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20Y1 -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 Google Patents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20Y1
KR200464920Y1 KR2020110010674U KR20110010674U KR200464920Y1 KR 200464920 Y1 KR200464920 Y1 KR 200464920Y1 KR 2020110010674 U KR2020110010674 U KR 2020110010674U KR 20110010674 U KR20110010674 U KR 20110010674U KR 200464920 Y1 KR200464920 Y1 KR 200464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ooth
length
bristles
clea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신주
이병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10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헤드,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혀 세척수단은,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1융기부 및 상기 제1융기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2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융기부 및 상기 제2융기부는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및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본 고안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의 제1면에 구비된 세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혀에 도포되어 구강 악취의 원인을 제공하는 설태 등을 제거하고,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크기, 길이, 각도 및 모양을 갖는 칫솔모들을 이용함으로써 치아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및 구강 내 청결 유지를 위한 위생용품으로서, 이러한 칫솔은 크게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로 구분된다.
상기 칫솔 중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칫솔(10)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손잡이(1), 헤드(2) 및 상기 헤드(2)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칫솔모(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3)는 매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칫솔(10)의 손잡이(1)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2) 및 칫솔모(3)를 구강 내에 넣은 후, 손잡이(1)를 통해 헤드(2) 및 칫솔모(3)를 유동시키면서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내는 방법, 다시 말해 양치질의 방법에는 회전법, 횡마법, 묘원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헤드의 평평한 일면에 칫솔모를 고정한 형태이므로, 동일 높이의 모든 칫솔모는 동일한 강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양치질 내내 사용자의 칫솔을 조작하는 힘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 모든 닦음 부위에 대한 칫솔모의 칫솔질 강도는 항상 동일하며, 이는 구강 내 특정 부위를 양호하게 닦아내지 못하는 이유가 된다.
또한, 종래의 칫솔은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에 쌓여있거나 치아들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치석 및 프라그의 누적 등으로 인해 충치 등의 치아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는 입 냄새의 주원인은 혀에 남아 있는 미생물 퇴적이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혀는 유두상(papillate) 돌기를 가지므로 구강 박테리아의 서식에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혀에서 기거하는 혐기성 식물과 박테리아는 입 냄새라고 불리는 구린내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박테리아는 휘발성 황 혼합물(VSC: volatile sulfur compounds)을 생성하고, 그것이 축적되면 구린내 또는 구강 악취를 더욱더 발생시킨다.
상기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혀 스크레이퍼가 이용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태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혀 스크레이퍼는 칫솔 외에 별도로 갖춰지는 도구이기 때문에 칫솔질을 행함과 동시에 혀의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칫솔모의 크기, 생성 방향 및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 및 잇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며, 잇몸을 적절하게 자극함으로써 마사지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를 세척함과 동시에 칫솔모와 대향하여 형성된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혀에 부착된 박테리아, 이물질 및 설태 등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는,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헤드,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혀 세척수단은,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1융기부 및 상기 제1융기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2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융기부 및 상기 제2융기부는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및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세척 돌기는 상기 제2면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꼭지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 세척요소에 도포된 치약이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는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그룹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3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1그룹보다 길고,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5그룹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기 제2그룹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3그룹을 구성하는 칫솔모들은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치아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치아 사이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고, 상기 제2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그룹 내지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4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경사진 제1그룹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그 단면이 제1모양 및 제2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 및 제2길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모양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제2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헤드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길이 및 상기 제2길이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헤드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과 인접한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모,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세척모,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주변에 형성된 제2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3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2세척모 및 상기 제3그룹을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2세척모 단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 및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상기 헤드의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상기 제1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세척모,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그룹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세척모와 대향하며,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세척모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1세척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 사이에 형성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각각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꼭지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칫솔모의 크기, 생성 방향 및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 및 잇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며, 잇몸을 적절하게 자극함으로써 마사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치아를 세척함과 동시에 칫솔모와 대향하여 형성된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혀에 부착된 박테리아, 이물질 및 설태 등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a는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는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a는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는 사용자가 구강 관리기구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 및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으로 연장된 헤드(13)를 갖는 칫솔을 일컫는다. 상기 손잡이(11)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혀를 청결하게 하는데 필요한 조작을 하기에 적합한 공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13)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타원과 유사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직사각형 등과 같이 사용자의 구강에 흡입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13)는 피부 또는 구강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공지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13)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13)는 제1면(13a) 및 상기 제1면(13a)에 대향하는 제2면(13b)을 구비한다.
