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784A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784A
KR20170104784A KR1020160027617A KR20160027617A KR20170104784A KR 20170104784 A KR20170104784 A KR 20170104784A KR 1020160027617 A KR1020160027617 A KR 1020160027617A KR 20160027617 A KR20160027617 A KR 20160027617A KR 20170104784 A KR20170104784 A KR 2017010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shoulder
extending
reg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 류
Original Assignee
한국청정음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청정음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청정음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784A/ko
Publication of KR201701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어깨부; 상기 제1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어깨부; 상기 제2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단부; 상기 제1 하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하단부; 및 법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어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양각부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법선은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면와 배면영역 각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의미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PACKING VESSEL}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포장이란 제품의 보관 및 유통과정에 있어서 그 제품의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합한 재료 또는 용기 등으로 포장하는 방법 및 가공한 상태를 말한다.
과거 식품용 포장이라 하면, 제품을 담고 싸는 1차적인 목적으로만 그 의미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제는 생산과 소비, 유통방식, 소비자의 니즈가 변화함에 따라 포장에 요구되는 특성이 더욱 다양해졌다. 특히 대량 생산과 유통 방식의 다변화와 다양한 형상의 포장용기의 생산에 따라, 포장 용기의 적재 시 발생하는 찌그러짐이나 파손 위험 그리고 사용 후 포장 용기의 부피 최소화를 위한 포장 용기의 형상에 대한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고, 나아가 소비자가 편리하게 포장 용기를 파지하고, 액체류를 포함한 포장 용기의 안정적인 지지력 확보를 위한 포장용기의 형상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선행기술로써, 한국특허공개공보: 출원번호 10-2006-0028874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갖는 향기를 식별하기 용이한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고 있으나, 선행기술은 적재산 층간 눌림에 의한 손상을 방지 문제와 버팀력을 저하 문제와 파지의 불편함 문제 그리고 유통 및 이동간 제품의 접촉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시가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출원번호 10-2006-002887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적재산 층간 눌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버팀력을 높여 보관성 및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고, 포장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부분의 연결 영역에서 상압 버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저중량으로 약화될 수 있는 수평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소비자가 포장용기를 개봉할 때 또는 음용 시 파지 압력에 의한 물의 넘침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유통 및 이동간 제품의 접촉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어깨부; 상기 제1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어깨부; 상기 제2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단부; 상기 제1 하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하단부; 및 법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어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양각부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법선은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면와 배면영역 각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기 제2 어깨부의 영역 중 상기 제1 본체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1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영역 중 상기 제2 어깨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2 곡선부가 형성된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기 제1 곡선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물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곡선부는 상기 제1 곡선부와 대칭 형상인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경계 영역까지 제3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곡선부는 상기 제2 곡선부와 대칭 형상인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기 제2 본체부는 복수의 서로 이격된 파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홈은 원형 형상 및 타원형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파지홈을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기 하단부의 중앙 영역에는 연속된 제2 직선부가 형성된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상기 제2 하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갈매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갈매기부는 갈매기 형상의 홈 형상인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적재산 층간 눌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버팀력을 높여 보관성 및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각 구성부분의 연결 영역에서 상압 버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저중량으로 약화될 수 있는 수평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소비자가 포장용기를 개봉할 때 또는 음용 시 파지 압력에 의한 물의 넘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유통 및 이동간 제품의 접촉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어깨부의 제1 양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어깨부의 제1 곡선부와 제1 본체부의 제2 곡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본체부의 제3 곡선부와 제2 본체부의 제1 직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 하단부의 제2 직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2 하단부의 갈매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 하단부와 배면 영역에 이르는 방사형패턴과 배면 영역의 원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포장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 후 포장용기의 부피가 최소화된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1 및 제2 어깨부의 제1 양각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2 어깨부의 제1 곡선부와 제1 본체부의 제2 곡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 본체부의 제3 곡선부와 제2 본체부의 제1 직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1 하단부의 제2 직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2 하단부의 갈매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제2 하단부와 배면 영역에 이르는 방사형패턴과 배면 영역의 원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포장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실시예를 구현한 제품 형상으로써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는 주입부(100), 상기 주입부(1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어깨부(200), 상기 제1 어깨부(2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어깨부(300), 상기 제2 어깨부(3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400), 상기 제1 본체부(4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본체부(500), 상기 제2 본체부(5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단부(600) 그리고 상기 제1 하단부(60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하단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지름은 포장용기(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포장용기(10)의 중심을 지나는, 달리 표현하면 상기 포장용기(10)의 상면 영역(800)과 배면 영역(900)의 중심을 관통하는 법선(H)과 수직하게 상기 포장용기(10)를 절단한 경우, 절단면의 지름을 의미한다.
