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05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05Y1
KR200467405Y1 KR2020110010678U KR20110010678U KR200467405Y1 KR 200467405 Y1 KR200467405 Y1 KR 200467405Y1 KR 2020110010678 U KR2020110010678 U KR 2020110010678U KR 20110010678 U KR20110010678 U KR 20110010678U KR 200467405 Y1 KR200467405 Y1 KR 200467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member
bristle
bristles
central soft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426U (ko
Inventor
장신주
이병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10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0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의 미백(美白) 기능 및 치아 간 굴곡진 부위의 세정 기능이 강화되고, 칫솔모의 배치 패턴이 양치질 과정 중 사방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더라도 양호한 치아 세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중앙 연질부재 및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 칫솔모를 포함하는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과, 상기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외곽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아의 미백(美白) 기능 및 치아 간 굴곡진 부위의 세정 기능이 강화되고, 칫솔모의 배치 패턴이 양치질 과정 중 사방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더라도 양호한 치아 세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및 구강 내 청결 유지를 위한 위생용품으로서,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로 크게 구분되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보편적인 칫솔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의 설명처럼 종래 칫솔(10)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손잡이(11)와 헤드(12) 그리고 헤드(12)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칫솔모(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칫솔모(13)는 매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칫솔(10)의 손잡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12) 및 칫솔모(13)를 구강 내에 넣은 후, 손잡이(11)를 통해 헤드(12) 및 칫솔모(13)를 유동시키면서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내는 방법, 다시 말해 양치질의 방법에는 회전법, 횡마법, 묘원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그 칫솔모가 모두 동일한 모양을 형성하면서 격자형의 직선형 배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치 과정에서 사용자의 칫솔질 방향에 따라 치아 세정 기능이 크게 변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칫솔은 그 칫솔모가 모두 동일한 모양을 형성하면서 적정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앞니와 같이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하여 비교적 용이한 칫솔질이 가능한 동시에 어금니와 송곳니에 비해 굴곡이 적은 치아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세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앞에서 언급한 어금니와 송곳니 등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굴곡이 많은 치아에 대해 양호한 세정 기능을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종래의 칫솔은 치아 및 치아와 치아 사이 그리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음식물 찌거기와 기타 이물질 제거 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최근 들어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가의 임플란트 시술이 성행하는 것에 비춰볼 때, 미백 기능을 갖는 칫솔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어금니와 송곳니 등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는 동시에 앞니 등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하는 치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곡이 많은 치아에 대해 양호한 세정 기능을 발휘하는 칫솔 제공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아에 미백(美白) 기능을 하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치 과정에서 사용자의 칫솔질 방향에 따라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치아 세정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하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중앙 연질부재 및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 칫솔모를 포함하는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과, 상기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외곽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성 칫솔모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모양이며,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90°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원형 칫솔모와,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을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원형 칫솔모의 사이에 둘 이상으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사각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연질부재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모양이며,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앙 연질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중앙 연질부재와, 상기 제1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호형인 제2 중앙 연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중앙 연질부재와 제2 중앙 연질부재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위성 칫솔모 및 외곽 칫솔모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위성 칫솔모 및 외곽 칫솔모의 단부가 모여 형성되는 전체 칫솔모의 일면이 복수의 단차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금니와 송곳니 등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는 동시에 앞니 등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하는 치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곡이 많은 치아를 칫솔질을 통해 양호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양치질 과정에서 치아에 미백(美白) 기능이 제공되므로, 꾸준한 양치질을 통해서 치아를 하얗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양치 과정에서 사용자의 칫솔질 방향에 따라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치아 세정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칫솔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110), 이러한 손잡이(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120), 그리고 헤드(1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140) 및 외곽 칫솔모(150,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140)의 칫솔모 및 외곽 칫솔모(150,160)는 각각 헤드(120)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칭한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과 제2 스테이 칫솔모 그룹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100)의 손잡이(110)로부터 헤드(1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인 동시에 길이 방향, 그리고 이러한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 정의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라는 용어는 상기 정의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은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중앙 연질부재(133) 및 이러한 중앙 연질부재(133)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 칫솔모(131,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위성 칫솔모는 그 형상에 맞춰 사각 칫솔모(131)와 원형 칫솔모(132)로 각각 지칭한다.
