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010A -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010A
KR20170105010A KR1020177019077A KR20177019077A KR20170105010A KR 20170105010 A KR20170105010 A KR 20170105010A KR 1020177019077 A KR1020177019077 A KR 1020177019077A KR 20177019077 A KR20177019077 A KR 20177019077A KR 20170105010 A KR20170105010 A KR 2017010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product
under stirring
butyrate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528B1 (ko
Inventor
루카 스투키
리타 잔니
알레산드라 세키
Original Assignee
시제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제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시제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0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서, 수용액 중, 나트륨 또는 다른 알칼리 금속에 의해서 염화된 히알루론산을 부티릴-이미다졸리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미용 용도 또는 의료 장치로서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그 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HA) 부티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미용 제제 또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PROCESS IN WATER FOR THE PREPARATION OF BUTYRIC ESTERS OF HYALURONIC ACID SODIUM SAL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hyaluronic acid sodium salt, HA)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HA)의 부티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pharmaceutical formulations), 미용 제제 (cosmetic formulations) 또는 의료 장치 (medical device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놀랍게도 부티르산 에스테르에서 높은 치환도 (degrees of substitution: DS)을 생성하고, 또한 분자 분해 (molecular degradation)에 대해 천연의 히알루론산의 폴리사카리드 사슬을 보존하는 수성 환경 (aqueous environment)에서 합성에 의해서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HA)의 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의 부티르산 에스테르는, 상기 미용 분야에서 허용되지 않고, 또한/또는 금지된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고, 항-염증 (anti-inflammatory) 및 자극-완화 (anti-irritant) 특성을 가지므로, 약제학적 및 피부미용 (dermocosmetic) 분야 및 의료 장치에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히드록실기가 상이한 치환도를 갖는 부티르산 잔류물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hyaluronic acid butyrate: HABut)가 피부 탄성화제 (elasticiser) 및 보습제 (moisturiser)로서 항-염증, 항-증식 (anti-proliferative) 및 피부보호 (dermoprotective) 특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은 상기 폴리사카리드 사슬의 글리코시드 결합 (glycoside bonds)의 가수분해에 의해서 분자량이 매우 쉽게 열화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는 pH, 이온 강도 (ionic strength) 및 온도 조건에 의해서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문헌에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HA의 유도체화 (derivatisation) 조건은 상기 폴리사카리드 사슬의 길이를 보존하는데 중요하다. 이상적인 조건은 반응 매질 중 물의 존재를 최소화하고, 매우 높지 않은 온도와 중성에 가까운 5 내지 8의 pH를 포함하는 조건이다.
EP 0941253에서는 피리딘 및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dimethylaminopyridine: DMAP)과 같은 염기성 활성제 (basic activators)의 존재 하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시드 (DMF, DMSO)와 같은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aprotic organic solvents)에서 부티르산 무수물에 의해, 낮은 치환도를 갖는 (최대 DS = 0.25) 히알루론산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를 개시하였다. 유기 용매 중 용해화 (solubilisation) 방법은, 상기 폴리사카리드 수용액을 2N HCl로 산성화시킴으로써 (acidifying) 산 형태의 폴리사카리드를 제조하고, 상기 용매를 회전 증발기 (rotary evaporator)에 의해 증발시킴으로써 (evaporating) 수득되는, 히알루론산 콜리디늄 염 (collidinium salt)의 제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HA의 분자량의 열화를 일으킨다.
WO 2005/092929에서는 낮은 치환도 (DS ≤0.1)를 갖는 히알루론산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를 개시하였다. 상기 합성은, 균질한 (homogenous) 조건 하에, 강한 양이온-교환 수지 (Amberlite IR-120-plus)를 사용하는 이온-교환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써,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중에 용해되는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tetrabutylammonium: TBA) 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의 통과로 상기 분자량의 열화를 일으킨다.
