
본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소능력상태와 대능력상태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부품교환을 요하지 않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예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로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고,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로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며,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연동기구는,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회동각도범위 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를 전폐(全閉)상태로 유지하고, 버터플라이밸브가 열림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를 전개(全開)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소정의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를 닫힘측정지각도로 설정하는 동시에,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소정의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를 열림측정지각도로 설정하며,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측정지각도와 열림측정지각도와의 사이에서 회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는, 전환밸브가 전폐(全閉)상태로 유지되어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만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 변화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이 변화되어, 혼합기의 공기과잉률도 변화된다. 따라서, 버터플라이밸브의 닫힘상태에 있어서의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 있어도, 버터플라이밸브의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의 회동으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을 적정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에 있어서의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 있어도, 버터플라이밸브의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의 회동으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을 적정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동시에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소능력상태로 전환할 때에, 버터플라이밸브를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소정의 적정치가 되는 닫힘측정지각도까지 회동시키고, 또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대능력상태로 전환할 때에, 버터플라이밸브를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는 열림측정지각도까지 회동시킴으로써, 소능력상태와 대능력상태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부품교환을 요구하는 일 없이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제1회동각도범위내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가장 낮게 되는 것은,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로 회동시켰을 때이다. 그로 인해, 버너로의 점화동작은,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로 회동시켰을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비교적 낮고, 점화하기 쉬운 가스가 풍부한 상태에서 점화동작이 행해지게 되며, 점화미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공급로(3) 및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버터플라이밸브(7) 및 전환밸브(8)와, 버터플라이밸브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하는 연동기구(9)를 구비하는 예혼합장치에 있어서, 공기공급로 및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소능력상태와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대능력상태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예의 예혼합장치를 나타내는 절단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II-II선으로 절단한 절단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IV-I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의 변화에 따른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을 참조하여, 1은, 혼합기가 분출하여 연소하는 연소면(1a)을 갖는 전1차연소식버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버너이다. 버너(1)에는 팬(2)이 접속되어 있고, 본발명의 실시예의 예혼합장치(A)에 의해,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여, 혼합기를 팬(2)을 통해서 버너(1)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예혼합장치(A)는, 팬(2)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와,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4)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공급로(4)의 상류부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밸브(5)와 비례밸브나 제로가바나로 이루어지는 유량조절밸브(6)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공급로(4)의 하류단은, 공기공급로(3)에 설치된 가스흡인부(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예혼합장치(A)는, 가스흡인부(31)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의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6)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4)의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크게 한 소능력상태로서,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량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작게 한 대능력상태로 복귀시키고 있다.
가스흡인부(31)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의 부분에는, 공기공급로(3)의 둘레벽면(32)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 내통(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로(3)의 둘레벽면(32)과 내통(33)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내통(33)내의 주통로(3a)에 병렬하는 부통로(3b)가 구성된다. 내통(33)의 하류단(도1, 도3에서 상단)의 플랜지부(33a)에는, 도2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부통로(3b)의 출구가 되는 원호형상의 투공(33b)이 복수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33)내에는,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유로운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버터플라이밸브(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버터플라이밸브(7)에 의해 공기저항전환수단이 구성된다. 버터플라이밸브(7)의 축(71)에는, 스테핑모터 등의 액츄에이터(7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소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액츄에이터(72)의 동작으로, 버터플라이밸브(7)를, 공기공급로(3)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도3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열림상태측에서 공기공급로(3)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도1 내지 도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닫힘상태측으로 회동시키고,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액츄에이터(72)의 작동으로,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측에서 열림상태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로 회동시키면, 주통로(3a)가 거의 닫히고, 공기가 흐르는 것은 실질적으로 부통로(3b)로 제한되며,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이 커진다.
가스흡인부(31)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공기공급로(3)의 부분에는, 내통(33)이 배치된 공기공급로(3)의 부분보다 지름이 작은 벤튜리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벤튜리부(34)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공기공급로(3)의 부분은, 벤튜리부(34)보다 지름이 큰 통부(35)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벤튜리부(34)의 하류단부를 통부(35)의 상류단부에 환형상의 간극을 두어 삽입하고, 이 간극에 의해 가스흡인부(31)가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통로(3b)와 벤튜리부(34)와의 사이의 공기공급로(3)의 부분의 둘레벽면은, 벤튜리부(34)를 향하여 축경(縮徑)하는 테이퍼면(36)에 형성되어 있다.
가스공급로(4)에는, 가스흡인부(31)에 연통하는, 하류단의 가스실(41)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가스실(41)에 상시 연통하는 통로부분(42)에 병렬의 밸브실(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실(81)내에, 밸브실(81)의 하단의 밸브좌(82)에 형성한, 통로부분(42)에 연통하는 밸브공(83)을 개폐하는 전환밸브(8)를 설치하고, 이 전환밸브(8)에 의해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전환밸브(8)를 밸브좌(82)에 앉히고 밸브공(83)을 폐쇄하는 전폐상태로 하면, 밸브실(81)을 통해서의 가스의 흐름이 차단되고,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이 커진다.
