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88U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88U
KR20170003688U KR2020160004323U KR20160004323U KR20170003688U KR 20170003688 U KR20170003688 U KR 20170003688U KR 2020160004323 U KR2020160004323 U KR 2020160004323U KR 20160004323 U KR20160004323 U KR 20160004323U KR 20170003688 U KR20170003688 U KR 20170003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emoval
tapered tapered
head portion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박미정
김정호
유혜주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720391926.7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6714397U/zh
Publication of KR20170003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면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에 식모된 제1 식모군;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 침투가 용이하도록 식모 패턴을 형성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칫솔은 헤드부에 칫솔모가 단순히 일자로 심어져 있기 때문에, 플라그가 많이 생기는 치간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등에 칫솔모가 깊숙이 들어가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칫솔은 치간 침투 외에도 잇몸 자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잇몸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치아 세정의 효율성과 편리성 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여도 치간 침투가 용이한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면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에 식모된 제1 식모군;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모홀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모홀은,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은, 인접한 상기 제1 식모홀끼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모홀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45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제2 식모홀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식모홀에 식모된 제2 식모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식모홀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식모홀은,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식모면의 선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식모군의 양 사이드를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제3 식모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 식모홀에 식모된 제3 식모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식모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타원 또는 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 식모홀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됨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여도 치간 침투가 용이함으로써,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좁은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음으로써, 치아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식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식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모가 치아에 대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식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손으로 잡는 부분인 핸들부(30)와, 핸들부(30)의 일단에 복수개의 칫솔모(11)가 식모된 식모면(25)이 구비된 헤드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의 식모면(25)에는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 제2 식모홀(42) 및 제3 식모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각각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육각 형상의 제1 식모홀(41)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인접하는 제1 식모홀(41)끼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모홀(41)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식모홀(41)이 약 10도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칫솔모(11)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음으로써,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청결하게 치아를 관리할 수 있다.
제1 식모홀(41)이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도 미만 또는 45도를 초과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된 기존의 식모홀보다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칫솔모(11)의 치간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인접한 제1 식모홀(41)끼리 반드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치간 침투가 용이하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식모홀(41)에는 칫솔모(11)가 식모되어 제1 식모군(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식모군(21)은 헤드부(20)의 식모면(25)에서 선단부 측을 제외한 나머지 식모면(25)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식모면(25)에는 헤드부(20)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제2 식모홀(42)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식모홀(42)은 제1 식모홀(41)과 마찬가지로,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을 띨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2 식모홀(42)에는 칫솔모(11)가 식모되어 제2 식모군(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식모군(22)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장된 일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식모군(22)은 헤드부(20)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식모면(25)을 반으로 가를 수 있다. 여기서, 제2 식모군(22)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 식모군(21)은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띨 수 있다.
또한, 식모면(25)의 선단부에 위치된 제2 식모군(22)의 양 사이드에는 복수개의 제3 식모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3 식모홀(43)은 식모면(25)의 선단부에 위치된 제2 식모군(22)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3 식모홀(43)에는 칫솔모(11)가 식모되어 제3 식모군(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3 식모홀(4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식모면(25) 상부에서 볼 때, 제3 식모군(23)의 외곽은 헤드부(20) 양측을 향하여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 2개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0)의 선단부는 곡면지게 형성되어, 구강 내 잇몸이나 피부, 치아 등의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칫솔(10)에 사용된 칫솔모(11)는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칫솔모(11) 선단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져서 선단이 첨예화된 테이퍼 모, 칫솔모(11) 선단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되, 테이퍼 모보다 선단 직경이 굵은 세미테이퍼 모, 또는 칫솔모(11)의 외경이 거의 동일한 스트레이트 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칫솔모(11)는 상기 형상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칫솔모(11)는 치아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칫솔모(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6-12 나일론 및 6-10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스테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11)는 상기 수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1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칫솔모(11)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모(11)는 사용감이나, 쇄소감, 세정 효과 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칫솔모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핸들부(30)는 고경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핸들부(30)는 상기 소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칫솔(10)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칫솔(10)은 수동 칫솔 또는 전동 칫솔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동 칫솔의 소재는 핸들부(30)의 소재와 같을 수 있으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세탈(POM),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ABS),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식모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헤드부(20) 및 헤드부(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핸들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20)에는 복수개의 칫솔모(11)가 식모되는 식모면(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식모면(25)에는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 제2 식모홀(42) 및 제3 식모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1 식모홀(51)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약 45도 정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모홀(51)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 식모홀(51)은 인접한 제1 식모홀(51)끼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 식모홀(51)이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여도 칫솔모(11)가 치아 사이 및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침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0)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제2 식모홀(52)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식모홀(52)은 제1 식모홀(51)과 마찬가지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모면(25)의 선단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제2 식모홀(52)의 양 사이드를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제3 식모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3 식모홀(5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3 식모홀(53)이 이루는 외곽은 헤드부(20)의 양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2개의 원호 형상을 띨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모가 치아에 대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칫솔(10)의 헤드부(20)에는 복수개의 칫솔모(11)가 식모된 식모면(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식모면(25)에는 제1 식모군(21), 제2 식모군(22) 및 제3 식모군(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식모군(21)을 이루는 각각의 제1 식모홀(41, 도 2 참조)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식모홀(41)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인접한 제1 식모홀(41)끼리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식모면(25)에는 헤드부(20)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제2 식모군(2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식모면(25)의 선단부에 위치된 제2 식모군(22)의 양 사이드를 둘러싸는 제3 식모군(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모면(25)에서 제1 식모군(21)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됨에 의해 치아(50) 사이 및 치아(50)와 잇몸 사이의 침투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식모군(22)은 치아(50)의 표면에 위치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3 식모군(23)은 구강 안쪽에 위치된 어금니의 좁고 구석진 부분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모군(21) 내지 제3 식모군(23)으로 이루어진 칫솔모(11)가 치아(50) 사이 및 표면에 위치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치아(50)를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제1 식모홀(41) 및 제2 식모홀(42)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하는 육각 형상 또는 타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칫솔 11 : 칫솔모
20 : 헤드부 21 : 제1 식모군
22 : 제2 식모군 23 : 제3 식모군
25 : 식모면 30 : 핸들부
41 : 제1 식모홀 42 : 제2 식모홀
43 : 제3 식모홀 50 : 치아

