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639A -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639A
KR20190093639A KR1020197020018A KR20197020018A KR20190093639A KR 20190093639 A KR20190093639 A KR 20190093639A KR 1020197020018 A KR1020197020018 A KR 1020197020018A KR 20197020018 A KR20197020018 A KR 20197020018A KR 20190093639 A KR20190093639 A KR 2019009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receiving
receiving device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타치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수전장치로서, 송전장치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받는 수전 수단과, 상기 수전 수단에 의해 수전을 행하고 있을 경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수전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전장치와, 송전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해, 충전대에 놓으면 배터리에 충전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워치 등의 기기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기기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의 표준규격으로서, Qi(등록상표)나 Rezence(등록상표) 등이 알려져 있다.
유저가 배터리에의 충전을 잊는 것 등으로,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면, 기기가 처리의 도중에 정지해 버릴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은, 처리의 도중에 배터리 잔량이 없어진다고 예측될 경우에는, 처리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미리 유저에게 통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09-496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충전이 필요한 기기가 복수가 되면, 유저는 각 기기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는, 특히 충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수전장치는,
송전장치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받는 수전 수단과,
상기 수전 수단에 의해 수전을 행하고 있을 경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수전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송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수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수전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유저에의 통지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장치의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을 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자계공명 방식을 사용해서 무선 전력 전송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자계공명 방식은 송전장치의 공진기(공명 소자)와, 수전장치의 공진기(공명 소자) 사이의 자기장의 공명(공진)에 의한 결합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렇지만, 무선 전력 전송 방식(비접촉 전력 전송 방법)은 자계공명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자유도 방식, 전계공명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 레이저 등을 이용한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을 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Qi 규격이어도 되고, Qi 규격과 호환성을 갖는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송전장치, 102와 103은 수전장치(정보 처리장치)이다. 송전장치(101)는, 충전대(110)에 놓인 물체에 대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장치다.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은, 송전장치(101)로부터 무선으로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장치다.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은, 각각 자 장치의 전원으로서 사용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송전장치(101)로부터 수전한 전력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수전장치 102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다. 수전장치 103은,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다.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다른 장치이어도 된다.
송전장치(101)는, 충전대(110)에 놓인 물체를 통신에 의해 인증하고, 수전장치인 경우에, 충전용의 전력을 송전한다. 또한 송전장치(101)는, 수전장치가 만충전이 되면 송전을 정지하는 것 등의 제어를 행한다. 송전장치(101)는, 송전을 전용으로 행하는 장치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프린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장치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전장치(101)는, 충전대(110)에 놓인 수전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또한, 이것과는 별도로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 사이에서도 무선통신을 행한다.
우선, 송전장치(101)와 충전대(110)에 놓인 수전장치 사이의 무선통신에 대해서 서술한다. 송전장치(101)와 수전장치 사이에서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통신이나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통신한다. 이하, 장치 사이에서의 전력의 교환은, 송전, 수전 또는 전력 전송(무선 전력 전송)으로 표현하고, 장치 사이에서의 인증을 위한 교환이나 제어 정보의 교환은, 간단히 통신(무선통신)으로 표현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송전장치와 수전장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은, Bluetooth(등록상표) 4.0 규격에 준거하는 통신을 사용한다. Bluetooth(등록상표) 4.0에서는,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E)라고 하는 비교적 적은 소비 전력으로 통신가능한 통신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이때, 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는, 송전장치(101)는, 네트워크의 친국인, BLE에 규정되는 센트럴로서 동작한다. 송전장치(101)는, 한번에 복수의 수전장치에 대하여 송전을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수전장치 각각과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송전장치(101)는 복수의 수전장치 각각과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센트럴로서 동작한다. 또한, 수전장치는, 센트럴에 접속하고, 센트럴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통신을 행하는, BLE에 규정되는 페리페럴로서 동작한다. 이때, 송전장치(101)가 페리페럴이고 수전장치 102가 센트럴로 되어도 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은 BL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그 밖의 통신 규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LAN(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802.11 시리즈)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등록상표)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5.0 규격 등, 버전업한 통신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통신은 독자적인 통신방식, 부하 변조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송전장치를 1대 나타내고 있지만, 2대 이상 있어도 된다.
<송전장치의 구성>
이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송전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송전장치(101)는, 제어부(201), 전원(202), 송전부(203), 검출부(204), 송전 안테나(205), 통신부(206), 타이머(207), 메모리(208), 입력부(209) 및 출력부(210)를 가진다.
