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71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719A
KR20170111719A KR1020160037701A KR20160037701A KR20170111719A KR 20170111719 A KR20170111719 A KR 20170111719A KR 1020160037701 A KR1020160037701 A KR 1020160037701A KR 20160037701 A KR20160037701 A KR 20160037701A KR 20170111719 A KR20170111719 A KR 2017011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eating
groove
grooves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박미정
김정호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3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719A/ko
Publication of KR2017011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이 개시된다. 마름모 형상의 식모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칫솔헤드; 및 상기 식모홈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헤드 일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식모홈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이 복수개 형성되어,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패턴을 구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칫솔모가 치간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간 삽입이 용이한 칫솔모 패턴이 구현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 용구로서 칫솔대, 칫솔대로부터 연장되는 칫솔헤드, 칫솔헤드에 구비되는 칫솔모를 포함한다.
종래 칫솔은 양치시 칫솔대를 잡고 칫솔모 부위를 입속으로 투입하여 치아에 접촉시킨 다음 치아의 위아래 또는 좌우방향으로 칫솔대 및 칫솔모를 이동시키면서 양치를 한다.
이러한 종래 칫솔 중에는 치간 삽입이 용이하도록 'v'자 트림과 같이 칫솔모의 높이를 달리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트림을 주기 위해서는 칫솔모 식모 후에 나이프 커팅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한 데,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도 치간 삽입이 용이한 칫솔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나이프 커팅 등의 추가 공정 없이도 치간 깊숙이 삽입되어 치간 프라그 제거가 용이한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마름모 형상의 식모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칫솔헤드; 및 상기 식모홈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헤드 일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식모홈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이 복수개 형성되어,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칫솔헤드 일면은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상측이고, 상기 제2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상측이며, 상기 제3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하측이며, 상기 제4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하측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식모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식모홈은, 횡 방향성의 제1 식모홈, 종 방향성의 제2 식모홈, 제1 대각 방향성의 제3 식모홈 및 제2 대각 방향성의 제4 식모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대각 방향성과 상기 제2 대각 방향성은 상기 횡 방향성 또는 상기 종 방향성을 기준으로 5 내지 45도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식모홈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횡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식모홈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종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식모홈은, 상기 제1 식모군 영역 및 상기 제4 식모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식모홈은, 상기 제2 식모군 영역 및 상기 제3 식모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의하면, 특정 패턴의 칫솔모가 치간 깊숙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간 프라그 제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제1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제2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10)은 칫솔헤드(100) 및 칫솔모(미도시)를 포함하며, 칫솔헤드(100)에 마름모 형상의 식모홈(D1, D2, D3, D4)이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식모홈(D1, D2, D3, D4)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Dg1, Dg2)이 형성되며, 이러한 식모홈 또는 식모군에 칫솔모가 고정되면 칫솔모 끝 단면이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특정 패턴을 구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치시 특정 패턴의 칫솔모를 치간 깊숙이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식모군(Dg1, Dg2)이 식모홈(D1, D2, D3, D4)의 네 개가 모여 만들어진 것으로 도 1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식모홈(D1, D2, D3, D4)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한데 모인 식모홈들의 집합을 식모군으로 정의한다. 즉, 칫솔헤드(110)에는, 식모홈(D1, D2, D3, D4) 네 개가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Dg1, Dg2)뿐만 아니라, 식모홈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도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는 식모홈 네 개가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Dg1, Dg2)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식모홈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으로 대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칫솔헤드(100)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긴 판 형상일 수 있다. 칫솔헤드(100)는 양치시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닿을 수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100)는 사용자의 구강 내 피부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모서리 부위가 없는 매끈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헤드(100) 일면은 소정 깊이 파여져서, 마름모 형상의 식모홈(D1, D2, D3, D4)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식모홈은 횡 방향성의 제1 식모홈(D1), 종 방향성의 제2 식모홈(D2), 제1 대각 방향성의 제3 식모홈(D3) 및 제2 대각 방향성의 제4 식모홈(D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름모는 두 쌍의 마주보는 변이 서로 평행이고, 마주보는 두 각의 크기가 서로 같다. 또한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서로 다르지만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이때 마름모의 길이가 긴 대각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기준선을 기반으로 식모홈의 방향성을 결정한다.
결국 식모홈은, 기준선이 횡 방향(X)과 평행하면 횡 방향성을 가지고, 종 방향(Y)과 평행하면 종 방향성을 가지며, 제1 대각 방향(A)과 평행하면 제1 대각 방향성을 가지고, 제2 대각 방향(B)과 평행하면 제2 대각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대각 방향(A) 및 제2 대각 방향(B)은 횡 방향(X) 또는 종 방향(Y)을 기준으로 대략 45도 기울어진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횡 방향(X) 또는 종 방향(Y)을 기준으로 5 내지 45도 기울어진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모홈(D1)은 횡 방향성을 가지고, 제2 식모홈(D2)은 종 방향성을 가지며, 제3 식모홈(D3)은 제1 대각 방향성을 가지고, 제3 식모홈(D4)은 제2 대각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한편, 제3 식모홈(D3)은 네 개가 하나의 군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의 군을 제1 식모군(Dg1)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4 식모홈(D4)은 네 개가 하나의 군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의 군을 제2 식모군(Dg1)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식모군(Dg1)은, 제3 식모홈(D3) 각각의 외곽 변을 연결하는 경우 제1 대각 방향성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되며, 제2 식모군(Dg2)은, 제4 식모홈(D4) 각각의 외곽 변을 연결하는 경우 제2 대각 방향성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될 수 있다.
이후, 도 2를 참고하여 각종 식모홈과 식모군이 위치하게 되는 칫솔헤드의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칫솔헤드(100) 일면은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a1, a2, a3, a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모군 영역(a1)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상측이고, 제2 식모군 영역(a2)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상측이며, 제3 식모군 영역(a3)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하측이며, 제4 식모군 영역(a4)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하측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a1, a2, a3, a4)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식모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4 식모군 영역(a1, a4)에는 상기한 바 있는 제1 식모군(Dg1)이 형성되고, 제2, 제3 식모군(a2, a3)에는 상기한 바 있는 제2 식모군(Dg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제4 식모군 영역(a1, a4)에는 제3 식모홈(D3)이 형성되고, 제2, 제3 식모군 영역(a2, a3)에는 제4 식모홈(D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a1, a2, a3, a4)에는 제1, 제2, 제3, 제4 식모홈(D1, D2, D3, D4)이 적절히 형성되어 제1, 제2 식모군(Dg1, Dg2)과 다른 식모군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a1, a2, a3, a4)이외에도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a1, a2, a3, a4)을 구획하는 중심선을 따라 식모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식모홈(D1)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횡 방향(X)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제2 식모홈(D2)은 칫솔헤드(100) 일면의 종 방향(Y)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칫솔모는 이러한 각종 식모홈 및 식모군에 고정되면, 칫솔모 끝 단면이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특정 패턴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칫솔헤드(100)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10)은, 양치시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특정 패턴의 칫솔모가 치간 깊숙이 삽입되며, 이를 통해 치간 프라그 제거가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칫솔
100: 칫솔머리
D1, D2, D3, D4: 제1, 제2, 제3, 제4 식모홈
Dg1, Dg2: 제1, 제2 식모군
a1, a2, a3, a4: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

