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13A -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13A
KR20170109213A KR1020170034667A KR20170034667A KR20170109213A KR 20170109213 A KR20170109213 A KR 20170109213A KR 1020170034667 A KR1020170034667 A KR 1020170034667A KR 20170034667 A KR20170034667 A KR 20170034667A KR 20170109213 A KR20170109213 A KR 2017010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nt food
management
cooking
inst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
조환석
백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카프
Publication of KR2017010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각각 구비된 밀폐형스팀가열부와 밀폐형 인덕션가열부와,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즉석식품에 구비되는 감지부재를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상기 인식장치에 의해 감지된 즉석식품에 해당하는 레시피에 따라 스팀가열 또는 인덕션가열을 판단하여 가열조리기를 구동시키는 제어회로부와, 유무선 통신모듈을 가진 즉석식품 가열조리기; 및 지역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유무선 통신모듈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가 설치되는 가맹점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가맹점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의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및 품목내역등록을 수행하는 재고관리부와, 품목분류등록, 품목등록 및 품목단가등록을 수행하는 품목관리부와,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수행하는 주문관리부와, 배송 관리, 운임비 관리, 출고계획처리 및 거래명세서와 운송장 등록을 수행하는 배송관리부와, 영업망관리, 영업사원관리 및 영업활동분석을 수행하는 영업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서비스 이력 조회 및 지시 관리를 수행하는 기기서비스관리부와, 고객의 즉석식품 메뉴 선택시 고객 연령 및 성별 입력 후 적립되는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Instant food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조리와 인덕션조리 가능한 다수의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즉석식품의 조리 레시피를 원격으로 제공하여 가열조리를 운영하는 가맹대리점 및 고객에게 다양한 즉석식품을 원격으로 광고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고객과 가맹점 및 본사 간에 즉석 식품 판매량에 따른 즉석식품 유통을 효율적이면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식품은 1차 요리과정을 거친 후 정량 포장되어 냉장이나 냉동 상태로 판매되고, 포장용기에서 내용물을 꺼내어 전자렌지나 가스식 또는 전기식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2차 조리한 후 먹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즉석식품은 인스턴트 식품이 대부분이며, 국밥류, 탕류, 볶음류, 냉면류, 온면류, 볶음밥 등과 같이 식당에서 바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음식 메뉴를 간단하게 즉석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즉석식품으로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제약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1차 조리된 즉석식품은 일반인이 2차 조리하여 먹는 방식에 따라 즉석식품 고유의 맛과 영양이 달라지므로 대량화하여 판매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1차 조리된 즉석식품을 바로 즉석에서 조리한 식품처럼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며, 즉석식품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장치도 함께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상기한 1차 조리된 즉석식품들을 각각에 해당하는 식품 조리과정을 통하여 1차로 식품을 완성한 후 고주파 유도 가열체가 내장된 종이용기 또는 합성수지용기 또는 알루미늄용기로 이루어진 조리용기 등에 즉석식품을 밀폐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였다가 조리시에 스팀, 온수를 공급하거나 인덕션 가열기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즉석식품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즉석식품은 1차 조리 후 냉동 보관되므로 장기간 냉동 보관시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영양소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즉석식품을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즉석식품 조리기의 제1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780호 '즉석식품 조리장치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제2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193호 '식품연동형 간이식품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제3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465호 '간이식품 조리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제1선행기술 내지 제3선행기술에 따른 즉석조리장치는 즉석식품의 조리 레시피를 원격으로 제공하는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신매뉴 레시피 추가와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러 지역에 판매되는 즉석조리 식품은 고객의 입맛이나 취향에 따라 동일한 즉석식품의 레시피를 서로 달리해야 하는데 이때에도 종래의 선행기술은 일일이 지역별로 레시피 정보를 방문하여 업데이트를 해 줘야하만 하므로 인력 및 비요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도 여러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관리할 수는 있지만 즉석식품의 조리 레시피를 원격으로 제공하여 가열조리를 운영하는 가맹대리점 및 고객에게 다양한 즉석식품을 원격으로 광고하여 광고 수익을 함께 가맹점 및 고객과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구성은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가맹점과 본사간에 즉석 식품 판매량에 따른 즉석식품 유통을 효율적이면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민원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없어 고객과 가맹점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종래의 선행기술은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운영하는 가맹대리점 및 고객에게 다양한 즉석 식품 제공 및 판매 홍보 등을 원격으로 관리하는데 있어서, 투명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가맹점과 본사간에 즉석 식품 판매량에 따른 즉석식품 유통을 효율적이면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7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1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4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스팀조리용 즉석식품 또는 인덕 션조리용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스팀 열원과 인덕션 가열온도 및 온수 공급을 통해 냉동상태로 보관 중인 즉석식품의 맛을 조리 직후의 맛으로 유지하도록 즉석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본사의 관리서버에서는 즉석식품 레시피 및 업데이트 정보 등을 원격으로 제공하고 즉석식품 재교 및 판매추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조리와 인덕션조리 가능한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다수의 가열조리기를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즉석식품의 조리 레시피를 원격으로 제공하여 가열조리를 운영하는 가맹대리점 및 고객에게 다양한 즉석식품을 원격으로 광고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가맹점과 본사간에 즉석 식품 판매량에 따른 즉석식품 유통을 효율적이면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구비된 인식부재를 통하여 즉석식품에 해당하는 조리 레시피를 레시피 사양 변경 내용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여러 지역에 설치된 조리기에서 판매되고 조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중앙의 관리서버에서 수집하여 지역별, 연령별, 성별에 따른 조리식품 선호도와 개선점 데이터를 