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559A -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8559A KR20170108559A KR1020160032662A KR20160032662A KR20170108559A KR 20170108559 A KR20170108559 A KR 20170108559A KR 1020160032662 A KR1020160032662 A KR 1020160032662A KR 20160032662 A KR20160032662 A KR 20160032662A KR 20170108559 A KR20170108559 A KR 20170108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vehicle
- power generation
- generator
- air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에 따라 루프에 장착된 풍력 발전장치가 작동되면서 차량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관통된 케이싱 장착공간(11)이 형성된 모듈프레임(10)과;
상기 모듈프레임(10)의 케이싱 장착공간(11)에 위치하여, 외경면의 연결대(21)가 모듈프레임(10)에 결속 고정되며, 내부는 관통된 형상을 갖고 전방 선단에 에어가이드부(2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싱(20)과;
원뿔형상이 전방으로 향하게 위치하고, 내부공간에 제너레이터가 구비된 나셀(31)이 고정대(33)를 이용해 케이싱(20)의 내경 중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나셀(31) 후방에는 제너레이터와 축 연결된 블레이드(32)가 조립되어, 케이싱(20)을 통과하는 바람에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제너레이터를 작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발전모듈(50)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모듈(50)을 다수개 구비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상기 각각의 발전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차량의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달성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관통된 케이싱 장착공간(11)이 형성된 모듈프레임(10)과;
상기 모듈프레임(10)의 케이싱 장착공간(11)에 위치하여, 외경면의 연결대(21)가 모듈프레임(10)에 결속 고정되며, 내부는 관통된 형상을 갖고 전방 선단에 에어가이드부(2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싱(20)과;
원뿔형상이 전방으로 향하게 위치하고, 내부공간에 제너레이터가 구비된 나셀(31)이 고정대(33)를 이용해 케이싱(20)의 내경 중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나셀(31) 후방에는 제너레이터와 축 연결된 블레이드(32)가 조립되어, 케이싱(20)을 통과하는 바람에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제너레이터를 작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발전모듈(50)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모듈(50)을 다수개 구비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상기 각각의 발전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차량의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에 따라 루프에 장착된 풍력 발전장치가 작동되면서 차량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과 같이 화석원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엔진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에너지를 에너지로 주행하게 되는데, 화석연료의 연소 시에 발생되는 공해에 의한 환경오염과 석유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내연기관의 가동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상기한 연소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엔진이 등장하여 주행의 편의성과 환경적 부담을 경감시켜 절충을 시도한 하이브리드 카(hybrid car)가 개발되었으나,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아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하이브리드 카는 화석연료 차량에서 전기에너지 차량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적으로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충,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근시일 내에 가능한 실정이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의 무절제한 이용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대기오염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대체방안으로 시작되어 꾸준히 개발 연구됨으로써, 가속, 등판, 주행, 최고속도에서 급속한 성능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점 실용성을 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거나 별도의 발전장치를 작동시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해 충전되는 축전지가 구비되어 있어, 축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차량 주행을 위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도 하지만 다른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 요소에도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종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은 축전지를 단순히 외부전원 및 발전장치에 충전시킬 수 밖에 없는 구성이므로, 차량용 축전지는 대용량이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장시간이 요구되었으며, 별도의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의 소모에 따른 비효율에 따라 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한 용량으로 충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실용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데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충전능력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부전원을 통해서 축전지의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면, 차량을 더 이상 운행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전기 자동차의 실용성은 그만큼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에 주행 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장치를 장착시켜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보호와 함께 차량의 주행거리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발전장치를 모듈화하여 축전지 용량 및 차량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로 간편하게 조립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된 바람을 이용하는 발전장치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더 구비시켜, 축전지의 충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관통된 케이싱 장착공간(11)이 형성된 모듈프레임(10)과;
상기 모듈프레임(10)의 케이싱 장착공간(11)에 위치하여, 외경면의 연결대(21)가 모듈프레임(10)에 결속 고정되며, 내부는 관통된 형상을 갖고 전방 선단에 에어가이드부(2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싱(20)과;
원뿔형상이 전방으로 향하게 위치하고, 내부공간에 제너레이터가 구비된 나셀(31)이 고정대(33)를 이용해 케이싱(20)의 내경 중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나셀(31) 후방에는 제너레이터와 축 연결된 블레이드(32)가 조립되어, 케이싱(20)을 통과하는 바람에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제너레이터를 작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발전모듈(50)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모듈(50)을 다수개 구비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상기 각각의 발전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차량의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달성한다.
