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299A -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299A
KR20170104299A KR1020160027198A KR20160027198A KR20170104299A KR 20170104299 A KR20170104299 A KR 20170104299A KR 1020160027198 A KR1020160027198 A KR 1020160027198A KR 20160027198 A KR20160027198 A KR 20160027198A KR 20170104299 A KR20170104299 A KR 2017010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activity item
score
i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053B1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엔지생명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F17/3053
    • G06F17/3069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험설계사들의 실적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전 활동 항목에서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들의 실적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간 전환 비율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산출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하는 등급 산출부 및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surance planner's activities based on management of customers}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활동 항목의 이전 활동 항목에서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고려하여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기업은 기업을 구성하는 조직 및 조직을 구성하는 구성원 즉 보험설계사의 성과를 관리한다. 기업은 조직 및 보험설계사의 성과를 관리함으로써 예측 경영을 통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보험설계사가 수행하는 다양한 활동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실적 산출시 모든 활동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기업의 수익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은 활동에 대해서는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기업의 수익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은 활동에 대해서는 낮은 가치를 부여하여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보험설계사가 실적 산출 프로그램에 허위로 완료하지 않은 활동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모든 활동을 기초로 보험설계사의 실적이 산출되었다. 보험설계사가 실적 산출 프로그램에 입력한 활동 내용 중 고객과의 계약 체결 여부에 따라 입력한 일부 활동 내용은 실적에 반영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간 전환 비율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별 이행 횟수를 통해 보험설계사가 허위로 입력한 활동 항목은 반영하지 않고 실적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보험설계사가 활동 항목을 실제로 수행한 시점과 활동 항목을 입력하는 시점의 차이를 제한하여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을 바로 입력하게 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 받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하는 등급 산출부 및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 중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하는 기간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고객 관리 정보는 고객의 수를 포함하고 온라인 상담 정보는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며, 계약 체결 정보는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점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 정보가 포함하는 활동 항목별 횟수를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 및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보다 크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재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은 경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감소시키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는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에서 이전 활동 항목으로부터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항목 전환율에 기초하여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간 전환 비율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은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별 이행 횟수를 통해 보험설계사가 허위로 입력한 활동 항목은 반영하지 않고 실적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은 보험설계사가 활동 항목을 실제로 수행한 시점과 활동 항목을 입력하는 시점의 차이를 제한하여 보험설계사가 수행한 활동 항목을 바로 입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점수 산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등급 산출부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수 산출 단계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의 흐름을 도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 점수 산출부(120), 등급 산출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는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 받는다.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한다. 보험설계사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태플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는 보험설계사가 입력한 활동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는 수신한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한다.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에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시스템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전술한 입력 시스템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활동 항목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수 산출부(120)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점수는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의미한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모두 합산한 점수를 의미한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단순히 덧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동 항목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반영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덧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룹 점수는 개개인별로 산출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모두 합산한 점수를 의미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애여부, 직급등과 같은 개인별 특수한 사항이 반영된 개인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모두 덧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룹은 보험설계사가 속한 최소 단위인 팀, 하나 이상의 팀을 포함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은 국내 또는 국외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에 소속된 보험설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별로 산출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합산하면 그룹 점수가 산출된다.