제어부(201)는, 메모리(208)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1)의 일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제어부(20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중에 변수의 값을 기억할 때에도 메모리(208)를 사용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시간을 계측할 때에 타이머(207)를 사용한다.
전원(202)은, 송전장치(101)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행할 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202)은,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다. 송전부(203)는, 전원(202)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력을, 전송에 사용할 주파수대의 교류 주파수 전력으로 변환하고, 송전 안테나(205)를 거쳐 수전장치에개 수전시키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송전부(203)는, 제어부(201)의 지시에 근거하여 수전장치에 송전을 행하기 위한 전자파를 송전 안테나(205)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송전부(203)는, 송전 안테나(205)에 입력하는 전압(송전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시키는 전자파의 강도의 제어를 행한다. 송전 전압을 크게 하면 전자파의 강도가 강해진다. 또한, 송전부(203)는, 제어부(201)의 지시에 근거하여, 송전 안테나(205)로부터의 송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검출부(204)는, 송전 전압 및 송전 안테나(205)에 있어서의 전류의 크기(송전 전류)를 검출한다. 검출부(204)에 있어서 검출한 송전 전압과 송전 전류는, 제어부(201)에 의해 판독된다. 이때, 송전 전압 및 송전 전류와, 전원(202)으로부터 송전부(203)에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가 기지일 경우에는, 검출부(204)를 송전부(203)에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때, 검출부(204)로부터 얻은 검출값을 사용해서 제어부(201)에서 기지의 상관 관계에 근거한 연산에 의해 송전 전압과 송전 전류를 구할 수 있다.
통신부(206)는, 수전장치와 통신한다. 통신부(206)는, BLE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칩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입력부(209)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210)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에서, 출력부(210)에 의한 출력은, 화면 상에의 표시나, 스피커에 의한 음성 출력, 진동 출력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수전장치의 구성>
이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수전장치 102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수전장치 102는, 제어부(301), 배터리(302), 수전부(303), 검출부(304), 수전 안테나(305), 통신부(306), 타이머(307), 메모리(308), 입력부(309), 출력부(310) 및 스위치(311)를 가진다. 제어부(301)는, 수전장치 102를 제어하는 제어부다. 제어부(301)는, 제어부 201과 마찬가지로 타이머(307), 메모리(308), 입력부(309), 출력부(310)를 사용해서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다.
통신부(306)는, BLE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칩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수전 안테나(305)는, 송전장치(101)로부터의 무선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자파를 받는다. 수전부(303)는, 수전 안테나(305)로 받은 전자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수전부다. 수전부(303)는, 수전 안테나(305)에 의해 받은 전자파에 의해 공진을 일으켜, 이 공진에 의해 교류 전력을 얻는다. 그리고, 수전부(303)는, 교류 전력을 직류 또는 소망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배터리(302)는, 축전한다. 제어부(301)는, 배터리(302)의 출력 전압의 크기에 근거하여, 배터리(302)가 만충전인지 아닌지, 혹은 축전량이나 잔량을 검출한다.
제어부(301)는, 스위치(311)를 제어하여, 전력을 배터리(302)에 출력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한다. 스위치(311)가 ON일 때에 전력이 배터리(302)에 출력된다. 스위치(311)가 OFF일 때에는, 전력은 배터리(302)에 출력되지 않고, 수전부(303), 제어부(301), 및, 통신부(306)에 출력된다. 스위치(311)의 초기 상태는 OFF이다.
검출부(304)는, 송전장치(101)의 송전 안테나(205)로부터 보내져 온 전자파에 의해 수전 안테나(305)에 발생할 기전력(수전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다. 검출부(304)에 있어서 검출한 수전 전압은, 제어부(301)에 의해 참조가능하다. 이때, 검출부 204의 설명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검출부 304는 수전부(30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수전장치 102의 수전부(303), 제어부(301) 및 통신부(306)는, 수전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는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동작한다. 이때, 수전하고 있는 기간에는 송전장치(101)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입력부(309) 및 출력부(310)는, 송전장치(101)의 입력부(209) 및 출력부(210)와 마찬가지로,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와 유저에 대한 각종 출력을 행한다. 이때, 터치패널과 같이 입력부(309) 및 출력부(310)의 양쪽을 1개의 모듈로 실현하여도 된다.
