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89A - 프로젝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89A
KR20170112489A KR1020160039585A KR20160039585A KR20170112489A KR 20170112489 A KR20170112489 A KR 20170112489A KR 1020160039585 A KR1020160039585 A KR 1020160039585A KR 20160039585 A KR20160039585 A KR 20160039585A KR 20170112489 A KR20170112489 A KR 2017011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or
image
module
proj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905B1 (ko
Inventor
이윤경
김상래
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장착되어 이가 가변하는 복수의 확장부로 이루어지는 확장유닛 및 상기 복수의 확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펼침상태 및 수납상태로 구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장치{PROJECTOR APPRATUS}
본 발명은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이 장착된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의 일 예로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기능을 갖춘 프로젝터가 있다.
최근에는 프로젝터의 성능이 중요시됨에 따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레이저 다이오드(L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형광체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프로젝터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는 양단에 전압을 인가하면 유도 방출(stimulated emission) 및 보강 간섭을 통해 일정한 파장을 갖는 결 맞는(coherent) 빛, 즉,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서 각각 방출되는 레이저는 렌즈를 통해 집광되어 고휘도의 광원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프로젝터 자체의 소형화에 따라, 이를 휴대하면서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프로젝터로부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이 필요하며 출력된 영상이 적절한 크기로 표시되기 위해서 프로젝터 모듈과 적절한 거리를 두고 스크린을 설치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 및 프로젝터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하는 복수의 확장부로 이루어지는 확장유닛 및 상기 복수의 확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펼침상태 및 수납상태로 구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확장부 중 일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과 상기 스크린의 일 모서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피커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확장부 중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 중 일부에 의하여 지면에 상기 스크린이 지지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은 프로젝터 모듈을 기준으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스크린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거리 및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크기 및 출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바, 스크린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스크린이 연결되며, 확장부의 변형에 근거하여 스크린이 수납될 수 있는 바, 스크린과 프로젝터 모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어 어디에서나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스크린을 고정하는 확장부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스크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센서부에 스크린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이드정보를 출력하거나 영상의 출력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향상된 품질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상태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일체형 프로젝터의 수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c는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의 수납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지면으로부터 스크린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외에 배치되는 프로젝터 장치에 방송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a의 프로젝터 장치에 의하여 스크린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 도 6d는 확장부의 길이 및 출력되는 영상에 근거한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b 내지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상태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일체형 프로젝터의 수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c는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의 수납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1000)는 프로젝터 모듈(100, projector), 확장유닛(200), 지지부(310), 스피커부(320) 및 스크린(4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프로젝터(100)는 단초점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에서 방출된 영상은 상기 스크린(400)에 표시된다. 상기 스크린(400)의 후면(S2)에 도달한 빛은 상기 스크린(400)의 전면(S1)을 바라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스크린(400)을 고정 및 확장하는 확장유닛(200)은 프로젝터 모듈(100)의 일 단부에 움직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확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유닛(200)은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의 각 일 단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일 영역에 회전가능 하도록 고정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는 서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에 무관하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이 펼쳐지려고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210, 220)에는 스피커부(320)가 고정되고,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에는 지지부(3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210, 220)의 단부에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21, 322)이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이 장착된다.
상기 스피커부(320)는 상기 스크린(400)의 전면(S2) 방향으로 소리가 출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모듈(321, 322)은 스크린(400)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되므로, 서로 다른 소리를 내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의 일 단면은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 대신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의 단부에 스피커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는 외력 또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길이가 가변가능 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는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영역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수납되어 짧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피커부(320) 및 지지부(330)는 길이가 최소화된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외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스피커부(320) 및 지지부(330)가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부(320) 와 상기 지지부(31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스크린(400)이 접힌상태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일단부 상에 수납된다. 상기 스크린(400)은 접힘 가능한 소재로 접힌 뒤에 주름이 생기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400)은 스판텍스(spandex)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이 수납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모듈(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이 오므려진 상태에서 공간(p1)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영상이 출력되는 일 단부와 대응되는 타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와 상기 타 단부의 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21, 322)과 상기 지지프레임(311, 312)의 4점의 중심부에 영상을 출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영상은 상기 스크린(400)의 중심부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홀(4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400)은 상기 스피커부(320) 및 상기 지지부(310)에 고정되기 위하여 최소한 상기 스크린(40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4개의 연결홀(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모듈(321, 322) 및 상기 지지프레임(311, 312)의 단부에 상기 연결홀(410)에 연결되는 고리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330)는 복수의 연결홀(410) 중 하나와 고정된다.