WO2009/068215에서는, 피부보호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히알루론산의 혼합된 부티르산-포름산 에스테르의 제조 및 피부 미용제에서 그 용도를 개시하였다. 상기 혼합된 에스테르가, 염기성 DMAP 활성제와, 포름아미드 (formamide: FA) 중 부티르산 무수물에 의해 제조된다.
개시된 방법들은 비양성자성 및 양성자성 유기 용매, 예컨대 N,N 디메틸포름아미드, 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시드를 사용하고, 이들은 Regulation (EC) no. 1223/2009에 따른 미용 제제에서 금지된 물질 중 목록에 있다. 고 독성 특성 (수십 ppm의 LD50)을 포함하는 N,N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유기 염기가 또한 사용된다. 상기 용매, 시약 및 활성제의 잔류물이 상기 정제 과정 중에 정량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히알루론산의 유도체화를 위한 수중 반응이 EP0416250에 보고되었고, 이는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비스카르보디이미드와의 반응에 의해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 상에 N-아실우레아 및 O-이소아실우레아의 형성을 보고하였다. 상기 반응은 수중에서, 상기 폴리사카리드를 분해시키지 않는 조절된 pH에서 수행된다.
US5874417에서는 온화한 조건 (mild conditions) 하에 수중 히드라지드에 의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의 관능화 (functionalisation)를 개시하였다.
A. Mero 등 (Polymer 2014,6,346-369)은 HA가 수중에서 유도체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수상 (aqueous phase)에서, 상기 HA 사슬의 상당한 열화를 포함하는 산 또는 알칼리 조건하에 다수의 반응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상기 논문은 상기 카르복실기 상에 아미도 결합의 형성을 유도하는 카르보디이미드와 수중 반응을 보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매로서 물 및 염기성 활성제로서 소듐 카르보네이트 만을 사용하여, 높은 치환도를 갖는 HABut를 또한 생성한다. 상기 수득된 생성물에는, 특별한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임의의 용매 또는 염기성 활성제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듐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서, 수용액 중 히알루론산,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다른 알칼리 금속에 의해서 염화된 (salified) 히알루론산을 부티릴-이미다졸리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미용 용도 또는 의료 장치로서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그 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바람직하게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나트륨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상기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은 바람직하게 103 내지 106 달톤 (Daltons)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을 갖는다.
상기 히알루론산 염이 탈염수에 용해되고, 소듐 카르보네이트, 그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가 상기 수득된 용액으로 첨가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이 60분 이상 동안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반응의 pH는 pH 11 내지 9의 범위이다.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혼합물이 중성 pH로 조절되고, 상기 생성물이 적당한 용매에서 침전 (precipitation)에 의해서 회수된다. 그러므로 수득된 생성물이 그 후에, 예를 들면 적당한 용매로 연속하는 세척 및 여과에 의해서 정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이한 치환도를 갖는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를 생성한다. 히알루론산의 GlcNAc-GlcUA 디사카리드 유닛당 부티르산 잔류물의 수 사이의 비율로 정의되는, 치환도 (DS)는 예를 들면 0.01 내지 2.5의 범위일 수 있다.
상이한 치환도가 히알루론산과 부티릴-이미다졸리드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는 용매 잔류물 또는 독성 시약을 포함하지 않고, 약제학적 제제, 미용 제제 및 의료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약제학적 또는 미용 용도에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그 염, 및 약제학적 또는 미용 용도에 허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 및/또는 담체 (carrying agent)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미용 제제를 포함한다.