<송전의 종류>
이상의 구성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전장치(101)는, 검출용 송전, 인증용 송전, 충전용 송전 중 어느 한개의 송전을 선택적으로 행한다.
검출용 송전은, 송전장치(101) 상에, 물체가 적어도 1개 재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송전이다. 검출용 송전에 있어서는, 송전장치(101)는 송전 안테나(205)로부터 약한 전자파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물체가 재치되지 않고 있는 기간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검출용 송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송전장치(101)의 송전 범위, 즉 충전대(110) 위에 물체가 재치되었을 경우, 이 검출용 송전은 이 물체에 의해 소비된다. 이 경우, 송전장치(101)의 송전 안테나(205)의 임피던스에 변화가 생겨, 송전 안테나(205)에는 정상 상태, 즉 수전할 물체가 1개도 재치되지 않고 있는 상태와는 다른 전류가 흐른다. 이 변화를 검출부(204)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송전장치(101)는, 자 장치의 송전 범위에 물체가 놓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송전장치(101)는, 수전장치 102가 송전 범위에 존재할 경우의 검출부(204)의 검출 결과의 변화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송전장치(101)는, 검출부(204)의 검출 결과가,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 미리 기억하고 있는 변화값을 초과한 변화량을 검출했을 경우, 송전 범위에 물체가 놓인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인증용 송전은, 송전 범위 내에 있는 한개의 수전장치에 대하여, 배터리 잔량이 없는 경우에도, 이 수전장치가 인증을 위한 통신에 필요로 하는 전력, 즉 이 수전장치의 제어부(301) 및 통신부(306)가 기동하는데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이다. 송전장치(101)는, 자 장치의 송전 범위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 인증용 송전을 개시한다. 수전장치의 제어부(301) 및 통신부(306)를 기동하는데 충분한 배터리 잔량이 있을 경우에는, 수전장치측에서 인증용 송전에 의해 수전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인증용 송전을 수전한 수전장치 102는, 다른 장치로부터 통신 접속 요구를 송신시키기 위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인증용 송전을 검출한 후 일정 기간 내(예를 들면, 100ms)에 통신부(306)로부터 송신한다. 송전장치(101)는, 인증용 송전에 응답한 수전장치 102로부터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 송전 가능 범위에 수전장치 102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이때, 애드버타이즈 패킷은, 브로드캐스트로 송신되는 BLE에 규정된 신호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은, 자신이 존재하는 것을 근린의 BLE 대응기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 신호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은, 자신의 기기명이나 제공할 서비스의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애드버타이즈 패킷은, 주위의 기기에 자 장치의 존재 및 주위의 기기로부터의 접속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전장치 102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패킷에는, 자 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의 수전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존재 통지로 칭한다.
이때, 송전장치(101)는, 인증용 송전을 개시한 후 소정 기간 이내(예를 들면, 100ms)에 수전장치 102로부터 존재 통지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인증용 송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다시 송전 안테나(205)로부터 전자파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검출용 송전을 간헐적으로 행한다.
또한, 송전장치(101)는, 수신한 존재 통지의 송신원인 수전장치 102에 대하여 Connection Request 패킷(접속 요구)을 통신부(206)로부터 송신한다. 그리고, 송전장치(101)는, 송신한 접속 요구에 따라 수전장치 102와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확립한 무선접속을 사용하여, 장치 사이에서 송전을 위한 니고시에이션을 행하는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인증 처리에 있어서는, 송전장치(101)와 수전장치 102 사이에서 확립한 통신 접속의 기간에, 각각이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구체적으로는, Qi(등록상표)나 Rezence(등록상표) 등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자다. 더구나, 송수전가능한 전력량, 하드웨어 구성, 대응하고 있는 전력 전송 규격의 버전,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수전장치 102는, 이들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애드버타이즈 패킷으로 송신해도 된다.
BLE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교환의 기회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이 기회를 Connection Event로 부른다. 송전장치(101)는, 최초의 Connection Event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에서, 수전장치 102에 대하여 필요한 전력값을 통지하도록 요구한다. 수전장치 102는 해당 요구에 응답하여, 필요한 전력값을 다음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켜서 송신한다.