Claims (8)

  1. 마름모 형상의 식모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칫솔헤드; 및
    상기 식모홈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헤드 일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식모홈이 모여 만들어진 식모군이 복수개 형성되어, 사용자 치간 삽입이 용이한 패턴을 구현하는 것인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 일면은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상측이고, 상기 제2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상측이며, 상기 제3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하측이며, 상기 제4 식모군 영역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하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식모군 영역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식모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모홈은, 횡 방향성의 제1 식모홈, 종 방향성의 제2 식모홈, 제1 대각 방향성의 제3 식모홈 및 제2 대각 방향성의 제4 식모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각 방향성과 상기 제2 대각 방향성은 상기 횡 방향성 또는 상기 종 방향성을 기준으로 5 내지 45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홈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횡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홈은,
    상기 칫솔헤드 일면의 종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식모홈은, 상기 제1 식모군 영역 및 상기 제4 식모군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식모홈은, 상기 제2 식모군 영역 및 상기 제3 식모군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60037701A 2016-03-29 2016-03-29 칫솔 KR20170111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01A KR20170111719A (ko) 2016-03-29 2016-03-29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01A KR20170111719A (ko) 2016-03-29 2016-03-29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19A true KR20170111719A (ko) 2017-10-12

Family

ID=6014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01A KR20170111719A (ko) 2016-03-29 2016-03-29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7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6941A1 (en) Toothbrush
JP5269351B2 (ja) 歯ブラシ
KR101591299B1 (ko) 칫솔
KR20170003688U (ko) 칫솔
KR20190032395A (ko) 칫솔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CN103957744A (zh) 牙刷
KR20160040517A (ko) 칫솔
CN105722428B (zh) 口腔护理器具
KR20170141190A (ko) 칫솔
BR112016010266A2 (pt) Processo e aparelho para criação de tufos para artigos tufosos
TWM430894U (en) Toothbrush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US20230148743A1 (en) Toothbrush
KR20140003577U (ko) X자 배열의 사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170111719A (ko) 칫솔
JP2000262329A (ja) 歯ブラシ
CN205250695U (zh) 牙刷刷头
KR200478769Y1 (ko) 사다리꼴모다발이 웨이브 패턴으로 배열된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CN104510151A (zh) 齿间牙刷兼用改进型牙刷
US9510666B1 (en) Training toothbrush
JP6239795B2 (ja) 歯ブラシ
CN206227929U (zh) 牙刷
CN209965576U (zh) 一种牙刷头
CN205267363U (zh) 硅胶月子牙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