점수 산출부(120)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등급 산출부(13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한다. 점수 산출부(120)가 산출한 점수를 A, B, C, D, E 등과 같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등급은 1225점 이상이고, B등급은 845점 이상 1225점 미만이고, C등급은 465점 이상 845점 미만이고, D등급은 275점 이상 465점 미만이고 E등급은 275점 미만일 수 있다. 등급 산출부(130)는 보험설계사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에 따라 등급을 산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또는 개인의 활동 항목별 점수에 따른 등급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는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출력부(140)는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와 연결된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시스템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력부(140)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100)와 유무선 통신하는 전자 시스템으로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전자 시스템은 수신한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기간 제한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간 제한부(115)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 중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한다.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는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수행된 활동 항목 정보를 의미한다. 일정 기간이 하루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험설계사가 2016년 12월 24일에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2016년 12월 23일부터 2016년 12월 24일까지 수행한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간 제한부(115)는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이틀 전까지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예를 들면, 보험설계사가 2016년 12월 24일에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2016년 12월 22일부터 2016년 12월 24일까지 수행한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며칠 전까지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는지는 관리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정 기간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보험설계사가 자신의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할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활동 항목 정보를 제한함으로써 보험설계사가 활동 항목 정보를 허위로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험설계사가 자신의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활동 항목 정보를 제한함으로써,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간 제한부(115)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가 재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한다. 보험설계사는 이미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수정된 활동 항목 정보가 재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수행된 활동 항목의 정보라면, 수정된 활동 항목 정보를 재입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고객 관리 정보는 고객의 수를 포함하고 온라인 상담 정보는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며, 계약 체결 정보는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고객 관리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관리하는 고객의 정보로 고객의 수, 고객의 성함, 나이, 주소, 직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온라인 상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특정 고객과의 온라인 상담 횟수, 온라인 상담 시간, 온라인 상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오프라인 상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특정 고객과의 오프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시간, 오프라인 상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체결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계약 체결 횟수, 계약 체결 시간, 체결된 계약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평가하기 위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정보는 적어도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적어도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계약 체결 정보는 적어도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온라인 상담 횟수를 통해 온라인 상담 점수가 산출되고,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통해 오프라인 상담 점수가 산출되고, 계약 체결 횟수를 통해 계약 체결 점수가 산출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점수 산출부(12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수 산출부(12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220) 및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는 활동 항목 정보가 포함하는 활동 항목별 횟수를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 정보는 전술한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계약 체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활동 항목별 횟수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입력되며, 고객의 수, 온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횟수,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는 전술한 고객의 수, 온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횟수 및 계약 체결 횟수 각각을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는 고객의 수 85, 온라인 상담 횟수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 40, 계약 체결 횟수 4라는 결과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22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전술하였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수당 점수는 1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3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6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는 10점이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가 전술한 예와 같은 경우,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계약 체결 횟수가 4라면 다음과 같은 활동 항목별 점수가 산출된다. 고객의 수당 점수 및 고객의 수를 곱한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온라인 상담 횟수를 곱한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당 횟수를 곱한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240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 및 계약 체결 횟수를 곱한 계약 체결 점수는 40점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220)가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전술하였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단순히 더할 수 있다. 고객의 수당 점수 및 고객의 수를 곱한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온라인 상담 횟수를 곱한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당 횟수를 곱한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240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 및 계약 체결 횟수를 곱한 계약 체결 점수는 40점인 경우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85점, 480점, 240점 및 40점을 더한 845점이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가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가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은 후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31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보다 크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재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임계치의 예를 들면 고객 수는 한달에 85명, 온라인 상담 횟수는 하루에 12회 및 한달에 240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는 하루에 4회 및 한달에 80회이다. 계약 체결 횟수의 경우에는 임계치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어느 하나의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전술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임계치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재산출된다.
예를 들어, 고객 수가 한달에 90명이라면 월 단위 고객 수 임계치는 85명이기에 고객 수는 85명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횟수로만 예를 들면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12회이고,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60회이고,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240회이고,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2400회일 수 있다.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하였지만,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갱신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210)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32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은 경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감소시킨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320)는 먼저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A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가 13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3회, 계약 체결 횟수가 1회이고 B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가 11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회, 계약 체결 횟수가 4회와 같은 고객별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추출한다. 전술한 예에서,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포함하는 고객 일인당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는 12회이고, 고객 일인당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는 4회이고,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의 임계치는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감소된다.
