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428A -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428A
KR20170109428A KR1020160033540A KR20160033540A KR20170109428A KR 20170109428 A KR20170109428 A KR 20170109428A KR 1020160033540 A KR1020160033540 A KR 1020160033540A KR 20160033540 A KR20160033540 A KR 20160033540A KR 20170109428 A KR20170109428 A KR 20170109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received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578B1 (ko
Inventor
장기원
김지훈
성재석
한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578B1/ko
Priority to CN201610620967.9A priority patent/CN107222036A/zh
Publication of KR2017010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0037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H04B5/00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지는 공용 공진기 및 상기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하는 공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까지 전송하는 등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 접촉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에 전력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충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을 위한 공진기와 무선 통신을 위한 공진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커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러한 공진기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하여, 통신 또는 충전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285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30703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1477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최소한의 크기로 무선 충전과 무선 통신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과 무선 통신의 상호 간섭을 낮출 수 있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신호 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지는 공용 공진기 및 상기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하는 공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공용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최소한의 크기로 무선 충전과 무선 통신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과 무선 통신의 상호 간섭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용 공진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용 공진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0)는 공용 공진기(110), 무선 충전 제어부(120), 무선 통신 제어부(130) 및 공용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공진기(110)는 하나의 공진기로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공용 공진기(110)는 특정한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공진 주파수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나 또는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주파수에 해당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부(120)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130)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제어부(120)는 6.78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충전 표준(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제어부(130)는 13.56MHz를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공용 공진기(110)는 6.78MHz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질 수 있다.
공용 제어부(140)는 공용 공진기(110)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제어부(130)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충전 제어부(120)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공용 제어부(140)는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120)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130)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용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120)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용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기본 설정으로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공용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 제어부(13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130)에 더 이상 제공하지 않고, 무선 충전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공용 공진기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공용 공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용 공진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공진기(110)는 커패시터(201)와 코일(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공진기(110)는 하나의 LC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C 탱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에는 6.78M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무선 통신에는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공용 공진기(110)는 6.78MHz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제1 주파수 및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주파수는, 공용 공진기(11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거나 그의 체배 주파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공용 공진기(110)는 제1 및 제2 주파수 모두에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종래와 같이, 무선 통신용 공진기와 무선 충전용 공진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진기 만이 동작하는 경우에도 다른 공진기에 의하여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무선 통신용 주파수와 무선 충전용 주파수가 체배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공용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하므로, 상술한 종래에서의 공진기에 의한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용 공진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공용 공진기는, 도 2에서 기 설명한 공용 공진기용 LC 탱크(201, 202) 외에도 다른 공진 코일들(303, 304)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C 탱크(201, 202)는 6.78MHz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6.78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충전 및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303)은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용 코일 일 수 있고, 제3 코일(304)는 제2 무선 충전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충전용 코일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코일(303) 또는 제3 코일(304)에는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C 탱크(201, 202)는 공용 공진기로서 하나의 공진기로서 무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도 3의 예와 같이, 다양한 다른 무선 충전 또는 무선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여러 코일을 공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일 예는, 수신 신호의 레벨 크기에 따라서,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420)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430)에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수신 장치(400)는 공용 공진기(410), 무선 충전 제어부(420), 무선 통신 제어부(430) 및 공용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제어부(440)는 스위치(441), 레벨 측정기(442) 및 공용 제어기(4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41)는 공용 공진기(410), 무선 충전 제어부(420) 및 무선 통신 제어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441)는 공용 공진기(410)에 연결된 제1 라인을, 무선 충전 제어부(420)에 연결된 제2 라인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430)에 연결된 제3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스위치(441)는 공용 공진기(410)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420)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430)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도록 스위칭 동작될 수 있다.
레벨 측정기(442)는 수신 신호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공용 제어기(443)는 레벨 측정기(442)로부터 수신 신호의 레벨을 제공받고,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에 따라 스위치(4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공용 제어기(443)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2 라인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용 제어기(443)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수신 신호를 무선 전력 신호로서 판단하고,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420)에 제공하도록 스위치(441)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공용 제어기(443)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3 라인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용 제어기(443)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미만이면,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신호로서 판단하고,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430)에 제공하도록 스위치(441)를 조절할 수 있다.
공용 공진기(410), 무선 충전 제어부(420) 및 무선 통신 제어부(43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일 예는, 디폴트 설정으로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제공하고, 그에 대한 무선 통신 제어부(530)의 응답 신호의 도달 여부에 따라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520)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수신 장치(500)는 공용 공진기(510), 무선 충전 제어부(520), 무선 통신 제어부(530) 및 공용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제어부(540)는 스위치(541) 및 공용 제어기(5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41)는 공용 공진기(510), 무선 충전 제어부(520) 및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541)는 공용 공진기(510)에 연결된 제1 라인을, 무선 충전 제어부(520)에 연결된 제2 라인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연결된 제3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스위치(541)는 공용 공진기(510)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520) 또는 무선 통신 제어부(530)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도록 스위칭 동작될 수 있다.
공용 제어기(543)는 수신 신호에 대한 무선 통신 제어부(530)의 응답 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치(5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541)는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2 라인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디폴트 상태에서 스위치(541)는 공용 공진기(510)와 무선 통신 제어부(53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 상태에서 수신 신호는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530)는 수신한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이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 신호를 공용 공진기(510)에 송신한다. 따라서, 공용 제어기(543)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무선 통신 제어부(530)로부터 제공되지 않으면, 공용 공진기(510)를 무선 충전 제어부(520)에 연결하도록, 즉,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2 라인에 연결하도록 스위치(5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제어부(120)는 6.78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충전 표준(Alliance for Wireless Power)을 따르고, 무선 통신 제어부(130)는 13.56MHz를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따르는 경우, 무선 충전 표준(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서의 응답 신호의 송출 시간은 0.5sec 이내이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서 응답 신호의 송출 시간은 0.1sec 이내이다. 이러한 예의 경우, 공용 제어기(543)는 0.1sec 이내에 응답 신호가 검출되면 스위치(541)를 디폴트 상대 그대로 두도록 제어하고, 한편, 0.1sec 이내에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위치(541)를 무선 충전 제어부(520)에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용 공진기(510), 무선 충전 제어부(520) 및 무선 통신 제어부(53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방법이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공용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에서 수행된다.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고,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이면(S620, 예),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S630).
한편,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가 아닌(S620, 아니오), 무선 전력 신호이면,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S640)
단계 S6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무선 통신 제어부로부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무선 통신 제어부로부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신호 수신 장치
110, 410, 510 : 공용 공진기
120, 420, 520 : 무선 충전 제어부
130, 430, 530 : 무선 통신 제어부
140, 440, 540 : 공용 제어부