미용 성분들을 규제하는 법에 의해서 금지된 용매 및 시약이 부재하기 때문에, 보고된 방법에 의해서 수득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가, 예를 들면 저자극성 (hypoallergenic) 제품 또는 민감성 피부에 적당한 높은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는 제제에서 수화 (hydrating), 탄성화 (elasticising), 토닝 (toning), 항-노화 (anti-aging) 또는 항-여드름 (anti-acne) 활성을 가지고, 국소 사용을 위해 피부미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는, 인 비트로 (in vitro) 호중구 모델 (다형핵 백혈구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또는 PMN)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급성 염증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히알루론산 (HA) 및 소듐 부티레이트 (NaBut)보다 더 큰 뚜렷한 자극-완화 및 항-염증 활성을 포함한다. 상기 특성의 결과로서, 개시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가, UV 선, X 선 및 감마선과 같은 방사선 (radiation)에 의해 유도된 고열 (hyperthermia)에 의해 유발된 염증, 궤양 및 병변과 같은 피부 병변의 치료에서 아쥬반트 (adjuvant)로서, 약제학적 제제, 미용 제제 또는 의료 장치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적용가능하다.
실시예
사용된 기기:
Figure pct00001
치환도 (DS)의 결정을 위해, z 기울기 (gradient)를 갖는 5 mm의 다핵 리버스 프로브 (multinuclear reverse probe)가 구비된 Bruker Avance 400 MHz 분광계 (spectrometer);
Figure pct00002
분자량의 분포 및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결정하기 위해서 삼중 검출기 (triple detector) (90℃ 및 7℃에서 광산란 (light scattering), 굴절율 (refractive index) 및 점도계 (viscometer))가 구비된 Viscotek HP-SEC-TDA 크로마토그래프 모델 (chromatograph model) 270 max.
치환도(DS)의 결정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상에 부티레이트 에스테르에서 치환도가 NMR 분광법에 의해 정량화되었다. z 기울기를 갖는 5mm 다핵 리버스 프로브가 구비된 Bruker Avance 400 MHz 분광계에 의해서, D2O에서 1H NMR 스펙트럼이 수행되었다. 상기 시험들이 300°K까지 상기 측정 프로브를 온도조절시킴으로써 (thermostating) 수행되었다.
상기 시험은 DOSY (Diffusion Ordered Spectroscopy) 분석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폴리머와 부티르산 사이의 공유 결합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부티레이트 에스테르에서 DS의 정량화 (quantitation)가 NMR 튜브에서 직접 NaOD에 의한 완전 가수분해 (exhaustive hydrolysis) 이후에 수행되었다.
상기 가수분해물의 1H NMR 스펙트럼은 부티르산 (주변의 메틸 및 메틸렌 프로톤)에 기인한 신호 및 히알루론산 (2개의 아노머 프로톤 (anomeric protons)을 제외한, 사카리드 프로톤)에 기인한 신호들을 통합시키고, 이들 비율이 치환도를 결정한다.
방법
HP-SEC-TDA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포 및 중량-평균 분자량 (MW)의 결정
3개의 검출기 (90°및 7°에서 광 산란, 굴절율 및 점도계)의 조합을 사용하는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시료들이 처리되었다. 상기 크로마토그램을 처리하여 상기 분자량 Mw (중량-평균 분자량)의 분포가 결정되도록 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기기 Viscotek 270 max.
컬럼: A7000, A6000mx2, 온도 35℃.
이동상: PBS.
유속: 0.750 ml/분
검출기: 굴절율, 모세관 점도계 및 90°및 7°에서 측정되는 광 산란을 구비한 Viscotek TDA, 온도 35℃.
주입된 부피: 100 μl.