전환밸브(8)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에 따라서 연동기구(9)를 통해서 개폐동작된다. 이 연동기구(9)는, 도1,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터플라이밸브(7)의 축(71)에 연결한 캠(91)과, 캠(91)에 하단이 맞닿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환밸브(8)에 연걸되는 로드(92)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으로 캠(91)을 통해서 로드(92)가 상하로 움직여서 전환밸브(8)가 개폐동작된다. 즉, 버터플라이밸브(7)를 열림상태측으로 회동시키면, 캠(91)에 의해 로드(92)가 밀어올려지고, 전환밸브(8)가 밸브스프링(8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위로 움직임, 즉, 열림동작되고, 또한,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측으로 회동시키면, 캠(91)에 의한 로드(92)의 밀어올림이 해제되며, 전환밸브(8)가 밸브스프링(84)의 부세력에 의해 아래로 움직임, 즉, 닫힘동작된다.
또한, 연동기구(9)는,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회동각도범위(버터플라이밸브(7)의 닫힘상태에서의 각도를 0°, 열림상태에서의 각도를 90°로 하여, 예를 들면 0°~15°) 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8)를 전폐상태로 유지하고, 버터플라이밸브(7)가 열림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회동각도범위(예를 들면, 75°~90°)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8)를 전개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터플라이밸브(7)가 제1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는, 로드(92)에 캠(91)이 맞닿지 않고, 버터플라이밸브(7)가 제1회동각도범위를 넘어서 열림측으로 회동했을 때에, 캠(91)이 로드(92)에 맞닿아서, 로드(92)가 위로 움직이기 시작하게 하고, 또한, 버터플라이밸브(7)가 제2회동각도범위의 닫힘측의 경계각도로 회동한 곳에서 전환밸브(8)가 전폐상태가 되며, 그 후 버터플라이밸브(7)가 열림상태측으로 회동하여 전환밸브(8)가 다시 위로 움직이더라도,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은 전개상태의 값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5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와 혼합기의 공기과잉률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는, 전환밸브(8)가 전폐상태로 유지되어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만이 변화되기 때문에,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의 증가에 따라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이 감소하여,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점차 증가한다. 버터플라이밸브(7)가 제1회동각도범위를 넘어서 열림측으로 회동하면, 전환밸브(8)가 열림동작되기 시작하여,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은 점차 감소한다. 그 후,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와 열림상태의 중간각도까지 회동한 곳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가 된다. 그리고, 버터플라이밸브(7)가 제2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는, 전환밸브(8)가 전개상태로 유지되어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만이 변화되기 때문에,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의 증가에 따라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점차 증가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와 열림상태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점화후의 정상연소에 적정한 값으로, 예를 들면, 1.3)가 되도록 장치를 설치하지만, 공기공급로(3)의 치수오차 등에 의해,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와 열림상태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터플라이밸브(7)를 제1과 제2의 각 회동각도범위의 중간각도로 회동시켰을 때에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장치를 설치하고, 버터플라이밸브(7)를 이 중간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제1과 제2의 각 회동각도범위내의 어느 각도로 버터플라이밸브(7)를 회동시켰을 때에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장치의 검사공정에 있어서,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 버터플라이밸브(7)를 회동시켜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를 찾아내고, 이 회동각도를 닫힘측정지각도로 설정하여, 소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측정지각도까지 회동시켜서 정지시키는 것으로 했다. 마찬가지로,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 버터플라이밸브(7)를 회동시켜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를 찾아내고, 이 회동각도를 열림측정지각도로 설정하여,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버터플라이밸브(7)를 열림측정지각도까지 회동시켜서 정지시키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소능력상태와 대능력상태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적정치가 되도록 부품교환을 요구하는 일 없이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버너(1)의 폭발착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버너(1)의 점화동작(연소면(1a)에 임하게 한 도면외의 점화전극에서 스파크시키는 것)은 소능력상태로 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1회동각도범위내에 있어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가장 낮게 되는 것은,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로 회동시켰을 때이다. 그 때문에, 버너(1)로의 점화동작은,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로 회동시킨 상태로 행하도록 했다. 이것에 따르면,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비교적 낮고, 점화하기 쉬운 가스가 풍부한 상태에서 점화동작이 행해지게 되고, 점화미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점화후는,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측정지각도(요구연소량이 작게 소능력상태로 하는 경우) 혹은 열림측정지각도(요구연소량이 크게 대능력상태로 하는 경우)로 회동시킨다.