A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하나인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를 비교했을 때,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가 더 작기 때문에, 온라인 상담 횟수는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로 감소된다. B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 모두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와 같거나 작기 때문에 온라인 상담 횟수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감소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으면,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의 차이만큼 감소된다. 결국,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으면,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설정된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활동 항목별로 설정되거나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의 임계치는 설정되어 있지 않기에,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는 제한이 없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및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설정하여, 보험설계사들은 다양한 고객과 접촉하여 영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230)는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에서 이전 활동 항목으로부터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항목 전환율에 기초하여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한다.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은 고객 관리, 온라인 상담, 오프라인 상담 및 계약 체결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관리를 시작으로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면, 구체적인 상품 설명을 위해 오프라인 상담이 이루어지고 계약 체결이 이루어진다. 보험설계사의 역량에 따라 고객 관리를 시작으로 온라인 상담까지만 수행될 수 있고, 온라인 상담, 오프라인 상담에 이어 계약 체결까지도 수행될 수 있다. 각 활동 항목간 전환율을 반영하여 각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전환율은 온라인 상담 횟수 대비 오프라인 상담 횟수 전환율인 제 1 전환율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 대비 계약 체결 횟수 전환율인 제 2 전환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은 25퍼센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상담 횟수는 적어도 온라인 상담 횟수의 25퍼센트가 되야 함을 의미한다. 만약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온라인 상담 횟수의 25퍼센트 미만이 되면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소된다.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제 1 감산율만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수식 1
{a*(100-b)}/c = d
a는 제 1 전환율, b는 제 1 최소 감산율, c는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d는 제 1 감산율이다. 제 1 전환율은 온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비율이다. 제 1 최소 감산율은 제 1 감산율의 하한값이다. 제 1 최소 감산율이 설정되면 온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비율이 아무리 낮아도 제 1 최소 감산율만큼만 고객 관리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은 기준값으로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보다 작으면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산된다. 제 1 감산율은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결과로, 고객 관리 점수와 온라인 상담 점수는 고객 관리 점수와 온라인 상담 점수에 제 1 감산율을 곱한 결과 값으로 감산된다. d 자체는 퍼센트 단위이기에 백분율로 환산하여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곱해야 한다.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이 25퍼센트이고, 제 1 최소 감산율이 0인 경우 수식 1 에 기초했을 때 제 1 감산율은 다음과 같다. 제 1 전환율은 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1 감산율 d는 100퍼센트이다. 고객의수 85에 따른 고객 관리 점수가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횟수 160에 따른 온라인 상담 점수가 480점인 경우 고객 관리 점수는 그대로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도 그대로 480점이다.
전술한 예에서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20회이고 나머지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 1 전환율은 1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1 에 따라 제 1 감산율 d는 50퍼센트이다. 결국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의 50퍼센트인 42.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의 50퍼센트인 240점이 된다.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제 1 감산율 만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수식 2에 따라 고객 관리 점수, 온라인 상담 점수 및 고객 상담 점수가 감소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식 2
{e*(100-f)}/g = h
e는 제 2 전환율, f는 제 2 최소 감산율, c는 제 2 전환율의 하한값, d는 제 2 감산율이다. 제 2 전환율은 오프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계약 체결 횟수의 비율이다. 제 2 최소 감산율은 제 2 감산율의 하한값이다. 제 2 최소 감산율이 설정되면 오프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계약 체결 횟수의 비율이 아무리 낮아도 제 2 최소 감산율만큼만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제 2 전환율의 하한값은 기준값으로 제 2 전환율이 제 2 전환율의 하한값보다 작으면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산된다. 제 2 감산율은 수식 2에 따라 산출된 결과로,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감산율을 곱한 결과 값으로 감산된다. h 자체는 퍼센트 단위이기에 백분율로 환산하여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곱해야 한다.
수식 1과 수식2를 모두 고려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계약 체결 횟수가 4,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이 25퍼센트, 제 1 최소 감산율이 0, 제 2 전환율의 하한값이 10퍼센트, 제 2 최소 감산율이 5퍼센트인 경우 제 1 감산율 및 제 2 감산율은 다음과 같다. 제 1 전환율은 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1 감산율은 100퍼센트이다. 제 2 전환율은 10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2 감산율은 100퍼센트이다. 고객의수 85에 따른 고객 관리 점수가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횟수 160에 따른 온라인 상담 점수가 480점이고, 계약 체결 횟수 4에 따른 계약 체결 점수가 40점인 경우 제 1 감산율은 100퍼센트이고 제 2 감산율도 100퍼센트이기에 고객 관리 점수는 그대로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도 그대로 480점이고 계약 체결 점수도 그대로 40점이다.