수퍼옥시드 음이온 ( superoxide anion) 생성의 평가
PMNs의 대사성 활성화 (metabolic activation)의 지표로서 ROS의 생성이, 피브리노겐 (fibrinogen: FBG), 콜라겐 IV (collagen IV: CIV), HA 또는 HABut로 코팅된 미세적정 플레이트 (microtitre plates)의 웰에서 호중구의 활성화에 이어서, 매질로 분비된 수퍼옥시드 음이온 (O2 -) 정량 면에서 평가되었다. 분광광도 방법 (spectrophotometric method)이,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인큐베이션 중에 상기 세포에 의해서 생성된 수퍼옥시드 음이온에 의해서 감소된 시토크롬 (cytochrome) c의 정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생물학적 표면에 대한 부착성 평가
대사성 분석 중에 상기 표면에 대한 세포 부착성이 상기 PMNs의 호아주르 과립 (azurophilic granules)내 포함된 마커 효소 (marker enzyme)인 효소 미엘로퍼옥시다제 (myeloperoxidase: MPO)의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평가되었다. Menegazzi et al. (A new, one-step assay on whole cell suspensions for peroxidase secretion by human neutrophils and eosinophils . Menegazzi R , Zabucchi G , Knowles A , Cramer R , Patriarca P . J Leukoc Biol . 1992 Dec;52(6):619-24)에 의해 개시된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다. 상기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이, H2O2의 존재 하에 MPO 효소에 의한 3,3',5,5'-테트라메틸벤지딘 (tetramethylbenzidine: TMB) 기질의 산화를 측정하는 정량적 발색계 효소 시험 (quantitative colorimetric enzyme test)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실시예 1: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3 (BUT12103)
100 ml의 탈염수가 1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28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1.6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이 후 30분 교반한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2.6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생성물이 아세톤에서 침전 및 후속하는 기울여 따라내기 (decanting)에 의해 분리되었다.
상기 용액이 아세톤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 정제되고, 감압 여과 (negative pressure filtration)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 현탁되었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 분리되어서,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 진공 오븐 (vacuum oven)에서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중수 (deuterated water: D2O)에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NMR 스펙트럼이 도 1에 개시되었고; 하부 스펙트럼 (a)이, 상기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 화학기에 기인하는 신호만을 보유하는 DOSY 서열을 적용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다른 2개의 1H NMR 스펙트럼은 각각 중수소화 소듐 히드록시드 (deuterated sodium hydroxide: NaOD)의 첨가에 의해서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이전 (b) 및 이후 (c)이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30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2: 분자량 분포 및 중량-평균 분자량 (MW)의 결정
280 kDa의 MW로 확인된, 실시예 1에 개시된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된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시료가 HP-SEC-TDA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되었다. 상기 실험 분자량의 분포는 300 kDa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제공한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시료가 HP-SEC-TDA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상기 실험 분자량의 분포는 360 kDa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제공한다.
실시예 3: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3 (BUT14014)
1 l의 탈염수를 15 l의 반응기로 붓고, 그 후 29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15.9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30분 교반한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25.9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 히드로클로르산 (HCl) 및 소듐 클로리드 (NaCl)로 구성된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quenching).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된 후에,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혼합물이 옮겨지고,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 현탁되었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실온에서 적어도 3시간 동안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오븐에서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에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에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30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4: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3 (HBint05012014)
2.5 l의 탈염수가 15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그 후에 29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25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39.8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30분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64.8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로 구성된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 현탁되었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실온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에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에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30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5: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58 (BUT14017)
100 ml의 탈염수가 1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29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었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2.6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9.2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로 구성된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58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6: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85 (BUT14019)
100 ml의 탈염수가 1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그 후에 29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5.3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에 30분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9.2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 현탁되었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실온에서 적어도 3시간 동안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85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7: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1.30 (HBint04042014-BUT14023)
100 ml의 탈염수가 1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그 후 29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13.2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23.1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3시간 동안 실온의 기류 (airstream)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1.30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8: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24 (HBint01042014-BUT14025)
1 l의 탈염수를 5 l의 반응기로 붓고, 그 후 127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5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10.6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90분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25.9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로 구성된 수용액 360 ml를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3 mg의 고형물이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고형물이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24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9: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 =0.51 (HBint03042014-BUT14032)
0.72 l의 탈염수가 5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그 후 127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3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23.8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6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60.9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30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3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51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0: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0.97 (HBint02042014-BUT14031)
0.85 l의 탈염수가 5 l의 반응기로 도입되고, 그 후 1270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3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47.6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6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138.3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아세톤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아세톤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3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97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1: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0.46 ( BUT14037 )
35 ml의 탈염수를 0.5 l의 플라스크에 붓고, 그 후 45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5.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0.8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1.3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혼합물이 옮겨지고,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 현탁되고,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분리되어서, 상기 용매가 여과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46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2: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1.68 ( BUT14039 )
12.5 ml의 탈염수가 0.25 l의 플라스크로 도입되고, 그 후 45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5.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6.6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11.9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1.68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3: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1.90 ( BUT14042 )
25.0 ml의 탈염수를 0.5 l의 플라스크에 붓고, 그 후 45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13.2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68.2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었다. 상기 생성물이 기울여 따르기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1.90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4: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0.06 ( BUT14043 )
50.0 ml의 탈염수가 0.5 l의 플라스크로 도입되고, 그 후 45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0.2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0.3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생성물이 감압 여과에 의해서 분리되고; 상기 생성물이 그 후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7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06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5: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합성, DS=0.02 ( BUT14044 )
50.0 ml의 탈염수가 0.5 l의 플라스크로 도입되고, 그 후 45 kDa의 MW를 갖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g이 첨가되었다. 상기 혼합물이 25℃로 온도조절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 온도로 교반 하에 유지되었다.