이상,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A: 예혼합장치,
1: 버너, 2 : 팬
3: 공기공급로, 31: 가스흡인부,
4: 가스공급로, 6: 유량조절밸브,
7: 버터플라이밸브, 8: 전환밸브,
9: 연동기구

Claims (2)

  1.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로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大小)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고,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로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며,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 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연동기구는,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를 전폐(全閉)상태로 유지하고, 버터플라이밸브가 열림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회동각도범위내에 존재할 때에 전환밸브를 전개(全開)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제1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소정의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를 닫힘측 정지각도로 설정하는 동시에, 제2회동각도범위내에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소정의 적정치가 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를 열림측 정지각도로 설정하고,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측 정지각도와 열림측 정지각도와의 사이에서 회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로의 점화동작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장치.
KR1020170036055A 2016-04-01 2017-03-22 예혼합장치의 제어방법 KR102295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3845 2016-04-01
JP2016073845A JP6654494B2 (ja) 2016-04-01 2016-04-01 予混合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182A true KR20170113182A (ko) 2017-10-12
KR102295803B1 KR102295803B1 (ko) 2021-08-31

Family

ID=5848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55A KR102295803B1 (ko) 2016-04-01 2017-03-22 예혼합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70284663A1 (ko)
EP (1) EP3225913B1 (ko)
JP (1) JP6654494B2 (ko)
KR (1) KR102295803B1 (ko)
CN (1) CN107270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0278B2 (ja) * 2015-08-25 2019-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JP6725339B2 (ja) * 2016-03-28 2020-07-15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JP6654494B2 (ja) 2016-04-01 2020-02-26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の制御方法
JP6985978B2 (ja) * 2018-05-25 2021-12-22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EP3617596B1 (en) * 2018-08-28 2021-10-06 Ademco Inc. Method for operating a gas burner appliance
JP7088794B2 (ja) * 2018-09-18 2022-06-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5A (ja) * 1996-06-17 1998-01-06 Kawaju Reinetsu Kogyo Kk 燃焼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5230113A (ja) 2014-06-04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JP2015230143A (ja) * 2014-06-06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6733A (ko) * 1971-09-14 1973-05-30
JPS5843655B2 (ja) * 1976-03-19 1983-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焼装置
JPS5479833A (en) * 1977-12-08 1979-06-26 Takaki Iyano Device of mixing air and fuel in burner
US4752211A (en) * 1986-09-12 1988-06-21 Sabin Darrel B Flow proportioning system
DE19925567C1 (de) * 1999-06-04 2000-12-14 Honeywell Bv Vorrichtung für Gasbrenner
JP4473595B2 (ja) * 2004-02-17 2010-06-02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ITBO20080278A1 (it) * 2008-04-30 2009-11-01 Gas Point S R L Bruciatore a gas a pre-miscelazione
KR20110031003A (ko) * 2009-09-18 2011-03-24 하복진 개선된 가스버너용 혼합기 조절장치
KR101214745B1 (ko) * 2011-03-25 2012-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로 분리형 가스-공기 혼합장치
JP5820428B2 (ja) * 2013-04-30 2015-11-24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US10330312B2 (en) * 2016-03-28 2019-06-25 Rinnai Corporation Premixing apparatus
JP6654494B2 (ja) 2016-04-01 2020-02-26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5A (ja) * 1996-06-17 1998-01-06 Kawaju Reinetsu Kogyo Kk 燃焼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5230113A (ja) 2014-06-04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JP2015230143A (ja) * 2014-06-06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5505B2 (en) 2021-08-31
US20170284663A1 (en) 2017-10-05
CN107270292B (zh) 2020-07-14
EP3225913B1 (en) 2023-05-03
JP2017187177A (ja) 2017-10-12
JP6654494B2 (ja) 2020-02-26
CN107270292A (zh) 2017-10-20
EP3225913A1 (en) 2017-10-04
US20190293281A1 (en) 2019-09-26
KR102295803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3182A (ko) 예혼합장치
KR20170114986A (ko) 예혼합장치
KR20150139800A (ko) 예혼합장치
JP6050281B2 (ja) 予混合装置
KR20180042296A (ko) 연소장치
JP6831285B2 (ja) 予混合装置
EP3225912B1 (en) Premixing apparatus for a gas burner
JP7088794B2 (ja) 予混合装置
JP6625924B2 (ja) 予混合装置
JP6608749B2 (ja) 予混合装置
KR20170113069A (ko) 예비혼합장치
KR20170113107A (ko) 예비혼합장치
US11686400B2 (en) Oil valve
JP2023089714A (ja) 予混合装置
WO2024053180A1 (ja) 予混合装置
JP6985978B2 (ja) 予混合装置
JP2021124240A (ja) 予混合装置
JP2024037132A (ja) 予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