인증 처리는, 송전장치(101)와 수전장치 102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이 일치하면 성공한다. 종별이 일치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 이외에, 프로토콜의 버전이 일치하는 것이나, 수전장치 102가 요구하는 전력이 송전장치(101)에서 송전가능한 전력과 같거나 밑도는 것,등의 조건을 추가해도 된다. 더구나, 패스워드를 교환해서 일치하는 것을 조건에 추가해도 된다. 더구나, 인증 처리를 위한 통신에 타임아웃 시간을 설치하고, 시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성공으로 해도 된다. 인증이 불성공인 경우, 충전용 송전은 행하지 않는다.
이 인증 처리에 의해, 송전장치(101)는, 송전 범위에 존재하는 물체가 송전을 요구하는 수전장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처리에 의해, 수전장치 102는, 통신 접속한 송전장치(101)가 전력의 공급을 실행가능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송전장치(101)는, 인증 처리의 사이, 인증용 송전을 계속해서 송전하고, 수전장치 102에 대하여 능력정보의 통신을 행하게 하기 위한 송전을 행한다.
송전장치(101)는, 인증 처리에 의한 인증이 성공했을 경우, 즉, 수전장치 102와의 니고시에이션이 성립했을 경우, 충전용 송전을 행한다. 충전용 송전은, 검출용 송전의 전력 및 인증용 송전의 전력보다 큰 전력을 수전장치 102에 송전한다. 충전용 송전을 행함에 있어서, 송전장치(101)는, 통신부(206)에 의해, 수전하고 있는 전력의 값, 송전량의 증감의 요구, 송전의 정지 등의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전장치 102로부터 수신한다. 즉, 충전용 송전은, 수전장치 102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송전이다.
이때, 송전장치(101)는, 수전장치 102로부터 송전의 정지를 요구하는 송전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나 송전의 에러가 생겼을 경우에 충전용 송전을 종료한다. 또한, 수전장치 102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송전장치(101)는,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수전장치 102로부터 수신했을 경우에 송전을 정지하여도 된다. 또한, 송전장치(101)는, 수전장치 102가 만충전인 것을 나타내는 만충전 통지를 수신했을 경우, 이 만충전 통지의 송신원인 수전장치 102에 대한 충전용 송전을 정지한다. 또한, 송전장치(101)는, 복수의 수전장치에의 송전중에, 송전 정지 요구를 1대의 수전장치 102로부터 수신했을 경우, 송전 정지 요구의 송신원인 수전장치 102에 대한 충전용 송전을 정지하고, 다른 수전장치에 대한 송전은 계속해서 행한다.
또한, 수전장치 102는, 인증 처리가 성공하면, 충전용 송전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축전하기 위해서, 제어부(301)에 의해 스위치(311)를 OFF로부터 ON으로 한다. 즉, 수전장치 102는, 충전용 송전이 개시될 때까지는 배터리(302)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전장치 102는, 충전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1)에 의해 스위치(311)를 ON으로부터 OFF로 한다.
또한, 송전장치(101)는, 복수의 수전장치에 송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송전장치(101)가 제1수전장치에 충전용 송전을 행하고 있을 경우, 새롭게 수전을 요구하는 제2수전장치는, 제1수전장치에 대한 충전용 송전을 검출했을 경우, 존재 통지를 송전장치(101)에 송신한다. 존재 통지를 수신한 송전장치(101)는, 제2수전장치와 인증 처리를 개시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제2수전장치에 대한 충전용 송전을 개시한다. 이렇게, 송전장치(101)는, 복수의 수전장치에 동시에 병행하여 충전용 송전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전장치 102는, 충전대(110) 위에 놓인 경우, 송전장치(101)로부터 전력을 수전해서 배터리(302)를 충전할 수 있다. 수전장치 103에 대해서도, 수전장치 102와 동일한 구성이며, 충전대(110) 위에 놓이면 송전장치(101)로부터 전력을 수전할 수 있다. 더구나, 수전장치 102와 103이 양쪽 모두 충전대(110) 위에 놓인 경우에, 각각이 송전장치(101)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전하여도 된다.
<수전장치 사이의 통신>
다음에,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 사이의 통신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 통신에 대해서도 BLE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용 통신과,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통신의 2종류의 통신을 행한다. BLE에서는 이들 2종류의 통신을 다른 서비스로서 실장함으로써, 병렬로 행할 수 있다. 송전장치(101)와의 BLE 통신과, 수전장치와의 BLE 통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병렬로 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LAN이나 ZigBee(등록상표) 등 다른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어플리케이션용 통신은,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이 각각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일 경우에 스마트 폰에서 수신한 전자메일을 스마트 워치에 표시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종래기술에서 용이하게 실현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전자메일의 표시는 일례이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통신을 행해도 된다.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통신은, 수전장치 102가, 수전장치 103이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과 수전장치 103의 배터리(302)의 충전 상태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이다.