중앙 연질부재(133)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연질부재(133)는 그 주변을 따라 동심원 상으로 위성 칫솔모가 배치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 자체는 원형으로 한정될 필요 없다. 또한, 중앙 연질부재(133)는 위성 칫솔모인 원형 칫솔모(132)와 사각 칫솔모(13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 연질부재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칫솔모(132)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모양이며, 이러한 원형 칫솔모(132)는 사각 칫솔모(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사각 칫솔모(131)가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태로써, 그 윗변을 중앙 연질부재(133)와 마주하는 상태로 헤드(120) 일면에 배치된다.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은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중앙 연질부재(143,144) 및 이러한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 칫솔모(141,142)를 포함하는 점에서는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중앙 연질부재(143,144)는 제1 중앙 연질부재(143)와 제2 중앙 연질부재(144)의 2중 구조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또한 위성 칫솔모는 그 외형에 맞춰 원형 칫솔모(142)와 사각 칫솔모(14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은 제1 중앙 연질부재(143)를 중심으로 원형 칫솔모(142)가 90°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네 원형 칫솔모(142)의 사이에 사각 칫솔모(141)가 두 개 이상씩 배치된다. 여기서, 원형 칫솔모(142)는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의 원형 칫솔모(13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사각 칫솔모(141) 역시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의 사각 칫솔모(13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사각 칫솔모(141)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의 사각 칫솔모(131)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이며, 그 윗변을 제2 중앙 연질부재(144)와 마주하며 배치되는 점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1 중앙 연질부재(143)는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통형이며, 이러한 제1 중앙 연질부재(143)는 중앙 연질부재 전체를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가정할 때 그 중심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중앙 연질부재(144)는 제1 중앙 연질부재(143)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며, 이때 제2 중앙 연질부재(144)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호형 구조를 이룬다. 또한, 제1 중앙 연질부재와 제2 중앙 연질부재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은 사각 칫솔모(141)와 원형 칫솔모(142) 및 제1 및 제2 중앙 연질부재(143,144)의 사이에 치약을 일시적으로 가둘 수 있는 치약 스테이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중앙 연질부재의 제1 중앙 연질부재(143)와 제2 중앙 연질부재(144) 사이에 치약을 일시적으로 가둘 수 있는 치약 스테이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은 이중의 치약 스테이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의 치약 스테이 기능은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구현된다. 즉,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은 중앙 연질부재(133)가 2중 구조가 아니므로, 중앙 연질부재 내(133)에서 동심원 방향의 치약 순환 동작이 없지만, 그외의 기능에서는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또한,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의 사각 칫솔모(141), 원형 칫솔모(142), 제1 중앙 연질부재(143), 제2 중앙 연질부재(144)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원형 칫솔모(142)가 최장 길이로 형성되고, 사각 칫솔모(141)가 중간 길이로 형성되며, 제1 중앙 연질부재(143) 및 제2 중앙 연질부재(144)가 최단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의 각 칫솔모 간 길이 비율은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의 각 칫솔모 간에도 동일한 비율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에 의해서, 치약은 제2(or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의 중앙 연질부재(143,144)와 위성 칫솔모(141,142)의 사이로 유입되어 그 동심원 상의 라인을 따라 순환하면서 비교적 길게 칫솔모 내에 머물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칫솔질은 계속되는 것이므로, 이렇게 제2(or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에 오래 머무르는 치약이 치아에 계속 접촉하면서 미백 작용을 한다.