축척하여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방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각각 구비된 개폐형 스팀 가열부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와,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즉석식품에 구비되는 감지부재를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상기 인식장치에 의해 감지된 즉석식품에 해당하는 레시피에 따라 스팀가열 또는 인덕션가열을 판단하여 가열조리기를 구동시키는 제어회로부와, 유무선 통신모듈을 가진 즉석식품 가열조리기; 및 지역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유무선 통신모듈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가 설치되는 가맹점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가맹점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의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및 품목내역등록을 수행하는 재고관리부와, 품목분류등록, 품목등록 및 품목단가등록을 수행하는 품목관리부와,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수행하는 주문관리부와, 배송 관리, 운임비 관리, 출고계획처리 및 거래명세서와 운송장 등록을 수행하는 배송관리부와, 영업망관리, 영업사원관리 및 영업활동분석을 수행하는 영업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서비스 이력 조회 및 지시 관리를 수행하는 기기서비스관리부와, 고객의 즉석식품 메뉴 선택시 고객 연령 및 성별 입력 후 적립되는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는 바코드 리더로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바코드 리더에 의해 인식되는 14자리 바코드로서, 상기 바코드의 1 내지 6번 자리는 음식일련번호를 나타내며, 7 및 8번 자리는 스팀 조리 또는 인덕션 조리를 지시하고, 9 및 10번 자리는 음식명을 지시하고, 11 및 12번 자리는 물량을 지시하고, 13 및 14번 자리는 조리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는 상기 음식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 콘텐츠 등록 및 광고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하는 광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광고관리부로부터 송신되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제어회로부와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즉석식품 레시피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즉석식품 레시피를 수신하고, 판매관련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에 저장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와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전송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즉석조리 대기하고, 불일치하면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즉석조리 대기하는 단계; 상기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에 따라 즉석조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즉석조리 수행 후, 즉석조리된 즉석식품 판매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의 즉석조리 수행 전 고객의 연령 및 성별을 입력하면, 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통신망을 통해서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스팀조리용 즉석식품 또는 인덕 션조리용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스팀 열원과 인덕션 가열온도 및 온수 공급을 통해 냉동상태로 보관 중인 즉석식품의 맛을 조리 직후의 맛으로 유지하도록 즉석 조리할 수 있는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와 본사의 관리서버 상호간에 즉석식품 레시피 및 업데이트 정보 등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 방문 관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즉석식품 재고 및 판매추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여러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즉석식품의 조리 레시피를 원격으로 제공하여 가열조리를 운영하는 가맹대리점 및 고객에게 다양한 즉석식품을 원격으로 광고하여 광고 수익을 함께 가맹점 및 고객과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맹점과 본사간에 즉석 식품 판매량에 따른 즉석식품 유통을 효율적이면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어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민원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 생성부와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 생성부와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온수 생성부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발생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클러치부재를 중요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에서 개폐도어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중요부위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에 위치한 클러치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b 는 도 15a의 즉석식품의 감지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c 는 도 15a의 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 생성부와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 생성부와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온수 생성부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스팀발생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클러치부재를 중요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중요 구성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에서 개폐도어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중요부위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다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개폐형 스팀 가열부에 위치한 클러치부재를 예시한 사시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5b는 도 15a의 즉석식품의 감지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c는 도 15a의 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은, 즉석식품 가열조리기 및 통합관리서버(200)로 구성된다.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는, 전방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각각 구비된 개폐형 스팀 가열부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와,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즉석식품에 구비되는 감지부재를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인식장치에 의해 감지된 즉석식품에 해당하는 레시피에 따라 스팀가열 또는 인덕션가열을 판단하여 가열조리기를 구동시키는 제어회로부와, 유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통합관리서버(200)는, 가맹점/대리점(300) 지역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유무선 통신모듈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통합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200)는, 즉석식품 가열조리기가 설치되는 가맹점/대리점(300)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가맹점관리부(210)와, 즉석식품의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및 품목내역등록을 수행하는 재고관리부(220)와, 품목분류등록, 품목등록 및 품목단가등록을 수행하는 품목관리부(230)와, 가맹점/대리점(300)의 주문 관리를 수행하는 주문관리부(240)와, 배송 관리, 운임비 관리, 출고계획처리 및 거래명세서와 운송장 등록을 수행하는 배송관리부(250)와, 영업망관리, 영업사원관리 및 영업활동분석을 수행하는 영업관리부(260)와, 즉석식품 가열조리기(100)의 서비스 이력 조회 및 지시 관리를 수행하는 기기서비스관리부(기기A/S관리부)(270)와, 고객의 즉석식품 메뉴 선택시 고객 연령 및 성별 입력 후 적립되는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부(280)를 포함한다.