또,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연속 배치된 다 수개의 발전모듈(50)은 모듈프레임(10) 하단에 완충부재(40)를 더 구비시켜 루프 상단과 모듈프레임(10)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되고, 케이싱(20)의 전방 선단에 형성된 에어가이드부(22)는, 연속 배치되는 다 수개의 발전모듈(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에어가이드부(22)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에어가이드부(22)가 순차적으로 확장되는 높이차를 갖고 구성된다.
또한, 차량의 루프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각각의 발전모듈(50)은, 전방에 배치된 케이싱(20)과 후방에 배치되는 다른 케이싱(20)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벌어지면서 모듈프레임(10)이 각각 결합되고, 모듈프레임(10)의 상부면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되는 태양광패널(6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의 에어가이드부(22)는 전방 선단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부(22) 내면에는 유입되는 바람을 중심방향으로 유도하는 나선형 가이드돌기(22a)를 성형하고, 발전모듈(50)의 나셀(31)은 전방 원뿔형상면에 유입되는 바람을 외경방향으로 유도하는 나선돌기(31a)를 더 성형시켜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을 운행하면서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된 제너레이터의 축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풍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축전지를 충전시킴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운행거리를 비약적으로 연장할 수 있어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을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상의 상부에 설치해 축전지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해 사용범위의 확장시킬 수 있으면서, 축전지 용량 및 루프패널 크기와 면적에 맞춰 발전모듈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풍력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모듈의 상부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를 더 구비시켜, 차량 정지 상태에서도 전기를 생산해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차량에 장착한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발전모듈을 횡 방향으로 연속설치한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차량에 장착한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발전모듈을 횡 방향으로 연속설치한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인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는, 차량 주행에 따라 루프에 장착된 풍력 발전장치가 작동되면서 차량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의 작동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모듈프레임(10) 내부의 케이싱 장착공간(11)에 풍력발전기(30)가 포함된 케이싱(20)이 고정설치된 하나의 발전모듈(50)이 차량의 루프패널의 가로, 세로 길이에 대응해 1개 이상 연속해 설치되고, 상부에는 태양광패널(60)을 더 장착시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모듈프레임(10)은 가로 세로 파이프를 이용해 함체 형상을 갖게 조립되며,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모듈프레임(10)과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구는 분리된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공지(公知)된 브라켓, 연결편 및 직접 체결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게 한 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모듈프레임(10)을 조립하면, 내부에는 케이싱 장착공간(11)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케이싱 장착공간(11) 내부에 외경면에 연결대(21)가 구비된 케이싱(20)이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대(21)가 모듈프레임(10)의 파이프에 용접 등의 작업으로 결속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20)은, 내부에 관통된 공간을 갖고 전방 선단 즉, 바람이 유입되는 전방 선단에 에어가이드부(22)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어, 차량 주행 시 바람이 에어가이드부(22)를 통해 더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부(22)에는, 전방 선단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나선형 가이드돌기(22a)를 성형하여, 상기 에어가이드부(22) 내면에 부딪쳐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을 나선회전(예: 회오리)시키면서 중심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입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30)가 구비되는데, 상기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公知)된 기술내용이므로 자세한 내부구성 및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풍력발전기(30)의 구성에서 제너레이터(미 도시)를 내부공간에 구비한 나셀(nacelle)(31)의 형상을 원뿔형상으로 하고, 상기 원뿔 선단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인 전방으로 향하게 위치시키면서, 상기 나셀(31)의 외경면과 케이싱(20) 내경면을 고정대(33)의 양단부가 상호 결속되게 한다.