디소듐 카르보네이트 (Na2CO3 - 0.1 g)가 그 후에 첨가되고, 그 후 30분의 교반 후에 부티릴-이미다졸리드 (0.1 g)가 첨가되었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반응이 그 후에 HCl 및 NaCl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퀀칭되었다.
상기 용액을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그 후에 상기 생성물이 이소프로판올에서 침전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침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용액을 적어도 16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상기 혼합물이 그 후에 옮겨지고,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상기 생성물이 그 후에 이소프로판올에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해서 정제되고, 그 후 상기 생성물이 여과에 의해서 회수되었다.
상기 침전물이 적어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 60℃의 온도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D2O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10 mg의 시료가 0.7 ml의 NaOD 중 용해되고, NMR 시험 튜브로 옮겼다.
상기 1H NMR 스펙트럼들의 신호들을 통합시킴으로써, 0.02의 DS가 결정되었다.
실시예 16: TNF에 의해서 활성화된 PMNs에 의한 수퍼옥시드 음이온의 생성.
FBG (피브리노겐; PMN 부착이 허용된 표면); CIV (타입 IV 콜라겐 - 비-허용된 표면); HA: 히알루론산; HABu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0.3 실시예 4로 코팅된 웰에서 전염증성 시토킨 (proinflammatory cytokine) TNF에 의해 45분 동안 자극된 PMNs에 의한 수퍼옥시드 음이온의 생성.
상기 다양한 기제들로 코팅된 웰들에 Hepes 완충액 중 0.18 mM의 시토크롬 c 용액 및 0.15 ng/ml의 TNF가 충전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모듈 (modules)이 습윤된 인큐베이터 (humidified incubator)에서 37 ℃로 10분 동안 가열되고; Hepes 완충액 중 1.5x106 PMN/ml의 세포 현탁액이 각 웰로 첨가되었다. 15분 간격으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인큐베이터로부터 제거되고, 550 nm 및 540 nm의 파장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microplate reader)에서 분광광도 분석이 실시되고, 이는 각각 환원된 시토크롬 c의 흡수 피크, 및 환원 및 산화된 시토크롬 c의 흡수 스펙트럼의 등흡수점 (isosbestic point)에 해당한다. 상기 2개의 파장에서 기록된 흡수 값들 사이의 차이는 환원된 시토크롬 c의 정량에 비례한다. 106 세포를 곱한 O2 -의 정량이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nmoles O2 - / 106 PMN = OD x 106/ 0.0037 x n
여기서, n은 각 웰에 첨가된 세포의 수이다.
도 2에 기록된 히스토그램 (histogram)은, HABut로 코팅된 표면에서 인큐베이션된 PMNs의 TNF에 대해 수퍼옥시드 음이온의 생성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이고 (n=4인 Student's "t" 검정에 의해서 산출된 p < 0.001), 여기서 HA를 갖는 표면에서 인큐베이션된 것과 비교하여 0.3의 치환도를 갖는다.