상기 포장용기(10)의 주입부(100)를 통해 액체 등 제품이 주입되고, 상기 주입부(100)에 마개(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품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기(10)는 상기 주입부(100)의 상면 상에 유일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100)의 상면에는 제품이 주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에 마개(미도시)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마개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10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주입부(100)의 상부면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주입부(100)의 상부면의 지름은 상기 주입부(100)의 하부면의 지름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통형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또한 상기 주입부(100)의 상부면의 지름은 제1 어깨부(200), 제2 어깨부(300), 제1 본체부(400), 제2 본체부(500), 제1 하단부(600) 및 제2 하단부(700) 각각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어깨부(300)는 상기 주입부(10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2 어깨부(300)의 상부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깨부(300)는 상단 영역의 지름은 상기 주입부(100)의 지름과 동일하고(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하단 영역은 상기 주입부(100)의 지름보다 클 수 있고, 상기 하단 영역은 상기 상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어깨부(300)로 이어지면서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어깨부(300)의 외측면은 상기 포장용기(10)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역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어깨부(400)는 상기 제1 어깨부(300)의 하부면에서부터 상기 제1 본체부(400)의 상부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연장되면서 지름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어깨부(400)의 하단 영역에서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될 수 있다(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본체부(400)는 상기 제2 어깨부(300)의 배면 영역으로부터 제2 본체부(500)의 상면 영역까지 연장되고,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2 본체부(500)는 상기 제1 본체부(400)의 배면 영역으로부터 제1 하단부(600)의 상면 영역까지 연장되고,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하단부(600)는 상기 제2 본체부(500)의 배면 영역으로부터 제2 하단부(700)의 상면 영역까지 연장되고,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단, 복수의 홈에 의한 지름 변경에 따라 지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2 하단부(700)는 상기 제1 하단부(600)의 배면 영역으로부터 포장용기(10)의 배면 영역(900)까지 연장되고, 상기 배면 영역(900)은 상기 제2 하단부(700)의 배면 영역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하단부(700)는 연장되면서 지름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주입부(100), 제1 어깨부(200), 제2 어깨부(300), 제1 본체부(400), 제2 본체부(500), 제1 하단부(600), 제1 하단부(700) 및 제2 하단부(700)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주입부(100)로부터 유입된 제품은 상기 제2 하단부(700)에서부터 포장용기(100)의 상부영역(800)까지 채워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어깨부(200, 300)의 경계 영역 상에는 제1 양각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양각부(210)는 도 2의 상면도 상에서 꽃잎 무늬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양각부(210)는 법선(H)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어깨부(200, 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지그재그(zigzag)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부 방향으로의 높이와 하부 방향으로의 높이는 비균일 할 수 있고, 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균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양각부(21)는 포장용기(10)의 적재간 층간 눌림에 의한 손상을 막도록 하고, 눌림(Top Load)에 의한 버팀력을 높여 보관성 및 상품성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어깨부(300)의 영역 중 제1 본체부(400)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1 곡선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본체부(400)의 영역 중 상기 제2 어깨부(300)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2 곡선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곡선부(310)는 법선(H)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어깨부(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물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곡선부(410)는 상기 제1 곡선부(310)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곡선부(310, 410)는 포장용기(10)의 제2 어깨부(300)와 제1 본체부(400)의 외측면이 물결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곡선부(310)는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선부(410)는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곡선부(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곡선부의 서로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작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2 곡선부(410)는 상기 제1 본체부(400)의 중앙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선부(410)는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제1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은 또 다른 한쌍과 제2 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곡선부(310, 410)는 제2 어깨부(300)와 제1 본체부(400)의 연결 영역에서 상압 버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본체부(400)는 제1 본체부(400)의 영역 중 제1 본체부(400)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상기 제1 본체부(400)와 제2 본체부(500)의 경계 영역까지 제3 곡선부(4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곡선부(420)는 상기 제2 곡선부(410)와 대칭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곡선부(420)는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곡선부(4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곡선부의 서로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작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곡선부(420)는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제1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은 또 다른 한쌍과 제2 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500)는 법선(H)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본체부(500)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직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부(510)는 상기 제2 본체부(500)의 외측면의 일부 영역을 오목한 형태로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직선부(51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직선부에 의하여 상기 제2 본체부(50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 측면이 물결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깨부(300)와 상기 제1 본체부(400)의 곡선부들(310, 410, 420)과 함께 상기 제2 본체부(500)의 제1 직선부(510)에 의해 포장용기(10)의 외측면을 직선 및 곡선으로 형상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저중량으로 약화될 수 있는 수평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소비자가 포장용기(10)를 개봉할 때 또는 음용 시 파지 압력에 의한 물의 넘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체부(500)는 복수의 서로 이격된 파지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지홈(520)은 상기 제2 본체부(500)의 외측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직선부(510)와 중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홈(520)은 원형 형상 및 타원형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파지홈이 될 수 있다.
