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363A -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363A
KR20170110363A KR1020160034653A KR20160034653A KR20170110363A KR 20170110363 A KR20170110363 A KR 20170110363A KR 1020160034653 A KR1020160034653 A KR 1020160034653A KR 20160034653 A KR20160034653 A KR 20160034653A KR 20170110363 A KR20170110363 A KR 2017011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late member
compaction layer
ground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주
Original Assignee
오목조경산업주식회사
오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목조경산업주식회사, 오남주 filed Critical 오목조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363A/ko
Publication of KR2017011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평판부재가 형성된 지주고정장치를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구덩이를 형성하는 1단계; 상기 구덩이에 잡석을 투입하고 다지면서 구덩이를 채워 잡석다짐층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아 넣어 지주고정장치를 매설하는 3단계; 상기 지주고정장치의 평판부재가 잡석다짐층에 위치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평판부재의 상부에 지주를 결합시키고, 지주의 상부에 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콘크리트 양생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기초 고정 공정을 제공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에 땅이 쓸려나가도 유실의 위험성이 없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Construction on the wooden deck load and thereby apply to holding anchorages}
본 발명은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책로 또는 자전거 도로 용도로 활용되도록 나무패널을 이용하여 지상에 데크로드를 시공하고, 지주의 고정력을 월등히 향상시켜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광장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상가 앞의 바닥과 같은 실내외의 바닥면을 마감하는 데 있어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목재 데크를 바닥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 데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보행자가 피로감을 덜 느끼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종래의 목재 데크 구조물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목재 데크를 지지하는 받침목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 데크를 얹어 놓고 데크의 상부에서 못이나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을 박아 받침목과 데크를 결합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국내 특허출원 10-2010-0047726호에는 목재 친환경도로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은 하부 프레임을 받치는 지주가 지면에 설치되되 지주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기초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 공정이 요구되므로 작업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양생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기초 고정 공정을 제공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에 땅이 쓸려나가도 유실의 위험성이 없도록 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에 평판부재가 형성된 지주고정장치를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구덩이를 형성하는 1단계; 상기 구덩이에 잡석을 투입하고 다지면서 구덩이를 채워 잡석다짐층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아 넣어 지주고정장치를 매설하는 3단계; 상기 지주고정장치의 평판부재가 잡석다짐층에 위치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평판부재의 상부에 지주를 결합시키고, 지주의 상부에 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5단계 이후 잡석다짐층의 상부에 흙을 메워서 지반과 같아지도록 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고정장치는 지중에 매설되며 외면에 다수의 지지봉이 형성된 기초말뚝; 상기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용접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져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평판부재에 형성되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말뚝과 지지봉의 사이가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지게 형성되어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움공간부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져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말뚝과 다수의 지지봉을 연결하며 지지봉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양생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기초 고정 공정을 제공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에 땅이 쓸려나가도 유실의 위험성이 없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로드의 싱공방법은,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구덩이(100)를 형성하는 1단계(S1);
상기 구덩이(100)에 잡석을 투입하고 다지면서 구덩이(100)를 채워 잡석다짐층(200)을 형성하는 2단계(S2);
상기 잡석다짐층(200)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아 넣어 지주고정장치(A)를 매설하는 3단계(S3);
상기 지주고정장치(A)의 상단에 형성된 평판부재(6)를 잡석다짐층(200)에 지지되도록 하는 4단계(S4);
상기 평판부재(6)의 상부에 수직하게 지주(30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주(300)의 상부에 목재 데크로드(T)를 설치하는 5단계(S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단계(S1)는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구덩이(100)를 형성한다. 구덩이(100)는 지반으로부터 150~200cm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2단계(S2)는 구덩이(100)의 저면에 잡석을 넣고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다져서 잡석다짐층(200)을 형성한다. 잡석다짐층(200)은 대략 90~120c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2단계(S2)에서, 잡석다짐층(200)은 지반 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덩이(100)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반 보다 약 40~60cm 정도 하부에 잡석다짐층(2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3단계(S3)는 잡석다짐층(200)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아 넣어 지주고정장치(A)를 매설한다.
상기 지주고정장치(A)는, 지중에 매설되며 외면에 다수의 지지봉(4)이 형성된 기초말뚝(2)과, 상기 기초말뚝(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초말뚝(2)의 외주면에 용접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져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봉(4)과, 상기 기초말뚝(2)의 상단에 부착 형성되는 평판부재(6) 및 상기 평판부재(6)의 하부에 형성되며 잡석다짐층(20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말뚝(2)은 하단은 뾰족하게 첨예부가 형성되며 상단이 평판부재(6)의 중앙 저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다수의 지지봉(4)은 기초말뚝(2)의 외면에 4개가 균등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초말뚝(2)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기초말뚝(2)과 지지봉(4)의 사이가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지게 형성되어 채움공간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움공간부(500)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져서 넓게 형성되며 주로 흙이 이 채움공간부(500)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초말뚝(2)과 다수의 지지봉(4)을 연결하며 지지봉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재(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잡석다짐층(200)을 관통하여 지중에 강제 압입되는 과정에서 지지봉(4)이 휘어지는 우려가 있으므로 각도유지부재(8,8')를 형성하여 지지봉(4)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도유지부재(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말뚝(2)과 지지봉(4)의 연결부위에 용접 고정되는 금속부재이다.
또는 상기 각도유지부재(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말뚝(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부재(82)와, 상기 링부재(82)에 일단이 연결되는 타단은 지지봉(4)의 끝단을 연결하는 지지대(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단계(S4)는 지주고정장치(A)의 상단에 평판부재(6)를 결합시켜 잡석다짐층(200)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평판부재(6)는 기초말뚝(2)의 상단에 용접 고정된다.
즉, 기초말뚝(2)을 지중에 매설하기 전에 평판부재(6)를 용접시켜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기초말뚝(2)의 항타(杭打)작업이 편하고 신속하게 항타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초말뚝(2)을 일정 깊이로 박아 지중에 매설한 후 그 상단에 평판부재(6)를 용접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기초말뚝(2)의 상단이 잡석다짐층(2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평판부재(6)를 용접시킨 후 평판부재(6)를 더 때려 넣어서 잡석다짐층(200)에 박히도록 한다.
여기서 평판부재(6)는 하부에 돌출되어 다수의 핀(62)이 형성된다. 이들 다수의 핀(62)이 잡석다짐층(200)에 박히게 되므로 더욱 강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핀(62)은 평판부재(6)의 하부에 용접으로 일체화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62)은 평판부재(6)를 관통하여 결합된 후 잡석다짐층(200)에 박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5단계(S5)는 평판부재(6)의 상부에 수직하게 지주(300)를 세운다.
지주(300)는 H빔이며 평판부재(6)의 상면에 용접되어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후 지주(300)의 상단에 목재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받침대(600)가 결합된다. 받침대(600)의 상부에 다수의 목재 데크(620)를 결합시키고, 측면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640)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5단계(S5) 이후 잡석다짐층(200)의 상부에 흙을 메워서 지반과 같아지도록 하는 6단계(S6);가 포함된다.
잡석다짐층(200)은 지반 보다 하부에 형성되어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채우기 위해 흙을 넣고 다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 : 기초말뚝 4 : 지지봉
6 : 평판부재 8 : 가도유지부재
62 : 핀 82 : 링부재
84 : 지지대