실시예 17: 생물학적 표면에 대한 PMN 부착성 시험.
FBG (PMN 부착이 허용된 표면); CIV (비-허용된 표면); HA: 히알루론산; HABu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0.3 실시예 4로 코팅된 표면에 대한 PMN의 부착성. 결과: TNF로 활성화되지 않은 PMN. TNF: TNF로 활성화된 PMN; PMA: 포르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로 활성화된 PMN.
O2 - 생성의 측정을 위해 분광광도 판독을 수행한 후에, 상기 마이크로플레이트 웰에 PBS를 채우고, 2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이, H2O2의 존재 하에 MPO 효소에 의한 3',5,5'-테트라메틸벤지딘 (TMB) 기질의 산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되었다. TMB, 세틸트리메틸암모늄 (cetyltrimethylammonium: CTAB) 및 3-아미노-1,2-4-트리아졸 (3-amino-1,2-4-triazole: AMT)을 포함하는 아세테이트 완충액이 각 웰로 첨가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5분 동안 교반되어서 세포 용해 (cell lysis)를 촉진시키고, 상기 과립으로부터 MPO의 분비를 촉진시켰다. PMN 조제를 오염시킬 수 있는 에오시노필 (eosinophils)로부터 에오시노필 퍼옥시다제 (eosinophil peroxidase)의 활성이 ATM으로 저해되었다. H2O2를 첨가하고 2분 후에, 상기 반응이 H2SO4로 퀀칭되고, 각 웰의 흡광도 (absorbance)가 405 nm의 파장에서 측정되었다. 세포를 부착시키는 비율이, 세포의 알려져 있는 정량에 대해 산출된 퍼옥시다제 활성 값에 기반하여, 각 실험에서, 제조된 표준 곡선을 참조하여 산출된다.
도 3에 기록된 히스토그램은 HABut로 코팅된 표면에 부착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 PMNs의 수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였고 (n=4인 Student's "t" 검정에 의해 산출된 p < 0.001), 여기서 HA로 코팅된 표면에 부착된 PMNs의 수와 비교하여 0.3의 치환도를 갖는다.
실시예 18: 활성화 및 비-활성화 PMFs의 부착에 있어서 부티레이트 치환도 및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의 효과
HA 및 HABut로 코팅된 표면에 대한 TNF로 자극된 PMNs의 부착. HABu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0.3 실시예 4; HABut 시료 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1.3 실시예 7; HABut 시료 2: HMW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0.24 실시예 8; HABut 시료 3 HMW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부티레이트 DS=0.97 실시예 10. 결과: 음성 대조군. PMA: 양성 대조군.
블랙 컬럼 (Black column): TNF에 의해서 활성화되지 않은 PMNs. 화이트 컬럼 (White column): TNF로 활성화된 PMNs.
상기 표면에 대한 상기 PMFs의 부착성이 실시예 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가되었다.
도 4에 기록된 히스토그램은, 부티레이트에 의해 치환도가 증가될 때, HABut는 PMNs와의 부착 상호 작용에 점점 덜 허용되는 표면이 되는 반면에, 그 분자량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 것을 보여주었다.

Claims (12)

  1. 소듐 카르보네이트 (sodium carbonate)의 존재 하에서, 수용액 중 나트륨 또는 다른 알칼리 금속에 의해서 염화된 (salified) 히알루론산을 부티릴-이미다졸리드 (butyryl-imidazolide)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미용 용도, 또는 의료 장치로서의 용도에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hyaluronic acid butyrate) 또는 그 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나트륨 염의 제조를 위한 것인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은 103 내지 106 달톤 (Daltons)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을 갖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는 0.01 내지 2.5 범위의 치환도 (substitution degree)를 갖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는 0.1 내지 2 범위의 치환도를 갖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25℃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11 내지 9 범위의 pH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미용 용도에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그 염, 및 미용 용도에 허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 및/또는 담체 (carrying agent)를 포함하는 제제 (formulation)의 미용제 (cosmetic)로서 용도.