상기 제1면(13a)에는 치아 세척요소(15), 즉 복수 개의 칫솔모들이 제1면(13a)에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 즉 칫솔모들은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나일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스테르 또는 기타 공지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헤드의 제2면(13b)에는 혀 세척수단(1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단(17)은 볼의 내부 면, 혀 또는 다른 연성조직을 청결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척수단(17)은 가소성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물질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단(17)은 제2면(13b)에 장착된 기단부(18), 제1융기부(19) 및 제2융기부(21)를 구비한다. 상기 제1융기부(19) 및 제2융기부(21)의 각각은 기단부(1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융기부(19) 및 상기 제2융기부(21)는 제2면(13b)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융기부(19)는 제2면(13b)의 끝단에 인접한 영역 및 상기 제2면(13b)에서 손잡이(11)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융기부(21)는 헤드(13)의 끝단과 연결된 제1측면(25a)에 인접한 제2면(13b)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 돌기(23)는 기단부(1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23a) 및 상기 헤드(13)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꼭지부(23a)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23b)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세척 돌기(23)는 알파벳 브이(V)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돌기(23)는 꼭지부(23a)가 말단부(23b)에 비해 제2면(13b)의 중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말단부(23b)는 제2면(13b)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융기부(19)는 제2면(13b)의 끝단 영역 및 제2면(13b)의 손잡이(11) 인근 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면(13b)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제1융기부(19)는 다섯 개의 세척 돌기(23)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다섯 개의 세척 돌기(23)는 제2면(13b)의 끝단 영역에서 제2면(13b)의 중심 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기 및 꼭지부(23a)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융기부(21)는 제1측면(25a) 및 제2측면(25b)에 인접한 제2면(13b)의 소정 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면(25a)에 인접한 제2융기부(21)는 두 개의 세척 돌기(23)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세척 돌기(23)는 제2측면(25b)에 인접한 제2면(13b)의 소정 영역에서 제2면(13b)의 중심 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기 및 꼭지부(23a)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혀에 밀착된 세척수단(17)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더라도 제2면(13b)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형성된 말단부(23b)가 혀에 부착된 이물질, 예를 들어 박테리아 또는 설태 등을 뚫고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말단부(23b) 및 꼭지부(23a)로 포위된 영역에 의해 이물질을 혀로부터 쉽게 분리함으로써 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4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되는 치아 세척요소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5a는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6a는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8a는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9a는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는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11a는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01) 및 상기 제1면(13a)의 손잡이(11)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세척요소(15)에 도포된 치약이 손잡이(11)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10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01) 및 제2그룹(103)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의 경계를 세척하는 제3그룹(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3그룹(105)은 제1측면(25a) 및 제2측면(25b)을 이어주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두 줄의 칫솔모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줄의 칫솔모들은 제1열(105a) 및 제2열(105b)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1열(105a)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에 접촉하고 있는 칫솔모들의 하부 영역이 서로 교대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열(105a)의 홀수 번째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α)로 기울어져 있고, 짝수 번째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β)로 기울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105a)의 홀수 번째 칫솔모들 끝단 및 짝수 번째 칫솔모들의 끝단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105b)은 제1열(105a)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아열을 따라 칫솔을 이동시키더라도 제3그룹(105)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경계 영역의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열(105a) 및 제2열(105b) 사이에는 제3그룹(105)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1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그룹(101) 및 제3그룹(105) 사이에는 제1그룹(101)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제3그룹(105)의 길이는 제1그룹(101)보다 길고, 제1그룹(101)의 길이는 제5그룹(109)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2그룹(103)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103)의 길이는 제4그룹(10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11) 및 상기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11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11)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다. 