이때, 상기 나셀(31)은 원뿔 형상을 포함해 케이싱(20)의 내경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당연하며, 상기 나셀(31) 후방에는 제너레이터와 축 연결된 블레이드(32)가 조립되어, 케이싱(20)을 통과하는 바람에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제너레이터를 작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되게 한다.
여기에, 상기 나셀(31)의 전방 원뿔형상면에는 유입되는 바람이 부딪치면서 외경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나선돌기(31a)를 더 성형시킴으로써, 바람의 유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듈프레임(10)내부에 케이싱(20)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20)내부에 풍력발전기(30)가 포함되어 구성된 하나의 발전모듈(50)은, 차량의 루프패널(R)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면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되므로, 모듈프레임(10) 하단에 완충부재(40)를 더 구비시켜 루프 상단과 모듈프레임(10)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되게 한다.
상기 완충부재(40)는 내부에 탄성스프링 또는 완충폼 등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부는 모듈프레임(10)과 결합되고, 하부는 루프패널(R)과 결합되어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발전모듈(50)을 구성하여 풍력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면서도, 모듈프레임(10) 상부에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패널(60)을 더 장착하여 전기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광패널(60)은 충격 등에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나, 완충부재(40)를 통해 발전모듈(50)이 완충됨으로서 태양광패널(60)에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모듈프레임(10)과 태양광패널(60)의 결합부에 완충부재(40)를 더 위치시켜 결합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발전모듈(50)의 풍력발전기(30)와 태양광패널(60)을 이용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축전지(미도시)를 충전하게 되어, 차량 주행에 필요한 구동모터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여러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 요소에도 공급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예를 첨부된 도2 내지 4를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인 발전장치를 차량에 루프패널(R) 상부에 장착한 설치 상태도로서, 풍력발전기(30)를 포함해 구성된 발전모듈(50)을 루프패널(R)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면서 모듈프레임(1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각각의 발전모듈(50)에서 전기에너지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해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하며, 차량의 축전지 용량 및 루프패널 크기와 면적에 맞춰 발전모듈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발전모듈(50)은, 도면상 좌측부터 차량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어 도면상 우측을 통해 배출되면서, 케이싱(20)내부에 구비된 블레이드(32)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32)와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풍력발전기(30)의 블레이드(32)는 제너레이터 축에 중심이 고정되고, 케이싱(20)의 내경면에 지지되어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보팬 방식과 제너레이터 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겸용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좌측에 위치한 발전모듈(50)의 에어가이드부(22)는 최소 직경을 갖고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어 최우측에 위치하는 발전모듈(50)의 에어가이드부(22)는 모듈프레임(10)내에서 최대직경을 갖게 형성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발전모듈(50)의 에어가이드부(22)는 상기 최소 직경에서 최대 직경 까지 순차적으로 확장된 높이를 갖고 성형된다.
따라서, 차량 루프패널(R) 상부에 완충부재(40)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각각 결합구성된 발전모듈(50)에 차량 주행에 따라 바람이 유입되면 도면 상 최좌측의 발전모듈(50)에 구비된 블레이드(32)를 최초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블레이드(32)를 회전시킨 바람이 후방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발전모듈(50) 후방에 위치한 다른 발전모듈(50)의 케이싱(20)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최좌측 발전모듈(50)의 케이싱(20)에 형성된 최소직경의 에어가이드부(22)를 통해 케이싱(20) 외부로 통과하는 바람을 케이싱 내부로 유도해 바람의 량을 증대시켜 블레이드(32)의 회전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에어가이드부(22)의 내경면에 경사진 나선형 가이드돌기(22a)를 성형하여, 상기 에어가이드부(22) 내면에 부딪쳐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을 나선회전시키면서 중심방향으로 유도하여 바람의 유입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 및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풍력발전기(30)의 원뿔형 나셀(31) 표면에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이 부딪치면서 외경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나선돌기(31a)를 더 성형하여, 상기 유입된 바람이 나셀(31)의 원뿔면에 부딪쳐 나선돌기(31a)를 타고 외측으로 나선회전시키면서 이동하여 바람의 유입속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된 바람이 도면 상 최좌측에 위치한 하나의 발전모듈(50)을 동작시킨 다음에는 상기 발전모듈(50)의 케이싱(20) 통해 배출되어, 그 후방에 위치한 다른 발전모듈(50)의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
