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480A -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480A
KR20170108480A KR1020160032454A KR20160032454A KR20170108480A KR 20170108480 A KR20170108480 A KR 20170108480A KR 1020160032454 A KR1020160032454 A KR 1020160032454A KR 20160032454 A KR20160032454 A KR 20160032454A KR 20170108480 A KR20170108480 A KR 2017010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terproof layer
fixing
installation ho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흥창
이동하
Original Assignee
현흥창
이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흥창, 이동하 filed Critical 현흥창
Priority to KR102016003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480A/ko
Publication of KR2017010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상으로 성형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이 관통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체에 시공된 방수층이 토사 되메우기 시 토사에 의해 손상되고, 토사 되메우기가 끝난 후, 지반이 점차 침하는 침하력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거나 동반하여 흘러내림으로써, 방수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외측에 방수층 보호용 보호재를 시공하는 데, 이때 시공되는 보호재도 토사되메우기 후 지반침하 시 결국 동반침하되며, 이에 따라, 보호재와 맞닿아 있는 방수층도 보호재에 의해 끌려내려가거나 결국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Protection pannel for waterproofing and protection pa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wire-tension}
본 발명은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체에 시공된 방수층이 토사 되메우기 시 토사에 의해 손상되고, 토사 되메우기가 끝난 후, 지반이 점차 침하는 침하력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거나 동반하여 흘러내림으로써, 방수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외측에 방수층 보호용 보호재를 시공하는 데, 이때 시공되는 보호재도 토사되메우기 후 지반침하 시 결국 동반침하되며, 이에 따라, 보호재와 맞닿아 있는 방수층도 보호재에 의해 끌려내려가거나 결국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지하차도, 전력구, 공동구, 개착식 터널 등의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건물의 지하 외벽면,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건물 옥상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처리를 위한 종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지하철 또는 지하차도 등과 같이 지하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적쌓기를 실시하며,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면은, 고무화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수자재로 방수시공을 한 후,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멘트 벽돌쌓기를 하거나,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등의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위에 부착하고, 후속공정으로 모래 또는 흙과 돌멩이 등의 잡석이 뒤섞인 토사 되메우기작업으로 마감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 중 방수층 보호벽돌 쌓기 작업방법은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왔던 방수층 보호공법으로서, 시멘트 벽돌의 견고성으로 토사 되메우기 작업시, 토압에 의한 방수층 파손 우려가 적어 방수층 보호역할은 우수한 반면에 좁은 지하의 작업공간에서 벽돌쌓기 작업의 어려움과 시공 인건비의 과다소요 및 작업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이나 상부 슬라브면의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층 보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방법은 방수층 보호역할은 우수하나 시공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멘트 몰탈의 양생기간 동안 후속공정의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수층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방수층 보호몰탈 타설이나 방수층 보호 시멘트 벽돌쌓기의 문제점에 대한 대체방안으로서 최근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를 방수층에 부착시키되, 후속공정으로 바닥면의 경우에는 누름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고, 상부 슬라브면이나 벽체면의 경우에는 토사 되메우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한 각종 폼보드 방수층 보호재는 설치가 간편하며, 재질자체가 소정의 탄성이 있어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벽체면에 폼보드 설치 후 토사 되메우기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사의 압력에 의해 상기 폼보드가 방수층과 분리되어 파단되고, 이 결과 상기 방수층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아울러, 토사 되메우기 작업중 보호재(1)가 도 1a와 같이 손상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되어 지반이 침하하게 되면, 토사의 침하압력이 보호재(1)에 작용되어 도 1b와 같이 보호재(1)가 흘러내리거나 지반침하와 동반하여 동반침하게 되며, 이때, 방수층(2)에 시공된 보호재(1)가 방수층(2)을 끌고 흘러내리기 때문에 방수층(2)이 콘크리트 구조체(3)로부터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3)에서 방수층(2)이 탈락되거나 찢어져 빈 공간(4)이 형성되면, 이 부분으로 침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으로 경량의 패널형 보호재를 구성하여 운반, 운송 및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보호패널간 상호 요철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면서 와이어 및 와이어의 텐션을 이용하여 상하좌우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결속력과 구속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강력한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하여 보호재 시공 후 지반침하시 보호패널의 동반침하 문제가 해결되게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패널의 결합부위가 긴밀하게 밀착 또는 접착되게 함으로써, 지반으로부터 방수층으로 침투되는 습기나 물기를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보호패널 자체적 특성인 단열성능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결로현상과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상으로 성형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리고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판상의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성형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형성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판상의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성형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형성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상기 방수층 보호패널(10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된 와이어(130)가 최하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경유하여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와이어(130)가 재삽입되어 최상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와이어(130)가 관통되게 하되,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되는 와이어(130)에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이 삽입되게 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외벽 하단에 돌출된 받침턱(10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부재(140)를 고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받침턱(104)에 고정설치되면,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상단에 판상의 고정부재(150)를 