상기 제2그룹(113)은 표면의 굴곡이 심한 어금니를 세척하도록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그룹(113)의 내측 손잡이(11) 인근 영역에는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그룹(113)의 내측에서 제1그룹(111) 및 제3그룹(115) 사이에는 제4그룹(117)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3그룹(115)은 제1그룹(111)이 최 내측 어금니의 잇몸 경계면을 세척하는 동안 어금니의 표면을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룹(111) 및 제4그룹(117)은 치아 사이의 경계면 또는 치아 및 잇몸 사이의 경계면에 깊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그룹(113) 및 제3그룹(115)은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고, 굴곡이 심한 어금니 등의 표면을 세척하기에 용이하도록 좁고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제1그룹(111)의 길이는 최 내측 어금니 뒤쪽의 잇몸을 세척하도록 제2그룹(113) 내지 제4그룹(11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119) 및 상기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121)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19)은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육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121)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13a)의 손잡이(11)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2그룹(121)의 칫솔모들은 칫솔질을 하는 동안 치약이 손잡이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칫솔모들에 비해 촘촘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그룹(121)의 내측 손잡이(11) 인근 영역에는 제3그룹(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그룹(123)은 어금니의 표면을 세척하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 부근의 제1면(13a)에 형성된 칫솔모들과 함께 치약이 손잡이(11)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그룹(121)의 내측에서 제1그룹(119) 및 제3그룹(123)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그룹(125)의 단면은 굴곡진 치아의 단면을 세척하기에 적합하도록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그룹(125)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치아 세척요소(15)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면(13a)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α)로 경사진 제1그룹(127)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27)은 그 단면이 제1모양(S1) 및 제2모양(S2)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L1) 및 제2길이(L2)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27)은 제1각도(α)로 경사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칫솔을 비스듬하게 쥘 경우 칫솔이 치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치아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을 비스듬하게 쥐고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도 제1각도(α)로 인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양(S1)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S2)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L1)는 제2길이(L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헤드(13)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측면(25a) 및 제2측면(25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제1길이(L1) 및 제2길이(L2)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길이(L1)를 갖는 칫솔모들은 제2길이(L2)를 갖는 칫솔모에 비해 치아 표면의 깊인 곳까지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β)로 경사진 제2그룹(129)을 구비한다. 상기 제2그룹(129)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제2그룹(129)은 제1그룹(127)의 제2모양(S2)을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그룹(129)은 제1그룹(127)의 제2모양(S2)을 갖는 칫솔모들과는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그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그룹(129)은 제1면(13a)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제1그룹(127)과는 다른 기울기의 부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그룹(129)은 제1면(13a)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제1그룹(127)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질을 하는 동안 제1그룹(12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제2그룹(129)을 구비함으로써 치아 표면의 넓은 부위를 세척할 수 있다.
도 2,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 영역의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13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31)으로부터 손잡이(11)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1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그룹(135) 및 제2그룹(133) 사이에는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1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4그룹(137)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139)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31), 제2그룹(133) 및 제4그룹(137)의 단면은 서로 다른 모양의 치아를 세척하도록 다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3그룹(135) 및 제5그룹(139)의 단면은 치아 사이 또는 치아 표면을 따라 깊은 곳까지 세척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31), 제3그룹(135), 제4그룹(137), 제5그룹(139) 및 제2그룹(133)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133)의 끝단은 잇몸을 마사지하기에 적합하도록 굴곡져 있다.
도 2,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 영역의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4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과 인접한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143)을 구비한다. 상기 제2그룹(143)은 제1면(13a)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145) 및 상기 몸체부(145)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부(145)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147)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147)의 끝단은 잇몸을 마사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굴곡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41)으로부터 손잡이(11)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149)을 구비한다. 상기 제3그룹(149) 및 제2그룹(143) 사이에는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4그룹(151)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15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41), 제2그룹(143) 및 제4그룹(151)의 단면은 서로 다른 모양의 치아 표면을 세척하도록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3그룹(149) 및 제5그룹(153)의 단면은 치아 표면을 따라 잇몸 깊이 또는 치아 사이의 경계면 깊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용이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41), 제3그룹(149), 제4그룹(151), 제5그룹(153) 및 제2그룹(143)의 순서대로 길다.
