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450A -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450A
KR20170107450A KR1020177020562A KR20177020562A KR20170107450A KR 20170107450 A KR20170107450 A KR 20170107450A KR 1020177020562 A KR1020177020562 A KR 1020177020562A KR 20177020562 A KR20177020562 A KR 20177020562A KR 20170107450 A KR20170107450 A KR 2017010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
stopper
ba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95B1 (ko
Inventor
야스유키 가지하라
히데나리 쇼지
마사미치 오쿠바타
후미토 우에스기
류타 가즈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ublication of KR2017010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7Inlet or outlet ports with friction fit, e.g. connecting tubes directly to a protruding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31Permanent type, e.g. welded or glu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의 어느쪽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를 가지는 포트 본체의 상기 피봉지부에 중공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것과,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는 것과,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2015-00948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약액을 수용하는 백(bag) 본체에 장착되는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포트를 포함하는 약액백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약액(예를 들면, 약제를 함유하는 액이나, 영양제를 함유하는 액 등)을 수용하는 약액백이 제공되고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백(4)은, 내부에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40)와, 상기 백 본체(40)에 장착되는 포트(41)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백 본체(4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 부재(400)를 가진다. 한 쌍의 시트 부재(400)의 외주 에지부는, 서로 용착(溶着)되어 있다.
포트(4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中空)침을 자통(刺通) 가능한 봉지(封止) 마개(410)와, 상기 봉지 마개(410)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411)를 포함한다.
포트 본체(411)는, 봉지 마개(410)가 봉입되는 통형(筒形)의 피(被)봉지부(411a)와, 상기 피봉지부(411a)와 연속하고, 또한 자체의 내부를 피봉지부(411a)의 내부에 연통시킨 통형의 접속부(411b)로서, 외주에 한 쌍의 시트 부재(400) 각각 이 용착된 접속부(411b)를 포함한다.
또한, 포트 본체(411)는, 피봉지부(411a)에 연속하는 빠짐 방지부(411c)로서, 봉지 마개(410)와 맞닿는 빠짐 방지부(411c)를 포함한다. 빠짐 방지부(411c)는, 봉지 마개(410)를 압입(押入)한다. 이로써, 빠짐 방지부(411c)는, 포트 본체(411)로부터의 봉지 마개(410)의 탈락을 방지한다.
그런데, 약액백(4)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백 본체(40)나 포트(41)의 제조(가공)에는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면, 포트(4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피봉지부(411a)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하, 접이부(411d)라고 함]이 가열되면서 봉지 마개(410) 측으로 되접어 꺾이고, 상기 접이부(411d)의 선단부 전체가 봉지 마개(410)와 맞닿은 상태로 됨으로써, 접이부(411d)가 빠짐 방지부(411c)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접이부(411d)에 대한 가열이나 벤딩 가공이 필요해지므로, 이들 가공에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약액백(4)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백 본체(40)나 포트(41)의 제조 시간의 단축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349182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포트의 제조 방법은, 제1 단(端)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內周面),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外周面),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의 어느쪽에 형성된 피(被)끼워맞춤부를 가지는 포트 본체의 상기 피봉지부에 중공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것과,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는 것과,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이어도 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봉지 마개를 노출시키는 침 삽통부(揷通部)를 가지고, 상기 봉지 마개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침 삽통부 내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의 어느 한쪽이 상기 봉지 마개 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침 삽통부 내에 상기 봉지 마개의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어느 다른 쪽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 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어느 다른 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규제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대향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규제부 또는 상기 제2 규제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대향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약액백의 제조 방법은,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와,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의 어느쪽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를 가지는 포트 본체의 상기 피봉지부에 중공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것과,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는 것과,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과, 약액이 충전되는 백 본체를 상기 접속부의 외주에 대하여 접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이어도 된다.
상기 백 본체에 상기 접속부의 접속된 상기 포트 본체를 통하여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을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봉지부에 상기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것,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은,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을 충전한 후에 행해져도 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백 본체에 형성된 미봉(未封) 부위로부터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이 충전된 후에, 상기 미봉 부위가 밀폐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백 본체를 상기 접속부의 외주에 대하여 접속하는 것에는, 상기 미봉 부위와 상기 미봉 부위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가 용착됨으로써, 상기 미봉 부위가 밀폐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봉지 마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단면도로서, 도 1의 V-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빠짐 방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확대도로서, 도 2의 영역 VII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로서, 포트 본체를 백 본체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로서, 포트 본체를 백 본체에 장착한 후의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로서, 포트 본체에 봉지 마개를 봉입한 후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로서, 포트 본체에 빠짐 방지 부재를 끼워맞춘 후의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한 약액백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의 부분적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약액백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포트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백(1)은, 약액[예를 들면, 수액용 약제를 함유하는 용액이나, 영양제를 함유하는 용액 등]이 충전되는 백 본체(2)와, 상기 백 본체(2)에 장착된 포트(3)를 포함한다.
백 본체(2)는 중첩된 한 쌍의 시트 부재(20)를 포함한다.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서로의 외주 에지부를 용착한 실링부(21)를 가진다.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 및 실링부(21)에 의해 획정되는 수용실(22)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를 박리 가능하게 접합한 약한 실링부(23)를 가진다.