안착시키되,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 일측 설치공(112a)과 타측 설치공(112b)으로 돌출 또는 관통된 와이어(130)가 고정부재(150)에 형성된 결속공(152)으로 각각 삽입관통되게 하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와이어(130)의 끝단을 상향으로 잡아당긴 후 와이어의 고정수단으로 베이스부재(140)와 고정부재(150)사이에서 와이어(130)가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2)에 설치고정된 고정앵커(160)에 와이어(130)의 끝단을 결속고정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방수층(106) 외측에 기립설치된 후, 토사 되메우기 작업이 실시된 후 일정 시간 또는 기간이 경과되면, 고정부재(150)의 상단에서 결속고정된 와이어(130)를 풀고, 와이어(130)를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방수층(106) 외측에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기립설치되면, 제1단계에 의한 또 다른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을 상기 기립설치된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으로 연계설치되도록 제2단계, 제3단계, 제4단계를 반복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상단에 고정공(14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144)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상기 바디부(110)의 설치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공(142)이 형성되며, 판상의 경질재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 지름보다 큰 받침부(172)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각의 결속공(152) 상부로 돌출된 와이어(13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라운드형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받침부(172)에는 체결공(174)이 각각 형성된 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175)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175)의 체결공(1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76) 및 고정너트(17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 개의 스터드볼트(182)가 삽입되도록 결합공(186)이 형성되고, 결합공(186)으로 삽입 후 돌출되는 스터드볼트(182)에 스터드너트(184)를 체결하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설치고정되어 고정부재(150)의 상단을 하향가압하여 받쳐주도록 된 받침브라켓(188)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를 삽입한 후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관통되게 한 후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게 하여 최상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관통되게 하되,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 일측 설치공(112a)을 관통하여 타측 설치공(112b)으로 삽입되는 와이어(130)에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이 삽입되게 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수직으로 정렬되면서 적층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지그재그로 교차되면서 적층배열되도록 어느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과 그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이 수직선상에 정렬되도록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면, 그 하부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에는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게 하며,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관통된 와이어(130)는 최하단의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삽입된 후 수직선상에 배열된 설치공(112)을 상향으로 관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수층 보호패널을 경량의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으로 구성하여 운반, 운송 및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EPS 패널간 상호 요철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면서 와이어 및 와이어의 텐션을 이용하여 상하좌우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결속력과 구속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강력한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하여 토사 되메우기 시 토사로부터 방수층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방수층 보호패널을 적층시공하는 보호재 시공 후 지반침하가 발생할 경우에도 보호패널의 견고한 결합력과 기립유지력에 의하여 지반과 함께 동반침하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시공 후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로 이루어진 방수층 보호패널은 결합부위가 부틸테이프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지반으로부터 방수층으로 침투되는 습기나 물기를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EPS 패널 자체적 특성인 단열성능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결로현상과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방수층 보호재 시공 후의 상태 및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의 적층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이 방수층 보호재로서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이 방수층 보호재로서 시공된 상태로서 와이어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의 적층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수층(106)을 보호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이하, EPS 패널이라 함),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성형될 수 있으며, 특히, 발포 폴리스틸렌 보호패널의 바디부(110)를 EPS(Expanded Poly Styrene)로 성형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을 구성할 경우, 이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건물 구조체의 역할을 겸할 수 있을 만큼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가볍기 때문에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EPS 패널은 자소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지닌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을 단열재로 한 대표적인 조립식 단열패널로 활용되는 것으로, 단열효과가 뛰어나 붉은 벽돌의 2.5배, 콘크리트의 49배나 되는 우수한 단열효과로 건물의 유지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건축자재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106) 보호용 방수층 보호패널(100)을 각 실시예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상의 바디부(110)를 성형하고, 이 바디부(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는 수직방향을 향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을 관통형성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두 개의 설치공(112)을 형성하여 후술하게될 보호재 시공방법에서 와이어(130)에 의해 상, 하 방수층 보호패널(100)간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를 부착하는바, 이 버블시트(120)는 에어 포켓(air pocket) 또는 에어 셀(air cell)(122)이라 부르는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충격방지용으로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버블시트(120)가 부착된 면이 도 7과 같이 방수층(106)과 맞닿거나 인접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토사 되메우기 시 자칫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토사에 밀려 방수층(106)과 맞닿게 될 때, 충격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돌출된 에어셀만이 방수층(106)과 접촉하게 되므로 토사의 지반 침하력 발생 시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침하력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체적 마찰저항계수가 방수층 