전술한 예에서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20이고 계약 체결 횟수가 1이고 나머지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 1 전환율은 1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1에 따라 제 1 감산율 d는 50퍼센트이다. 제 2 전환율은 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2에 따라 제 2 감산율 h는 52.5퍼센트이다. 제 1 감산율에 따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각각 42.5, 240이다. 제 1 감산율에 따라 감산된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제 2 감산율에 따라 한번더 감산되고 오프라인 상담 점수도 제 2 감산율에 따라 1번 감산된다. 오프라인 상담 횟수 20에 따른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120이다. 고객 관리 점수는 22.3125, 온라인 상담 점수는 126,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63이다. 결국 감산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22.3125, 126, 63와 계약 체결 횟수 1에 따른 계약 체결 점수 10을 더한 221.3125이다.
단순히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방문 점수, 온라인 방문 점수 및 계약 체결 점수를 더한 695점과는 차이가 있다. 전술한 제 1 전환율 하한값, 제 2 전환율 하한값, 제 2 최소 감산율, 제 2 최소 감산율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22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전술하였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를 들면, 고객의 수당 점수는 1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3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6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는 10점이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가 전술한 예와 같은 경우, 고객의 수 85, 온라인 상담 횟수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 40, 계약 체결 횟수 4라면 다음과 같은 활동 항목별 점수가 산출된다. 고객의 수당 점수 및 고객의 수를 곱한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온라인 상담 횟수를 곱한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당 횟수를 곱한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240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 및 계약 체결 횟수를 곱한 계약 체결 점수는 40점이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는 도 4에 도시된 점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등급 산출부(130)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등급 산출부(13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한다. 점수 산출부(120)가 산출한 점수를 A, B, C, D, E 등과 같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등급은 1225점 이상이고, B등급은 845점 이상 1225점 미만이고, C등급은 465점 이상 845점 미만이고, D등급은 275점 이상 465점 미만이고 E등급은 275점 미만일 수 있다. 도 5의 등급 산출부(130)는 보험설계사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에 따라 산출된 등급을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또는 개인의 활동 항목별 점수에 따른 등급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은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 점수 산출 단계(S620), 등급 산출 단계(S630) 및 출력 단계(S6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는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한다.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에서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한다. 보험설계사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태플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보험설계사가 입력한 활동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는 수신한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한다.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에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시스템을 통해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전술한 입력 시스템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활동 항목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수 산출 단계(S620)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점수는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의미한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모두 합산한 점수를 의미한다.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하나 이상의 활동 항목 각각에 대한 점수를 단순히 덧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동 항목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반영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덧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룹 점수는 개개인별로 산출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모두 합산한 점수를 의미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애여부, 직급등과 같은 개인별 특수한 사항이 반영된 개인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모두 덧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룹은 보험설계사가 속한 최소 단위인 팀, 하나 이상의 팀을 포함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은 국내 또는 국외에 존재하는 모든 지점에 소속된 보험설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별로 산출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합산하면 그룹 점수가 산출된다.
점수 산출 단계(S620)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등급 산출 단계(S63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한다. 점수 산출 단계(S620)가 산출한 A, B, C, D, E 등과 같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등급은 1225점 이상이고, B등급은 845점 이상 1225점 미만이고, C등급은 465점 이상 845점 미만이고, D등급은 275점 이상 465점 미만이고 E등급은 275점 미만일 수 있다.