  10. 예를 들면 UV, X 선 및 감마선 방사선에 의한 조사 (irradiation)에 의해 유도된 고열 (hyperthermia)에 의해 유발된 염증, 궤양 및 병변과 같은 피부 병변의 치료에서 아쥬반트 (adjuvant)로서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8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약제학적 용도 또는 의료 장치로서 허용가능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또는 의료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국소 (topical)인 것인 미용제 용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국소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의료 장치.
KR1020177019077A 2015-01-13 2016-01-08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 KR102636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5A000017 2015-01-13
ITMI20150017 2015-01-13
PCT/EP2016/050268 WO2016113192A1 (en) 2015-01-13 2016-01-08 Process in water for the preparation of butyric esters of hyaluronic acid sodium sa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010A true KR20170105010A (ko) 2017-09-18
KR102636528B1 KR102636528B1 (ko) 2024-02-15

Family

ID=5257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77A KR102636528B1 (ko) 2015-01-13 2016-01-08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618982B2 (ko)
EP (1) EP3245233B1 (ko)
JP (1) JP6738337B2 (ko)
KR (1) KR102636528B1 (ko)
CN (1) CN107106694B (ko)
BR (1) BR112017014849B1 (ko)
CA (1) CA2973416C (ko)
DK (1) DK3245233T3 (ko)
ES (1) ES2704290T3 (ko)
PL (1) PL3245233T3 (ko)
PT (1) PT3245233T (ko)
RU (1) RU2708994C2 (ko)
WO (1) WO2016113192A1 (ko)
ZA (1) ZA2017046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21693A1 (it) 2019-11-20 2021-05-20 Bmg Pharma S P A Derivati butirrati o butirrati e formiati dell’acido ialuronico reticolati e loro procedimento di reticolazione
IT202000001831A1 (it) * 2020-01-30 2021-07-30 Caprika Srl Composizione per applicazione rettale a base di sale di acido butirrico per il trattamento delle patologie proctologich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1253A1 (en) * 1996-11-29 1999-09-15 Societa' Cooperativa Centro Ricerche Poly-Tech a Responsabilita' Limitata New butyric esters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05092929A1 (en) * 2004-03-29 2005-10-06 Sintofarm S.P.A. Hyaluronic acid butyric esters with a low degree of substitution, procedure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09068215A1 (en) * 2007-11-27 2009-06-04 Sigea S.R.L. Mixed butyric-formic esters of acid polysaccharid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skin cosmetic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71185T1 (de) * 1985-03-15 1998-10-15 Antivirals Inc Immunotestmittel für polynukleotid und verfahren
EP0416250A3 (en) * 1989-08-01 1991-08-28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cylurea and o-acylisourea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US5616568A (en) * 1993-11-30 1997-04-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JP3563440B2 (ja) * 1994-05-16 2004-09-08 生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シル化ヒアルロン酸の製造法
ITMI20022745A1 (it) * 2002-12-23 2004-06-24 Coimex Scrl United Companies Esteri misti dell'acido ialuronico ad attivita' citostatica e prodifferenziante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oduzione.