또한,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는 음식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통합관리서버(200)는 광고 콘텐츠 등록 및 광고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하는 광고관리부(290)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은 광고관리부(290)로부터 송신되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관리부는 공통코드관리, 사용자 권한 등록 및 공지사항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5b를 참조하면, 인식장치는 바코드 리더로서, 감지부재는 바코드 리더에 의해 인식되는 14자리 바코드로서, 바코드의 1 내지 6번 자리는 음식일련번호를 나타내며, 7 및 8번 자리는 스팀 조리 또는 인덕션 조리를 지시하고, 9 및 10번 자리는 음식명을 지시하고, 11 및 12번 자리는 물량을 지시하고, 13 및 14번 자리는 조리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제어회로부와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즉석식품 레시피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부는, 통합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즉석식품 레시피를 수신하고, 판매관련데이터를 통합관리서버(200)로 송신하는 데이터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은, 레시피 정보 비교 단계(S110)와, 즉석조리 대기 단계(S120)와, 즉석조리 수행 단계(S130)와, 판매정보 전송 단계(S140)로 구성된다.
우선, 레시피 정보 비교 단계(S110)에서는, 즉석식품 가열조리기(100)의 제어회로부에 저장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와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전송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비교한다.
이후, 즉석조리 대기 단계(S120)에서는,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즉석조리 대기하고, 불일치하면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S121) 즉석조리 대기한다.
이후, 즉석조리 수행 단계(S130)에서는,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에 따라 즉석조리를 수행한다.
이후, 판매정보 전송 단계(S140)에서는, 즉석조리 수행 후, 즉석조리된 즉석식품 판매정보를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한편, 통합관리서버(200)가, 즉석식품의 즉석조리 수행 전 고객의 연령 및 성별을 입력하면, 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50).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서 즉석식품 가열조리기(100)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60).
한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4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구성요소는 배기덕트부(110)와 수평구획판(120)을 중심으로 상하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그러한 본체(100)의 상측 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부(210)와, 온수 생성부(270)와, 냉수 저장탱크(410)를 포함하는 전장부(200)와, 본체(100) 하측 설치공간의 제1조리공간(301)과 제2조리공간(302)에 각각 위치하는 개폐형 스팀 가열부(310)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가 포함된 조리부(3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100)는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외형을 이루며, 대략 사각형의 함체 형상을 가지고, 전면 중앙부위에는 가로방향으로 내부 열기를 통기시키는 "┘" 모양 그릴 형상의 배기덕트부(110)가 위치하고, 그러한 배기덕트부(110)의 후방으로 수평구획판(120)이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수평구획판(120)을 중심으로 상측에 전장부(200)가 구성되고, 하측에 조리부(300)가 구성된다.
수평구획판(120)은 그 끝단이 본체(100)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브래킷(150)에 연결되며, 이러한 수직브래킷(150)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는 전방과 후방으로 분할된다.
수직브래킷(150)을 중심으로 본체(100) 내부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스팀 생성부(210)와 온수 생성부(270)와 개폐형 스팀 가열부(310)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가 위치하게 되며, 본체(100) 내부의 후방에는 냉수 저장탱크(410)와 온수탱크(420)와 전원공급장치와 누전차단기와, 냉각팬과, 통신 단자와, 각종 스위치 및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개폐형 스팀 가열부(310)와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위치하게 된다.
본체(100)는 수평구획판(120)으로 구분되는 상측의 전장부(200)에 고온의 스팀을 만들어주는 스팀 생성부(210)와, 온수를 만들어주는 온수 생성부(270)가 구비되며, 수평구획판(120)으로 구분되는 하측의 조리부(300)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개폐형 스팀 가열부(310)와,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가 구비된다.
본체(100)의 전면 상측에는 광고 및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품의 인식이나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 또는 코드 인식장치 등이 설치되며, 본체(100)의 전면 하측에는 조리부(300)의 내부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317)(370)가 구비된다.
조리부(300)는 본체(100)의 전면 아래쪽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303)을 통해 한쪽에 제1조리공간(301)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제2조리공간(302)이 구비된다.
즉, 제1조리공간(301)은 본체(100)의 한쪽 측판 내면과, 격벽(303)의 한쪽 측면과, 수평구획판(120)의 한쪽 저면과, 수직브래킷(150)의 한쪽 전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나의 공간이며, 이러한 제1조리공간(301)은 후술되는 개폐도어(317)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제2조리공간(301) 또한 본체(100)의 다른 한쪽 측판 내면과, 격벽(303)의 다른 한쪽 측면과, 수평구획판(120)의 다른 한쪽 저면과, 수직브래킷(150)의 다른 한쪽 전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또 하나의 공간이며, 이러한 제2조리공간(301)은 후술되는 개폐도어(370)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체(100)의 수평구획판(120) 하부에는 안내판(1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안내판(140)은 전방 일단이 배기덕트부(110)의 후면과 연결되고, 후방 타단은 제1조리공간(301) 및 제2조리공간(302)의 수직브래킷(150) 전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안내판(140)의 후방 타단이 전방 일단에 비하여 낮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2조리공간(302)의 수직브래킷(150) 내면에 복수의 배기통로(131)를 형성하고, 제2조리공간(302)의 수직브래킷(150) 바깥면에는 배기통로(131)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배기팬(132)을 설치함으로써, 제2조리공간(30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냄새를 제2조리공간(302)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스팀 생성부(210)는 전술한 본체(100)의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스팀을 만들어 아래쪽 제1조리공간(301)에 놓이는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부에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 생성부(210)는 지지프레임(211)과, 스팀발생기(220)와, 정역감속모터(213)와, 스크류부재(230)와, 승강플레이트(240)와, 스팀노즐(250)과, 스팀커버(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지지프레임(211)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대략 "⊃" 모양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승강플레이트(240)와 스팀노즐(250)과 스팀커버(260) 및 이들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재(230)와 너트부재(231)가 구비되며, 지지프레임(211)의 상부에는 본체(100)의 상판 내면에 매달리는 형태로 스팀발생기(220)가 설치된다.
