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273A -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273A
KR20170110273A KR1020160034424A KR20160034424A KR20170110273A KR 20170110273 A KR20170110273 A KR 20170110273A KR 1020160034424 A KR1020160034424 A KR 1020160034424A KR 20160034424 A KR20160034424 A KR 20160034424A KR 20170110273 A KR20170110273 A KR 2017011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tide
air
present
fish
preven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
Original Assignee
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 filed Critical 최희
Priority to KR102016003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273A/ko
Publication of KR2017011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가두리 양식장의 피해 방지책으로 부유물 및 부유생물이 양식장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해수의 부피비중보다 큰 비중을 갖는 물질은 침투되지 못하도록 적은 미세공을 갖는 2중의 오염 방지막을 설치하여 적조가 발생되더라도 가두리 양식장 내부로 적조가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장치와 오염 방지막 내부의 오염물 또는 수온상승으로 인한 방지를 위한 물유출장치와 양식장 내의 수온상승과 용존산소량부족의 해결방안으로 오염방지막 하단부에 공기이송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해수면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층수를 공기와 상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적조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살포되는 저층수에 산소(공기)를 더욱 포함시켜 적조 현상으로 낮아진 해수면의 용존산소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어패류가 폐사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Fish Cage red tid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조 현상 발생 시 적조현상의 원인인 적조생물을 효과적인 차단과 해양 저층수의 활용으로 적조 현상의 원인인 해수의 수온 상승을 방지하고, 해수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바다에서는 그물망을 부구에 매달아 그물망 내부에 어류를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양식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은, 부구에 매달린 그물망에 의해 어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어류를 한 장소에서 쉽게 양식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은 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어류를 양식하여 어촌의 소득증대에 크게 이바지 하는 업종이나, 연안바다에서 발생되는 적조에 의해 가두리 양식장의 어류가 폐사함에 따라 물질적인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적조 현상이란 플랑크톤이 갑작스레 엄청난 수로 번식하여 바다나 강, 운하, 호수 등의 색깔이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적조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물의 부영양화로서, 유기양분이 과량 함유되는 경우에 플랑크톤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연안 개발로 인한 갯벌의 감소가 하나의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갯벌에 서식하는 여러 생물체는 물속에 있는 미생물이나 플랑크톤을 먹이로 함으로써 자연정화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무분별한 간척사업으로 인하여 적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 밖에도 이상기후로 인한 기온의 변화와 이에 따른 수온 상승 및 바람의 감소가 물의 흐름을 정체시켜 적조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상기한 적조 현상으로 인하여 수산물의 피해가 막대한 실정이며, 특히 양식장의 경우 적조 현상으로 인하여 어패류의 집단 폐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적조 현상으로 인하여 폐사하거나 세균에 이차적으로 감염되어진 어패류를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 복통을 유발하거나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해 왔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적조 현상은 해수의 수온 상승이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수의 용존 산소(DO)가 감소하여 어패류의 집단 폐사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적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해결책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해양 저층수를 살포하고,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식물 플랑크톤이 죽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해수 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소모됨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어류가 호흡장애로 집단 폐사하게 된다. 이처럼 적조는 해양생물 및 담수생물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게 됨으로서 세계적으로 적조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바, 그 일예로 적조가 발생되면 큰 배에 황토를 싣고 이동하면서 황토를 바다의 수면에 살포하여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적조를 제거하여 왔다.
