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840A -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840A
KR20170111840A KR1020160038028A KR20160038028A KR20170111840A KR 20170111840 A KR20170111840 A KR 20170111840A KR 1020160038028 A KR1020160038028 A KR 1020160038028A KR 20160038028 A KR20160038028 A KR 20160038028A KR 20170111840 A KR20170111840 A KR 2017011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thermoelectric
thermoelectric element
pedot
electrode portion
p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미연
박성근
이은영
김상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840A/ko
Priority to US15/358,576 priority patent/US20170288117A1/en
Priority to CN201611082009.7A priority patent/CN107275468A/zh
Publication of KR2017011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10/00 - H10N15/00
    • H10N19/101Multiple thermocouples connected in a cascade arrang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01L35/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H01L35/02
    • H01L35/14
    • H01L35/24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2Connection of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은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P형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형 열전소자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N형 열전소자; 상기 N형 열전소자의 상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상단을 접속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의 하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하단을 접속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 상기 제2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볍고 유연한 유기계 열전소자를 적용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열충격 등이 향상되어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전발전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은 그 양면의 온도차이에 의해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제베크(seeback)효과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을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폐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종래의 열전모듈은 그 일면이 고온의 배기열을 배출하는 차량의 배기계 부품(배기파이프, 배기매니폴드 등)에 장착되고, 또한 온도차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열전모듈의 타면에는 수냉식 냉각시스템을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적용되는 열전모듈의 열전소자는 주로 무기계재질의 BiTe계 열전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BiTe계 열전소자는 내충격 및 열충격에 취약하여 그 내구성이 낮으며, 또한 가격이 비싸며 그 무게가 무거워 전체 열전발전시스템의 중량이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유기계 열전소자를 적용한 열전모듈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기계 열전소자는 무기계 열전소자에 비해 저가이면서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차량에 적용할 경우에 구조적 제약이 거의 없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유기계 열전소자는 그 두께가 ㎚단위로 얇게 형성됨에 따라 수직방향의 온도차(고온부 및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생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기계 열전소자는 그 제조과정에서 P형 열전소자와 N형 열전소자 사이에 절연재질의 격벽을 형성하여야 하고, 이에 그 격벽의 제거를 위한 용매로 인한 오염이 예상되며, 공정 시간이 길어지며, 공정단가가 상승하는 여러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그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그 두께를 수~수백㎛단위로 구현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온도차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온도차(고온부 및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안정되게 유지함으로써 열전발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기계를 이용한 열전모듈로서,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P형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형 열전소자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N형 열전소자;
상기 N형 열전소자의 상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상단을 접속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의 하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하단을 접속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 상기 제2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형 열전소자는 전도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형 열전소자는 PEDOT:P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 상기 제2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는 동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형 열전소자의 상단과 상기 제1전극부는 전도성 글루가 개재되어 접착되고, 상기 N형 열전소자의 하단과 상기 제2전극부는 전도성 글루가 개재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형 열전소자와 상기 N형 열전소자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이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은 1:16~300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은 1:150~270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열전모듈의 제조방법으로,
전도성 고분자 용액을 건조시켜 고분자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를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
복수의 P형 열전소자를 기판 위에 부착하는 부착단계; 및
상기 복수의 P형 열전소자 사이에 금속재질의 N형 열전소자들을 직렬로 접속시키는 N형 열전소자 접속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는,
PEDOT:PSS 용액을 용기 내에 채운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PEDOT:PSS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 형성단계와,
상기 PEDOT:PSS 필름을 유기용매에 디핑(dipping)하는 디핑단계와,
상기 PEDOT:PSS 필름을 용기에서 분리하는 필름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핑단계에서 상기 PEDOT:PSS 필름을 상기 용기와 함께 유기용매 내에 디핑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EG(ethylene glycol) 또는 DMSO(dimethyl sulf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형성단계는, PEDOT:PSS 용액이 건조하기 전에 PEDOT:PSS 용액을 반복적으로 채어넣음으로써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P형 열전소자를 상기 기판 위에 올려놓은 후에 고온분위기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P형 열전소자를 상기 기판 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PEDOT:PSS 등과 같은 고분자 용액을 건조시켜 고분자 필름 형태로 P형 열전소자를 형성함에 따라 그 두께를 수~수백㎛단위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수평방향의 온도차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온도차(고온부 및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그 열전발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중에서 용기 내에 전도성 고분자 용액을 채워 넣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중에서 용기 내에 전도성 고분자 용액이 건조되어 고분자 필름이 용기 내에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중에서 고분자 필름을 용기와 함께 디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중에서 용기 내에서 고분자 필름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중에서 고분자 필름을 기판 위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10)은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와,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N형 열전소자(12)와, N형 열전소자(12)의 상단과 P형 열전소자(11)의 상단을 접속하는 제1전극부(13)과, N형 열전소자(12)의 하단과 P형 열전소자(11)의 하단을 접속하는 제2전극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P형 열전소자(11)는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P형 열전소자(11)는 기판(15) 위에 ㎛단위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P형 열전소자(11)는 전도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P형 열전소자(11)는 PEDOT:PSS로 이루어져 그 전도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두께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판(15)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기판(15) 위에 P형 열전소자(11)가 ㎛단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열전모듈(10)은 전체적으로 가볍고 유연해질 수 있다.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는 기판(15) 위에 부착될 수 있고,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P형 열전소자(11)는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N형 열전소자(12)에는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적당한 유기계 재질이 없으므로, N형 열전소자(12)는 Ni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N형 열전소자(12)는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부(13)는 N형 열전소자(12)의 상단에 마련되어 P형 열전소자(11)의 상단에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부(13)는 N형 열전소자(12)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의 하단에 마련되어 P형 열전소자(11)의 하단에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부(13) 및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에 대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전극부(13)는 N형 열전소자(12)의 상단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일측의 P형 열전소자(11)의 상단에 접합될 수 있고,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의 하단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타측의 P형 열전소자(11)의 하단에 접합될 수 있다. 요컨대, 제1전극부(13) 및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부(13) 및 제2전극부(14)는 N형 열전소자(12)에 대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N형 열전소자(12)의 상단 및 하단에 제1전극부(13) 및 제2전극부(14)가 접착제 또는 솔더링 등을 통해 접합될 수도 있다.