스팀발생기(220)는 일측이 냉수 저장탱크(41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히팅수단을 통해 냉수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온수탱크(420)와 연결되며, 타측은 스팀노즐(250)과 연결됨에 따라 온수탱크(420)에서 공급되는 온수는 스팀발생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스팀으로 만들어진 후 스팀노즐(2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스팀발생기(22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20)는 단열케이스(221)와, 히터부재(222)와, 열교환파이프(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열케이스(221)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상부는 본체(100)의 상판 저면에 결합되며, 상부와 결합되는 하부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그러한 내부의 공간에는 길이방향으로 봉과 같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히터부재(222)가 설치된다.
히터부재(222)는 그 외주면에 열교환파이프(223)가 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열교환파이프(223)의 일측은 냉수 저장탱크(41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420)와 연결되고, 열교환파이프(223)의 타측은 스팀노즐(250)의 상단과 연결된다.
히터부재(222)와 열교환파이프(223)는 주물 형태로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히터부재(222)는 단열케이스(221) 하부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를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의 바닥면에는 열교환파이프(223)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단열케이스(221)의 내부에는 히터부재(22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히터부재(222)는 외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발열 되며, 단열케이스(221)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연동되어 스팀발생기(220)의 설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가 조절된다.
한편, 지지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정역감속모터(213)가 설치되며, 정역감속모터(213)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고, 그러한 축에는 클러치부재(290)와 함께 소정 길이의 스크류부재(230)가 설치되며, 스크류부재(230)의 하부에는 너트부재(231)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러한 너트부재(231)에는 수평한 승강플레이트(240)가 설치되면서 스크류부재(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부재(231)와 함께 승강플레이트(24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지지프레임(211)의 내부 양측에는 수직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재(242)가 각각 설치되고, 승강플레이트(240)의 대향된 양측이 그러한 가이드부재(2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13)가 구동되면 클러치부재(290)와 함께 스크류부재(2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고, 이러한 스크류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재(231)와 승강플레이트(240)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되며, 여기서 스크류부재(230)의 회전이 불필요하게 멈추게 되면 정역감속모터(21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스크류부재(230)에 구비된 클러치부재(290)의 슬립 현상에 따라 정역감속모터(213)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러치부재(290)의 실시 예로는 저면의 중심으로 스크류부재(230)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291)과, 그러한 하우징(29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292)가 구성되고, 커버(292)의 상면을 관통하는 정역감속모터(213)의 축 단부와 하우징(291)의 저면을 관통하는 스크류부재(230)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정역감속모터(213)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30)에 그대로 전달되다가 스크류부재(230)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 연결부재가 슬립되면서 정역감속모터(213)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승강플레이트(240)의 승강 높이 제어는 일 예로 승강플레이트(240)의 이동 경로상에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승강플레이트(240)의 승강에 따라 리미트스위치가 작동되면 리미트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는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여 정역감속모터(213)의 구동 제어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4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40)의 승강 높이 제어는 다른 예로 정역감속모터(213)의 축에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두고, 그러한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제어부가 판단하여 하여 정역감속모터(213)의 구동 제어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4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역감속모터(213) 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클러치부재(290)의 상측에 정역감속모터(213)의 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디스크(215)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215)의 일측에 포토센서(216)를 근접 설치하게 되면 정역감속모터(213)의 축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215)를 포토센서(216)가 감지할 수 있고 포토센서(216)와 연결된 제어부는 정역감속모터(213) 축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승강플레이트(240)의 중심에는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팀노즐(250)이 설치되며, 스팀노즐(250)의 상단은 승강플레이트(240)를 관통하여 전술한 스팀발생기(220)의 열교환파이프(223) 타측과 연결되고, 스팀노즐(250)의 하단에는 분사공(252)이 하나 이상 구비된 날카로운 첨예부(251)가 형성된다.
스팀노즐(250)의 분사공(252)은 스팀노즐(250)을 통해 이동되는 스팀을 스팀노즐(250)의 외부로 분사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첨예부(251)는 스팀노즐(250)의 하단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쉽게 관통될 수 있도록 보조해준다.
승강플레이트(240)의 하부에는 스팀노즐(250)이 상면 중심부를 하향 관통하며, 저면은 개방된 원통형상의 스팀커버(260)가 구비됨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40)가 하강 되면 스팀커버(260)와 스팀노즐(250)이 함께 하강 되면서 수평구획판(120)을 통해 조리부(300)의 제1조리공간(301)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조리공간(301)에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놓여 있는 경우, 즉석식품 조리용기는 하강하는 스팀커버(260)에 의해 감싸지게 되며,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는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스팀노즐(250)을 통해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으로부터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조리물은 고온의 스팀을 통해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으로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관통된 후,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으로부터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스팀이 분사될 때 분사된 스팀에 의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유동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첨예부(251)에 의해 덮개의 찢어진 부분을 통해 스팀이 역류되어 빠져나갈 수도 있다.