약한 실링부(23)는 수용실(22)을 복수의 공간으로 칸막이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한 실링부(23)는 수용실(22)을 2개의 공간으로 칸막이하고 있다. 즉, 수용실(22)은,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2개의 공간(22a, 22b)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실(22)의 한쪽의 공간(22a)을 제1 수용실로 하고, 수용실(22)의 다른 쪽의 공간(22b)을 제2 수용실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수용실(22a) 및 제2 수용실(22b)의 각각에는, 상이한 종류의 약액이 수용된다. 백 본체(2)에서는, 약한 실링부(23)가 박리되면 제1 수용실(22a)과 제2 수용실(22b)이 연통한다. 이로써, 제1 수용실(22a) 내의 약액과 제2 수용실(22b) 내의 약액이 혼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3)는, 중공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30)와, 상기 봉지 마개(30)가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포트 본체(31)와, 상기 포트 본체(31)에 장착되는 빠짐 방지 부재(32)를 포함한다.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 측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는, 제1 면 상에 형성된 환형(環形)의 홈부(300)를 가진다.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제1 면의 홈부(300)보다 내측의 부분]의 높이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외주 에지부[제1 면의 홈부(300)보다 외측의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즉,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는,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으로,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외주 에지부 보다 빠짐 방지 부재(32)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후술하는 본체부(320)의 관통공] 내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304)를 가진다(도 2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부(304)는 봉지 마개(30) 중의 홈부(300)에 포위된 부분이다. 돌출부(304)는,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으로, 봉지 마개(30)의 제1 면의 외주 에지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돌출부(304)]에 대한 작업(예를 들면, 알코올 소독 등)이 용이해진다.
봉지 마개(30)는, 빠짐 방지 부재(32) 측과는 반대 측을 향해 개방되는 환형 오목부(301)를 가진다(도 2 참조). 즉, 봉지 마개(30)는, 제2 면 상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301)를 가진다.
봉지 마개(30)는, 제2 면의 중앙부로부터 빠짐 방지 부재(32)(제1 면) 측의 반대 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302)와, 상기 연장부(30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환형 돌출부(303)를 가진다.
연장부(302)는 환형 오목부(301)에 포위된다. 즉, 연장부(302)는, 상기 봉지 마개(30)의 제2 면 중의 환형 오목부(301)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환형 돌출부(303)는, 상기 봉지 마개(30)의 제2 면 중의 환형 오목부(301)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다. 이로써, 연장부(302)의 외주면과 환형 돌출부(303)의 내주면이, 환형 오목부(301)를 협지(sandwich)하여 대향한다. 연장부(302)의 외주면은,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환형 돌출부(303) 측으로 팽창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310)로서, 봉지 마개(30)가 봉입되는 피봉지부(310)와, 상기 피봉지부(310)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311)로서, 백 본체(2)에 외주가 용착되는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피봉지부(310)의 외주면, 또는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중 어딘가에 형성되는 피끼워맞춤부(312)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봉지부(310)는, 통형으로 형성된 외벽부(310a)와, 상기 외벽부(310a)와 접속부(311)를 연결하는 연속부(310b)를 가진다.
외벽부(310a)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진다. 외벽부(310a)의 제1 단은, 연속부(310b)를 통하여 접속부(311)에 연결된다.
외벽부(310a)는,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봉지 마개(30)의 외주면에 접하는 내주면을 가진다.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는, 피끼워맞춤부(312)로서의 오목부(홈)가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제2 단에는, 필 실(peel seal)(P)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다(도 2 참조).
외벽부(310a)의 제2 단의 두께는, 외벽부(310a)의 제1 단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된다. 이로써,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의 강성(剛性)은, 외벽부(310a)의 제1 단 측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연속부(310b)는, 외벽부(310a)의 제1 단의 주위 방향 전체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연속부(310b)의 내주 에지는 접속부(311)에 연결된다.
피봉지부(310)는, 연속부(310b)로부터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의 지지부(310c)를 더 갖는다. 피봉지부(310)에 있어서, 지지부(310c)의 외주면 및 외벽부(310a)의 내주면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다. 즉, 피봉지부(310)에 있어서, 지지부(310c)의 외주면과, 외벽부(310a)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3)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10c)의 내측에 봉지 마개(30)의 연장부(302)가 봉입 또는 배치된다. 이에 따라, 봉지 마개(30)의 환형 오목부(301) 내에는, 지지부(310c)가 봉입 또는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302)의 외주면은,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환형 돌출부(303) 측으로 팽창되어 있다. 이로써, 봉지 마개(30)의 연장부(302)와 지지부(310c)의 밀착성이 높여져 있다.
접속부(3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311)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개구단의 반대 측의 제2 개구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311)의 제1 개구단은, 피봉지부(310)에 연속되어 있다. 접속부(311)의 제2 단 측의 외주면에 대하여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각각이 용착된다(도 1 참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311)는, 자체의 내부를 피봉지부(310)의 내부에 연통시킨 통부(311a)와, 상기 통부(311a)와 연결되는 피봉착부(311b)로서, 자체의 내부를 통부(311a)의 내부에 연통시킨 통형의 피봉착부(311b)를 가진다.