Claims (10)

  1.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면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에 식모된 제1 식모군;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홀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홀은,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식모홀은,
    인접한 상기 제1 식모홀끼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홀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45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제2 식모홀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식모홀에 식모된 제2 식모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홀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홀은,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이 다른 변들보다 길게 형성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식모면의 선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2 식모군의 양 사이드를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제3 식모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 식모홀에 식모된 제3 식모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식모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160004323U 2016-04-15 2016-07-27 칫솔 KR20170003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0391926.7U CN206714397U (zh) 2016-04-15 2017-04-14 牙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6 2016-04-15
KR20160002046 2016-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88U true KR20170003688U (ko) 2017-10-25

Family

ID=60408016

Famil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11U KR200493972Y1 (ko) 2016-04-15 2016-04-28 칫솔
KR2020160003822U KR20170003682U (ko) 2016-04-15 2016-06-30 칫솔
KR2020160003821U KR20170003681U (ko) 2016-04-15 2016-06-30 칫솔
KR2020160004211U KR200493138Y1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2U KR200493137Y1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09U KR20170003683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3U KR20170003687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0U KR20170003684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323U KR20170003688U (ko) 2016-04-15 2016-07-27 칫솔
KR2020160004634U KR20170003689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636U KR20170003691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635U KR20170003690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950U KR20170003692U (ko) 2016-04-15 2016-08-25 칫솔
KR2020160004951U KR20170003693U (ko) 2016-04-15 2016-08-25 칫솔
KR2020160005797U KR20170003697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9U KR20170003698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4U KR20170003695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6U KR20170003696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11U KR200493972Y1 (ko) 2016-04-15 2016-04-28 칫솔
KR2020160003822U KR20170003682U (ko) 2016-04-15 2016-06-30 칫솔
KR2020160003821U KR20170003681U (ko) 2016-04-15 2016-06-30 칫솔
KR2020160004211U KR200493138Y1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2U KR200493137Y1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09U KR20170003683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3U KR20170003687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KR2020160004210U KR20170003684U (ko) 2016-04-15 2016-07-21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34U KR20170003689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636U KR20170003691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635U KR20170003690U (ko) 2016-04-15 2016-08-10 칫솔
KR2020160004950U KR20170003692U (ko) 2016-04-15 2016-08-25 칫솔
KR2020160004951U KR20170003693U (ko) 2016-04-15 2016-08-25 칫솔
KR2020160005797U KR20170003697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9U KR20170003698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4U KR20170003695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KR2020160005796U KR20170003696U (ko) 2016-04-15 2016-10-07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8) KR200493972Y1 (ko)
CN (2) CN2070551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697A (ko) 2021-09-30 2023-04-06 박해용 천장구조물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5007880A (es) * 2012-12-20 2015-09-21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EP3501334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3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6A1 (en) 2017-12-20 2019-06-26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5B1 (en) 2017-12-20 2020-06-17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WO2019119344A1 (en) * 2017-12-21 2019-06-27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CN304701695S (ko) 2017-12-21 2018-06-29