이때, 다른 발전모듈(50)의 케이싱(20) 내부에 유입되는 바람은 최좌측에 위치한 발전모듈(50)에서 블레이드(32)를 작동시켜 초기보다 속도에너지가 소폭 감소된 상태이지만,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고 있지만 여기에 더하여, 상기 최좌측의 에어가이드부(22) 보다 확장된 에어가이드부(22)를 통해 최좌측의 에어가이드부(22) 외측으로 통과한 바람이 확장된 그 다음 에어가이드부(22)에 부딪쳐 내측으로 유도되어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면서, 바람의 량과 속도를 더 증대시켜 블레이드(32)를 회전시켜 발전되게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발전모듈(50)이 루프패널(R)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치되어 장착되고,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최초 케이싱(20) 내부로 통과하며 블레이드(32)를 회전시킨 바람은 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후방 케이싱(20) 내부에 유입되게 하면서, 동시에 전방 케이싱(20)의 외측으로 통과한 바람이 에어가이드부(22)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여 블레이드(32)를 회전시키는 바람의 량과 속도를 증대시키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루프패널(R)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치된 각각의 발전모듈(50)의 블레이드(32)를 모두 회전시키면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차량 내부에 구비된 축전지의 충전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모듈(50)의 모듈프레임(10)과 내부에 장착된 케이싱(20)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케이싱 전방에 형성되는 에어가이드부(22)는 전방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에어가이드부(22)가 더 확장된 높이차를 갖고 형성되게 하며, 전방 케이싱과 후방 케이싱의 간격은 상기 확장된 에어가이드부(22)에 의해 순차적으로 벌어지게 위치시켜, 상기 에어가이드부(22)를 통해 일정 량의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모듈(50)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포함해, 차량이 정지된 상태 및 주행 중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모듈(50) 상부에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태양광패널(60)을 더 장착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패널(60)의 구성은 이미 일반적으로 공지(公知)된 내용이므로 내부구성 및 작동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태양광패널(6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풍력 발전모듈(5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같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축전지의 충전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게 한다.
여기에, 상기 발전모듈(50)의 모듈프레임(10) 상부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 및 폼 등을 이용한 완충부재(40)를 구비시킨 다음 태양광패널(60)을 상기 완충부재(40) 상부에 장착하여 진동 및 충격에도 완충되어 태양광패널(6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모듈프레임
20. 케이싱
21. 연결대 22. 에어가이드부
22a. 나선형 가이드돌기 30. 풍력발전기
31. 나셀 31a. 나선돌기
32. 블레이드 33. 고정대
40. 완충부재 50. 발전모듈
60. 태양광패널
21. 연결대 22. 에어가이드부
22a. 나선형 가이드돌기 30. 풍력발전기
31. 나셀 31a. 나선돌기
32. 블레이드 33. 고정대
40. 완충부재 50. 발전모듈
60. 태양광패널
Claims (7)
- 내부에 관통된 케이싱 장착공간(11)이 형성된 모듈프레임(10)과;
상기 모듈프레임(10)의 케이싱 장착공간(11)에 위치하여, 외경면의 연결대(21)가 모듈프레임(10)에 결속 고정되며, 내부는 관통된 형상을 갖고 전방 선단에 에어가이드부(2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싱(20)과;
원뿔형상이 전방으로 향하게 위치하고, 내부공간에 제너레이터가 구비된 나셀(31)이 고정대(33)를 이용해 케이싱(20)의 내경 중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나셀(31) 후방에는 제너레이터와 축 연결된 블레이드(32)가 조립되어, 케이싱(20)을 통과하는 바람에 블레이드(32)가 회전하면서 제너레이터를 작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발전모듈(50)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모듈(50)을 다수개 구비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상기 각각의 발전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차량의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 상부에서 연속 배치된 다 수개의 발전모듈(50)은 모듈프레임(10) 하단에 완충부재(40)를 더 구비시켜 루프 상단과 모듈프레임(10)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20)의 전방 선단에 형성된 에어가이드부(22)는, 