다만,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스피커부(320) 및 지지부(310)에 고정되는 구조는 연결홀(410)과 고리부(3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과 상기 스피커부(320) 및 지지부(310)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접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는 수납용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5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확장부(200), 스피커부(320), 지지부(310)가 수납상태로 수납되도록 내부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확장부가 펼쳐지도록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납용기(500)에 수납함으로써, 사용하지 아니하는 동안 상기 스크린이 펼쳐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100)의 전방에 스크린(400)이 배치되며,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스크린(400)은 접힘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사용상태 및 수납상태에서 모두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연결되므로,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400)과 인접하게 스피커부가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스피커모듈을 프로젝터 모듈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스피커 모듈을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므로 음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210, 220, 230, 240)는 사용상태에 알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스크린의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확장모듈(200) 및 스크린(400)이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는 지면으로부터 스크린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린(4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210, 220)의 길이와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 및 제4 확장부(210, 240)가 동일한 길이로 확장되고, 상기 제2 및 제3 확장부(220, 230)가 동일한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에서 출력하는 영상의 각도가 상기 스크린(400)의 각도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의 하단모서리와 연결되는 제4 확장부(240)가 제1 길이(d1)로 확장되고, 상기 스크린(400)의 상단모서리와 연결되는 제1 확장부(210)는 제3 길이(d3)를 갖도록 확장된다. 상기 스크린(400)을 펼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210, 2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d1, d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제1 길이(d1)가 상기 제2 길이(d2)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 확장부(230, 240)를 지지하는 지면과 상기 스크린(400) 사이는 제1 각도(θ1)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확장부(240)가 상기 제1 길이(d1)에서 제2 길이(d2)를 갖도록 축소시키고, 상기 제1 확장부(210)를 제3 길이(d3)에서 상기 제4 길이(d4)로 확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길이(d2)는 상기 제1 길이(d1)보다 짧고, 상기 제4 길이(d4)는 상기 제3 길이(d3) 보다 길다.
이 경우, 상기 지면과 상기 스크린(400) 사이는 제2 각도(θ2)를 이룬다. 상기 제2 각도(θ2)는 상기 제1 각도(θ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400)이 지면으로부터 더 세워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확장부들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각 확장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린의 배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시청자의 시청각도 및 배치공간에 적절하게 프로젝터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400)은 4개의 연결홀(410) 이외에 상기 4개의 연결홀(410)에 인접하면서 상기 스크린(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추가연결홀(411)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추가연결홀(411)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복수의 추가연결홀(411)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21, 322)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330)는 각 연결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330)는 복수의 연결홀(410) 및 추가연결홀(411)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400)의 표시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1, 3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330)는 각각 추가연결홀(41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홀(410)이 형성된 상기 스크린(400)의 여백영역(400')은 나머지 영역으로부터 접히게 되며, 영상이 출력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400) 상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의 비율도 조절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상기 스크린(400)의 세로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복수의 추가연결홀(411) 중 하나에 장착하여 상기 스크린(400)을 다양한 비율로 축소 및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의 비율에 따라 스크린(400)의 표시영역을 조절하거나, 배치공간이 협소할 경우 스크린(400)의 크기를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1100)는 바디부(600), 프로젝터 모듈(700), 반사부(710), 입력모듈(720), 스피커(730), 확장모듈(800), 지지부(900) 및 스크린(40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400)은 도 1a 실시예의 프로젝터 장치(1000)에 포함된 스크린(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디부(600)의 일 영역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700)이 배치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7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펼쳐진 스크린(400)에 도달하도록 상기 반사부(710)가 배치된다. 상기 반사부(710)는 상기 바디부(600)의 일 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바디부(600)는 상기 반사부(7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리세스된 수납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710)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700)을 제어하는 입력유닛(720)이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600)의 일 영역에 스피커(7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720)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700)의 영상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확장모듈(800) 및 상기 지지부(9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600)는 일 면으로부터 리세스 되어 접힘상태의 스크린(400)을 수납하는 수납공간(61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6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9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900)는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청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수납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은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며, 외면이 상기 바디부(600)의 외면과 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의 단부는 상기 스크린(400)의 일 영역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의 일 단부와 상기 스크린(400)의 일 영역이 부착되거나,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에 형성된 고리부가 상기 스크린(40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연결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의 타 단부에 제1 내지 제4 확장부(10, 820, 830, 840)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10, 820, 830, 840)는 상기 바디부(60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810, 820, 830, 840)는 길이가 가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확장부(810, 820, 830, 840)의 길이의 일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 또는 상기 바디부에 수납되거나, 접철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상태에서 특정 길이만큼 확장된 제1 내지 제4 확장부(10, 820, 830, 840)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400)이 펼쳐지면, 상기 반사부(710)에 의하여 반사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400)에 비추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프레임(910, 920, 930, 940)이 상기 바디부(600)에 