등급 산출 단계(S630)는 보험설계사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에 따라 등급을 산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별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또는 개인의 활동 항목별 점수에 따른 등급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단계(S640)는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출력 단계(S640)는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과 연결된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방법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력 단계(S640)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하는 전자 시스템으로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전자 시스템은 수신한 점수 및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은 기간 제한 단계(S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간 제한 단계(S615)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 중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한다.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는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수행된 활동 항목 정보를 의미한다. 일정 기간이 하루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험설계사가 2016년 12월 24일에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2016년 12월 23일부터 2016년 12월 24일까지 수행한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간 제한 단계(S615) 는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이틀 전까지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예를 들면, 보험설계사가 2016년 12월 24일에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2016년 12월 22일부터 2016년 12월 24일까지 수행한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며칠 전까지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는지는 관리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정 기간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보험설계사가 자신의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할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활동 항목 정보를 제한함으로써 보험설계사가 활동 항목 정보를 허위로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험설계사가 자신의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활동 항목 정보를 제한함으로써, 보험설계사는 자신이 처리한 활동 항목 정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간 제한 단계(S615)는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가 재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 한다. 보험설계사는 이미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수정된 활동 항목 정보가 재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수행된 활동 항목의 정보라면, 수정된 활동 항목 정보를 재입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고객 관리 정보는 고객의 수를 포함하고 온라인 상담 정보는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며, 계약 체결 정보는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고객 관리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관리하는 고객의 정보로 고객의 수, 고객의 성함, 나이, 주소, 직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온라인 상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특정 고객과의 온라인 상담 횟수, 온라인 상담 시간, 온라인 상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오프라인 상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특정 고객과의 오프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시간, 오프라인 상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체결 정보는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로, 계약 체결 횟수, 계약 체결 시간, 체결된 계약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험설계사의 실적을 평가하기 위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정보는 적어도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적어도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계약 체결 정보는 적어도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온라인 상담 횟수를 통해 온라인 상담 점수가 산출되고,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통해 오프라인 상담 점수가 산출되고, 계약 체결 횟수를 통해 계약 체결 점수가 산출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수 산출 단계(S620)의 세부적은 흐름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수 산출 단계(S62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 단계(S720) 및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는 활동 항목 정보가 포함하는 활동 항목별 횟수를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 정보는 전술한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계약 체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활동 항목별 횟수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 단계(S610)가 지속적으로 입력하며, 고객의 수, 온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횟수,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한다.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는 전술한 고객의 수, 온라인 상담 횟수, 오프라인 상담 횟수 및 계약 체결 횟수 각각을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는 고객의 수 85, 온라인 상담 횟수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 40, 계약 체결 횟수 4라는 결과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 단계(S72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전술하였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수당 점수는 1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3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는 6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는 10점이다.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가 전술한 예와 같은 경우,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계약 체결 횟수가 4라면 다음과 같은 활동 항목별 점수가 산출된다. 고객의 수당 점수 및 고객의 수를 곱한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온라인 상담 횟수를 곱한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당 횟수를 곱한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240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 및 계약 체결 횟수를 곱한 계약 체결 점수는 40점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활동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 단계(S720)가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전술하였다. 전체활동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는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단순히 더할 수 있다. 고객의 수당 점수 및 고객의 수를 곱한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 온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온라인 상담 횟수를 곱한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 오프라인 상담 횟수당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당 횟수를 곱한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240점, 계약 체결 횟수당 점수 및 계약 체결 횟수를 곱한 계약 체결 점수는 40점인 경우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85점, 480점, 240점 및 40점을 더한 845점이다.
전체활동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가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활동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가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은 후술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810, S820)의 흐름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810, S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810, S82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보다 크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재산출한다. 활동 항목별 임계치의 예를 들면 고객 수는 한달에 85명, 온라인 상담 횟수는 하루에 12회 및 한달에 240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는 하루에 4회 및 한달에 80회이다. 계약 체결 횟수의 경우에는 임계치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어느 하나의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전술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임계치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재산출된다.