보호패널(100)보다 낮기 때문에 동반침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홈구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를 돌출성형하여 도 5와 도 7과 같이 인접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서로 요철결합되게 하여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 및 편중된 침하력 발생 시 이 침하력이 방수층 보호패널(100) 전체로 분산될 수 있게 하며, 상기한 요철결합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방수층(106) 보호재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도 도 5와 같이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을 형성하고, 이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도 제2결합요홈(115)에 대응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를 돌출성형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연계시공에 의한 방수층(106) 보호재 전체가 상하요철 결합구조와 좌우요철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를 홈구조로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홈부(118)에 끼워져 요철결합되도록 끼움돌부(119)를 돌출형성하여 도 9와 도 10과 같이 연계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하좌우측단 전체에 부틸테이프를 부착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서로 연접하여 연계설치될 때, 서로 맞닿는 부분이 부틸테이프에 의해 밀착되게 함으로써, 긴밀한 결합구조를 가지게 하고, 이에 따라, 토사 되메우기 후 지반에 포함된 물이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서로 연결된 부분으로 침투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방수층(106) 보호재가 단순히 방수층(106)을 보호하는 기능만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1차적인 방수재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이에 따라, 방수층(106)과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결로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106) 보호용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방수층(106) 외측에 시공되는 경질형 방수층(106) 보호재로서 토사 되메우기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분산하여 방수층(106)을 보호함은 물론 후술하게 될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에 의하여 방수층(106) 보호재로서 시공되면, 견고한 기립상태로 결합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토사 되메우기 후 지반이 침하될 때에도 동반하여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층(106)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버블시트(120)는 토사 되메우기 시 방수층 보호패널(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이 충격이 방수층(106)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주며, 지반 침하시 방수층 보호패널(100)로 전달되는 지반 침하력이 방수층(106)으로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토사 되메우기 후에도 방수층(106)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바디부(110)에는 수평방향으로 또 다른 설치공(112)을 성형하여 후술하게 될 방수층(106) 보호용 발포 폴리스틸렌 보호패널을 이용한 방수층(106) 보호패널 시공방법에서 방수층 보호패널(1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방수층 보호패널(100)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과 적어도 0개 이상의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 및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로 구분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성형된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된 와이어(130)가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성형된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된 후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관통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높이에 따라 배제될 수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한 개일 수도 있으며, 다수 개일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성형된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관통한 와이어(130)는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성형된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 하부로 재삽입되어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을 경유한 후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에 성형된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상향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30)는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관통된 후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에 삽입된 후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재삽입되게 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고정공(14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144)일 수도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설치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공(142)이 형성되고,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하단을 수용하되, 전면과 후면으로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림턱(140a)이 상향으로 돌출된 판상의 경질재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한 베이스부재(140)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견고하게 고정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므로, 그 구조가 본 발명에서 제시된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142)이 '┗┛'자 형으로 연통된 형상일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142)이 하부로 각각 관통형성되게 하고, 하부면에서는 이들 고정공(142)을 연결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개방된 상태의 구조로 성형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받침턱(104)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 상기한 와이어(130)가 상부에서 잡아당길 경우 받침턱(104)에서 탈락되지 않으면서 '┗┛'자형으로 결속된 와이어(130)가 베이스부재(140)에 의해 긴장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도 3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단계에 의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과 베이스부재(140)가 와이어(130)에 결속 또는 삽입된 상태로 구조가 완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외벽 하단에 돌출형성된 받침턱(10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베이스부재(140)를 고정하는 제2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40)를 고정하는 방법은 앵커볼트(144)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받침턱(104)에 고정설치되면,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상단에 판상의 고정부재(150)를 도 6과 같이 안착시키되,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과 타측 설치공(112b)으로 돌출 또는 관통된 와이어(130)는 고정부재(150)에 형성된 결속공(152)으로 각각 삽입관통되게 하는 제3단계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와이어(130)의 끝단은 상향으로 잡아당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부에 설치고정된 고정앵커(160)에 와이어(130)를 결속고정시키는 제4단계를 실시하되, 잡아당긴 와이어(130)는 와이어(130)의 장력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이때, 와이어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와이어(130)가 긴장된 상태에서 