상기 파지홈(520)은 포장용기(10)의 제품 파지 시 파지 저항력을 향상시켜 편리한 음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단부(600)의 중앙 영역에는 연속된 제2 직선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부(610)는 조밀한 간격의 복수의 직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직선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하단부(600)의 중앙 영역은 오목하게 포장용기(10)의 내측면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부(610)는 포장용기(10)의 유통 및 이동간 제품의 접촉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하단부(700)는 상기 제2 하단부(7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갈매기부(7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갈매기부(710)는 갈매기 형상의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갈매기부(710)는 제1 및 제2 본체부(400, 500)와 제1 하단부(600)에 이르면서 포장용기(10)의 외측면의 평면이 연속됨에 따른 강도 약화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포장용기(10)의 배면 영역(900)의 중심 영역에는 원패턴(910)이 형성되고 포장용기(10)의 배면 영역(900)의 상기 원패턴(910)에서부터 하단부(700)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이르는 복수개의 방사형패턴(720)이 배면 영역(900)에서부터 하단부(700)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이르는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패턴(910)와 상기 방사형패턴(720)은 상기 포장용기(10)의 지지력과 지지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기능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생략하고, 뚜렷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의 제2 본체부는 상부 영역에서부터 중앙 영역까지 법선(H)과 수직한 단면의 지름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부터 하단 영역까지 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본체부(500)의 외측면은 곡선 형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공통된 각 구성에 대한 기능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생략하고, 뚜렷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는 제1 실시예의 제2 본체부(500)는 생략되고, 상기 제1 본체부(400)의 법선(H)과 수직한 단면의 지름은 제2 어깨부(300)와 제1 하단부(600)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용기는 가운데 부분이 좁게 형성되어 아령 모양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는 아령 모양이 됨에 따라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여성이나 저연령층이 휴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단부(600)에는 산무늬패턴(6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무늬패턴(620)은 상압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2 하단부(700)와 바닥영역에 이르는 방사형패턴(720)은 제1 하단부(600)와 제2 하단부(700)의 경계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방사형패턴(720)을 길게 유지함으로써 포장용기(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의 포장용기(10)의 배면영역(900)의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값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포장용기들 각각의 배면영역의 모서리의 부분의 라운드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의 포장용기(10)의 배면영역(900)의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값을 줄임에 따라 배면영역(900)이 사각형에 가깝도록 설계함으로써 지지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 후 포장용기의 부피가 최소화된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포장용기(10)의 몸통 전체에 부여된 수평 및 곡선라인은 최종적으로 음용 후 폐기시 손쉽게 부피을 압축시킬 수 있게 해 주는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포장용기(10)
주입부(100)
제1 어깨부(200)
제1 양각부(210)
제2 어깨부(300)
제1 곡선부(310)
제1 본체부(400)
제2 곡선부(410)
제3 곡선부(420)
제2 본체부(500)
제1 직선부(510)
파지홈(520)
제1 하단부(600)
제2 직선부(610)
산무늬패턴(620)
제2 하단부(700)
갈매기부(710)
방사형패턴(720)
상면 영역(800)
배면 영역(900)
원패턴(910)

Claims (7)

  1.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어깨부;
    상기 제1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어깨부;
    상기 제2 어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단부;
    상기 제1 하단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하단부; 및
    법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어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양각부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상기 법선은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면와 배면영역 각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의미한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깨부의 영역 중 상기 제1 본체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1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영역 중 상기 제2 어깨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제2 곡선부가 형성된 포장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선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물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곡선부는 상기 제1 곡선부와 대칭 형상인 포장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경계 영역까지 제3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곡선부는 상기 제2 곡선부와 대칭 형상인 포장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복수의 서로 이격된 파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홈은 원형 형상 및 타원형 형상을 가진 복수의 파지홈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중앙 영역에는 연속된 제2 직선부가 형성된 포장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갈매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갈매기부는 갈매기 형상의 홈 형상인 포장용기.
KR1020160027617A 2016-03-08 2016-03-08 포장용기 KR20170104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17A KR20170104784A (ko) 2016-03-08 2016-03-08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17A KR20170104784A (ko) 2016-03-08 2016-03-08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84A true KR20170104784A (ko) 2017-09-18

Family

ID=6003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617A KR20170104784A (ko) 2016-03-08 2016-03-08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833A1 (en) * 2021-02-26 2022-09-01 The Coca-Cola Company Bottle with a ripple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833A1 (en) * 2021-02-26 2022-09-01 The Coca-Cola Company Bottle with a ripple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8264C (en) Hot-fill container
JP6342112B2 (ja) 樹脂製容器
CN104284839B (zh) 具有偏置的水平肋部的轻量型的耐真空的容器
TWI624407B (zh) 樹脂製容器
US9896254B2 (en) Multi-serve hot fill type container having improved grippability
ES2621282T9 (es) Recipiente de plástico con nervios de refuerzo
CN104271454B (zh) 具有改善的耐真空性的容器
US8870017B2 (en) Bottle for flowable product
JP2008030836A (ja) 合成樹脂製容器
USD821133S1 (en) Multi-container filling nozzle
TW201829255A (zh) 樹脂製容器
CA2972041A1 (en) Deformation-resistant container with panel indentations
KR20170104784A (ko) 포장용기
JP2007039109A (ja) 飲料用ボトル容器
JP2008030835A (ja) 合成樹脂製容器
JP6353947B2 (ja) 樹脂製容器
EP3088317B1 (en) Bottle container
CA3036096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US20190337661A1 (en) Resin made container
JP737030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112105563B (zh) 容器
JP737030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745508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17105546A (ja) 樹脂製容器
JP6999265B2 (ja) 樹脂製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