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786A -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786A
KR20170111786A KR1020160037865A KR20160037865A KR20170111786A KR 20170111786 A KR20170111786 A KR 20170111786A KR 1020160037865 A KR1020160037865 A KR 1020160037865A KR 20160037865 A KR20160037865 A KR 20160037865A KR 20170111786 A KR20170111786 A KR 2017011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door
fixed
ring
do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규 filed Critical 최창규
Priority to KR102016003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786A/ko
Publication of KR2017011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e.g.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의 백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백도어를 개방하여 수납된 물건을 하역할때 백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는 체결고리가 고정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고정링이 고정 구비된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된 로프와,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탑차의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체결고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제2 고정링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링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 상단에 나사 결합된 제2 고정브라켓과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백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Tapcha zoom back door protection}
본 발명은 탑차의 백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백도어를 개방하여 수납된 물건을 하역할때 백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차(특장차)에는 적재수단으로서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사각박스형의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에 물건을 하역하기 위하여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도어의 경계부위에는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건 하역시에는 록킹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대개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열려진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돌출되므로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운송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추돌사고의 우려도 있으며, 주변에 벽이나 차량 등이 있으면 개방할 수 없고, 도어를 고정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어 자체의 불량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하역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도 염려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1302호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4-001865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백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는 체결고리가 고정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고정링이 고정 구비된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된 로프와,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탑차의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체결고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제2 고정링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링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 상단에 나사 결합된 제2 고정브라켓과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백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일측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타측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일측 요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타측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부호 20은 로프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프(2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측에는 체결고리(30)가 고정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고정링(11)이 고정 구비되어 있다.
지시부호 10은 제1 고정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고정브라켓(10)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링(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탑차의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고리(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제2 고정링(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링(41)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T) 상단에 나사 결합된 제2 고정브라켓(40)과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고정링(41)이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T) 상단에 나사 결합된 제2 고정브라켓(40)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제1 고정브라켓(10)은 상기 탑차의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브라켓(10)에는 제1 고정링(11)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링(11)에는 로프(2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프(20)의 타측은 상기 체결고리(3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리(20)는 제2 고정링(4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2 고정브라켓(40)과 제2 고정링(41)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T)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링(11)이 고정 결합된 상기 제1 고정브라켓(10)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되어 있어 백도어 개방시 소정의 각도만큼만 백도어가 개방됨으로서 백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백도어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결합된 제1 고정브라켓(10)을 해지한 후 적정위치에 고정 설치함으로서 해결되며 이때 백도어의 개방 각도를 넓히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고리(30)를 상기 제2 고정링(41)으로 부터 해지한 후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10 : 제1 고정브라켓 11 : 제1 고정링
20 : 로프 30 : 체결고리
40 : 제2 고정브라켓 41 : 제2 고정링
T : 탑차

Claims (1)

  1. 일측에는 체결고리(30)가 고정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고정링(11)이 고정 구비된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된 로프(20)와,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링(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탑차의 백도어 이면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브라켓(10)과,
    상기 체결고리(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제2 고정링(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링(41)은 상기 백도어 이면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탑차(T) 상단에 나사 결합된 제2 고정브라켓(40)과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KR1020160037865A 2016-03-29 2016-03-29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KR20170111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65A KR20170111786A (ko) 2016-03-29 2016-03-29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65A KR20170111786A (ko) 2016-03-29 2016-03-29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86A true KR20170111786A (ko) 2017-10-12

Family

ID=6014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65A KR20170111786A (ko) 2016-03-29 2016-03-29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639B1 (ko) 2018-11-28 2019-11-20 주식회사 신세계특장 탑차의 리어도어 개방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639B1 (ko) 2018-11-28 2019-11-20 주식회사 신세계특장 탑차의 리어도어 개방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6502B2 (en) Vehicle bonnet safety assembly
KR101650890B1 (ko) 자동차용 전방 레이더 고정용 브라켓 구조
CN104085348A (zh) 车门保护装置
KR20170111786A (ko) 탑차 백도어 확개방지장치
KR10140899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87957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돌 보강 장치
JP2013244788A (ja) 車両用ドア
KR101628517B1 (ko) 필라트림 체결용 클립
CN204383327U (zh) 一种具有限位锁止功能的汽车手套箱
CN205469316U (zh) 用于机动车辆的结构组件
US2679419A (en) Hatch cover lock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1512029B1 (ko)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
KR101572839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JP6364636B2 (ja) 下部パネル取付構造
US20150107925A1 (en) Vehicle bonnet safety assembly
KR102419040B1 (ko) 사이드 가드의 탈착 구조
US9873384B2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JP2019094718A (ja) 車両用電動ドアの制御装置
KR20150066468A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CN214463399U (zh) 一种搭扣锁闭结构和铁路货车
CN208149216U (zh) 摄影模块结构
JP6451384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0483652Y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닫힘장치
CN201501274U (zh) 用于车辆上可滑动构件的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