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595A -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595A
KR20200122595A KR1020190045474A KR20190045474A KR20200122595A KR 20200122595 A KR20200122595 A KR 20200122595A KR 1020190045474 A KR1020190045474 A KR 1020190045474A KR 20190045474 A KR20190045474 A KR 20190045474A KR 20200122595 A KR20200122595 A KR 2020012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culture
temperature
shellfish
measurement information
aquacult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이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102019004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595A/ko
Publication of KR2020012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2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양식수조 내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양식수조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 실시하고, 상기 양식수조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제어하는 통합관제부와, 상기 측정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Aquaculture facilit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양식장은 노동집약형 산업으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양식장을 탈피하지 못하고, 양식장 어민들은 교대로 당직을 서며 새벽에 일어나 양식장 사이사이를 가로지르며 사료를 주고, 한쪽에서 찢겨진 그물을 손으로 직접 꿰메는 방식으로 일해 왔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양식업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어민들은 자신의 경험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통산업 수준에 머물던 양식업이 ICT,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첨단 산업으로 탈바꿈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양식 기술을 향한 국내 여건은 아직 갈 길이 먼 상태로, 4차산업혁명 기술을 양식장에 적용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의 공백이 큰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굴, 전복, 피조개, 가리비, 바지락, 백합 및 가무락 등의 패류의 양식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전까지 국내 어패류의 종패를 천연 종묘에 의존하다가 근래에는 육상 수조에서 종묘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해양 환경오염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천연 종묘의 공급이 불안정하여 자원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육상 수조 내에서 인공 종묘를 양식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에 따라, 다수의 어가에서 인공종묘를 생산하기 위한 양식시설을 도입하고 있으나, 아직은 대부분의 양식시설 관리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고 현장에서 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양식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장소로 이동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조치를 취하여야 했으므로,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컸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수를 늘리는 방법을 택할 수가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인공종묘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야기 시켰다.
또한, 환경에 민감한 인공종묘 양식시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직접 찾아가서 양식시설을 관리하는 방식은 물리적 한계로 인해 양식시설의 규모 확대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양식시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392호는,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갯지렁이류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해 갯지렁이 유생을 계획적,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수온 조절을 통해 갯지렁이의 성성숙을 유도하기 위한 성성숙유도장치, 성성숙된 갯지렁이 모충의 수세를 위한 모충수세장치, 수온 조절을 통해 수세된 갯지렁이 모충의 방정 및 산란을 유도하고, 사란된 난을 수정시키기 위한 산란유도장치, 상기 산란유도장치로부터 유입된 수정란의 부화를 유도하기 위한 부화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갯지렁이 유생을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550호는, 명태의 인공종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명태를 인공사육하기 위하여 명태 친어로부터 인공적으로 채란 및 채정하여 수정 및 부화시키고 이를 사육하는 명태의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명태 친어로부터의 채란 및 채정에서부터 사육의 전 과정을 통하여 기형, 폐사를 최소화하고 부화율과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명태의 인공양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남획과 수온의 상승으로 인하여 고갈되어 가고 있는 명태자원을 양식을 통하여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명태 치어 방류를 통하여 동해안에서의 명태자원 회복을 꾀함으로써 원양어업에 의존하던 명태 어획을 근해어업으로 복원을 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원격으로 양식설비 관리를 위한 구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9351호는,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에서는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육성단계 치패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갯벌에 살포지를 선정하여 일정수위의 해수가 유지될 수 있는 둑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둑구조에는 먹이생물 생산이 자연적으로 가능한 폴리 에틸렌 재질의 둑유실 방지천이 씌워지며, 치패 유실방지막과 해적생물 침입 차단막이 설치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미세크기의 치패가 해양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적생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치패가 살포된 갯벌내에 치패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인공종묘의 관리 과정에서 관리 인원의 노동력이 지속적으로 투입되며, 원격 관리에 관한 구성은 포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3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5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935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를 관리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양식설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양식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양식설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양식수조 