통부(311a)의 외경(外徑)은, 피봉지부(310)의 외경보다 작다.
피봉착부(311b)는,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원호부(311c)로서, 각각이 외측을 향해 팽창한(돌출하는) 한 쌍의 원호부(311c)와,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첨예부(311d)로서, 상기 한 쌍의 원호부(311c)의 대응하는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첨예부(311d)를 가진다.
한 쌍의 첨예부(311d)의 각각의 외면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첨예부(311d)의 각각의 외면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첨예부(311d)의 각각의 외면은, 제2 방향으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원호부(311c)의 외면 및 한 쌍의 첨예부(311d)의 외면은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호부(311c)의 두께 및 첨예부(311d)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원호부(311c)의 내면 및 한 쌍의 첨예부(311d)의 내면도 연속되어 있다. 피봉착부(311b)의 제2 방향의 내경(內徑)은, 피봉착부(311b)의 제1 방향의 내경보다 크다. 피봉착부(311b)의 외경은, 통부(311a)의 외경보다 작다. 즉, 피봉착부(311b)의 제2 방향의 외경(바깥치수)은, 통부(311a)의 외경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대하여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있다. 즉,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무단(無端) 환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오목부)(312)는, 외벽부(310a)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 내에서 외측을 향하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중첩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중공침을 삽통시키는 침 삽통부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침 삽통부는 관통공이며, 이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32)는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빠짐 방지 부재(32)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320)와, 상기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321)와, 본체부(320)의 외주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322)를 가진다.
본체부(320)는, 제1 면 및 제2 면에서 개구되고, 또한 봉지 마개(30)를 노출시키는 침 삽통부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 삽통부는 관통공이다. 이에 따라, 본체부(320)는 관통공(침 삽통부)을 획정하고, 환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침 삽통부(관통공)는 원형의 구멍이다. 이에 따라, 본체부(320)는,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20)의 제1 면은,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봉지 마개(30)의 외측을 향하는 면[봉지 마개(30)의 제1 면]과 대향하는 대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20)가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대향 영역은 본체부(320)의 외주에 의해 외주의 획정된 환형 영역이다. 본체부(320)의 제1 면은, 피봉지부(310) 내에서 내측[봉지 마개(30) 측]을 향하고, 본체부(320)의 제2 면은, 피봉지부(310) 내에서 외측을 향한다. 본체부(320)의 제2 면은, 봉지 마개(30)의 제1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304)의 선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평면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320)의 제2 면(외면)은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20)의 제2 면(외면)은, 포트 본체(31)의 중심선 방향으로, 봉지 마개(30)의 제1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지 마개(30)의 제1 면의 중앙부]과 대응 또는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침 삽통부(관통공)를 포위한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중의 봉지 마개(30)와 대향하는 대향 영역을 피한 영역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중의 대향 영역보다 내주 측에 있는 원환형의 영역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빠짐 방지 부재(3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32)는, 규제부(321)에 더하여 본체부(320)의 제1 면 중의 대향 영역을 봉지 마개(30)와 맞닿게 한다.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32)에서는,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의 두께가, 본체부(320)의 외주 에지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의 내주 에지부 측의 강성이 높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는 오목부이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부(322)는, 본체부(320)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이며, 본체부(320)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있다.
끼워맞춤부(322)는, 본체부(320)에 연결되는 기단(基端)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을 가진다.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와 맞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선(線)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와 끼워맞춤부(322)(외주면)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은,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작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선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 접촉한다.
약액백은 이상과 같다. 이어서, 포트(3)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트(3)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지 마개(30), 포트 본체(31) 및 빠짐 방지 부재(32) 각각은 사전에 성형되어, 포트(3)의 부품으로서 준비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310)와, 상기 피봉지부(310)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12)를 가지는 포트 본체(31)가 사전에 성형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봉지 마개(30)로서, 중공침을 찌를 수 있고, 또한 피봉지부(310)에 봉입 가능한 봉지 마개(30)가 사전에 성형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중첩되는 본체부(320)와, 상기 본체부(320)의 외주에 형성된 끼워맞춤부(322)로서, 피끼워맞춤부(312)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322)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32)가 사전에 성형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포트 본체(31)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접속부(311) 및 피봉지부(310)가 일체로 성형되지만,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가 별개로 성형된 다음, 접속부(311)와 피봉지부(310)가 접속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의 피봉지부(310)에 봉입된다. 이에 따라, 봉지 마개(30)의 환형 오목부(301) 내에 피봉지부(310)의 지지부(310c)가 들어가고, 연장부(302)의 외주면과 지지부(310c)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상기 상태에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진다. 즉,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지고,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가 피봉지부(310) 내의 봉지 마개(30)에 중첩된다. 이로써,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도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짐과 함께,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에 형성되는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규제부(321)에 더하여 본체부(320)의 제1 면 중의 대향 영역(외주 에지부)이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를 포트 본체(31)에 장착함과 함께, 빠짐 방지 부재(32)가 봉지 마개(30)를 가압하는 상태로 되어, 포트(3)가 완성된다.