이들 2종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수전장치 102와 수전장치 103은, 제어부(301)와 통신부(306)를 사용한다. 이때, 통신부(306)를 송전장치(101)와의 통신 전용으로 하고, 수전장치간 통신용으로 다른 통신부를 사용해도 된다.
<처리>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장치 102의 제어부(301)가 실시하는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수전장치 102는, 통신부(306)를 사용하여, 다른 수전장치 103과의 무선통신을 확립한다(S401). 이것은 다른 수전장치 103으로부터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해서 접속 요구를 발생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다음에, 자 장치의 근방에 송전장치(101)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2). 이 판정 처리는, 검출부(304)에 있어서 송전장치(101)로부터의 송전을 검출하거나, 송전장치(101)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실시한다. 송전장치(101)가 존재할 경우, 이 송전장치(101)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S403: 제1 취득 처리). 이것은 이미 서술한 송전장치(101)에 의한 수전장치의 인증 처리 중에서 행한다.
이어서, 이미 무선통신을 확립하고 있는 다른 수전장치 103으로부터,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와, 배터리 잔량, 즉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S404: 제2 취득 처리). 여기에서, 송전장치(101)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과, 다른 수전장치 103이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5). 일치할 경우, 이 송전장치(101)에서 다른 수전장치 103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값 미만이면(S406), 출력부(310)를 사용하여, 유저에 대하여 다른 수전장치 103의 충전 상태를 통지하도록 제어한다(S407).
그후,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8). 예를 들면, 수전장치 102의 전원이 OFF로 되었을 경우에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402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이 일치하지 않거나(S405에서 NO), 다른 수전장치 103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값 이상이면(S406에서 NO), 충전 상태를 통지하지 않고 S402로 되돌아간다.
<충전 상태의 예>
여기에서, 도 5에, 도 4의 S407에 있어서 유저에게 통지하는 다른 수전장치 103의 충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501은, 수전장치 103이 스마트 워치일 경우에, 유저에게 통지하는 표시의 예다. 이렇게 다른 수전장치 103의 충전 상태를 통지할 때는, 이 수전장치 103을 유저가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나 명칭을 부여해도 된다. 또한, 유저에 대하여 다른 수전장치 103의 충전을 촉구하는 문장을 부가해도 된다. 또한, S407에 있어서의 충전 상태의 통지는, 송전장치(101)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에서 다른 수전장치 103의 충전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이어도 된다. 또한, S407에 있어서의 충전 상태의 통지는, 송전장치(101)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에서 다른 수전장치 103을 충전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하기 위한 정보의 통지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수전장치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S401에서 각각과 무선통신을 확립하여, S403과 S404에서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S405에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종별이 일치한 다른 수전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배터리 잔량에 상관없이, 표시 502와 같이 일람표시해서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S406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이때, 이들 표시는 일례이며, 다른 수전장치가 구비하는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이면 다른 표시를 해도 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동작 예>
이어서, 도 6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시간은 도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으로 흐른다. 도 6에 있어서, 송전장치(101)는, Rezence(등록상표)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에 대응한 송전장치다. 또한, 스마트 폰(602)과 스마트 워치(603)는, Rezence(등록상표)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에 대응한 수전장치이며, 도 2의 수전장치 10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적어도 스마트 폰(602)의 제어부(301)는, 도 4의 흐름도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우선 시각 T1에 있어서, 스마트 폰(602)은 S401의 처리를 실행하고, 스마트 워치(603)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확립하고, 종래의 어플리케이션용 통신을 행한다. 그후, 시각 T2에 있어서, 유저는 스마트 폰(602)과 스마트 워치(603)의 양쪽을 휴대한 상태에서, 송전장치(101)의 근방에 도달하여, 스마트 폰(602)을 충전대에 놓는다.
