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930A -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 Google Patents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930A
KR20170102930A KR1020177021637A KR20177021637A KR20170102930A KR 20170102930 A KR20170102930 A KR 20170102930A KR 1020177021637 A KR1020177021637 A KR 1020177021637A KR 20177021637 A KR20177021637 A KR 20177021637A KR 20170102930 A KR20170102930 A KR 2017010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y
search
response
query response
ph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양
원 호우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06F17/308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2Query translation
    • G06F16/24522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queries to structured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S120);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130);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기존의 질의응답 메커니즘을 최적화하여 질의응답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용자가 질의응답을 진행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관련출원의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5년 07월 28일에 제출한 출원인이 바이두 온라인 네트워크 테크놀러지 (베이징) 유한회사이고 발명의 명칭이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인 제201510452114.4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고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이 일상생활, 업무 및 학습 과정에 접한 다양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인터넷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예를 들어, 바이두 지식인, 즈후(知乎)와 포럼 등)이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나타났다.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묻고 싶은 질문을 제출할 수 있고, 질의응답 시스템은 특정 수단을 통해 대응되는 응답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자한테는 질의응답 과정이 비교적 번거롭고 체험도 그다지 좋지 않으며, 사용자들은 보통 먼저 검색 엔진을 통해 질의응답 시스템의 서비스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찾아내야 하고, 그 다음 해당 링크 정보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질문을 문의하고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존의 질의응답 메커니즘을 최적화하여 질의응답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용자가 질의응답을 진행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며, 해당 장치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질문 획득 유닛;
상기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 획득 유닛이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응답 수신 유닛;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응답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해당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동작;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한 후, 자동으로 해당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응답을 획득하고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검색 동작에만 의해서도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직접 입력하여 질의응답 시스템을 직접 액세스하고 대응되는 응답을 검색할 수 있고, 따라서, 질의응답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용자가 질의응답을 진행하기에 상당히 편리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하게 될 첨부 도면들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일 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서도 이러한 첨부 도면들에 대해 수정 및 교체를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의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시스템이 질의응답 정보를 처리하는 시그널링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검색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는 검색 페이지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검색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는 음성 수집 지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부분적인 실시에들일 뿐, 전부의 실시예들이 아니며,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를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서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에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검색 클라이언트(또는 브라우저 클라이언트)와 질의응답 서버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검색 클라이언트 또는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집적되고, 검색 엔진과 서로 배합하여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질의응답 서버는 검색 엔진과 다르게, 단말기에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검색 클라이언트 또는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으로서,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는 검색 클라이언트 내에 배치된다. 검색 클라이언트를 작동하면, 검색 클라이언트에는 검색창을 구비한 검색 페이지가 나타나고, 해당 검색창이 곧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이다. 여기서, 검색 페이지는 통상적으로 로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페이지이고, 물론 검색 클라이언트가 검색 엔진에 실시간으로 요청하여 획득한 페이지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으로서,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는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내에 배치된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트리거한 검색 페이지에 대한 액세스 지시를 수신한 후, 해당 지시에 따라 검색 엔진으로 액세스 요청을 시작하여 검색창을 구비한 검색 페이지를 로컬에 로딩하여 표시하며, 해당 검색창이 곧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이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신한 검색 문구를 직접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한 검색 문구의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 방식 또는 음성 입력 방식일 수 있다.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은 문자 입력 영역 및/또는 음성 입력 아이콘을 포함한다. 문자 입력 영역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입력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기를 통해 입력한 텍스트 콘텐츠를 수신하고 해당 텍스트 콘텐츠를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로 간주하며, 음성 입력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음성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는 임의 유형의 콘텐츠일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질문문의 콘텐츠, 엔티티 검색 콘텐츠, 자원 다운로드 콘텐츠 등일 수 있으므로, 선별이 없이 임의 유형의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전부 질의응답 서버에 포워딩하고 응답을 획득할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일부 검색 수요들이 질문를 제출하여 응답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검색 수요에 따라 입력한 검색 문구를 질의응답 서버에 발송할 필요가 없음), 질의응답 서버의 프로세싱 부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한 후, 먼저 해당 검색 문구를 식별하여 그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지 여부를 확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식별 과정은, 검색 문구를 해석하여 그 중에 질문 유형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찾는 단계; 및 포함될 경우, 해당 검색 문구의 유형을 질문 유형으로 확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질문 유형의 키워드는 개발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고, 그 개수는 하나, 둘 또는 다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의할 사항이 있습니다"를 하나의 질문 유형의 키워드로 간주할 수 있다. 수신한 검색 문구가 음성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음성 정보일 경우, 그의 해석 과정은, 해당 음성 정보를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로 전환시키고, 그 다음 해당 텍스트 콘텐츠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질문 유형의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
물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검색창 중에 특별히 질문문의를 위한 아이콘 또는 옵션을 설정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해당 아이콘 또는 옵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할 경우, 사용자한테 현재 질의응답 수요가 있음을 확정하고, 금번 수신한 사용자가 검색창에서 입력한 검색 문구를 질의응답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S120,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한다.