도 2,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세척모(155)는 제1면(13a)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예를 들어 대구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2세척모(157)는 제1세척모(155) 및 손잡이(11)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예를 들어 소구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는 일반 칫솔모들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치아 표면의 얼룩을 제거하여 치아에 광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59),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59)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한다. 상기 제2그룹(161)은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 각각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로 세척되는 치아의 측면 및 치아 사이의 경계면을 세척한다. 상기 제3그룹(163)은 제2세척모(157)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그룹(163)은 제2세척모(15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그룹(163) 및 제2세척모(157)는 제2면(13b)에 장착된 몸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159) 및 제2그룹(161)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2세척모(157) 및 제3그룹(163)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155) 단면의 직경은 제2세척모(157)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세척모(155)는 제2세척모(157)에 비해 크기가 큰 치아, 예를 들어 제2세척모(157)가 소구치를 세척하는 동안 제1세척모(155)는 대구치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그룹(159)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59),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의 순서대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그룹(159)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163)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65), 제2그룹(167) 및 제3그룹(169)을 포함한다. 상기 제1그룹(165)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 및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그룹(167)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헤드(13)의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의 제1면(13a)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한다. 상기 제3그룹(169)은 제1면(13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의 표면을 세척한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세척모(171)는 제3그룹(169)에 인접하여 제3그룹(169) 및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세척모(173)는 제3그룹(169)에 인접하여 제3그룹(169) 및 제1면(13a)에서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세척모(173)는 제3그룹(169)을 중심으로 제1세척모(171)와 대향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에 구비된 제4그룹(175)은 제2세척모(173) 및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및 제1세척모(17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4그룹(175)은 제1면(13a)에서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및 제2세척모(17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의 각각은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171a, 173a)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173a, 173b)를 구비한다. 상기 꼭지부(171a, 173a)는 말단부(173a, 173b)보다 제3그룹(169)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그룹(165)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167) 및 제3그룹(169)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제1면(13a)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65), 제3그룹(169), 제2그룹(167) 및 제4그룹(175)의 순서대로 길다. 상기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175)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 손잡이 13: 헤드
15: 치아 세척요소 17: 혀 세척수단
18: 기단부 19: 제1융기부
21: 제2융기부 23: 세척 돌기

Claims (28)

  1.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헤드;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혀 세척수단은,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1융기부; 및
    상기 제1융기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제2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융기부 및 상기 제2융기부는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및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척 돌기는 상기 제2면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꼭지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 세척요소에 도포된 치약이 상기 손잡이 인근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는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그룹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3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1그룹보다 길고,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5그룹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기 제2그룹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그룹을 구성하는 칫솔모들은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치아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치아 사이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고, 상기 제2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그룹 내지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경사진 제1그룹;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그 단면이 제1모양 및 제2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 및 제2길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양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제2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헤드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길이 및 상기 제2길이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구강 관리기구.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헤드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과 인접한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모;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세척모;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주변에 형성된 제2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3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2세척모 및 상기 제3그룹을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2세척모 단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 및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상기 헤드의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상기 제1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세척모;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그룹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세척모와 대향하며,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세척모;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1세척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 사이에 형성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각각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꼭지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20110010674U 2011-11-30 2011-11-30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464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4U KR200464920Y1 (ko) 2011-11-30 2011-11-30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4U KR200464920Y1 (ko) 2011-11-30 2011-11-30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920Y1 true KR200464920Y1 (ko) 2013-01-23

Family

ID=5136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74U KR200464920Y1 (ko) 2011-11-30 2011-11-30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2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667A (ko) * 2004-12-23 2007-09-11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기구
KR20090096725A (ko) * 2006-12-18 2009-09-1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기구
KR101008829B1 (ko) 2008-04-01 2011-01-18 최지연 다용도 칫솔
KR20110031345A (ko) * 2008-06-20 2011-03-25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667A (ko) * 2004-12-23 2007-09-11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기구
KR20090096725A (ko) * 2006-12-18 2009-09-1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기구
KR101008829B1 (ko) 2008-04-01 2011-01-18 최지연 다용도 칫솔
KR20110031345A (ko) * 2008-06-20 2011-03-25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RU25530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5340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539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5600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5464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2011036658A (ja) 毛構成
KR20170072268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KR20170073629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JP7195617B2 (ja) 歯ブラシ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101860855B1 (ko) 3방향 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464920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468338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140134081A (ko) U자형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JP6366920B2 (ja) 改良型歯ブラシ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180000140A (ko) 치석 제거 기능을 갖는 칫솔
KR101164069B1 (ko) 칫솔
JP4656775B2 (ja) 歯ブラシ
KR100592088B1 (ko) 칫솔헤드
KR200467405Y1 (ko) 칫솔
KR20090106182A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