따라서, 스팀커버(260)의 내부에 상기 스팀노즐(250)이 중심을 관통하고, 외측둘레는 스팀커버(260)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이동 가능하게 접면될 수 있도록 스팀커버(260)의 상면과 평행한 원판형태의 용기가압판(261)을 설치함으로써,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관통되면 첨예부(25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용기가압판(261)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눌러주게 되면서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부로 공급된 스팀에 의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불필요하게 유동 되거나 덮개 상면에서 첨예부(251)에 의해 찢어진 부위를 통해 스팀의 역류 되어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용기가압판(261)에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263)을 형성함으로써, 용기가압판(261)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과 접면된 후 스팀커버(260)의 상승에 따라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상면과 분리될 때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는 스팀노즐(250)의 단부에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팀노즐(250)의 단부로부터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첨예부(251)가 스팀노즐(25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면 오염이 쉽게 될 수 있는 첨예부(251)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첨예부(251)와 용기가압판(261) 또한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첨예부(251)와 용기가압판(261)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스팀노즐(25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스팀커버(260)의 내부에는 용기가압판(261)의 상측으로는 스팀노즐(250)이 중심을 관통하고, 외주면이 스팀커버(260)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스팀커버(260)의 상면과 평행한 원판 형태의 스팀차단판(262)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차단판(262)은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분사된 스팀 중 일부가 스팀커버(260)의 상면을 통해 전장부(20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 생성부(270)는 전술한 본체(100)의 다른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아래쪽 제2조리공간(302)에 놓이는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온수 생성부(270)는 가이드프레임(271)과, 정역감속모터(272)와, 스크류부재(278)와, 승강플레이트(273)와, 온수노즐(280)과, 솔레노이드밸브(2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프레임(271)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의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면서 대략 "⊃" 모양으로 설치되고, 가이드프레임(271)의 상부에는 정역감속모터(272)가 설치되며, 가이드프레임(271)의 내부에는 승강플레이트(273)와,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73)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스크류부재(278)와 너트부재(279) 및 솔레노이드밸브(274)가 구비된 온수노즐(280)이 구비된다.
승강플레이트(273)를 승강시키기 위해 가이드프레임(271)의 상부에 설치된 정역감속모터(272)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고, 그러한 축에는 클러치부재(290)와 함께 스크류부재(278)가 설치되며, 스크류부재(278)의 하부에는 너트부재(279)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러한 너트부재(279)에는 수평한 승강플레이트(273)가 설치되면서 스크류부재(278)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부재(279)와 함께 승강플레이트(273)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가이드프레임(271)의 내부 양측에는 수직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재(275)가 각각 설치되고, 승강플레이트(273)에 대향된 양측이 그러한 가이드부재(2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72)가 구동되면 클러치부재(290)와 함께 스크류부재(278)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고, 이러한 스크류부재(278)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재(279)와 승강플레이트(273)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되며, 여기서 스크류부재(278)의 회전이 불필요하게 멈추게 되면 정역감속모터(272)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스크류부재(278)에 구비된 클러치부재(290)의 슬립 현상에 따라 정역감속모터(27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러치부재(290)의 실시 예로는 저면의 중심으로 스크류부재(278)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291)과, 그러한 하우징(29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292)가 구성되고, 커버(292)의 상면을 관통하는 정역감속모터(272)의 축 단부와 하우징(291)의 저면을 관통하는 스크류부재(278)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정역감속모터(272)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78)에 그대로 전달되다가 스크류부재(278)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 연결부재가 슬립되면서 정역감속모터(272)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7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승강플레이트(273)의 승강 높이 제어는 일 예로 승강플레이트(273)의 이동 경로상에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승강플레이트(273)의 승강에 따라 리미트스위치가 작동되면 리미트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는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여 정역감속모터(272)의 구동 제어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73)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73)의 승강 높이 제어는 다른 예로 정역감속모터(272)의 축에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두고, 그러한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제어부가 판단하여 하여 정역감속모터(272)의 구동 제어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73)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역감속모터(272) 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클러치부재(290)의 상측에 정역감속모터(272)의 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디스크(215)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215)의 일측에 포토센서(216)를 근접 설치하게 되면 정역감속모터(272)의 축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215)를 포토센서(216)가 감지할 수 있고 포토센서(216)와 연결된 제어부는 정역감속모터(272) 축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승강플레이트(273)의 상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274)가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274)의 일측은 온수탱크(4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온수노즐(280)의 상단과 연결된다.
솔레노이드밸브(274)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온수노즐(280)에 온수를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노즐(280)은 승강플레이트(273)의 전방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하측의 단부에는 배출공(282)이 구비된 첨예부(281)가 형성된다.