멈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의 고정수단은 고정브라켓(175), 고정볼트(176) 및 고정너트(178)로 구성되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75)은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 지름보다 큰 받침부(172)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받침부(172)에는 각각 체결공(174)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속공(152) 상부로 돌출된 와이어(13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라운드형 요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0)의 외경에 한 쌍의 받침부(172)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밀착되면, 한 쌍의 받침부(172)에 형성된 체결공(174)이 서로 동심원상으로 일치되므로, 이때, 이 체결공(174)으로 고정볼트(176)를 삽입시키고, 반대편에서 고정너트(178)를 체결시킴으로써, 한 쌍의 고정브라켓(175)이 와이어(130) 외경을 조이면서 와이어(130)의 외경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와이어(130)를 상향으로 잡아당겨 와이어(130)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고정브라켓(175)을 와이어(130)의 외경에 결합시키면, 와이어(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130) 자체에 하강하려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지만,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75)의 받침부(172)가 결속공(152)의 내경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고정브라켓(175)에 의하여 와이어(130)가 결속공(152) 하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긴장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와이어(130)에 의하여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서로 밀착된 구조로 견고한 결합력과 기립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의 고정수단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받침브라켓(188)을 고정설치하고, 이 받침브라켓(188)이 고정부재(150)의 상단을 하향가압하여 받쳐줌으로써, 와이어(130)의 텐션유지력 또는 긴장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브라켓(188)은,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 개의 스터드볼트(182)에 삽입되도록 결합공(186)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공(186)으로 스터드볼트(182)를 삽입시킨 후 돌출되는 스터드볼트(182)에 스터드너트(184)를 체결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102)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106) 보호용 발포 폴리스틸렌 보호패널을 이용한 방수층(106) 보호패널 시공방법에서는 도 5와 도 8, 도 9, 도 10과 같이 다양한 방법 및 조합으로 방수층 보호패널(100)을 적층시공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의 제1단계에서, 상기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를 삽입한 후 그 하부의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을 경유하여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관통되게 한다.
이때, 상기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을 관통한 와이어(130)는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에 삽입되게 한 후 다시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삽입되게 하고, 다시 중간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을 경유하여 최상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관통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로 와이어(130)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적층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106) 보호용 발포 폴리스틸렌 보호패널을 이용한 방수층(106) 보호패널 시공방법의 제1단계에서,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지그재그로 교차되면서 적층배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과 그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이 수직선상에 정렬되도록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면, 그 하부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에는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게 하며,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관통된 와이어(130)는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삽입된 후 수직선상에 배열된 설치공(112)을 상향으로 관통되게 하여 와이어(130)는 전체적으로 '┗┛'자의 구조로 설치되게 하지만, 수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은 벽돌을 조적하면서 적층하듯이 지그재그 또는 상하에서 서로 일부분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적층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은 끼움홈부(118)와 끼움돌부(119)가 서로 요철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은 물론 수평, 수직방향으로의 결합구조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가로방향으로도 설치공(112)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성형하고, 연접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의 가로방향 설치공(112)이 서로 연통될 수 있게 한 후, 이 가로방향 설치공(112)으로 와이어(130)를 삽입한 후, 어느 한 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와이어(130)를 조인 후 고정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연접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들간에도 긴밀한 밀착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100 : 방수층 보호패널
102 :콘크리트 구조체 104 : 받침턱
106 : 방수층 110 : 바디부
112 : 설치공 113 : 제1결합요홈
114 : 제1결합돌기 115 : 제2결합요홈
116 : 제2결합돌기 118 : 끼움홈부
119 : 끼움돌부 120 : 버블시트(Bubble sheet)
122 : 에어 셀(air cell) 130 : 와이어
140 : 베이스부재 142 : 고정공
144 : 앵커볼트 150 : 고정부재
152 : 결속공 160 : 고정앵커
172 : 받침부 174 : 체결공
175 : 고정브라켓 176 : 고정볼트
178 : 고정너트 182 : 스터드볼트
184 : 스터드너트 186 : 결합공
188 : 받침브라켓

Claims (22)

  1. 판상으로 성형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8. 판상의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성형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형성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12. 판상의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 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성형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2)이 형성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에어 셀(air cell)(122)이 돌출형성된 버블시트(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요홈(113)과;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요홈(113)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114)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요홈(115)과;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제2결합요홈(11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116)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 홈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118)와;
    상기 바디부(110)의 타측단과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홈부(118)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1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상단, 하단, 일측단,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부틸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패널.