연속 배치되는 다 수개의 발전모듈(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에어가이드부(22)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에어가이드부(22)가 순차적으로 확장되는 높이차를 갖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각각의 발전모듈(50)은, 전방에 배치된 케이싱(20)과 후방에 배치되는 다른 케이싱(20)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벌어지면서 모듈프레임(10)이 각각 결합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모듈프레임(10)의 상부면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되는 태양광패널(60)이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20)의 에어가이드부(22)는 전방 선단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부(22) 내면에는 유입되는 바람을 중심방향으로 유도하는 나선형 가이드돌기(22a)를 성형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발전모듈(50)의 나셀(31)은 전방 원뿔형상면에 유입되는 바람을 외경방향으로 유도하는 나선돌기(31a)를 더 성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662A KR20170108559A (ko) | 2016-03-18 | 2016-03-18 |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662A KR20170108559A (ko) | 2016-03-18 | 2016-03-18 |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559A true KR20170108559A (ko) | 2017-09-27 |
Family
ID=6003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662A KR20170108559A (ko) | 2016-03-18 | 2016-03-18 |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0855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2732A (ko) * | 2019-06-04 | 2021-10-12 | 구근회 | 터널식 풍력 발전기 |
KR102383543B1 (ko) * | 2021-07-09 | 2022-04-08 | 현관해 | 풍력 발전장치 |
KR20230014417A (ko) * | 2021-07-21 | 2023-01-30 | 주식회사 청년의꿈 | 회전풍력 및 원심력의 수축, 확장을 이용한 풍압발전기 |
-
2016
- 2016-03-18 KR KR1020160032662A patent/KR201701085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2732A (ko) * | 2019-06-04 | 2021-10-12 | 구근회 | 터널식 풍력 발전기 |
KR102383543B1 (ko) * | 2021-07-09 | 2022-04-08 | 현관해 | 풍력 발전장치 |
WO2023282532A1 (ko) * | 2021-07-09 | 2023-01-12 | 현관해 | 풍력 발전장치 |
KR20230014417A (ko) * | 2021-07-21 | 2023-01-30 | 주식회사 청년의꿈 | 회전풍력 및 원심력의 수축, 확장을 이용한 풍압발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11905B1 (en) | Vehicle-mounted generator | |
US20080272603A1 (en) | Wind-driv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 |
WO2008121378A1 (en) | Wind-driv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170108559A (ko) |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차량 루프 장착용 발전장치 | |
JP2012116461A (ja) | 自動車の高電圧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 |
JP2019512996A (ja) | 風力発電機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 |
KR20130072568A (ko) |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 |
US20160311331A1 (en) | Energy Generating and Storag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
US8410628B1 (en) | Vehicle mounted energy airflow conversion apparatus | |
US20090314567A1 (en) | Electric power tunnel apparatus | |
JP2011169297A (ja) | 風力発電電気自動車 | |
CN103231660A (zh) | 一种带有自然风驱动自动充电供电装置的电动车 | |
KR101632396B1 (ko) | 공기저항을 이용한 차량의 항력 발전시스템 | |
US20120187685A1 (en) | Air driven electric generator for charging a battery | |
US8581473B2 (en) | System for using the air pressure acting on a vehicle in motion to produce energy | |
JP3169807U (ja) | 風力発電ユニットを備えた電気自動車 | |
KR20130031717A (ko) |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수반되는 풍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발전시스템 | |
CN104029600A (zh) | 一种纯电动汽车专用风光互补自发电技术 | |
KR102366540B1 (ko) | 풍력발전장치를 내장한 에어 디플렉터 | |
RU2480349C1 (ru) | Роторна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EP1803603A2 (en) | Automobile vehicle driven by electrical power | |
KR20190019881A (ko) | 주행풍 발전기를 구비한 주행장치의 기어박스 | |
US20120038159A1 (en) |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 |
JP5538133B2 (ja) | 車両の冷却構造 | |
KR101650252B1 (ko) | 수평축과 수직축을 가진 풍력 발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