온수노즐(280)의 첨예부(281)는 온수노즐(280)의 단부에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수노즐(280)의 단부로부터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첨예부(281)가 온수노즐(28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면 오염이 쉽게 될 수 있는 첨예부(281)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온수노즐(280)의 일측에는 공기주입니플(276)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온수노즐(280)에 의해 공급되던 온수가 중단될 경우, 온수노즐(280)의 관로상에는 내부 압력에 의해 온수의 일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므로 이때 공기주입니플(276)을 개방시켜주면 온수노즐(28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압력변화를 일으켜 관로상에 남아 있던 물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됨에 따라 온수노즐(280)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즉, 정역감속모터(272)가 작동되어 스크류부재(278)가 회전되면 승강플레이트(273)와 온수노즐(280)이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되어 제2조리공간(302)에 놓이게 되는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온수노즐(280)의 첨예부(281)가 뚫고 들어가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274)의 제어에 따라 온수탱크(420)에서 공급된 온수는 온수노즐(280)을 거쳐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첨예부(281)의 배출공(282)을 통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공급되는 것이다.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부에 정해진 양의 온수 공급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밸브(274)가 온수노즐(280)로 이동되는 온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공기주입니플(276)의 작동을 통해 온수노즐(280)에 공기를 주입하여 온수노즐(280)에 남아 있는 온수를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완전히 배출시키고, 이후 정역감속모터(272)를 반대로 작동시키면 스크류부재(278)의 역회전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73)와 온수노즐(280)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조리공간(302)에 위치하여 온수노즐(28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은 즉석식품 조리용기는 이후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를 통해 가열되어 조리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즉석식품 조리용기는 내부의 음식물이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의 유도가열방식을 통해 가열될 수 있도록 유도가열체가 박판 또는 분말의 형태로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외부에 구비되거나,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면에 구비된 후 안전을 위해 코팅되어 처리되거나,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폐형 스팀 가열부(310)는 전술한 조리부(300)의 제1조리공간(301)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311)과, 왕복이동플레이트(320)와, 스팀조리 받침대(330)와, 이송가이드(314)와, 이송연결부재(315)와, 구동모터(319)와 크랭크부재(318)와, 개폐도어(3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11)은 전술한 제1조리공간(301)의 대향된 내부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수평 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양측면이 가이드레일(3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되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제1조리공간(301)의 내외부를 출입하게 된다.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상면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을 통해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하부가 끼워져 설치된다.
스팀조리 받침대(330)는 내부에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놓일 수 있는 환형의 안착홈(331)이 형성되고, 그러한 안착홈(331)의 중심에는 탈착 가능하게 배수판(332)이 설치되며, 배수판(332)에는 다수의 드레인공(333)이 형성되어 배수판(332)으로 이동된 물은 드레인공(333)으로 배출되고, 드레인공(333)으로 배출된 물은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하부에는 배수통(340)이 설치됨에 따라 통공을 통해 배출된 물은 이러한 배수통(340)에 모여지게 되며, 배수통(340)의 후면에는 배수관(341)의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배수관(341)의 타측 끝단은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배수관(341)은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후진 이동에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접철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배수통(340)에 모여진 물은 배수관(341)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수의 효율성을 위하여 배수관(341)은 배수통(340)으로부터 본체(100) 외부를 향해 기울어져 구성될 수도 있다.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안착홈(331)은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안착될 때 끼워지는 형태가 되면서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스팀조리 받침대(3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스팀노즐(250)을 통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면서 공급되는 과정에서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불필요하게 유동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안착홈(331) 바깥둘레에는 환형의 실링부재(334)가 설치되며, 이는 스팀커버(260)가 즉석식품 조리용기 쪽으로 하강 되고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한 다음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때 스팀커버(260)의 하단이 실링부재(334)에 밀착됨에 따라 스팀이 스팀커버의 저면을 통해 제1조리공간(301)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연결부재(315)가 설치되며, 이송연결부재(315)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316)이 관통 형성되고, 이송연결부재(315)와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서로 마주하는 이송가이드(314)를 통해 연결된다.
상면에 스팀조리 받침대(330)가 설치되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제1조리공간(301) 내부와 외부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제1조리공간(301)의 후방에 브래킷을 통해 구동모터(319)가 설치되고, 구동모터(319)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면서 클러치부재(390)와 연결되며, 클러치부재(390)의 저면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크랭크부재(318)의 일측이 연결되고, 크랭크부재(318)의 타측은 전술한 이송연결부재(315)의 상면 안내공(316)에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19)가 작동되면 클러치부재(390)의 회전을 통해 클랭크부재(318)의 일측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부재(318)의 타측에 링크 결합된 이송연결부재(315)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되며, 이송연결부재(315)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이송가이드(3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전후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이동 거리 조정은 일 예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이동 선상에 위치한 리미트스위치가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이동을 감지하고 리미트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가 이를 판단하여 구동모터(319)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구동모터(319)와 연결된 클러치부재(390)의 상부에 구동모터(319)의 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디스크(380)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380)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포토센서(381)를 함께 설치하여 구동모터(360) 축의 회전수를 포토센서(381)가 감지한 후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319)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구동모터(319)가 구동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왕복 이동될 때 의도하지 않은 상황으로 갑자기 멈추게 되면 구동모터(319)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이때 클러치부재(390)의 슬립 작용을 통해 구동모터(319)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부재(390)의 실시 예로는 크랭크부재(318)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391)과, 그러한 하우징(39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92)가 구성되고, 커버(392)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동모터(319)의 축 단부와 크랭크부재(318)의 일측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평상시에는 구동모터(319)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18)에 그대로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318)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 연결부재가 슬립되면서 구동모터(319)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1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1조리공간(301)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제1조리공간(301)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도어(317)가 설치된다.
개폐도어(317)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와 연결된 보조브래킷(397)에 토션스프링과 함께 힌지 형태로 조립되며,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17)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쪽을 향해 회전되면서 제1조리공간(301)이 개방되며, 이때 토션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개폐도어(317)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17)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은 다시 폐쇄된다.