수납되고,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바디부(60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므로 별도의 수납 케이스가 불필요하며 보다 컴팩트한 구조의 일체형 프로젝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실외에 배치되는 프로젝터 장치에 방송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1000)는 프로젝터 모듈(100)에 방송신호를 요청하는 제1 제어신호(IR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상기 제1 제어신호(IR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근거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은 Wi-Fi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장치에 연결되는 IR변형부(IR transmitter)에 제1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IR 변형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제2 제어신호(IR 신호)로 송신하여 상기 내부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내부장치는 상기 제2 제어신호(IR신호)에 근거하여 방송신호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장치에 송신되는 방송신호를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에 배치되는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a의 프로젝터 장치에 의하여 스크린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확장부(810, 820, 830, 840)는 변형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하여 구부려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400)이 펼쳐진 사용상태에서 제2 및 제4 확장부(820, 840)를 구부릴 수 있다. 구부러진 제2 및 제4 확장부(820, 840)에 의하여 사용자에 구부러지면, 상기 스크린(400)의 상단부가 상기 바디부(600)와 인접하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단부 길이(W1)가 하단부 길이(W2)보다 짧게 보인다. 도면은 한 쌍의 확장부가 변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확장부를 변형시켜 스크린의 일 모서리만이 구부러지도록 하거나, 4개의 확장부를 모두 변형시켜 보다 둥근 형상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변형이 가능한 확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a 내 도 6d는 확장부의 길이 및 출력되는 영상에 근거한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제1 영상(10)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영상(10)은 사용상태로 펼쳐진 상기 스크린(40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400)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11, 312)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400)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21, 322)는 청각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스크린(400)이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2 스피커모듈(322)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312)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린(400)을 지지한다.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400)의 짧은 영역이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또한 약 90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방향을 90도로 회전시켜 출력한다. 즉, 상기 영상의 출력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 비율이나 출력크기를 조절한다. 즉, 상기 스크린(400)에 표시되던 상기 제1 영상(10)이 축소된 영상(11)으로 상기 스크린(400) 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젝터 장치(1000)가 회전하며, 스크린(400)의 비율이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출력방향으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손실되는 영역 없이 영상전체를 스크린(4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일 영역에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회전을 감지하는
또한, 상기 지면을 지지하고 있는 제2 스피커 모듈(322)은 청각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지면에 지지되는 스피커 모듈은 비활성화되며, 선택적으로 나머지 스피커 모듈이 활성화되거나, 소리가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상태에서 상기 스크린(4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D1)에서 제2 거리(D2)로 확장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크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는 상기 스크린(400)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복수의 확장부들의 길이를 통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스크린(4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거리(D1)에서 상기 제2 거리(D2)로 스크린(4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영상의 출력크기를 확장하거나, 출력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상기 스크린(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제어부는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 및 상기 거리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스크린(400)의 외부로 출력되거나, 상기 스크린(400)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크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정보(2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정보(21)는 상기 영상(10)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정보(21)는 텍스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영상(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가이드 정보(21)를 통하여 상기 확장부를 조절하고, 출력되는 영상이 모두 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d는 상기 스크린(400)이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크기보다 크게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된 스크린의 거리 정보를 통하여, 스크린의 표시영역이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보다 큰 경우(즉, 여백이 발생하는 경우),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영상의 출력 비율과 상기 스크린(400)의 가로 및 세로의 비율이 맞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가이드 정보(22)를 출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 가이드 정보(22)에 따라 상기 스크린 자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23)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23)은 상기 영상의 가장자리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6d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스크린에 형성되는 복수의 추가 연결홀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400)의 여백영역(400')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스크린(400)이 연결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의 출력크기에 맞는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b 내지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1000)의 센서부는 상기 스크린(4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거리(D)를 감지한다(S1100)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에 출력될 출력 이미지의 크기 및 스크린(400)까지의 거리를 비교한다(S120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에 상기 이미지를 출력한 상태 또는 출력된 이미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상기 스크린(4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감지되는 거리(D)만큼 이격된 스크린(400)의 공간에 출력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인디케이터를 출력하거나 영상의 출력크기를 조절한다(S1300)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출력되고 있는 제1 영상(12)의 출력크기를 축소시킨 영상(1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상기 출력될 영상의 기본 크기 및 상기 거리(D)에 근거하여 출력될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제1 가이드 정보(2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상기 출력되고 있던 영상을 출력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정보(21)는 조절할 확장부의 길이나 상기 스크린(4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c를 참조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영상(13)을 상기 스크린(400) 상에 출력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상기 스크린(400) 사이의 거리 및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크기(비율)를 근거로 상기 영상(13)이 상기 스크린(400)에 전체 표시영역에 표시되지 아니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제3 가이드(24)를 출력한다.