예를 들어, 고객 수가 한달에 90명이라면 월 단위 고객 수 임계치는 85명이기에 고객 수는 85명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횟수로만 예를 들면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12회이고,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60회이고,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240회이고,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2400회일 수 있다.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하였지만,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갱신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910, S920)의 흐름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S710)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910, S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910, S920)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은 경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감소시킨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S910, S920)는 먼저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A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가 13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3회, 계약 체결 횟수가 1회이고 B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가 11회,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회, 계약 체결 횟수가 4회와 같은 고객별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추출한다. 전술한 예에서,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포함하는 고객 일인당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는 12회이고, 고객 일인당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는 4회이고,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의 임계치는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감소된다.
A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하나인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를 비교했을 때,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가 더 작기 때문에, 온라인 상담 횟수는 온라인 상담 횟수의 임계치로 감소된다. B고객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 횟수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 모두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와 같거나 작기 때문에 온라인 상담 횟수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감소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으면,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의 차이만큼 감소된다. 결국,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으면,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설정된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활동 항목별로 설정되거나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의 임계치는 설정되어 있지 않기에, 고객 일인당 계약 체결 횟수는 제한이 없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및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설정하여, 보험설계사들은 다양한 고객과 접촉하여 영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 단계(S730)는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에서 이전 활동 항목으로부터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항목 전환율에 기초하여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한다.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은 고객 관리, 온라인 상담, 오프라인 상담 및 계약 체결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관리를 시작으로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면, 구체적인 상품 설명을 위해 오프라인 상담이 이루어지고 계약 체결이 이루어진다. 보험설계사의 역량에 따라 고객 관리를 시작으로 온라인 상담까지만 수행될 수 있고, 온라인 상담, 오프라인 상담에 이어 계약 체결까지도 수행될 수 있다. 각 활동 항목간 전환율을 반영하여 각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전환율은 온라인 상담 횟수 대비 오프라인 상담 횟수 전환율인 제 1 전환율 및 오프라인 상담 횟수 대비 계약 체결 횟수 전환율인 제 2 전환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은 25퍼센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상담 횟수는 적어도 온라인 상담 횟수의 25퍼센트가 되야 함을 의미한다. 만약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온라인 상담 횟수의 25퍼센트 미만이 되면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소된다.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제 1 감산율만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수식 1
{a*(100-b)}/c = d
a는 제 1 전환율, b는 제 1 최소 감산율, c는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d는 제 1 감산율이다. 제 1 전환율은 온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비율이다. 제 1 최소 감산율은 제 1 감산율의 하한값이다. 제 1 최소 감산율이 설정되면 온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오프라인 상담 횟수의 비율이 아무리 낮아도 제 1 최소 감산율만큼만 고객 관리 점수 및 오프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은 기준값으로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보다 작으면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산된다. 제 1 감산율은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결과로, 고객 관리 점수와 온라인 상담 점수는 고객 관리 점수와 온라인 상담 점수에 제 1 감산율을 곱한 결과 값으로 감산된다. d 자체는 퍼센트 단위이기에 백분율로 환산하여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곱해야 한다.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이 25퍼센트이고, 제 1 최소 감산율이 0인 경우 수식 1 에 기초했을 때 제 1 감산율은 다음과 같다. 제 1 전환율은 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1 감산율 d는 100퍼센트이다. 고객의수 85에 따른 고객 관리 점수가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횟수 160에 따른 온라인 상담 점수가 480점인 경우 고객 관리 점수는 그대로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도 그대로 480점이다.
전술한 예에서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20회이고 나머지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 1 전환율은 1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1 에 따라 제 1 감산율 d는 50퍼센트이다. 결국 고객 관리 점수는 85점의 50퍼센트인 42.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는 480점의 50퍼센트인 240점이 된다.