개폐도어(317)의 안쪽에는 토션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지지브래킷(396)이 설치되며, 지지브래킷(396)은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돌출된 전면과 접면되는 부위가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향하여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전진하게 되면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면이 지지브래킷(396)의 만곡진 부위를 타고 넘게 되면서 지지브래킷(396)과 함께 개폐도어(317)가 전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토션스프링은 보조브래킷(397)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핀(398)을 통해 하나 이상 설치되며, 토션스프링의 일측은 보조브래킷(397)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396)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지지브래킷(396)의 회전에 따라 토션스프링이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350)는 전술한 조리부(300)의 제2조리공간(302)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351)과, 왕복이동플레이트(352)와, 인덕션조리대(360)와, 이송가이드(357)와, 이송연결부재(354)와, 구동모터(358)와, 크랭크부재(356)와, 개폐도어(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51)은 전술한 제2조리공간(302)의 대향된 내부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수평 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52)는 양측면이 가이드레일(3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되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는 제2조리공간(302)의 내외부를 출입하게 된다.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상면 중심에 안착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구멍을 통해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놓여 진다.
안착구멍은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즉석식품 조리용기와 상응하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하부에는 인덕션조리대(360)가 설치되며, 인덕션조리대(360)는 세라믹유리판(361)과 인덕션코일(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라믹유리판(361)은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라믹유리판(361)의 중심과 안착구멍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다.
왕복이동플레이트(352)와 세라믹유리판(361)의 상하 간격은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안착구멍에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안착될 때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세라믹유리판(361)에 접면될 필요가 있다.
세라믹유리판(361)의 하부에는 인덕션코일(362)이 설치되며, 이러한 인덕션코일(362)은 세라믹유리판(361)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시켜준다.
여기서, 즉석식품 조리용기에는 인덕션코일(36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유도 가열될 수 있도록 유도가열체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연결부재(354)가 설치되며, 이송연결부재(354)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355)이 관통 형성되고, 이송연결부재(354)와 왕복이동플레이트(352)는 서로 마주하는 이송가이드(357)를 통해 연결된다.
왕복이동플레이트(352)는 제2조리공간(302) 내부와 외부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제2조리공간(302)의 후방에 브래킷을 통해 구동모터(358)가 설치되고, 구동모터(358)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면서 클러치부재(390)와 연결되며, 클러치부재(390)의 저면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크랭크부재(356)의 일측이 연결되고, 크랭크부재(356)의 타측은 전술한 이송연결부재(354)의 상면 안내공(355)에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58)가 작동되면 클러치부재(390)의 회전을 통해 클랭크부재(356)의 일측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부재(356)의 타측에 링크 결합된 이송연결부재(354)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되며, 이송연결부재(354)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이송가이드(357)의 안내를 받으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전후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이동 거리 조정은 일 예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이동 선상에 위치한 리미트스위치가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이동을 감지하고, 리미트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가 이를 판단하여 구동모터(35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구동모터(358)와 연결된 클러치부재(390)의 상부에 구동모터(358)의 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디스크(380)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380)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포토센서(381)를 함께 설치하여 구동모터(360) 축의 회전수를 포토센서(381)가 감지한 후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358)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구동모터(358)가 구동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왕복 이동될 때 의도하지 않은 상황으로 갑자기 멈추게 되면 구동모터(358)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이때 클러치부재(390)의 슬립 작용을 통해 구동모터(358)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부재(390)의 실시 예로는 크랭크부재(356)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391)과, 그러한 하우징(39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92)가 구성되고, 커버(392)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동모터(358)의 축 단부와 크랭크부재(356)의 일측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평상시에는 구동모터(358)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56)에 그대로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356)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 연결부재가 슬립되면서 구동모터(358)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56)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2조리공간(302)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제2조리공간(302)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도어(370)가 설치된다.
개폐도어(370)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와 연결된 보조브래킷(397)에 토션스프링과 함께 힌지 형태로 조립되며,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70)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쪽을 향해 회전되면서 제2조리공간(302)이 개방되며, 이때 토션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개폐도어(37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70)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은 다시 폐쇄된다.
개폐도어(370)의 안쪽에는 토션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지지브래킷(396)이 설치되며, 지지브래킷(396)은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돌출된 전면과 접면되는 부위가 왕복이동플레이트(352)를 향하여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전진하게 되면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전면이 지지브래킷(396)의 만곡진 부위를 타고 넘게 되면서 지지브래킷(396)과 함께 개폐도어(370)가 전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토션스프링은 보조브래킷(397)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드핀(398)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토션스프링의 일측은 보조브래킷(397)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396)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지지브래킷(396)의 회전에 따라 토션스프링이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팀을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본체(100)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작이나, 음성인식이나, 카메라나, 센서 및 코드 인식장치 등을 통해 조리하고자 하는 스팀 조리용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인식시키면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에 의해 개폐도어(317)가 앞쪽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이 개방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1조리공간(301)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스팀조리 받침대(330)에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안착시키면 자동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작 등에 의한 수동으로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앞쪽으로 회전되어 있던 개폐도어(317)가 원위치가 되면서 제1조리공간은 폐쇄된다.
이후, 설정된 조리 매뉴얼에 따라 스팀노즐(250)이 하강되어 첨예부(251)가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관통되면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팀노즐(250)을 거쳐 분사공(252)을 통해 스팀이 일정시간 동안 분사되면 분사된 스팀에 의해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이다.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폐도어(317)가 열리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제1조리공간(301)의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스팀조리 받침대(330)로부터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꺼낸 후 덮개를 제거한 다음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된다.
그리고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본체(100)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작이나, 음성인식이나, 카메라나, 센서 및 코드 인식장치 등을 통해 조리하고자 하는 온수 가열용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인식시키면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에 의해 개폐도어(370)가 앞쪽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이 개방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2조리공간(302)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안착구멍에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안착시키면 자동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작 등에 의한 수동으로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앞쪽으로 회전되어 있던 개폐도어(370)가 원위치가 되면서 제2조리공간(302)은 폐쇄된다.