  14. 제1항, 제8항, 제12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수층 보호패널(10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된 와이어(130)가 최하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경유하여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와이어(130)가 재삽입되어 최상단에 배치되는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와이어(130)가 관통되게 하되,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어느 하나의 설치공(112)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설치공(112)으로 삽입되는 와이어(130)에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이 삽입되게 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외벽 하단에 돌출된 받침턱(10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부재(140)를 고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받침턱(104)에 고정설치되면,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상단에 판상의 고정부재(150)를 안착시키되,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 일측 설치공(112a)과 타측 설치공(112b)으로 돌출 또는 관통된 와이어(130)가 고정부재(150)에 형성된 결속공(152)으로 각각 삽입관통되게 하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와이어(130)의 끝단을 상향으로 잡아당긴 후 와이어의 고정수단으로 베이스부재(140)와 고정부재(150)사이에서 와이어(130)가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2)에 설치고정된 고정앵커(160)에 와이어(130)의 끝단을 결속고정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방수층(106) 외측에 기립설치된 후, 토사 되메우기 작업이 실시된 후 일정 시간 또는 기간이 경과되면, 고정부재(150)의 상단에서 결속고정된 와이어(130)를 풀고, 와이어(130)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방수층(106) 외측에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기립설치되면, 제1단계에 의한 또 다른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을 상기 기립설치된 방수층 보호패널(100)들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으로 연계설치되도록 제2단계, 제3단계, 제4단계를 반복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상단에 고정공(14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1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상기 바디부(110)의 설치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공(142)이 형성되며, 판상의 경질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150)의 결속공(152) 지름보다 큰 받침부(172)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각의 결속공(152) 상부로 돌출된 와이어(13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라운드형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받침부(172)에는 체결공(174)이 각각 형성된 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175)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175)의 체결공(1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76) 및 고정너트(1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 개의 스터드볼트(182)가 삽입되도록 결합공(186)이 형성되고, 결합공(186)으로 삽입 후 돌출되는 스터드볼트(182)에 스터드너트(184)를 체결하면, 콘크리트 구조체(102)의 상단에 설치고정되어 고정부재(150)의 상단을 하향가압하여 받쳐주도록 된 받침브라켓(18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를 삽입한 후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으로 관통되게 한 후 최하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게 하여 최상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관통되게 하되,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 일측 설치공(112a)을 관통하여 타측 설치공(112b)으로 삽입되는 와이어(130)에 베이스부재(140)의 고정공(142)이 삽입되게 하여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수직으로 정렬되면서 적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방수층 보호패널(100)이 지그재그로 교차되면서 적층배열되도록 어느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설치공(112a)과 그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설치공(112b)이 수직선상에 정렬되도록 최상단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면, 그 하부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에는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와이어(130)가 삽입되게 하며, 최하단의 방수층 보호패널(100)의 일측 또는 타측 설치공(112b)으로 관통된 와이어(130)는 최하단의방수층 보호패널(100)의 타측 또는 일측 설치공(112a)으로 삽입된 후 수직선상에 배열된 설치공(112)을 상향으로 관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KR1020160032454A 2016-03-18 2016-03-18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KR20170108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54A KR20170108480A (ko) 2016-03-18 2016-03-18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54A KR20170108480A (ko) 2016-03-18 2016-03-18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480A true KR20170108480A (ko) 2017-09-27

Family

ID=6003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54A KR20170108480A (ko) 2016-03-18 2016-03-18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4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7000A (zh) * 2018-01-30 2018-06-15 中铁二十二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横向加强型橡胶止水带
KR102458621B1 (ko) * 2022-06-03 2022-10-25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상과 벽면 모서리 방수 시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7000A (zh) * 2018-01-30 2018-06-15 中铁二十二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横向加强型橡胶止水带
KR102458621B1 (ko) * 2022-06-03 2022-10-25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상과 벽면 모서리 방수 시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3B2 (en)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JP5113342B2 (ja) 盛土構造物
KR100659599B1 (ko)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20170108480A (ko) 방수층 보호패널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방수층 보호패널 시공방법
KR20050005877A (ko) 가설용 흙막이 및 그 설치방법
WO2015186969A1 (ko) 편평율이 작은 대단면 터널의 선형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2186472B1 (ko) 차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06116942A (ja) 自立山留壁の構築法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522821B1 (ko)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시공 방법
KR101903286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의 시공방법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21368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구조체
JP4293126B2 (ja) 盛土用の面状材付き発泡樹脂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軽量盛土構造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JP2922054B2 (ja) タイル張設構築物
JP2001241052A (ja) 地下室の防水工法及び地下室の防水構造
JP7045953B2 (ja) 軽量盛土工法における残存型枠パネルの設置方法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JP2006138157A (ja) 軽量盛土および軽量盛土用発泡樹脂ブロック
KR100582985B1 (ko) 맨홀의 보강 구조물
KR102400508B1 (ko)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8223371A (ja) 既設建築物に対する壁施工構造
KR101530601B1 (ko)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