제 1 전환율이 제 1 전환율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제 1 감산율 만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수식 2에 따라 고객 관리 점수, 온라인 상담 점수 및 고객 상담 점수가 감소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식 2
{e*(100-f)}/g = h
e는 제 2 전환율, f는 제 2 최소 감산율, c는 제 2 전환율의 하한값, d는 제 2 감산율이다. 제 2 전환율은 오프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계약 체결 횟수의 비율이다. 제 2 최소 감산율은 제 2 감산율의 하한값이다. 제 2 최소 감산율이 설정되면 오프라인 상담 횟수에 대한 계약 체결 횟수의 비율이 아무리 낮아도 제 2 최소 감산율만큼만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가 감소된다. 제 2 전환율의 하한값은 기준값으로 제 2 전환율이 제 2 전환율의 하한값보다 작으면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감산된다. 제 2 감산율은 수식 2에 따라 산출된 결과로,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감산율을 곱한 결과 값으로 감산된다. h 자체는 퍼센트 단위이기에 백분율로 환산하여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상담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에 곱해야 한다.
수식 1과 수식2를 모두 고려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고객의 수가 85, 온라인 상담 횟수가 160,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40, 계약 체결 횟수가 4, 제 1 전환율의 하한값이 25퍼센트, 제 1 최소 감산율이 0, 제 2 전환율의 하한값이 10퍼센트, 제 2 최소 감산율이 5퍼센트인 경우 제 1 감산율 및 제 2 감산율은 다음과 같다. 제 1 전환율은 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1 감산율은 100퍼센트이다. 제 2 전환율은 10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제 2 감산율은 100퍼센트이다. 고객의수 85에 따른 고객 관리 점수가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횟수 160에 따른 온라인 상담 점수가 480점이고, 계약 체결 횟수 4에 따른 계약 체결 점수가 40점인 경우 제 1 감산율은 100퍼센트이고 제 2 감산율도 100퍼센트이기에 고객 관리 점수는 그대로 85점이고, 온라인 상담 점수도 그대로 480점이고 계약 체결 점수도 그대로 40점이다.
전술한 예에서 오프라인 상담 횟수가 20이고 계약 체결 횟수가 1이고 나머지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 1 전환율은 12.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1에 따라 제 1 감산율 d는 50퍼센트이다. 제 2 전환율은 5퍼센트가 되기 때문에 수식 2에 따라 제 2 감산율 h는 52.5퍼센트이다. 제 1 감산율에 따라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각각 42.5, 240이다. 제 1 감산율에 따라 감산된 고객 관리 점수 및 온라인 상담 점수는 제 2 감산율에 따라 한번더 감산되고 오프라인 상담 점수도 제 2 감산율에 따라 1번 감산된다. 오프라인 상담 횟수 20에 따른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120이다. 고객 관리 점수는 22.3125, 온라인 상담 점수는 126, 오프라인 상담 점수는 63이다. 결국 감산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는 22.3125, 126, 63와 계약 체결 횟수 1에 따른 계약 체결 점수 10을 더한 221.3125이다.
단순히 고객 관리 점수, 오프라인 방문 점수, 온라인 방문 점수 및 계약 체결 점수를 더한 695점과는 차이가 있다. 전술한 제 1 전환율 하한값, 제 2 전환율 하한값, 제 2 최소 감산율, 제 2 최소 감산율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 할 것이다.
110: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110: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
120: 점수 산출부
130: 등급 산출부
140: 출력부
210: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
220: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
230: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
310: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
320: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

Claims (16)

  1. 활동 항목 정보를 입력 받는 활동 항목 정보 입력부;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하는 등급 산출부; 및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 중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하는 기간 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관리 정보는 고객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상담 정보는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 체결 정보는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 정보가 포함하는 활동 항목별 횟수를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부; 및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
    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보다 크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재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부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은 경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감소시키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부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부는,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에서 이전 활동 항목으로부터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항목 전환율에 기초하여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9.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항목별 점수, 전체 활동 항목 점수 및 그룹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점수의 등급을 산출하는 등급 산출 단계; 및
    산출된 점수 및 산출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산출 단계 전에, 입력된 활동 항목 정보 중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의 활동 항목 정보만을 필터링하는 기간 제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 정보는,
    고객 관리 정보, 온라인 상담 정보, 오프라인 상담 정보 및 계약 체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관리 정보는 고객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상담 정보는 온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상담 정보는 오프라인 상담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 체결 정보는 계약 체결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산출 단계는,
    활동 항목 정보가 포함하는 활동 항목별 횟수를 누적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
    산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및 활동 항목별 횟수당 점수를 기초로 활동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점수 산출 단계; 및
    산출된 활동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가 활동 항목별 임계치보다 크면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활동 항목별 임계치로 재산출하는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임계치는,
    하루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주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월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및 연 단위 활동 항목별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 산출 단계는,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에서 고객별로 추출된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와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가 더 작은 경우 활동 항목별 누적 횟수를 감소시키는 고객 일인당 활동 항목별 임계치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활동 항목 점수 산출 단계는,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활동 항목에서 이전 활동 항목으로부터 다음 활동 항목으로 전환되는 항목 전환율에 기초하여 전체 활동 항목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방법.