다음에,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서는, 포트(3)와, 백 본체(2)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약액백(1)의 부품으로서 사전에 준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3)를 통하여 백 본체(2) 내에 약액을 충전한다. 이에 따라, 포트(3)는 미완성의 상태로 준비된다. 즉, 포트(3)는, 봉지 마개(30) 및 빠짐 방지 부재(32)를 포트 본체(31)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준비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중첩되고, 상기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서로의 외주 에지부가 일부를 제외하고 용착된다. 이로써,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끼리 접속된 실링부(21)와,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끼리 비접속된 미봉 부위(H)가 형성된다. 미봉 부위(H)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 사이의 공간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미봉 부위(H)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 사이의 공간에 약액을 주입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도중 위치끼리가 박리 가능하게 용착되고, 내부 공간(수용실)(22)을 복수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으로 칸막이하는 약한 실링부(23)가 형성된다. 이로써,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끼리 접속한 실링부(21)에 포위되는 내부 공간(수용실)(22)이 약한 실링부(23)에 의해, 복수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으로 칸막이된다. 이에 따라, 미봉 부위(H)는, 약한 실링부(23)에 의해 칸막이된 복수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미봉 부위(H)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 사이[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 사이]에 포트 본체(31)의 접속부(311)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한다. 즉, 하나의 미봉 부위(H)는, 포트 본체(31)의 접속부(311)를 삽입하는 삽입구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시트 부재(20) 사이의 내부 공간(수용실)(22)이 복수(2개)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으로 칸막이됨에 따라, 복수(2개)의 미봉 부위(H)가 형성된다. 복수의 미봉 부위(H) 중 하나의 미봉 부위(H)는 접속부(311)의 삽입구로 되고, 나머지의 미봉 부위(H)는 약액의 주입구로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로 되는 미봉 부위(H)에 포트 본체(31)의 접속부(311)가 삽입되고, 상기 접속부(311)의 피봉착부(311b)의 외주에 대하여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용착된다.
그리고, 피봉착부(311b)에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용착됨에 맞추어, 한 쌍의 금형이 미봉 부위(H)와 함께 피봉착부(311b)를 협지하여 가열한다. 이로써, 한 쌍의 시트 부재(20)[미봉 부위(H)]와 피봉착부(311b)가 용합되고, 미봉 부위(H)가 포트 본체(31)와 액밀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미봉 부위(H)로부터 한 쌍의 시트 부재(20) 사이에 있는 내부 공간(수용실)(22)에 약액이 주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한 실링부(23)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 중 한쪽의 공간(제1 수용실)(22a)에는, 미봉 부위(H)에 접속된 포트 본체(31)로부터 약액이 주입된다. 이에 따라, 한쪽의 공간(제1 수용실)(22a)에 약액이 충전된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의 피봉지부(310)에 봉입된다. 이로써, 한쪽의 공간(제1 수용실)(22a)은, 약액이 충전된 상태로 밀폐된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가 포트 본체(3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진다. 이와 함께,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지면, 본체부(320)의 내주 에지부 측에 형성되는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홈부(300) 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규제부(321)에 더하여, 본체부(320)의 제1 면의 외주 에지부(대향 영역)가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 즉, 봉지 마개(30)가 빠짐 방지 부재(32)에 압입된 상태로 빠짐 방지된다.
이에 대하여, 약한 실링부(23)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22a, 22b)[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 중 다른 쪽의 공간(제2 수용실)(22b)에는, 나머지의 미봉 부위(H)로부터 직접 약액이 주입된다. 이에 따라, 다른 쪽의 공간(제2 수용실)(22b)에 약액이 충전된 후, 다른 쪽의 공간(제2 수용실)(22b)에 대응하는 미봉 부위(H)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트 부재(20)끼리 용착되고, 미봉 부위(H)가 봉지된다. 이로써, 약액이 충전된 다른 쪽의 공간(제2 수용실)(22b)이 밀폐되어, 약액백(1)이 완성된다.
그리고, 포트(3)의 제조 과정 및 약액백(1)의 제조 과정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빠짐 방지 부재(32)가 포트 본체(31)에 장착된 후에, 봉지 마개(30) 및 빠짐 방지 부재(32)를 덮는 필 실(P)이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것이나, 살균(예를 들면, 끓는 물, 증기에 의한 살균 등)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포트(3)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지고, 본체부(320)가 봉지 마개(30)에 중첩되므로, 포트 본체(31)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32)의 장착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봉지 마개(30)의 포트 본체(3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가 오목부로 구성되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의 오목부에 끼워넣어지는 볼록부로 구성되므로, 포트 본체(31)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가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가 끼워맞추어짐과 함께,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맞닿는다. 이로써, 포트 본체(31) 내의 봉지 마개(30)가 빠짐 방지 부재(32)에 의해 압입되어, 봉지 마개(30)의 포트 본체(31)로부터의 탈락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포트(3)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1)의 제조 방법은, 제조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봉지 마개(30)의 포트 본체(31)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한 포트(3)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포트(3)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끼워맞추어지므로, 종래의 포트와 같이, 가열이나 벤딩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포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봉지 마개가 포트 본체 내에 봉입된 후에, 포트 본체가 벤딩 가공됨으로써, 봉지 마개를 가압한 빠짐 방지부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포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봉지 마개가 경사진 자세로 포트 본체 내에 봉입되면, 포트 본체의 형상이 일정해지지 않고, 봉지 마개가 탈락할 우려가 있는 포트가 제조된다.
