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583A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도파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583A
KR20170112583A KR1020160039761A KR20160039761A KR20170112583A KR 20170112583 A KR20170112583 A KR 20170112583A KR 1020160039761 A KR1020160039761 A KR 1020160039761A KR 20160039761 A KR20160039761 A KR 20160039761A KR 20170112583 A KR20170112583 A KR 2017011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sonator
resonators
coupler
dielectric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석
진영달
강남구
Original Assignee
안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석 filed Critical 안종석
Priority to KR102016003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583A/ko
Priority to CN201610541197.9A priority patent/CN106129548A/zh
Priority to CN201620724233.0U priority patent/CN205828609U/zh
Publication of KR2017011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2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8Integrated in a substrate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도파관 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며 적어도 3이상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유전성 물질의 제1블럭;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제1블럭과 동일한 수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유전성 물질의 제2블럭; 및 상기 제1블럭의 공진기 중 한측에만 인접한 공진기가 존재하는 공진기 및 이와 접하는 상기 제2블럭의 공진기에서 상기 접합면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는 메인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커플러는 상기 공진기의 접합면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전체 도파관 필터{Dielectric waveguide filter}
본 발명은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도파관은 복수의 공진기와 이를 구분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진기는 전자기파에 공진특성을 부여하며 이러한 특성은 특정 주파수를 제한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의 제한은 높이, 폭 등의 공간적인 파라미터와 유전체의 유전율에 의존한다.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특히 RF(radio frequenct) 영역에 대한 필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전체 필터의 경우 고출력에 적응이 어려운 측면이 있어 유전체 중 세라믹을 이용한 세라믹 필터가 등장한 바 있다.
그리고 RF 통신 장비는 소형화와 고출력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술적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필터 역할에 있어서도 출력 주파수 대역 폭을 감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파수 대역 폭이 감쇄되고, 소형화에 적합하며, 커플링 요소간 간섭이 최소화 되고, 공정난이도가 감소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며 적어도 3이상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유전성 물질의 제1블럭;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제1블럭과 동일한 수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유전성 물질의 제2블럭; 및 상기 제1블럭의 공진기 중 한측에만 인접한 공진기가 존재하는 공진기 및 이와 접하는 상기 제2블럭의 공진기에서 상기 접합면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는 메인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커플러는 상기 공진기의 접합면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블럭의 공진기 중 양측에서 인접한 공진기가 존재하는 공진기 및 이와 접하는 상기 제2블럭의 공진기에서 상기 접합면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는 보조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블럭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의 면적은 상기 제2블럭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의 면적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블럭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의 면적은 제2블럭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의 면적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블럭의 메인커플러 및 보조커플러가 형성되지 않은 공진기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 및 상기 제2블럭의 메인커플러 및 보조커플러가 형성되지 않은 공진기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전극은 상기 공진기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관통홀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까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 폭이 감쇄되고, 소형화에 적합하며, 커플링 요소간 간섭이 최소화 되고, 공정난이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각 블럭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각 블럭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제1블럭(110), 제2블럭(120), 보조커플러(132), 메인커플러(142), 입출력전극(160) 및 입출력단자 결합부(170)를 포함한다.
제1블럭(110)은 복수의 공진기(112, 114, 116)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진기(112, 114, 116)는 공진기 사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홈 형태의 슬릿(150)으로 구획된다.
제1블럭(110)은 유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블럭(110)은 세라믹으로 제조된 내부 부피요소와 세라믹의 외부 표면에 도포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제1블럭(110)의 표면은 전자기파의 외부 방사를 방지하며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사용시 접지(ground)될 수 있다.
제2블럭(120)은 복수의 공진기(122, 124, 126)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진기(122, 124, 126)는 공진기 사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홈 형태의 슬릿(150)으로 구획된다.
제2블럭(120) 역시 제1블럭(120)과 마찬가지로 유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블럭(120)은 세라믹으로 제조된 내부 부피요소와 세라믹의 외부 표면에 도포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제2블럭(120)의 표면은 전자기파의 외부 방사를 방지하며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사용시 접지(ground)될 수 있다.
제1블럭(110) 및 제2블럭(120)은 적어도 3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블럭(110)은 상부에 배치되고 제2블럭(120)은 하부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공진기들은 서로 접합된다.
전자기파, 특히 세라믹 필터에 주로 사용되는 RF 신호는 제1블럭의 일단에 배치된 공진기(112)에 형성된 입출력전극(160)을 통하여 제1블럭(110)내부로 입력된다. 제1블럭(110) 및 제2블럭(120)에는 입출력전극(160)에의 연결 편의를 위하여 입출력단자 결합부(170)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RF 신호는 제1블럭의 공진기(112)로부터 가운데 배치된 공진기(114), 타단에 배치된 공진기(116) 순으로 도달한다.