이후, 설정된 조리 매뉴얼에 따라 온수노즐(280)을 하강되어 첨예부(281)가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관통되면 첨예부(281)의 배출공(282)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노즐(280)을 거쳐 배출공(282)을 통해 온수가 일정시간 동안 분사된다.
그리고 온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인덕션조리대(360)에 구비된 인덕션코일(362)이 작동되면서 즉석식품 조리용기에 구비된 유도가열체가 발열되고, 그러한 발열을 통해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의 온수가 가열되면서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폐도어(370)가 열리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제2조리공간(302)의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안착구멍으로부터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꺼낸 후 덮개를 제거한 다음 즉석식품 조리용기 내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0 : 통합관리서버

Claims (8)

  1. 전방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각각 구비된 밀폐형스팀가열부와 밀폐형 인덕션가열부와,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즉석식품에 구비되는 감지부재를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상기 인식장치에 의해 감지된 즉석식품에 해당하는 레시피에 따라 스팀가열 또는 인덕션가열을 판단하여 가열조리기를 구동시키는 제어회로부와, 유무선 통신모듈을 가진 즉석식품 가열조리기; 및
    지역별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유무선 통신모듈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가 설치되는 가맹점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가맹점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의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및 품목내역등록을 수행하는 재고관리부와, 품목분류등록, 품목등록 및 품목단가등록을 수행하는 품목관리부와,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수행하는 주문관리부와, 배송 관리, 운임비 관리, 출고계획처리 및 거래명세서와 운송장 등록을 수행하는 배송관리부와, 영업망관리, 영업사원관리 및 영업활동분석을 수행하는 영업관리부와,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서비스 이력 조회 및 지시 관리를 수행하는 기기서비스관리부와, 고객의 즉석식품 메뉴 선택시 고객 연령 및 성별 입력 후 적립되는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바코드 리더로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바코드 리더에 의해 인식되는 14자리 바코드로서,
    상기 바코드의 1 내지 6번 자리는 음식일련번호를 나타내며, 7 및 8번 자리는 스팀 조리 또는 인덕션 조리를 지시하고, 9 및 10번 자리는 음식명을 지시하고, 11 및 12번 자리는 물량을 지시하고, 13 및 14번 자리는 조리 시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는 상기 음식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 콘텐츠 등록 및 광고 콘텐츠 서비스를 수행하는 광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광고관리부로부터 송신되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 가열조리기의 제어회로부와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즉석식품 레시피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즉석식품 레시피를 수신하고, 판매관련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에 저장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와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전송한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즉석조리 대기하고, 불일치하면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즉석조리 대기하는 단계;
    상기 즉석식품 레시피 정보에 따라 즉석조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즉석조리 수행 후, 즉석조리된 즉석식품 판매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즉석식품의 즉석조리 수행 전 고객의 연령 및 성별을 입력하면, 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통신망을 통해서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방법.
KR1020170034667A 2016-03-18 2017-03-20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70109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12 2016-03-18
KR20160032512 2016-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13A true KR20170109213A (ko) 2017-09-28

Family

ID=6003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667A KR20170109213A (ko) 2016-03-18 2017-03-20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2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51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5026B1 (ko) 2023-05-30 2023-11-23 주식회사 밥묵자 원격 주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간편 주문 조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51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5026B1 (ko) 2023-05-30 2023-11-23 주식회사 밥묵자 원격 주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간편 주문 조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3518B2 (en) System of food storage preparation and delivery in finished cooked state
US20210345458A1 (en) Integrated and Compartmentalized System and Method for Food Storage and Processing
CN105788081A (zh) 一种商用自助售卖烤饼机及烤饼制作方法
CN204066249U (zh) 一种物品信息透明化的冷链物流终端服务器
CN108700301A (zh) 用于食品存储和处理的集成和格间化系统
CN204091398U (zh) 多功能食品配送柜
KR20170109213A (ko) 스마트형 즉석식품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원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667025B1 (ko)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용 전자 테이블 장치
CN206773817U (zh) 自动服装售卖机及服装售卖系统
CN206039703U (zh) 生鲜售卖机
KR101978126B1 (ko) 음식 자동판매기
CN103530944A (zh) 一种售餐机
CN207186494U (zh) 一种智能水饺汤圆无人煮售机
ITTV20090083A1 (it) Unita' scalda fast food interfacciabile con un'apparecchiatura in situ per la distribuzione di fast food e sistema di somministrazione di fast food caldi
KR101492780B1 (ko) 즉석식품 조리장치 제어시스템
CN205563818U (zh) 一种商用自助售卖烤饼机
WO2022156433A1 (zh) 一种全自助售餐装置
CN106308612A (zh) 具有食品信息化周转和智能化温控加工功能的智能餐盒
EP3311129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cessing and monitoring food portions in a meal service chain
CN205405694U (zh) 一种带有恒温控制装置的自动货柜
WO2018222168A2 (en) Improvement of a toast vending machine system
CN208013804U (zh) 配送食品的存储柜
TWI634521B (zh) 販賣設備
TW202147261A (zh) 含湯食品自動販賣機
CN114693473A (zh) 一种无人现场自动制作和无人自动售卖的无人餐厅共享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