그러나, 포트(3)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의 내부에 봉입된 후에, 포트 본체(31)의 규정 위치에 있는 피끼워맞춤부(312)에, 상기 포트 본체(31)와 별개로 구성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끼워맞추어지므로, 빠짐 방지 부재(32)가 봉지 마개(30)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서 포트 본체(31)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트(3)의 제조 방법에서는, 가열이나 벤딩 가공이라는 시간이 걸리는 가공을 행하지 않고, 포트 본체(3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의 불균일[봉지 마개(30)에 대한 압입 태양(態樣)의 불균일]이 억제되고, 봉지 마개(30)의 탈락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체부(320)의 제2 면이 봉지 마개(30)의 제1 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봉지 마개(30)의 돌출부(304)나, 본체부(320)의 제2 면(외면)에 부착된 부착물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피봉착부(311b)의 첨예부(311d)가, 제2 방향으로 끝이 가늘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금형이 피봉착부(311b)와 함께 한 쌍의 시트 부재(20)를 협지했을 때, 한 쌍의 시트 부재(20)에 작용하는 인장력(引張力)[한 쌍의 첨예부(311d)가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억제된다.
따라서, 한 쌍의 시트 부재(20)가 피봉착부(311b)의 외주 전체에 대하여 맞닿기 쉬워지고, 피봉착부(311b)와 시트 부재(20)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가 피봉지부(310)를 하나 포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트 본체(31)는, 피봉지부(310)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피봉지부(31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봉입되고, 또한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는, 중첩된 한 쌍의 시트 부재(20)의 외주 에지부끼리 용착됨으로써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는, 통형으로 형성된 시트(또는 필름)의 양단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예를 들면, 용착함)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 및 포트(3)가 용착에 의해 접속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 및 포트(3)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2)의 내부에는, 2개의 공간[제1 수용실(22a), 제2 수용실(22b)]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본체(2)의 내부 공간(수용실)(22)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공간(22a)만이거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한 실링부(23)에 의하여, 3개 이상의 공간(수용실)(22a, 22b, 22c)으로 칸막이되거나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액백(1)은, 백 본체(2)에 하나의 포트(3)가 장착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액백(1)은, 백 본체(2)에 2개 이상의 포트(3)가 장착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돌출부(304)]가, 본체부(320)의 제2 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돌출부(304)]는, 본체부(320)의 제2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대한 작업(예를 들면, 알코올 소독 등)이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지 마개(30)의 홈부(300)가 환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홈부(300)는,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된 규제부(321)의 형태에 따라서 형성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끼워맞춤부(31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312)와 대응하는 위치(끼워맞춤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면 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본체부(320)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놓이도록(제2 단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312)와 대응하는 위치(끼워맞춤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는 오목부(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의 각각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구성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봉지 마개(30) 측으로 돌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에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와 맞닿을 수 있으면, 본체부(320)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규제부(321)는, 제1 면의 봉지 마개(30)와 대향하는 대향 영역과 나란한 영역, 또는 대향 영역 그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규제부(321)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된 것(환형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규제부(321)는 본체부(320)의 제1 면 상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에 맞닿았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단, 이 경우, 봉지 마개(30)가 피봉지부(310) 내에서 상기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으로 이동했을 때,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와 간섭(맞닿음)하고, 빠짐 방지 부재(32)[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를 피봉지부(310) 내에 유지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으나,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접속(예를 들면,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피봉지부(31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봉입된 후,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된다. 이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가 서로 접속(예를 들면, 접착)되어 있는 경우, 피봉지부(310)에 대하여, 봉지 마개(30)가 밀봉됨과 함께 빠짐 방지 부재(32)가 장착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가 봉지 마개(30)의 제1 면에 중첩됨에 따라, 규제부(321)도 봉지 마개(30)의 제1 면측에 중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규제부(321)가 봉지 마개(30)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매립되고, 빠짐 방지 부재(32)와 봉지 마개(30)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규제부(321)와 봉지 마개(30)가 간섭(맞닿음)한 상태로 되고, 규제부(321)는 봉지 마개(30)에 있어서의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가 봉지 마개(30)의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 및 봉지 마개(30)가 일체화되는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 및 봉지 마개(30)는 사전에 중첩된 다음에 접속된다. 그리고, 「중첩됨」이란, 봉지 마개(30)의 제1 면 상에 본체부(320)가 중첩되는 것 외에, 본체부(320)의 전체 또는 일부가 봉지 마개(30)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매립됨으로써, 본체부(320)와 봉지 마개(30)가 중첩되는 것도 포함된다. 