내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양식수조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 실시하고, 상기 양식수조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제어하는 통합관제부와, 상기 측정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지부를 통해 양식설비의 온도, 산소농도, 유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부와 모니터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양식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통합관제부를 통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관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양식수조 내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2)와, 상기 양식수조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3)와, 상기 감지부(2)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 실시하고, 상기 양식수조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제어하는 통합관제부(4)와, 상기 측정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류란 연체동물 가운데 석회질의 껍데기를 가진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單板綱), 다판강(多板綱)과 복족강(腹足綱)의 전새아강, 유폐아강(有肺亞綱)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掘足綱), 이매패강(二枚貝綱), 그리고 두족강(頭足綱)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이매패류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발이 도끼모양을 하고 있어 부족강(斧足綱)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의 몸체는 인대(靭帶)로 연결된 좌우대칭형 껍데기로 싸여 있고, 치설(radula)이없는 대신 입수공과 출수공을 이용해서 아가미로 수중(水中)의 먹이를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이매패류 중에서 바지락,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은 우리나라 연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식용 이매패류로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하는 저서성(burrower)을 보인다.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들은 가두리나 실내수조에서 먹이와 영양제를 주고 환경을 조절해줄 수 있는 양식 대상종들과는 달리,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갯벌 양식으로 자연산 치패를 수집하여 일정기간 성장시킨 후 수확하기 때문에 자연 서식지에서 지속적인 재생산이 이뤄져야 그 품종의 양식산업이 유지된다.
최근 들어, 굴, 전복, 피조개, 가리비, 바지락, 백합 및 가무락 등의 패류의 양식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전까지 국내 어패류의 종패를 천연 종묘에 의존하다가 근래에는 육상 수조에서 종묘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되는 양식설비는,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중간육성기(300㎛ 내지 5cm 길이)의 저서성 유생을 양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일반적으로 패류의 유생은 부화한 후 일정 기간을 수중을 부유하며 사는 부유기를 거치는데, 통상 300㎛ 길이가 되는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더 이상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아 저서성 생활을 하게 된다. 그 후 약 5cm 길이가 되면 성패로 키우기 위한 환경으로 공급하게 된다.
먼저, 상기 양식수조에는 상기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관 및 상기 양식수조 내의 해수가 빠져나가는 배수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관 및 상기 배수관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해수공급관으로부터 원활한 해수 유입을 위해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수조 내의 해수가 상기 배수관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 펌프가 마련된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해수는 상기 양식수조 내를 거쳐 상기 배수관으로 빠져나가는 연속적인 유동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2)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감지부(2)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pH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2)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2)는 온도센서모듈(21), 산소센서모듈(22), 유량센서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모듈(21)은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모듈(21)에는 수은온도계, 알코올온도계, 써모커플 등 종류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모듈(21)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양식수조의 깊이에 따라 하단, 중단, 상단으로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양식수조의 내부 측벽 마다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산소센서모듈(22)은 상기 양식수조 내의 용존산소농도를 감지하여 산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수중생물이 살아가기 위한 산소가 원활히 공급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양식수조 내부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모듈(23)은 상기 양식수조 내에 흐르는 해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유량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식수조 내에서 길러지는 유생에게 신선한 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감지부(2)에는 pH센서모듈(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pH센서모듈(미도시)은 상기 양식수조 수중의 pH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pH는 물이 얼마나 산성인지 또는 염기성인지를 구분하는 인자이다. pH 7을 가지는 물은 산성도 염기성도 아닌 중성이라고 하며, pH 7 이하를 가지는 물은 산성이고, pH 7 이상의 물은 염기성이다. 따라서 pH의 계급은 0에서 14까지 되어 있다. pH 7로부터 값이 차이가 많이 날수록 그 물은 더 산성이던가 또는 더 염기성이 된다. 자연환경에서 pH를 변동시키는 요인으로 무기적 요인에는 탄산, 붕산, 인산, 황화수소, 차아염소산의 해리,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배출에 기인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기적 요인으로는 생물체의 대사활동에 의한 유기산 (초산, 낙산, 젖산, 프로피온산 등) 유입에 의한 경우가 있다. 자연 환경에서 담수계의 일반적인 pH 변화 범위는 보통 6.0 ~ 8.0 이고, 해수는 7.7 ~ 8.3의 범위를 가지며 토양의 경우는 3.0 ~ 10.0의 범위를 보인다. 해수의 pH 변동 범위가 비교적 작게 나타나는 것은 알카리도에 의한 완충능이 크기 때문인데, 해수의 pH가 크게 변하면 다량의 산 이나 알카리 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담수의 경우 알카리도가 낮고 조류에 의한 CO2 소비, 수중 생물의 호흡 등에 의해 pH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외부로부터 산 또는 알카리 물질 등의 오염물질 유입에 의한 것인지 쉽게 판정하기가 어렵다.