그러면, 시각 T3에 있어서, 송전장치(101)와 스마트 폰(602) 사이에서, 송전을 위한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 폰(602)은, 송전장치(101)가 자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므로, S402에서 YES가 된다. 마찬가지로 인증 처리의 과정에서 S403이 실행되어, 송전장치(101)가 Rezence(등록상표)에 대응하는 것도 검출된다. 계속해서 시각 T4에 있어서, 스마트 폰(602)은 S404의 처리를 실행하고, 이미 시각 T1에서 확립하고 있는 무선통신에 의해, 스마트 워치(603)가 Rezence(등록상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배터리 잔량이 적다고 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폰(602)은, 자 장치의 근방에 있는 송전장치(101)와, 스마트 워치(603)의 양쪽이 Rezence(등록상표)에 대응하고 있다고 하는 정보를 얻고 있기 때문에, S405에서 YES가 된다. 이어서, 이미 얻고 있는 스마트 워치(603)의 배터리 잔량이 적다고 하는 정보로부터, S406도 YES가 되고, S407에서 표시 501을 표시한다. 즉, 스마트 폰(602)을 송전장치(101)의 충전대에 놓으면, 마찬가지로 이 송전장치(101)에서 충전가능한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 상태가 유저에게 통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을 잊어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장치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수전장치가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 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카메라 등의 장치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S401에 있어서 미리 다른 수전장치와 무선통신을 확립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 처리는 S402에서 YES가 된 후, 또는 S403의 후에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스마트 폰(602)은, 송전장치(101)의 충전대에 자 장치가 놓인 후에, 스마트 워치(603)와의 무선통신을 확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602)과 스마트 워치(603)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기간이라도, 스마트 폰(602)을 충전대에 놓은 타이밍에서,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S402에 있어서, 자 장치의 근방에 송전장치(101)가 존재하는 것을, 송전장치(101)로부터의 검출용 송전을 검출하는 것 이외의 방법에 의해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송전장치(101)측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는 것에 의한 존재 통지를 행하여도 된다.
수전장치 102에 있어서는, 이 송전장치(101)로부터 송신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자 장치의 근방에 송전장치(101)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더구나, 수전장치 102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할 경우에는, 메모리(308)에 미리 송전장치(101)의 위치(장소)를 기억해 둔다. 그리고, GPS에서 검출한 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송전장치(101)의 위치(장소)의 거리가 소정값 이하가 되면, 근방에 송전장치(101)가 존재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전장치 102는, 검출용 송전을 행하지 않는 송전장치에 대해서도, 자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폰(602)(수전장치 102)은,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스마트 워치(603)로부터 취득해도 되고, 송전장치(101) 또는 서버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 폰(602)은, 동일한 어카운트에 로그인하고 있는 다른 수전장치만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어카운트는, 메일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와 패스워드에 의해 로그인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어카운트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곡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의 구입 또는 데이터의 보존 등의 서비스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6의 T5(S407의 통지) 후에, 스마트 워치(603)가 송전장치(101)에 놓여,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이 개시되었을 경우, 스마트 폰(602)은,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스마트 워치(603)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스마트 폰(602) 또는 스마트 워치(603)가 송전장치(101)의 송전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등에 의해 충전을 정지했을 경우, 스마트 폰(602)은,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 상태의 통지를 정지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 워치(603)가 충전을 행하고,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예를 들면, 80%) 이상이 되었을 경우, 스마트 폰(602)은, 스마트 워치(603)의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스마트 폰(602)은, 스마트 워치(603)와의 통신 접속이 절단되었을 경우, 스마트 워치(603)의 충전 상태의 통지를 정지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시부가 비교적 작은 스마트 워치 등의 충전을 개시한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부가 비교적 큰 스마트 폰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을 행하는 복수의 기기의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유저는 각 기기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가 한 개의 기기를 충전대에 놓으면, 유저가 갖는 다른 기기 중, 같은 충전대에서 충전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전이 필요한 기기가 복수 있는 경우에, 각 기기의 충전을 잊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높아지는 것이 가능해 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6년 12월 20일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 2016-247010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서 원용한다.