P형 열전소자(11)의 상단과 제1전극부(13) 사이에는 전도성 글루(16)가 개재되어 접착될 수 있고, P형 열전소자(11)의 하단과 제2전극부(14) 사이에는 전도성 글루(16)가 개재되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글루(16)에 의해 P형 열전소자(11)와 전극부(13, 14)들 사이의 전기적 컨택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글루(16)는 Au, Pt, Ag, Ni 등과 같은 금속 페이스트 또는 금속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전도성 글루(16)는 그 퍼짐성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전극부(13, 14)와 P형 열전소자(11) 사이의 접촉면전의 1/2을 초과하지 않도록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는 열전발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P형 열전소자(11)의 면적이 N형 열전소자(12)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기저항이 증가함과 더불어 전도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고온부 및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안정되게 유지함으로써 열전모듈(10)의 열전발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형 열전소자(11)의 면적과 P형 열전소자(12)의 면적은 1:16~300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N형 열전소자(11)의 면적과 P형 열전소자(12)의 면적은 1:150~270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제조방법은 전도성 고분자 용액을 건조시켜 고분자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11)를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S1)와,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를 기판(15) 위에 부착하는 부착단계(S2)와,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 사이에 금속재질의 N형 열전소자(12)들을 직렬로 접속시키는 N형 열전소자 접속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S1)는, 필름 형성단계(S1-1)와, 디핑단계(S1-2)와, 필름 분리단계(S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형성단계(S1-1)는, 도 3과 같이 PEDOT:PSS 용액(22a)을 용기(21) 내에 채우고, 그 후에 도 4와 같이 상온~110℃미만의 온도 조건에서 PEDOT:PSS 용액(22a)을 건조시킴으로써 PEDOT:PSS 필름(22)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EDOT:PSS 용액(22a)은 수용액 필터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한 용액일 수 있다. PEDOT:PSS는 일반적으로 물에 1~2wt%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말 상태의 PEDOT:PSS는 점도가 높지만 그 전도도가 낮으므로 PEDOT:PSS 용액(22a)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21)는 테프론 등과 같이 이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표면이 매끄러운 내화학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PEDOT:PSS 용액(22a)이 건조하기 전에 PEDOT:PSS 용액을 반복적으로 채어넣음으로써 PEDOT:PSS 필름(22)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디핑단계(S1-2)는 도 5와 같이, 용기(21) 내에서 건조된 PEDOT:PSS 필름(22)을 용기(21)와 함께 디핑용기(25) 내의 유기용매(26) 내에 디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1-2). 이와 같이, 용기(21)와 함께 PEDOT:PSS 필름(22)을 디핑함으로써 PEDOT:PSS 필름(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EG(ethylene glycol) 또는 DMSO(dimethyl sulf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디핑에 의해, 용기(21) 내에서 PEDOT:PSS 필름(22)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디핑에 의해 PEDOT:PSS 필름(22) 내의 PSS 일부가 제거됨(dedoping)으로써 PEDOT:PSS 필름(22)의 전도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필름 분리단계(S1-3)는, 도 6과 같이 PEDOT:PSS 필름(22)의 가장자리를 적절히 커팅한 후에 PEDOT:PSS 필름(22)을 용기(21)에서 분리함으로써 필름 형태의 P형 열전소자(11, 도 7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부착단계(S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P형 열전소자(11)를 기판(15) 위에 올려놓은 후에 고온분위기(130℃의 오븐)에서 건조함으로써 수~수백 ㎛ 두께의 P형 열전소자(11)를 기판(15) 위에 안정되게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분자 필름 형태의 P형 열전소자(11)를 형성함에 따라 그 두께를 수~수백㎛단위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수평방향의 온도차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온도차(고온부 및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N형 열전소자 접속단계(S3)는, 복수의 P형 열전소자(11) 사이에 금속재질의 N형 열전소자(12)들을 직렬로 접속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열전모듈 11: P형 열전소자
12: N형 열전소자 13: 제1전극부
14: 제2전극부 15: 기판

Claims (14)

  1. 유기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P형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형 열전소자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N형 열전소자;
    상기 N형 열전소자의 상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상단을 접속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의 하단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하단을 접속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 상기 제2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열전소자는 전도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열전소자는 PEDOT:PS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상기 제2전극부 및 상기 N형 열전소자는 동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형 열전소자의 상단과 상기 제1전극부는 전도성 글루가 개재되어 접착되고, 상기 N형 열전소자의 하단과 상기 제2전극부는 전도성 글루가 개재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열전소자와 상기 N형 열전소자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이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은 1:16~300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형 열전소자의 면적과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면적은 1:150~270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