즉, 「본체부(320) 및 봉지 마개(30)가 중첩됨」이란, 본체부(320)의 침 삽통부의 중심선 방향(중공침을 삽통시키는 방향)으로 본체부(320)와 봉지 마개(30)가 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320)의 제2 면 측의 전역이 평면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본체부(320)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볼록부(32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환형 볼록부(323)는, 본체부(320)의 구멍 중심과 직교하고 또한 본체부(320)를 지나는 가상선(또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규제부(321)와 대칭적인 배치 및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표리가 없어지고, 환형 볼록부(323)를 봉지 마개(30) 측을 향하여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경우, 환형 볼록부(323)가 제2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즉, 본체부(32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규제부(321)가 제1 규제부로 되고, 환형 볼록부(323)가 제2 규제부로 된다. 이로써, 포트(3)의 조립 시에, 빠짐 방지 부재(32)의 표리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포트(3)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체부(320)를 피봉지부(310) 내의 봉지 마개(30)에 중첩하는 것에는, 제1 규제부(321)또는 제2 규제부(323)를 봉지 마개(30)와 맞닿게 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끼워맞춤부(312)는 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끼워맞춤부(31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여도 된다. 또한, 볼록부로 구성된 피끼워맞춤부(312)는, 외벽부(310a)의 내주면의 주위 방향 전체에 연속해도 된다. 이 경우,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를 구성하는 볼록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부이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으나, 피끼워맞춤부(312)가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어느 한쪽으로 구성되고, 또한 끼워맞춤부(322)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으로 구성되는 경우,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의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볼록부의 돌출량을 오목부의 오목한 양과 비교하여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볼록부가 상대방을 누르므로, 피끼워맞춤부(312)와 끼워맞춤부(322)의 압접력(壓接力)이 높아진다. 이로써,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의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볼록부와 피끼워맞춤부(312) 또는 끼워맞춤부(322) 중 어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오목부와의 끼워맞춤량(중첩량)이 가능한 한 많아지도록, 볼록부의 돌출량 및 오목부의 깊이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워맞춤부(322)와 피끼워맞춤부(312)가 확실하게 걸려,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더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3자에 의한 장난을 방지하기 위해, 포트(3)에 대하여,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억지로 떼어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3)는, 피봉지부(3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빠짐 방지 부재(32)의 적어도 일부를 일체화시킨 연결부(324)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 및 포트 본체(31)의 적어도 피봉지부(310)는, 용융된 상태에서 서로 혼합되는 상용성(相溶性)이 있는 수지로 구성된다.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외주면, 또는 단면(端面) 중 어느 하나[도 18에 있어서는, 피봉지부(310)의 단면]와 동일 레벨로 되는 면을 가지는 피연결부(325)를 포함한다. 연결부(324)는, 피봉지부(310)의 내주면, 외주면, 또는 단면 중 어느 하나[도 18에 있어서는, 피봉지부(3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것과 동일 레벨에 있는 피연결부(325)의 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 고화(固化)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봉지부(310)와, 상기 피봉지부(310)에 끼워넣어진 빠짐 방지 부재(32)가 일체로 되므로, 빠짐 방지 부재(32)가 떼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본체부(320)의 제1 면의 대향 영역과 규제부(321)가 형성되는 영역과의 경계에서 본체부(320)를 파단시키기 위한 파단 예정부(326)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파단 예정부(326)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에 있어서의 다른 영역보다 취약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파단 예정부(326)는,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에 있어서의 다른 영역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떼어내려고, 예를 들면, 환형 볼록부(323)가 공구(예를 들면, 펜치)를 사용하여 외측으로 잡아 당겨지거나,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 측에 공구 등이 압입되거나 함으로써,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 측에 힘이 가해진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가 취약한 파단 예정부(326)에서 파단된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가 부분적으로 파단함으로써, 제3자의 장난의 형적이 남기 때문에, 장난친 의심이 가는 약액백(1)을 사전에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를 따라 배치되는 연장부(327)로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외주단부에 접속된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을 피봉지부(310)의 중심선 방향으로 가지고, 끼워맞춤부(322)가 선단에 접속된 연장부(327)를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장부(327)와 상기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가, 봉지 마개(30)와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에 협지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떼어내려고 해도,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악의가 있는 제3자가 빠짐 방지 부재(32)를 떼어내려고,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 측이 공구를 사용하여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지거나,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 측에 공구 등이 압입되거나 함으로써,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내주 측에 힘이 가해진 경우,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의 외주단 근방이 작용점으로 되어,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322)는,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탈락되는 방향[피봉지부(3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부(322)가 피끼워맞춤부(3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연장부(327)의 선단에 접속된 끼워맞춤부(322)는, 피봉지부(310)[외벽부(310a)]의 제1 단과 제2 단 사이의 위치로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보다 피봉지부(310)의 제1 단 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끼워맞춤부(322)는 피봉지부(310) 내의 안쪽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끼워맞춤부(322)에 대하여 직접 액세스하는 것이 곤란해져, 빠짐 방지 부재(32)가 피봉지부(310)로부터 떼어진다는, 제3자의 장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침 삽통부를 가졌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제1 면 및 제2 면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본체부(320)의 외주 상에서 도 개구된 절결형(切缺形)의 침 삽통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빠짐 방지 부재(32)의 본체부(320)는 환형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면 및 제2 면에서 개구된 침 삽통부로서, 봉지 마개(30)를 노출시키는 침 삽통부를 가지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이,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작게 설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의 곡률은, 끼워맞춤부(322)의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전체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선 접촉 또는 부분적으로 면접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의 주위 방향의 복수 위치가,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된다. 