US11388985B2 (en) 2018-02-09 2022-07-19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US11400627B2 (en) 2018-02-09 2022-08-02 The Gillette Company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EP3524092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EP3524093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EP3524091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Manual oral care implement
US11659922B2 (en) 2018-09-03 2023-05-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PL3616561T3 (pl) 2018-09-03 2022-11-21 The Gillette Company Llc Główka do narzędzia do higieny jamy ustnej i zestaw zawierający taką główkę
USD898369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4S1 (en) 2018-10-09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0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1S1 (en) 2018-11-16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5S1 (en) 2018-11-16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27191S1 (en) 2018-12-14 2021-08-10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6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7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06687S1 (en) 2019-01-10 2021-01-05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2S1 (en) 2019-01-10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EP3941309A4 (en) * 2019-03-22 2022-10-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NSTRUMENT
EP3714732A1 (en) 2019-03-29 2020-09-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EP3818904A1 (en) 2019-11-06 2021-05-12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KR102450463B1 (ko) * 2020-01-10 2022-10-05 주식회사 에드코스 헤드부의 교체가 가능한 전동 칫솔
US20240074571A1 (en) * 2022-09-06 2024-03-07 Smile Makers, Llc Oral car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7782B2 (en) * 1990-03-29 1994-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Toothbrush
US6035476A (en) * 1998-09-10 2000-03-14 Optiva Corporation Brushhead for a toothbrush
KR100592089B1 (ko) * 2004-06-11 2006-06-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헤드
JP2006181190A (ja) * 2004-12-28 2006-07-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09066050A (ja) * 2007-09-11 2009-04-02 Lion Corp 歯ブラシ
MX354180B (es) * 2011-09-14 2018-02-16 Colgate Palmolive Co Cepillo de dientes.
KR200467406Y1 (ko) * 2011-11-30 2013-06-12 (주)아모레퍼시픽 칫솔
KR200467405Y1 (ko) * 2011-11-30 2013-06-12 (주)아모레퍼시픽 칫솔
KR200473108Y1 (ko) * 2012-11-13 2014-06-12 (주)아모레퍼시픽 사각형직립모다발과 원형경사모다발의 칫솔모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JP6226618B2 (ja) * 2013-08-02 2017-11-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697A (ko) 2021-09-30 2023-04-06 박해용 천장구조물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97U (ko) 2017-10-25
KR20170003691U (ko) 2017-10-25
KR20170003684U (ko) 2017-10-25
KR20170003685U (ko) 2017-10-25
KR20170003680U (ko) 2017-10-25
KR20170003689U (ko) 2017-10-25
KR20170003681U (ko) 2017-10-25
KR20170003693U (ko) 2017-10-25
CN206714397U (zh) 2017-12-08
KR20170003696U (ko) 2017-10-25
KR20170003692U (ko) 2017-10-25
KR20170003695U (ko) 2017-10-25
KR20170003683U (ko) 2017-10-25
KR200493972Y1 (ko) 2021-07-08
KR20170003687U (ko) 2017-10-25
KR20170003690U (ko) 2017-10-25
KR20170003682U (ko) 2017-10-25
KR200493138Y1 (ko) 2021-02-05
CN207055161U (zh) 2018-03-02
KR20170003698U (ko) 2017-10-25
KR200493137Y1 (ko) 2021-02-08
KR20170003686U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688U (ko) 칫솔
ES2707385T3 (es)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ES2373227T3 (es) Cepillo de dientes.
EP2856907B1 (en) Oral care implement
TW201328632A (zh) 牙刷
JP2007530131A (ja) 歯ブラシ
CN208286631U (zh) 牙刷
KR101769410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2463635B1 (ko) 칫솔
KR20180000642U (ko) 칫솔
JP2021104237A (ja) 歯ブラシ
KR20180000364U (ko) 칫솔 캡과 이를 구비하는 칫솔
KR101937739B1 (ko) 칫솔
KR200171246Y1 (ko) 실리콘칫솔모와일반칫솔모가동시에내장된칫솔
KR101741444B1 (ko) 칫솔 헤드
JP2005177377A (ja) 歯ブラシ
KR20190004828A (ko) 칫솔
GB2533417A (en) A mouth cleaning device
KR20170065336A (ko) 칫솔
JP2015126819A (ja) 犬猫用口腔内清掃具
JP2015139518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