KR1020160027198A 2016-03-07 2016-03-07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9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98A KR101897053B1 (ko) 2016-03-07 2016-03-07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98A KR101897053B1 (ko) 2016-03-07 2016-03-07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99A true KR20170104299A (ko) 2017-09-15
KR101897053B1 KR101897053B1 (ko) 2018-09-11

Family

ID=5992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98A KR101897053B1 (ko) 2016-03-07 2016-03-07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68A (ko) * 2018-12-05 2020-06-15 김준환 병원정보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64B1 (ko) 2020-07-31 2022-01-11 주식회사 지넥슨 보험설계사 통합 위촉 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486A (ja) * 1999-02-02 2000-08-11 Toshiba Corp 訪問販売における営業職員活動分析システム
JP2002099797A (ja) * 2000-09-22 2002-04-05 Ge Edison Life Insurance Co 営業担当者指定システム
JP2002207860A (ja) * 2001-01-05 2002-07-26 Nippon Life Insurance Co 情報に基づく営業活動支援方法
JP2004318865A (ja) * 2003-03-31 2004-11-11 Ricoh Co Ltd 販売活動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302011B1 (ko) * 2012-12-04 2013-08-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사건조사 담당자 지정을 이용한 손해사정 관리시스템
KR101344498B1 (ko) 2013-03-04 2013-12-23 (주)중외정보기술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486A (ja) * 1999-02-02 2000-08-11 Toshiba Corp 訪問販売における営業職員活動分析システム
JP2002099797A (ja) * 2000-09-22 2002-04-05 Ge Edison Life Insurance Co 営業担当者指定システム
JP2002207860A (ja) * 2001-01-05 2002-07-26 Nippon Life Insurance Co 情報に基づく営業活動支援方法
JP2004318865A (ja) * 2003-03-31 2004-11-11 Ricoh Co Ltd 販売活動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302011B1 (ko) * 2012-12-04 2013-08-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사건조사 담당자 지정을 이용한 손해사정 관리시스템
KR101344498B1 (ko) 2013-03-04 2013-12-23 (주)중외정보기술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68A (ko) * 2018-12-05 2020-06-15 김준환 병원정보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053B1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145B2 (en) Extrapolating trends in trust scores
US11900479B2 (en) Calculating a trust score
US202200068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electronic activities by parsing current and historical electronic activities
US9584540B1 (en) Crowdsourcing of trustworthiness indicators
CN109564669B (zh) 基于信任得分和地理范围搜索实体
CN117196312A (zh) 用于为请求实体调整第二实体的信任得分的方法和系统
JP609898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103202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ettlement of insurance claims
US2021039213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Website Relevance While Protecting Privacy
KR101897053B1 (ko)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46597B2 (en) Customer-level macro business performance monitoring
KR101897056B1 (ko)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232656A (zh) 一种业务数据的监测预警方法、设备、终端以及可读介质
JP660648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897058B1 (ko)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2015B1 (ko)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2014B1 (ko) 고객 관리 기반 보험설계사 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hacko et al. The former Indian DPB, California's CCPA and the European GDPR: A comparative analysis
US106791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ss resulting from data privacy and security breach
Mishra et al. A novel adaptive structure for SOA system effort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