생물은 적정 pH 범위에서 서식한다. 만일 적정 pH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세포막의 투과성 또는 효소작용에 영향을 받아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 따라서 각 어류들이 서식하기에 좋아하는 적정 pH를 유지시켜 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양어장의 사육수 pH가 너무 낮거나 또는 높은 경우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pH 조정액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조정액으로는 산성물질로 염산, 황산, 황산암모늄, 알카리 물질로 수산화나트률, 탄산나트륨, 소석회 등을 사용한다.
이렇듯 상기 양식수조에서 유생이 생육 될 수 있는 적정 pH 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pH센서모듈(미도시)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pH센서모듈(미도시)은 상기 양식수조의 규모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2)에는 염도센서모듈(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염도센서모듈(미도시)은 상기 양식장 수중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일정 농도의 염분이 있는 수질 환경에서 밖에 살아갈 수 없으므로, 각 어종이 생육되기에 적합한 농도의 염분인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양식장 수중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장의 규모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는 상기 양식수조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3)는 상기 양식수조 내에 복수 개 마련되어 다각도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3)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 및 기록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카메라부(3)는 수중 카메라와 상기 양식수조 상측에서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생성된 영상정보는 즉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및 상기 모니터링부(1)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1)는 원격으로 상기 양식수조의 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제부(4)는 상기 감지부(2)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 실시하고, 상기 양식수조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관제부(4)는 온도제어모듈(41), 산소제어모듈(42), 유량제어모듈(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모듈(41)은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온을 상승 시킬 수 있는 히팅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모듈(41)은 상기 온도센서모듈(21)로부터 온도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보다 수온이 낮을 경우 상기 히팅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온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해수공급관을 통해 냉각된 해수가 유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패류가 성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기 산소제어모듈(42)은 상기 양식수조 내의 산소발생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산소제어모듈(42)은 상기 양식수조 내의 용존산소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 인공산소 발생장치 또는 농축산소 공급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산소센서모듈(22)로부터 측정된 산소 측정정보가 기 지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상소제어모듈이 연계되어 자동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산소제어모듈(42)은 상기 산소센서모듈(22)이 측정한 산소 측정정보가 기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산소 발생 구동을 멈추어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제어모듈(42)은 상기 해수공급관으로부터 신선한 해수가 유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모듈(43)은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해수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관으로부터 과도한 유량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패류가 상기 양식수조 내에 안정적으로 섭이활동을 하며 성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반대로, 유량의 이동이 너무 적으면 상기 양식수조 내의 해수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모듈(43)은 상기 온도제어모듈(41)과 상기 산소제어모듈(42)과 연계되어,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 조절 및 용존산소농도 조절을 위해 동작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통합관제부(4)에는, pH제어모듈(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pH제어모듈(미도시)은 상기 양식수조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양식수조 내의 pH가 너무 낮거나 또는 높은 경우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산성물질로 염산, 황산, 황산암모늄, 알카리 물질로 수산화나트률, 탄산나트륨, 소석회 등을 사용하여 상기 양식수조 내의 pH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1)는 상기 감지부(2)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할 수 있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부(1)는, 상기 감지부(2)로부터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 pH농도, 염도를 포함한 측정정보를 전송받아 기호에 따라 수치로 정리되는 나열식 또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한 그래프 방식 중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는 상기 카메라부(3)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지나간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는 상기 통합관제부(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온도제어모듈(41), 상기 산소제어모듈(42) 및 상기 유량제어모듈(4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1)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양식수조를 원격으로 확이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부(1)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작업자가 접근이 용이한 단말기기라면 어느 것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모니터링부