상기 제3 가이드(24)는 상기 영상(13)과 함께 출력되며, 영상(13)의 크기 또는 비율을 확장 또는 축소하라는 방향표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3 가이드(24)에 따라 상기 영상(13)의 출력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설정은 상기 영상의 출력비율, 출력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장치(1000)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400)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스크린(4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확장부의 길이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에 영상을 출력 가능한 상태로 펼쳐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장치(1000)의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이 영상을 출력할 수 있을 정도의 펼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400)에 활성화표시(30)를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400)이 다시 접힘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00)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제어되므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동안의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하는 복수의 확장부로 이루어지는 확장유닛; 및
    상기 복수의 확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확장부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펼침상태 및 수납상태로 구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부 중 일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과 상기 스크린의 일 모서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부 중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 중 일부에 의하여 지면에 상기 스크린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네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홀과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며 상기 고리부와 연결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추가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수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부는 변형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스크린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거리 및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크기 및 출력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및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의 이동 또는 상기 확장부의 변형을 가이드 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의 펼침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치.
KR1020160039585A 2016-03-31 2016-03-31 프로젝터 장치 KR10248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5A KR102487905B1 (ko) 2016-03-31 2016-03-31 프로젝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5A KR102487905B1 (ko) 2016-03-31 2016-03-31 프로젝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89A true KR20170112489A (ko) 2017-10-12
KR102487905B1 KR102487905B1 (ko) 2023-01-12

Family

ID=6014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85A KR102487905B1 (ko) 2016-03-31 2016-03-31 프로젝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85A (ko) * 2018-11-23 2020-06-02 (주)쌈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2245A (ja) * 1995-09-02 1999-10-19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ラウドスピーカを組み入れるディスプレースクリーン
JP2005266601A (ja) * 2004-03-19 2005-09-29 Seiko Epson Corp 投写型表示装置
US20100238544A1 (en) * 2009-03-20 2010-09-23 Skyline Displays, Inc. Projection backwall apparatu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2245A (ja) * 1995-09-02 1999-10-19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ラウドスピーカを組み入れるディスプレースクリーン
JP2005266601A (ja) * 2004-03-19 2005-09-29 Seiko Epson Corp 投写型表示装置
US20100238544A1 (en) * 2009-03-20 2010-09-23 Skyline Displays, Inc. Projection backwall apparatus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85A (ko) * 2018-11-23 2020-06-02 (주)쌈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905B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8135B2 (en) Head-up projection system
US7287866B2 (en) Video projection apparatus
EP1839438B1 (en) Thin type projector
JP2009229563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反射装置
CN107077054A (zh) 图像形成单元和图像投影设备
KR201600064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76888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torage medium, and display system for configuring multi-display settings
US10225531B2 (en) Image display unit, image projection unit,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5148556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015332A (ja)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1138065B1 (ko) 휴대용 빔 프로젝터
US8403505B2 (en) Projector for adjusting projection direction
KR20170112489A (ko) 프로젝터 장치
US88402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24475B1 (ko) 프로젝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92907A (ja) スクリーンスタンド
JP5059236B2 (ja) 画像表示装置
JP4865902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475511Y1 (ko)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KR102670720B1 (ko) 휴대용 프로젝터 마운팅 브라켓
WO2014209354A1 (en) Image stabilization in a pico projector
JP2012128055A (ja) プロジェクター用支持具
JP2022059236A (ja) 投写システム、および、什器
KR20230086288A (ko) 휴대용 프로젝터 마운팅 브라켓
JP4955121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