  10. 전도성 고분자 용액을 건조시켜 고분자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를 형성하는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
    복수의 P형 열전소자를 기판 위에 부착하는 부착단계; 및
    상기 복수의 P형 열전소자 사이에 금속재질의 N형 열전소자들을 직렬로 접속시키는 N형 열전소자 접속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열전소자 형성단계는,
    PEDOT:PSS 용액을 용기 내에 채운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PEDOT:PSS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 형성단계와,
    상기 PEDOT:PSS 필름을 유기용매에 디핑(dipping)하는 디핑단계와,
    상기 PEDOT:PSS 필름을 용기에서 분리함으로써 P형 열전소자를 형성하는 필름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핑단계에서 상기 PEDOT:PSS 필름을 상기 용기와 함께 유기용매 내에 디핑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EG(ethylene glycol) 또는 DMSO(dimethyl sulf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단계는, PEDOT:PSS 용액이 건조하기 전에 PEDOT:PSS 용액을 반복적으로 채어넣음으로써 상기 P형 열전소자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P형 열전소자를 상기 기판 위에 올려놓은 후에 고온분위기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P형 열전소자를 상기 기판 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60038028A 2016-03-30 2016-03-30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28A KR20170111840A (ko) 2016-03-30 2016-03-30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5/358,576 US20170288117A1 (en) 2016-03-30 2016-11-22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1082009.7A CN107275468A (zh) 2016-03-30 2016-11-30 热电模块和用于制造该热电模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28A KR20170111840A (ko) 2016-03-30 2016-03-30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40A true KR20170111840A (ko) 2017-10-12

Family

ID=5996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28A KR20170111840A (ko) 2016-03-30 2016-03-30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88117A1 (ko)
KR (1) KR20170111840A (ko)
CN (1) CN107275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936B2 (en) 2018-08-21 2022-08-30 Lg Chem, Ltd. Thermoelectric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039B2 (en) * 2000-01-19 2003-05-1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hermoelectric unicouple used for power generation
US6673996B2 (en) * 2001-01-17 2004-01-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hermoelectric unicouple used for power generation
US6556752B2 (en) * 2001-08-15 2003-04-29 Agility Communications, Inc. Dual thermoelectric cooler optoelectronic package and manufacture process
JP5243181B2 (ja) * 2008-10-20 2013-07-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導電性高分子複合体及び導電性高分子材料を用いた熱電素子
US20110094556A1 (en) * 2009-10-25 2011-04-28 Digital Angel Corporation Planar thermoelectric generator
FR3009133B1 (fr) * 2013-07-24 2016-10-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module thermoelectrique a base de film polyme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936B2 (en) 2018-08-21 2022-08-30 Lg Chem, Ltd. Thermoelectric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88117A1 (en) 2017-10-05
CN107275468A (zh)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9145A1 (en) Single-step metal bond and contact formation for solar cells
EP2858134B1 (en) Thermoelectric converter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rmoelectric converter, and thermoelectric converter
US8866309B2 (en) Chip package structure
JP2013511142A5 (ko)
US20130118541A1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589589B2 (ja) 熱電素子及び熱電素子の製造方法
JP2006269721A (ja) 熱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19713A5 (ko)
JP2013074291A (ja) 熱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93587A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WO2005109535A3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RU2586260C2 (ru) Термо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70111840A (ko) 열전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7507880A (zh) 太阳能电池模块
US20080079109A1 (en)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374415B1 (ko) 열전 소자
JP2011166079A (ja) 熱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US20150053462A1 (en) Wiring board structure
JP2016219681A (ja) 金属配線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TWI442853B (zh) 在一熱製程中保護一熱敏感元件的方法及保護裝置
KR20160005588A (ko) 온도센서
US20180175269A1 (en) Thermoelectric module
JP2018093152A (ja) 熱発電デバイス
JP2022545438A (ja) 少なくとも1つの保護層を有する光電子部品を導電接触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タイプの接触を有する光電子部品
KR20210052151A (ko) 유연 열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