Claims (11)

  1. 상단에 평판부재가 형성된 지주고정장치를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구덩이를 형성하는 1단계;
    상기 구덩이에 잡석을 투입하고 다지면서 구덩이를 채워 잡석다짐층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아 넣어 지주고정장치를 매설하는 3단계;
    상기 지주고정장치의 평판부재가 잡석다짐층에 위치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평판부재의 상부에 지주를 결합시키고, 지주의 상부에 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 이후 잡석다짐층의 상부에 흙을 메워서 지반과 같아지도록 하는 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잡석다짐층은 지반 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덩이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장치는
    지중에 매설되며 외면에 다수의 지지봉이 형성된 기초말뚝;
    상기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용접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져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평판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말뚝과 지지봉의 사이가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지게 형성되어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움공간부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져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말뚝과 다수의 지지봉을 연결하며 지지봉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7.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중에 매설되며 외면에 다수의 지지봉이 형성된 기초말뚝;
    상기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초말뚝의 외주면에 용접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져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기초말뚝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판부재;
    상기 평판부재에 형성되며 잡석다짐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말뚝과 다수의 지지봉 사이에는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말뚝과 지지봉의 사이가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짐에 따라 상기 채움공간부도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져서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말뚝과 다수의 지지봉을 연결하며 지지봉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각도유지부재는
    기초말뚝과 지지봉의 연결부위에 용접 고정되는 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는 하부에 돌출되어 다수의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핀은 평판부재의 하부에 용접으로 일체화되거나 또는 평판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KR1020160034653A 2016-03-23 2016-03-23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KR20170110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53A KR20170110363A (ko) 2016-03-23 2016-03-23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53A KR20170110363A (ko) 2016-03-23 2016-03-23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63A true KR20170110363A (ko) 2017-10-11

Family

ID=6013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653A KR20170110363A (ko) 2016-03-23 2016-03-23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0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44B1 (ko) 2021-07-26 2022-04-27 (주) 현대그린 직타 공법을 이용한 지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44B1 (ko) 2021-07-26 2022-04-27 (주) 현대그린 직타 공법을 이용한 지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024B2 (en) Concrete foundation pierhead and method of lifting a foundation using a jack assembly
CN106401069A (zh) 一种具有自复位功能的损伤可修复装配式组合柱
CN206256622U (zh) 具有自复位功能的损伤可修复装配式组合柱
KR20150101742A (ko) 자주식 파일을 이용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N116427622A (zh) 一种地下车库半埋入式钢管混凝土柱脚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8526555A (ja) 材木ポール基礎構造
CA2804702C (en) A fence post assembly
JP6430271B2 (ja) フーチング一体の基礎杭構造及びフーチング一体の基礎杭の構築方法
KR100654964B1 (ko)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20170110363A (ko)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지주고정장치
KR101282333B1 (ko)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JP5228862B2 (ja)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JP7028728B2 (ja) 基礎杭と基礎スラブの接合構造
KR100467086B1 (ko) 폐침목을 이용한 건축구간 연약지반 기초 보강시설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JP3671344B2 (ja) 基礎杭と柱脚部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6461690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施工方法
JP3680150B1 (ja) 建造物の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00619B1 (ko) 인도교의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365279B2 (ja) 既設家屋の基礎補強工法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3671155B2 (ja) 杭基礎構造
JP4856737B2 (ja) 既設家屋の基礎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