2 : 감지부
21: 온도센서모듈
22 : 산소센서모듈
23 : 유량센서모듈
3 : 카메라부
4 : 통합관제부
41 : 온도제어모듈
42 : 산소제어모듈
43 : 유량제어모듈

Claims (3)

  1.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cm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양식수조 내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양식수조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 실시하고, 상기 양식수조의 온도, 용존산소농도, 유량을 제어하는 통합관제부;
    상기 측정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모듈;
    상기 양식수조 내의 용존산소농도를 감지하여 산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산소센서모듈;
    상기 양식수조 내에 흐르는 해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유량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유량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부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모듈;
    상기 양식수조 내의 산소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산소제어모듈;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해수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45474A 2019-04-18 2019-04-18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22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74A KR20200122595A (ko) 2019-04-18 2019-04-18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74A KR20200122595A (ko) 2019-04-18 2019-04-18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95A true KR20200122595A (ko) 2020-10-28

Family

ID=7301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474A KR20200122595A (ko) 2019-04-18 2019-04-18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5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6856A (zh) * 2021-05-27 2021-09-17 福建省寰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海鲜池监控系统
CN114698580A (zh) * 2022-04-12 2022-07-05 世倍(厦门)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仙女蛤大规格苗种的人工繁育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392B1 (ko) 2011-02-24 2012-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09351B1 (ko) 2016-02-12 2017-12-14 전라남도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KR101934550B1 (ko) 2016-11-03 2019-01-02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명태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392B1 (ko) 2011-02-24 2012-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09351B1 (ko) 2016-02-12 2017-12-14 전라남도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KR101934550B1 (ko) 2016-11-03 2019-01-02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명태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6856A (zh) * 2021-05-27 2021-09-17 福建省寰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海鲜池监控系统
CN114698580A (zh) * 2022-04-12 2022-07-05 世倍(厦门)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仙女蛤大规格苗种的人工繁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Production of juvenile red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von Martens)(Decapoda, Parastacidae) I. Development of hatchery and nursery procedures
AU2017341749B2 (en) Device for confining larvae and/or aquatic organisms, system, method for keeping and cultivating them in aquatic environments
NO20100718A1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styrt f“ring av oppdrettsfisk
JP2006254880A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CN100484396C (zh) 一种头足类苗种培育的方法及所用的装置
KR102030420B1 (ko) 미세 조류 공급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양식장 관리 시스템
KR102433226B1 (ko) 양식 대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M603271U (zh) 自動投料養蝦養殖監控系統
KR20200122595A (ko) 패류 중간육성기 양식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97174B1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CN105254015A (zh) 湖泊水生态治理的食物链重建方法
CN104957064B (zh) 一种虎斑乌贼的育苗方法
JP6980210B2 (ja)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CN103270982B (zh) 解放眉足蟹人工苗种培育方法
JP3584030B2 (ja) 魚類の養殖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90097491A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KR20200102788A (ko) 이동식 수산생물 방류장치를 이용한 종묘 방류 시스템
KR20220006209A (ko) 패류 인공종묘 관리 시스템
TWI721851B (zh) 自動投料養蝦養殖監控系統
CN209359382U (zh) 一种水产养殖水泥地排污系统
JP4262102B2 (ja) クマノミ類の生育方法および影響評価試験方法
CN103999809A (zh) 一种采用人工饲料培育尖裸鲤鱼苗和鱼种的方法
TWI708554B (zh) 智能型水產生物產卵床系統及其操作方法
RU2370951C2 (ru) Комплек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вы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рыб в открытых морских пространствах или в других открытых водных бассейнах или водоем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