Claims (20)

  1. 수전장치로서,
    송전장치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받는 수전 수단과,
    상기 수전 수단에 의해 수전을 행하고 있을 경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수전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퍼센트로 나타낸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다른 수전장치가, 시계, 만보계 또는 심박 센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수전장치의 상기 표시부인 터치패널에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무선통신에 의해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Bluetooth Low Energy(BLE)에 의해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송전장치로부터의 송전을 받는 것이 가능한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복수의 다른 수전장치 각각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수전장치가 충전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는,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전장치는, 스마트 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값 미만일 경우,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송전장치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상기 다른 수전장치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수전 수단에 의한 수전이 종료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와 상기 다른 수전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절단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다른 수전장치에 의한 수전이 종료했을 경우,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일 어드레스와 패스워드에 근거하여 어카운트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수단을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로그인 수단이 로그인하는 상기 어카운트에 로그인하고 있는 상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19. 수전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방법으로서,
    송전장치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받는 수전 공정과,
    상기 수전 공정에 있어서 수전을 행하고 있을 경우, 다른 수전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수전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20.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전장치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97020018A 2016-12-20 2017-12-13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93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7010A JP6745715B2 (ja) 2016-12-20 2016-12-2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6-247010 2016-12-20
PCT/JP2017/044651 WO2018116922A1 (ja) 2016-12-20 2017-12-1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639A true KR20190093639A (ko) 2019-08-09

Family

ID=6262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018A KR20190093639A (ko) 2016-12-20 2017-12-13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05594A1 (ko)
JP (1) JP6745715B2 (ko)
KR (1) KR20190093639A (ko)
CN (1) CN110100427B (ko)
WO (1) WO2018116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897B2 (ja) * 2017-10-09 2021-08-04 ボイス・ライフ・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給電の効率化
US11545855B2 (en) * 2017-10-09 2023-01-03 Voice Life Inc.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action of energy wirelessly received by the receiver device
JP7165934B2 (ja) * 2018-04-03 2022-11-07 ボイス・ライフ・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電力受信を効率化する受信装置
US10110030B1 (en) * 2018-04-09 2018-10-23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devices
JP6888891B2 (ja) * 2018-05-28 2021-06-18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JP7185453B2 (ja) * 2018-09-12 2022-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11031B2 (en) * 2019-02-07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perconducting circuit for processing input signals
KR20210109917A (ko) * 2020-02-28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4965A (ja) 2007-06-20 2009-01-08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7045B2 (en) * 2001-10-26 2005-10-18 Ixi Mobile (Israel) Ltd.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devices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US8803474B2 (en) * 2009-03-25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wireless power devices
JP5641727B2 (ja) * 2009-11-30 2014-12-1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情報表示用携帯機および充電情報表示システム
US20120104997A1 (en) * 2010-11-01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4017989A (ja) * 2012-07-10 2014-01-3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無接点充電の管理方法
KR101457889B1 (ko) * 2013-01-31 2014-11-07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6124656B2 (ja) * 2013-04-08 2017-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01259B2 (en) * 2013-06-05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charging information
KR102128751B1 (ko) * 2013-08-21 2020-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JP6270445B2 (ja) * 2013-12-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63013B2 (ja) * 2013-12-06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33815A (ja) * 2014-01-10 2015-07-23 船井電機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方法および受電装置
JP6045518B2 (ja) * 2014-01-30 2016-12-14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電池残量監視システム、電池残量監視方法、電池残量監視対象装置、電池残量監視プログラム
KR102231851B1 (ko) * 2014-09-25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들을 충전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충전 장치
JP2016149862A (ja) * 2015-02-12 2016-08-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充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充電管理方法
JP6590497B2 (ja) * 2015-03-18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受電装置、受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30074B (zh) * 2016-09-09 2018-10-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电源充电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4965A (ja) 2007-06-20 2009-01-08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1908A (ja) 2018-06-28
JP6745715B2 (ja) 2020-08-26
US20190305594A1 (en) 2019-10-03
WO2018116922A1 (ja) 2018-06-28
CN110100427B (zh) 2021-07-27
CN110100427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3639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10050477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607615B (zh) 無線充電方法及其充電控制器
US20180287413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lignment guiding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for same
US111963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JP6381305B2 (ja) 電子機器
JP6590497B2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受電装置、受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34562B (zh) 无线电源接收装置及无线通信装置
US11581759B2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381304B2 (ja) 電子機器
JP2017184488A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54952A1 (ja)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4093818A (ja) 非接触充電器
EP2966750B1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19193535A (ja) 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4838B2 (ja) 給電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079516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998547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102374467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175756A1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WM525019U (zh) 無線充電系統中的供電裝置及受電裝置及其充電控制器
US11757312B2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70109428A (ko)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3047758A (ja) 送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20394A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