타단에 도달한 RF 신호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블럭(110)의 공진기(116)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블럭(120)의 공진기(126) 사이의 전자기적 커플링(coupling)에 의하여 제2블럭(120)으로 전달된다. RF 신호는 제2블럭(120)의 공진기(126)로부터 가운데 배치된 공진기(124), 타단에 배치된 공진기(122) 순으로 도달한다.
제1블럭(110)의 공진기(116)와 제2블럭(120)의 공진기(126)의 전자기적 커플링을 위하여 제1블럭(110)과 제2블럭(120)에는 각각 메인커플러(142, 144)가 형성된다. 메인커플러(142, 144)는 각 블럭의 외부표면에 세라믹 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공진기(116, 126)의 접합면에서 메인커플러(142, 144)가 위치되는 부분은 세라믹 재질의 면이 마주보게 된다. 이는 공진기(116, 126)의 접합면 중 메인커플러(142, 144) 이외의 부분에서 도전성 물질이 서로 마주보는 것과 구별된다.
메인커플러(142, 144)는 각 공진기(116, 126)가 접하는 면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메인커플러(142, 144)는 공진기(116, 126)의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되었다.
제1블럭(110)을 기준으로 본다면 메인커플러(142)는 공진기(116)의 접합면 중앙으로부터 RF 신호의 진행방향(제1블럭(110)의 길이방향)으로 보다 치우치고, RF 신호의 진행방향의 어느 일측으로 보다 치우쳐 형성된다.
제2블럭(120)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144)는 제1블럭(110)의 메인커플러(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142, 144)를 포함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제1블럭(110), 제2블럭(120) 간의 전자기적 커플링을 보다 강화할 수 있고, 후술할 제2커플러와의 간섭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메인커플러(142, 144)는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 타원 모양 등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제1블럭(110)의 공진기(114) 및 제2블럭의 공진기(124)에는 각각 보조커플러(132, 134)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커플러(132, 134)가 형성되는 공진기는 입출력 전극(160)이나 메인커플러(142, 144)가 형성되는 공진기가 아닌 가운데 공진기(114, 124)에 각각 형성된다. 공진기가 3이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운데 배치되는 공진기 중 어느 한쌍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조커플러가 형성되는 공진기(114, 124)는 양측에 인접하는 공진기(112, 116, 122, 126)가 존재한다.
보조커플러(132, 134)는 메인커플러(142, 144)와 유사하게 RF 신호의 전달통로 연할을 하나, 그 신호의 일부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블럭(110)의 공진기(114) 및 제2블럭(120)의 공진기(124) 간의 너치(notch)가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보조커플러(132, 134)는 각 블럭의 외부표면에 세라믹 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공진기(114, 124)의 접합면에서 보조커플러(132, 134)가 위치되는 부분은 세라믹 재질의 면이 마주보게 된다. 이는 공진기(114, 124)의 접합면 중 보조커플러(132, 134) 이외의 부분에서 도전성 물질이 서로 마주보는 것과 구별된다.
보조커플러(132, 134)는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하였으며 메인커플러(142, 144)보다 그 면적이 작다. 다만, 보조커플러(132, 134)의 모양이 원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링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의 변형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조커플러(132, 134)는 제1블럭(110)의 공진기(114), 제2블럭(110)의 공진기의 접합면을 향하며 접합면의 정 중앙에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보조커플러(132, 134)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의 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제1블럭(110)과 제2블럭(120)을 상부 및 하부에 배치하고, 상술한 모양 및 위치의 메인커플러(142, 144) 및 보조커플러(132, 134)를 통하여 전자기적 커플링을 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이용한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110), 제2블럭(120)에 형성되는 커플러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블럭(120)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144)의 면적은 제1블럭(110)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142)의 면적을 포함한다. 또한, 면적의 포함관계는 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블럭(120)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134)의 면적은 제1블럭(110)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132)의 면적을 포함한다. 또한, 면적의 포함관계는 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상부 또는 하부의 커플러의 면적을 약간 크게 형성한 것은 제조상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어느 한쪽의 커플러의 면적이 다른 커플러에 포함되도록 하여 정확한 치수가 맞지 않더라도 제1블럭(110) 및 제2블럭(120)을 접합시에 커플링을 위한 유전체 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단면도(도 1의 A-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출력 전극(160)은 내부 도체(162)를 포함한다.