그러나 황토를 바다의 수면 즉 해수면에 살포하는 방법은 넓은 지역에 발생되는 적조를 일시에 막을 수 없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단 적조 현상이 발생한 이후에 용존 산소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적조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해결책이 절실히 필요하여 본 발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조 현상 발생 시 적조현상의 원인인 적조생물을 효과적인 차단과 해양 저층수의 활용으로 적조 현상의 원인인 해수의 수온 상승을 방지하고, 해수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1차방지막(20)과, 상기 1차방지막(20)의 둘레면을 따라 2차방지막(30)이 더 구획 설치되고 해수면에 부유되는 작업로(60)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60)의 둘레의 일부분에 펌프장치(40)와 공기공급장치(50)를 고정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펌프장치(40)는 1차방지막(20) 내부의 오염된 물을 최소한의 2차방지막(3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50)는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량 감소 시 공기공급통로(51)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배출부(52)를 거처 공기배출구(54)에서 공기(55)가 유출되어 상승함으로써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을 낮추거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닷물인 해수만을 통과시키는 차단막에 의해 적조가 발생되더라도 적조가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된 그물망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미연에 차단됨으로써, 그물망 내부에 수용되어 양식되는 어류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어 적조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적조 발생에 따른 수산 피해를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층수를 활용하여 해수의 수온 상승을 방지와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발생되는 적조피해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로 양식장을 양질의 어장으로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선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는,
내부에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1차방지막(20)과, 상기 1차방지막(20)의 둘레면을 따라 2차방지막(30)이 더 구획 설치되고 해수면에 부유되는 작업로(60)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60)의 둘레의 일부분에 펌프장치(40)와 공기공급장치(50)를 고정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펌프장치(40)는 1차방지막(20) 내부의 오염된 물을 최소한의 2차방지막(3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50)는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량 감소 시 공기공급통로(51)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배출부(52)를 거처 공기배출구(54)에서 공기(55)가 유출되어 상승함으로써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을 낮추거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1차방지막(20)은 상단 작업로(60)의 고정체의 상단 측에 체결되고 해수(海水)가 통과되는 적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미세공은 해수는 통과되고 해수보다 큰 부피비중을 갖는 물질인 적조를 일으키는 유해 적조생물이 투과될 수 없는 작은 미세공 크기들이 형성된 것이면 어느 것이든지 관계치 않는 것으로, 부직포 등 그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적조생물의 크기는 6~500㎛로 크기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중 우리나라의 유해한 적조생물은 18~40㎛로 상기 미세공의 크기는 18㎛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바닷물인 해수만을 통과하는 적조가 발생되더라도 적조가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된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미연에 차단됨으로써, 방지막 내부에 수용되어 양식되는 어류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어 적조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방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방지막(20)의 미세공을 통해 해수는 가두리 양식장으로 유입되고, 유해 적조생물은 1차방지막(20) 및 2차방지막(3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유해 적조생물이 양식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주기 때문에, 유해 적조생물에 의해 양식장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어류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안바다에 적조가 발생되더라도 적조가 가두리 양식장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어류의 폐사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2차방지막(30)이 더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기후가 악 조건에서도 유해 적조생물이 양식장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2차방지막(30)의 미세공 크기는 1차방지막(20)의 미세공 크기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나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1차방지막(20)과 2차방지막(3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민의 작업이 용이한 작업로(6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로(60), 1차방지막(20)과 2차방지막(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는 종래의 양식장을 구성하기 위한 철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어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펌프장치(40)는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가 유해 적조생물에 노출되었거나 또는 해수의 온도 상승 및 용존산소량의 부족 시 흡입구(41, 42, 43)를 통해 배출구(44)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는 2차방지막(30)의 충분한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해수가 방출됨으로써 공기공급장치(5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고 이 공기가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로 유입되어 높아진 해수 온도를 낮추고 용존산소량을 보다 적극적으로 증가시켜 유해 적조생물을 번식을 방지하여 어패류의 피해를 막는다.
상기 흡입구(41, 42, 43)는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조건에 따라 1또는 그 이상의 흡입구를 열어 내부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어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펌프장치(40)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과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충분한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로(60)의 둘레의 일부분에 공기공급장치(50)를 고정하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의 하부의 일부분에 일정한 넓이만큼 공기배출부(54)를 구성하여 공기방울을 분사시켜서 아래의 낮은 온도의 해수를 상부로 올림으로써 상부의 온도가 하락하여 양식장 내부의 물이 원활히 순환될 수 있어 유해 적조생물을 번식을 방지하여 어패류의 피해를 막는다.