Claims (12)

  1.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
    상기 제1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가지는 공용 공진기; 및
    상기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하는 공용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
    상기 공용 공진기에 연결된 제1 라인을,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 연결된 제2 라인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연결된 제3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및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용 제어기;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기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2 라인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기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3 라인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부는
    상기 공용 공진기에 연결된 제1 라인을,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에 연결된 제2 라인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연결된 제3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및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의 응답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용 제어기;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3 라인에 연결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제어기는
    상기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라인을 상기 제2 라인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10. 공용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용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무선 충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무선 통신 신호인지 또는 무선 전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33540A 2016-03-21 2016-03-21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0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40A KR102400578B1 (ko) 2016-03-21 2016-03-21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1610620967.9A CN107222036A (zh) 2016-03-21 2016-08-01 无线信号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40A KR102400578B1 (ko) 2016-03-21 2016-03-21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428A true KR20170109428A (ko) 2017-09-29
KR102400578B1 KR102400578B1 (ko) 2022-05-20

Family

ID=5992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540A KR102400578B1 (ko) 2016-03-21 2016-03-21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0578B1 (ko)
CN (1) CN107222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876A (zh) * 2020-08-03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8476B (zh) * 2018-10-23 2021-07-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控制辐射杂散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032A (ja) 2000-04-2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KR20100001477A (ko) 2008-06-27 2010-01-06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비접촉 무선 전원 공급/rf 인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과이의 무선 전원 공급 및 rf 인증 방법
KR20120128546A (ko) 2011-05-17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65234B1 (ko) * 2012-01-30 2013-05-16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장치
KR20130053856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355A (ko) * 2011-11-08 2014-07-14 소니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송 시스템
KR20140090590A (ko) * 2014-06-30 2014-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7678A (ko) * 2013-12-30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60024366A (ko) * 2016-01-29 2016-03-04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7875B2 (ja) * 2011-03-16 2015-02-2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CN102780515B (zh) * 2012-07-26 2017-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无线充电和nfc的方法及装置
CN104442620B (zh) * 2013-09-12 2017-09-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用无线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以及车载发射端
CN105071553A (zh) * 2015-08-12 2015-11-18 苏州宝润电子科技有限公司 Nfc和无线充电共用线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032A (ja) 2000-04-2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KR20100001477A (ko) 2008-06-27 2010-01-06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비접촉 무선 전원 공급/rf 인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과이의 무선 전원 공급 및 rf 인증 방법
KR20120128546A (ko) 2011-05-17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89355A (ko) * 2011-11-08 2014-07-14 소니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송 시스템
KR20130053856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65234B1 (ko) * 2012-01-30 2013-05-16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장치
KR20150077678A (ko) * 2013-12-30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40090590A (ko) * 2014-06-30 2014-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4366A (ko) * 2016-01-29 2016-03-04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876A (zh) * 2020-08-03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4069876B (zh) * 2020-08-03 2024-05-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22036A (zh) 2017-09-29
KR102400578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19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902795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40023409A (ko)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044234B2 (en) Multi-coil wireless power apparatus
KR20150107281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10264528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30114473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6123266A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方法、無線電力伝送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90093639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28042A (ko) 멀티모드 무선전력 수신기기 및 그 무선전력 수신방법
KR20150048002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07960B2 (ja) 検出器
KR20190064016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51335A (ko) 비접촉 방식 전력 송전 장치, 모바일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US20130203355A1 (e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98547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09428A (ko)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790709B2 (en) Near-field communication and approach detection device
KR101847654B1 (ko) 충전 대상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3112A (ko) Uwb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JP6380217B2 (ja) 充電システム、送電器、通信器、送電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3214870A (ja) 無線端末、電力送電システム、近距離無線信号送受信システム
US8917212B2 (en) Antenna verification via transmitter
KR101515476B1 (ko) Nfc를 이용한 차량 내 무선전력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