내부 도체(162)는 각 공진기(112, 122)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외부에 드러난 세라믹 재질의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내부 도체(162) 형성시 전도성 물질의 도포 깊이는 제1블럭(110) 또는 제2블럭(120) 각각의 두께보다 얕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블럭(110) 및 제2블럭(120)의 빗금친 부분이 세라믹 재질 부분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인 도전성 물질이 도포된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도체(162)의 길이와 제1블럭(110) 또는 제2블럭(120)의 두께에 차이를 둠으로써 제1블럭(110)의 공진기(112) 및 제2블럭(120)의 공진기(114)를 각각 다른 공진기(114, 116, 124, 126)들과 단차를 두어 형성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약 5.2GHz의 중심주파수로부터 양측으로 S 파라미터 dB(S1, 2)의 급격한 감쇄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제1블럭
112, 114, 116: 공진기
120: 제2블럭
122, 124, 126, 공진기
132: 보조커플러
142: 메인커플러
150: 슬릿
160: 입출력 전극
162: 내부 도체
170: 입출력단자 결합부

Claims (5)

  1.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며 적어도 3이상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유전성 물질의 제1블럭;
    표면에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제1블럭과 동일한 수의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유전성 물질의 제2블럭; 및
    상기 제1블럭의 공진기 중 한측에만 인접한 공진기가 존재하는 공진기 및 이와 접하는 상기 제2블럭의 공진기에서 상기 접합면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는 메인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커플러는 상기 공진기의 접합면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의 공진기 중 양측에서 인접한 공진기가 존재하는 공진기 및 이와 접하는 상기 제2블럭의 공진기에서 상기 접합면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는 보조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의 면적은 상기 제2블럭에 형성되는 메인커플러의 면적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의 면적은 제2블럭에 형성되는 보조커플러의 면적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의 메인커플러 및 보조커플러가 형성되지 않은 공진기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 및
    상기 제2블럭의 메인커플러 및 보조커플러가 형성되지 않은 공진기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전극은 상기 공진기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관통홀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까지 도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1020160039761A 2016-03-31 2016-03-31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20170112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61A KR20170112583A (ko) 2016-03-31 2016-03-31 유전체 도파관 필터
CN201610541197.9A CN106129548A (zh) 2016-03-31 2016-07-11 一种陶瓷波导滤波器
CN201620724233.0U CN205828609U (zh) 2016-03-31 2016-07-11 一种陶瓷波导滤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61A KR20170112583A (ko) 2016-03-31 2016-03-31 유전체 도파관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583A true KR20170112583A (ko) 2017-10-12

Family

ID=5728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761A KR20170112583A (ko) 2016-03-31 2016-03-31 유전체 도파관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2583A (ko)
CN (2) CN1061295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0355A (zh) * 2018-12-28 2019-04-02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用于5g通信的介质体、介质波导滤波器、射频模块及基站
KR20200086219A (ko)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KR20210130415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KR20240051862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통신기기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583A (ko) * 2016-03-31 2017-10-12 안종석 유전체 도파관 필터
CN106910968A (zh) * 2017-04-25 2017-06-30 四川省韬光通信有限公司 一种介质波导滤波器
CN111384497A (zh) * 2018-12-29 2020-07-07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01B1 (ko) * 2007-12-26 2010-04-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손실이 없는 유전체 조합형 고감도 공진기
KR101017227B1 (ko) * 2008-06-28 2011-02-25 주식회사 티큐브텍 유전체 도파관 필터
US8823470B2 (en) * 2010-05-17 2014-09-02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structure and method for adjusting bandwidth
JP5675449B2 (ja) * 2011-03-11 2015-02-25 東光株式会社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
WO2014085383A1 (en) * 2012-11-28 2014-06-05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KR20150112179A (ko) * 2014-03-27 2015-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단성능 향상을 위해 접지 스터브를 사용한 도파관 대역통과필터
CN105356016A (zh) * 2015-11-18 2016-02-24 苏州艾福电子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导滤波器
KR20170112583A (ko) * 2016-03-31 2017-10-12 안종석 유전체 도파관 필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0355A (zh) * 2018-12-28 2019-04-02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用于5g通信的介质体、介质波导滤波器、射频模块及基站
CN109560355B (zh) * 2018-12-28 2024-05-14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用于5g通信的介质体、介质波导滤波器、射频模块及基站
KR20200086219A (ko)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KR20210130676A (ko) 2019-01-08 2021-11-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KR20210130415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도파관 필터
KR20240051862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통신기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29548A (zh) 2016-11-16
CN205828609U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583A (ko)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0147726B1 (ko) 유전체 필터
KR10031947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US8294532B2 (en) Duplex filter comprised of dielectric cores having at least one wall extending above a top surface thereof for isolating through hole resonators
WO2018098642A1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JP3632597B2 (ja) 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H11186819A (ja) 帯域阻止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JP2002158512A (ja) 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677836B2 (en) Dielectric filter device having conductive strip removed for improved filter characteristics
KR2002006766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998007994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0068711A (ja) アンテナ共用器及び通信機装置
KR101681899B1 (ko) 유전체 필터
JP3125671B2 (ja) 誘電体フィルタ
JP2005191983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4328118A (ja) 誘電体フィルタ
JP5721497B2 (ja) 誘電体フィル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0334776C (zh) 带通滤波器
JP2002325002A (ja) 高周波用共振部品及びそのスプリアス抑制方法並びにデュプレクサ及び無線通信装置
WO2022209278A1 (ja) 誘電体フィルタ
JP3906195B2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ー
WO2022045065A1 (ja) 複合誘電体共振装置
JP3953447B2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ー
KR101670893B1 (ko) 유전체 필터
KR100363787B1 (ko)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