상기 공기공급장치(50)는 고정선(53)으로 양쪽끝단 및 중앙에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50)는 구체적인 작동 방식과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충분한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바에 의하면 해안에 설치되는 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송어양식장 등과 같이 담수에 녹조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녹조의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개나 굴 등과 같은 어패류 양식장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적조에 의해 어패류 양식장이 폐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 방지장치 20 : 1차방지막
30 : 2차방지막 40 : 펌프장치
41,42,43 : 흡입구 44 : 배출구
50 : 공기공급장치 51 : 공기공급통로
52: 공기배출부 53: 고정선
54: 공기배출구 55: 공기
60: 작업로

Claims (1)

  1. 내부에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1차방지막(20)과, 상기 1차방지막(20)의 둘레면을 따라 2차방지막(30)이 더 구획 설치되고 해수면에 부유되는 작업로(60)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60)의 둘레의 일부분에 펌프장치(40)와 공기공급장치(50)를 고정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펌프장치(40)는 1차방지막(20) 내부의 오염된 물을 최소한의 2차방지막(3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50)는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량 감소 시 공기공급통로(51)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배출부(52)를 거처 공기배출구(54)에서 공기(55)가 유출되어 상승함으로써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10) 내부의 수온을 낮추거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KR1020160034424A 2016-03-23 2016-03-23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KR20170110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24A KR20170110273A (ko) 2016-03-23 2016-03-23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24A KR20170110273A (ko) 2016-03-23 2016-03-23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273A true KR20170110273A (ko) 2017-10-11

Family

ID=6013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424A KR20170110273A (ko) 2016-03-23 2016-03-23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02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64B1 (ko) 2020-03-26 2021-01-2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버블을 이용한 양식장의 적조방제 및 고수온 억제 장치
KR102239539B1 (ko) * 2019-12-23 2021-04-13 주식회사 삼신스카이 가두리양식장용 적조차단장치
KR20220059683A (ko)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버블을 이용한 양식장의 적조 및 고온화 방지장치
WO2024076262A1 (ru) * 2022-10-03 2024-04-11 Матв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ЕНЯЙЛОВ Ферм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39B1 (ko) * 2019-12-23 2021-04-13 주식회사 삼신스카이 가두리양식장용 적조차단장치
KR102208164B1 (ko) 2020-03-26 2021-01-2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버블을 이용한 양식장의 적조방제 및 고수온 억제 장치
KR20220059683A (ko)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버블을 이용한 양식장의 적조 및 고온화 방지장치
WO2024076262A1 (ru) * 2022-10-03 2024-04-11 Матв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ЕНЯЙЛОВ Ферм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2030B2 (ja) 浮遊および水中式の密閉収容型水産養殖ファーミング、および魚を育成する方法
CA2862107C (en) Device for fish farm cage
Minchin et al. Vectors—how exotics get around
KR20170110273A (ko) 가두리 양식장 적조 방지장치.
KR101401479B1 (ko) 수산종묘 방류 장치
CA3067662A1 (en) Floating, closed, self-supporting fish-farming cage comprising a tubular membrane made of a polymer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low biofouling adhesion, and system of fish-farming cages
KR20150055214A (ko) 유수를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양식 방법
US20200196579A1 (en) Fish farm
CN204232104U (zh) 一种精养虾池
NO332244B1 (no) Oppdrettsanlegg omfattende ombygde tank- og bulkskip samt anvendelse derav
KR100723888B1 (ko)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KR20200122595A (ko)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61335A (ko) 가두리양식장 보호 시스템
Carman et al. Limited value of the common periwinkle snail Littorina littorea as a biological control for the invasive tunicate Didemnum vexillum
CN104273099A (zh) 一种提高高温环境下滞育卤虫卵孵化率的方法
KR20140019462A (ko) 부유물로부터 양식 어패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 및 그 보호장치를 이용한 양식 어패류 보호방법
JPH07284355A (ja) 養殖生簀のための海水濾過装置
NO20161924A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å hindre påslag av lus på fisk i en oppdrettsmerd
JP2013102729A (ja) 水産系幼生体飼育装置とその方法
KR20200048672A (ko) 가두리양식장 용존산소 공급시스템
JPH05146234A (ja) 赤潮の死滅除去方法
KR102084318B1 (ko)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JP2014124185A (ja) 養魚イケスの赤潮防除方法
KR102084317B1 (ko)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20110088019A (ko) 가두리양식장 수온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