ITMI20030043A1 (it) * 2003-01-14 2004-07-15 Coimex S C R L United Companies Uso di esteri retinoici dell'acido ialuronico in cellule
US7091191B2 (en) * 2003-12-19 2006-08-15 Ethicon, Inc. Modified hyaluronic acid for use in musculoskeletal tissue repair
FR2908415B1 (fr) * 2006-11-10 2009-01-23 Abr Dev Sarl Acide hyaluronique reticu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1942117A1 (en) * 2006-12-29 2008-07-09 Sigea S.R.L. Derivatives of acid polysaccharides
US20090143348A1 (en) * 2007-11-30 2009-06-04 Ahmet Tezel Polysaccharide ge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stained delivery of drugs
WO2012048283A1 (en) * 2010-10-08 2012-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ITGE20120102A1 (it) * 2012-10-25 2014-04-26 Lipogems Internat S R L Procedimento di precondizionamento chimico di materiale cellulare per ottenere la riprogrammazione epigenetica chimica e l'espressione di pluripotenzialit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1253A1 (en) * 1996-11-29 1999-09-15 Societa' Cooperativa Centro Ricerche Poly-Tech a Responsabilita' Limitata New butyric esters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05092929A1 (en) * 2004-03-29 2005-10-06 Sintofarm S.P.A. Hyaluronic acid butyric esters with a low degree of substitution, procedure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09068215A1 (en) * 2007-11-27 2009-06-04 Sigea S.R.L. Mixed butyric-formic esters of acid polysaccharid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skin cosm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245233T (pt) 2019-01-16
ZA201704637B (en) 2018-12-19
EP3245233A1 (en) 2017-11-22
CN107106694A (zh) 2017-08-29
CA2973416A1 (en) 2016-07-21
RU2017124364A (ru) 2019-02-14
RU2017124364A3 (ko) 2019-07-17
ES2704290T3 (es) 2019-03-15
JP6738337B2 (ja) 2020-08-12
RU2708994C2 (ru) 2019-12-12
US20180273648A1 (en) 2018-09-27
BR112017014849A2 (pt) 2018-01-09
PL3245233T3 (pl) 2019-06-28
WO2016113192A1 (en) 2016-07-21
DK3245233T3 (en) 2019-01-28
US10618982B2 (en) 2020-04-14
JP2018501385A (ja) 2018-01-18
CN107106694B (zh) 2020-09-22
KR102636528B1 (ko) 2024-02-15
BR112017014849B1 (pt) 2022-05-17
EP3245233B1 (en) 2018-10-24
CA2973416C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Sulfated mod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e–antioxidant relationships of Artemisia sphaerocephala polysaccharides
EP2522337B1 (en) Hyaluronic acid est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dermatology
La Gatta et al. A complete hyaluronan hydrodynamic characterization using a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triple detector array system during in vitro enzymatic degradation
Zhu et al. Chemical structur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 polysaccharide from Siraitia grosvenorii
Dřímalová et al. Degradation of hyaluronan by ultrasonication in comparison to microwave and conventional heating
Kogan et al. Hyaluronic acid: A biopolymer with versatil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Vessella et al. Development of semisynthetic, regioselective pathways for accessing the missing sulfation patterns of chondroitin sulfate
Fuchs et al. Glycosaminoglycan degradation by selected reactive oxygen species
US6897203B2 (en) Polysaccharidic esters of retinoic acid
CN106573957A (zh) 由透明质酸和肌肽得到的衍生物
KR102636528B1 (ko) 히알루론산 나트륨 염의 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수중 제조 방법
AU2002321225A1 (en) Polysaccharidic esters of retinoic acid
Deschrevel et al. Chain-length dependence of the kinetics of the hyaluronan hydrolysis catalyzed by bovine testicular hyaluronidase
Qi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sulfated tara gum: RSM optim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El-Safory et al.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unsaturated hyaluronic acid oligomers
EP3119814B1 (en) Chondroitin sulphate purification method
Petit et al. Controlled sulfatation of natural anionic bacterial polysaccharides can yield agents with specific regenerating activity in vivo
EP3922268B1 (en) New derivatives obtained from hyaluronic acid and carnosine
Banasová et a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N-(2-MERCAPTO-2-METHYLPROPIONYL)-L-CYSTEINE: DESIGN AND SYNTHESIS OF ITS DERIVATIVES WITH ENHANCED POTENTIAL OF SCAVENGE HYPOCHLORITE
BAŇASOVÁ et al. MARTIN PUTALA, KATARÍNAVALACHOVÁ, and LADISLAVŠOLTÉS
PUTALA et al. MÁRIA BAŇASOVÁ, LUKÁŠ KERNER, IVO JURÁN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