또한, 헤드(120) 일면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어 칫솔질을 하는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이 원형 칫솔모(133,142) 및 사각 칫솔모(131,141) 그리고 중앙 연질부재(133,143,144)가 모두 다른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40)의 각 칫솔모들이 모여 형성되는 전체 칫솔모의 일면이 다수의 단차를 갖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차 형태의 일면이 굴곡이 많은 치아, 다시 말해 어금니와 송곳니 등의 치아 면에 대해 더 양호한 칫솔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곽 칫솔모(150,160)는 제1 및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130,14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태로 그 일단이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의 외곽 칫솔모(150) 및 사다리꼴 형상의 외곽 칫솔모(160)가 헤드(12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또한 헤드(120) 중앙부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원형 외곽 칫솔모가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칫솔(100)은 어금니와 송곳니 등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는 동시에 앞니 등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하는 치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곡이 많은 치아를 칫솔질을 통해 양호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양치질 과정에서 치아에 미백(美白) 기능이 제공되므로, 꾸준한 양치질을 통해서 치아를 하얗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양치 과정에서 사용자의 칫솔질 방향에 따라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치아 세정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칫솔 110 : 손잡이
120 : 헤드 130 : 제1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
131 : 사각 칫솔모 132 : 원형 칫솔모
133 : 중앙 연질부재 140 : 제2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
141 : 사각 칫솔모 142 : 원형 칫솔모
143 : 제1 중앙 연질부재 144 : 제2 중앙 연질부재
150.160 : 외곽 칫솔모

Claims (7)

  1.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중앙 연질부재 및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 칫솔모를 포함하는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
    상기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외곽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질부재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칫솔모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모양이며,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90°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원형 칫솔모;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을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원형 칫솔모의 사이에 둘 이상으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사각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질부재는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모양이며, 상기 중앙 연질부재를 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앙 연질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중앙 연질부재;
    상기 제1 중앙 연질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호형인 제2 중앙 연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연질부재와 제2 중앙 연질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치약 스테이 칫솔모 그룹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위성 칫솔모 및 외곽 칫솔모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연질부재와 위성 칫솔모 및 외곽 칫솔모의 단부가 모여 형성되는 전체 칫솔모의 일면이 복수의 단차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110010678U 2011-11-30 2011-11-30 칫솔 KR200467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8U KR200467405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8U KR200467405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26U KR20130003426U (ko) 2013-06-10
KR200467405Y1 true KR200467405Y1 (ko) 2013-06-12

Family

ID=5138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78U KR200467405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72Y1 (ko) * 2016-04-15 2021-07-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118A (ja) 1998-06-15 2000-01-07 Lion Corp 歯ブラシ
US7146675B2 (en) 2003-07-19 2006-12-12 Braun Gmbh Handheld toothbrush
KR100838174B1 (ko) 2007-06-08 2008-06-13 애경산업(주) 칫솔
KR101185653B1 (ko) 2003-06-20 2012-09-2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118A (ja) 1998-06-15 2000-01-07 Lion Corp 歯ブラシ
KR101185653B1 (ko) 2003-06-20 2012-09-2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칫솔
US7146675B2 (en) 2003-07-19 2006-12-12 Braun Gmbh Handheld toothbrush
KR100838174B1 (ko) 2007-06-08 2008-06-13 애경산업(주)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26U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0849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RU2539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185653B1 (ko) 칫솔
CN211242090U (zh) 牙刷
RU24899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турбиноподоб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чистящих элементов
US4033008A (en) Toothbrush
RU25577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варианты)
RU2014101263A (ru) Зубная щетка
JP2018535783A (ja) 口腔ケア用具
CN204812617U (zh) 牙刷
KR200467405Y1 (ko) 칫솔
KR200467406Y1 (ko)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US10624724B2 (en) Bristled dental floss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467404Y1 (ko) 칫솔
KR200469883Y1 (ko) 칫솔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KR101741444B1 (ko) 칫솔 헤드
KR200468338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JP5466330B1 (ja) 歯ブラシの清掃ブラシ
KR200464920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JP3110225U (ja) 2枝毛型歯ブラシ(ダブルブランチ・ブラシ)
CN103932494A (zh) 一种咀嚼式硅胶牙刷
TH49306B (th) แปรงสีฟันซึ่งมีรูปแบบของขนแปรงที่มีประสิทธิภา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