즉, 포트 본체(31)의 피끼워맞춤부(312) 및 빠짐 방지 부재(32)의 끼워맞춤부(322)는 끼워맞춘 상태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개소)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는, 끼워맞춘 상태에서 피봉지부(310)의 중심선 방향의 힘을 전달 가능하게 형성되면 된다. 즉, 피끼워맞춤부(312) 및 끼워맞춤부(322)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것을 조건으로, 피끼워맞춤부(312)가 피봉지부(310)의 제1 단 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을 가지고, 끼워맞춤부(322)가 피봉지부(310)의 제2 단 측을 향하고, 또한 피끼워맞춤부(312)의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과 대향하는 걸어맞춤면(평면 또는 곡면)을 가지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 내에 봉입된 후에, 빠짐 방지 부재(32)가 포트 본체(31)에 장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가 포트 본체(31) 내에 봉입됨과 함께, 빠짐 방지 부재(32)가 포트 본체(31)에 장착되어도 된다. 즉, 봉지 마개(30)와 빠짐 방지 부재(32)가 중첩된 상태로 포트 본체(31)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 본체(31)를 통하여 백 본체(2)[제1 수용실(22a)]에 약액이 충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봉 부위(H)로부터 백 본체(2) 내에 약액을 주입한 후에, 포트 본체(31)의 접속부(311)가 미봉 부위(삽입구)(H)에 삽입되고, 백 본체(2)에 용착되어도 된다. 또한, 포트(3)[포트 본체(31)]의 장착 위치와, 상기 장착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각각에, 미봉 부위(H)가 형성되고, 포트(3)[포트 본체(31)]의 장착 위치의 미봉 부위(H)에는 포트(3)가 접속되고, 다른 미봉 부위(H)로부터 약액이 주입된 다음에 상기 미봉 부위(H)가 봉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완성품인 포트(3)가 미봉 부위(H)에 접속되어도 되고, 미완성품인 포트(3)[봉지 마개(30) 등이 피봉지부(310)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포트 본체(31)]가 미봉 부위(H)에 접속되고, 다른 미봉 부위(H)로부터 약액이 충전되기 전에 완성품인 포트(3)로 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액백(1)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봉지 마개(30), 포트 본체(31) 및 빠짐 방지 부재(32)의 각각이 사전에 성형되어, 포트(3)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준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봉지 마개(30), 포트 본체(31) 및 빠짐 방지 부재(32) 중 적어도 하나가, 약액백(1)을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에서 성형되어도 된다.
1 : 약액백
2: 백 본체
3: 포트
20: 시트 부재
21: 실링부
22: 수용실(내부 공간)
22a, 22b: 수용실(공간)
23: 약한 실링부
30: 봉지 마개
31: 포트 본체
32: 빠짐 방지 부재
300: 홈부
301: 환형 오목부
302: 연장부
303: 환형 돌출부
304: 돌출부
310: 피봉지부
310a: 외벽부
310b: 연속부
310c: 지지부
311: 접속부
311a: 통부
311b: 피봉착부
311c: 원호부
311d: 첨예부
312: 피끼워맞춤부
320: 본체부
321: 규제부(제1 규제부)
322: 끼워맞춤부
323: 환형 볼록부(제2 규제부)
324: 연결부
325: 피연결부
326: 파단 예정부
327: 연장부
H: 미봉 부위
P: 필 실

Claims (10)

  1.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被封止部);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 및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內周面),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外周面),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의 어느쪽에 형성된 피(被)끼워맞춤부를 가지는 포트 본체의 상기 피봉지부에 중공침을 자통(刺通) 가능한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단계;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는 단계;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인, 포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봉지 마개를 노출시키는 침 삽통부(揷通部)를 가지고, 상기 봉지 마개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침 삽통부 내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의 어느 한쪽이 상기 봉지 마개 측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상기 침 삽통부 내에 상기 봉지 마개의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어느 다른 쪽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 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어느 다른 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포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규제부를 상기 봉지 마개와 맞닿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트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규제부 또는 상기 제2 규제부를 상기 봉지 마개와 맞닿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트의 제조 방법.
  6. 제1 단과 상기 제1 단의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는 통형의 피봉지부; 상기 피봉지부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통형의 접속부; 및 상기 피봉지부의 내주면, 상기 피봉지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피봉지부의 상기 제2 단의 어느쪽에 형성된 피끼워맞춤부를 가지는 포트 본체의 상기 피봉지부에 중공침을 자통 가능한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단계;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는 단계;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것과, 약액이 충전되는 백(bag) 본체를 상기 접속부의 외주에 대하여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액백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인, 약액백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에 상기 접속부의 접속된 상기 포트 본체를 통하여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봉지부에 상기 봉지 마개를 봉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봉지 마개에 중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을 충전한 후에 행해지는, 약액백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에 형성된 미봉(未封) 부위로부터 상기 백 본체 내에 약액이 충전된 후에, 상기 미봉 부위가 밀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액백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를 상기 접속부의 외주에 대하여 접속하는 단계에는, 상기 미봉 부위와 상기 미봉 부위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가 용착(溶着)됨으로써, 상기 미봉 부위가 밀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액백의 제조 방법.
KR1020177020562A 2015-01-21 2016-01-20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KR102225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9480 2015-01-21
JPJP-P-2015-009480 2015-01-21
PCT/JP2016/051490 WO2016117580A1 (ja) 2015-01-21 2016-01-20 ポートの製造方法、及び薬液バッグ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50A true KR20170107450A (ko) 2017-09-25
KR102225095B1 KR102225095B1 (ko) 2021-03-08

Family

ID=5641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562A KR102225095B1 (ko) 2015-01-21 2016-01-20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59463B2 (ko)
EP (1) EP3248584B1 (ko)
JP (1) JP6824042B2 (ko)
KR (1) KR102225095B1 (ko)
CN (1) CN107613940B (ko)
PH (1) PH12017501208A1 (ko)
SG (1) SG11201705863WA (ko)
TW (1) TWI696461B (ko)
WO (1) WO20161175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685A (ko) * 2017-12-07 2020-07-2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트가 부착된 백 및 캡이 부착된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0499A1 (de) 2022-04-29 2023-11-02 Raumedic Ag Beutel zur Aufnahme eines medizinischen oder pharmazeutischen Mediums, Schlauch mit Konnektor zum Anschluss an einen solchen Beutel sowie Anordnung mit einem solchen Beutel und mit einem solchen Konnek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922A (ja) * 1993-02-03 1994-08-16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容器
JPH07148225A (ja) * 1993-11-29 1995-06-13 Kawasumi Lab Inc 医療用プラスチック容器の口部並びに医療用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
JP2003111819A (ja) * 2001-07-30 2003-04-15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封止体とそれを用いた薬液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薬液容器
JP2005349182A (ja) 2004-05-10 2005-12-22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容器
WO2010073643A1 (ja) * 2008-12-26 2010-07-01 二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JP2012000288A (ja) * 2010-06-17 2012-01-05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包装体のスパウ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8279B2 (en) 2002-02-14 2010-02-09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CN1795026A (zh) * 2003-05-22 2006-06-28 株式会社大塚制药工厂 密封体和具有该密封体的帽及医疗用容器
US7207970B2 (en) * 2003-06-27 2007-04-24 Nipro Corporation Displaceable-plug-containing filling/discharging port and medical container having the same
US7488311B2 (en) * 2004-12-23 2009-02-10 Hospira, Inc.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JP5122878B2 (ja) 2007-07-04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流出入用筒部材および薬液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922A (ja) * 1993-02-03 1994-08-16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容器
JPH07148225A (ja) * 1993-11-29 1995-06-13 Kawasumi Lab Inc 医療用プラスチック容器の口部並びに医療用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
JP2003111819A (ja) * 2001-07-30 2003-04-15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封止体とそれを用いた薬液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薬液容器
JP2005349182A (ja) 2004-05-10 2005-12-22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容器
WO2010073643A1 (ja) * 2008-12-26 2010-07-01 二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JP2012000288A (ja) * 2010-06-17 2012-01-05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包装体のスパウ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685A (ko) * 2017-12-07 2020-07-2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트가 부착된 백 및 캡이 부착된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8584A1 (en) 2017-11-29
CN107613940B (zh) 2022-11-11
CN107613940A (zh) 2018-01-19
TWI696461B (zh) 2020-06-21
PH12017501208A1 (en) 2017-10-18
WO2016117580A1 (ja) 2016-07-28
JPWO2016117580A1 (ja) 2017-10-26
US11559463B2 (en) 2023-01-24
SG11201705863WA (en) 2017-09-28
EP3248584A4 (en) 2018-09-12
EP3248584B1 (en) 2021-05-19
KR102225095B1 (ko) 2021-03-08
JP6824042B2 (ja) 2021-02-03
US20180263847A1 (en) 2018-09-20
TW201637642A (zh)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327B2 (en) Medical device package
DK2455210T3 (en) Plastic cap and the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8616401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for pharmaceuticals
KR101817492B1 (ko) 복실 용기
KR102559338B1 (ko) 포트, 및 약액 백
US20180055734A1 (en) Sealing cap for a container for holding a medical liquid
KR20170107450A (ko) 포트의 제조 방법, 및 약액백의 제조 방법
JP2002126040A (ja) 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JP5605181B2 (ja) 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製造方法及び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JP4439577B1 (ja) 容器兼用注射器
JPH07479A (ja) 輸液瓶
JP2004533373A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の製造、組み立て、及び充填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設備
CN115778814A (zh) 整体式内覆膜接头及输液袋
JP6318691B2 (ja) 医療用栓体
JP3143416U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4008607A (ja) 穿刺部材、薬液容器、輸液容器及び薬液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