예시적으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며,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한다.
S130,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한 응답은 질의응답 서버에 의해 질의응답 요청에 따라 획득된다. 예시적으로, 해당 응답은, 질의응답 서버가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 속하는 분야 내의 전문가들 대응되는 단말기 또는 전문가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응답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해당 분야에서 풍부하고 아주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한테서 제공받은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한 응답의 정확도도 상당히 높고, 따라서 사용자의 질의응답 수요를 잘 만족시키고 방문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한 응답은, 질의응답 서버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질의응답 페어(pair)들 중에서 검색하여 획득한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과 매칭되는 목표 질의응답 페어 중의 응답일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각 질의응답 페어는 질문과 그에 대응되는 응답으로 구성되며, 목표 질의응답 페어는 상기 다수의 질의응답 페어들 중에서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과의 텍스트 또는 어의적 유사도가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질문이 포함된 질의응답 페어이다.
S140,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응답을 출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한 후, 자동으로 해당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응답을 획득하고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엔진으로부터 제공하는 일반적인 검색 동작에만 의해서도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직접 입력하여 질의응답 서버를 직접 액세스하고 대응되는 응답을 검색할 수 있고, 따라서, 질의응답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용자가 질의응답을 진행하기에 상당히 편리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를 기반으로 검색 문구의 입력 방식 및 응답의 출력 방식을 최적화하여 사용자 질의응답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210,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며,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특별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해당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바로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시 인터페이스를 먼저 표시할 수도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에는, 예를 들어, "눌러 말하기"와 같은 음성 입력 제시 콘텐츠가 표시되고 해당 표시 콘텐츠 아래에 마이크 아이콘 및 통계적인 최근 일정 기간 내(예를 들어, 일주일 내) 비교적 인기 있는 다수의 검색 단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시 인터페이스 중의 검색 단어들은 몇 초마다 업데이트된다. 인터페이스 중의 마이크 아이콘에 대한 터치 동작이 발생되면, 음성 수집 장치(예를 들어, 마이크)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음성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음성 형식의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형식의 검색 문구를 수집한 후, 먼저 텍스트 형식의 검색 문구로 전환하고, 그 다음 해석하여 그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지 여부를 확정하며, 질문 유형일 경우, 수집한 음성 형식의 검색 문구 또는 전환하여 획득한 텍스트 형식의 검색 문구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여기서, 상기 전환 작업은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로컬에서 음성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실현할 수도 있고,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음성 전환 서버를 원격으로 호출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음성 인식 기술의 제한으로 인해, 음성 정보를 텍스트 콘텐츠로 전환할 경우, 개별적인 글자와 단어가 잘못 전환된 경우는 불가피하고 심지어 일부 전환 결과들은 원래의 의미를 심각하게 곡해하게 된다. 따라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는 전환한 텍스트 콘텐츠가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원초의 음성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하여 획득한 텍스트 형식의 검색 문구는 하나 또는 다수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검색 문구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들 중에서 원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검색 문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해당 검색 문구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한다.
S220,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한다.
S230,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한다.
S240,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응답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한 응답은 음성 형식 또는 텍스트 형식의 응답일 수 있다.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는,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성 재생 장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응답이 텍스트 형식의 응답일 경우, 해당 응답을 음성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음성 정보로 전환시킨 후,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에 해당 음성 정보를 출력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은, 음성 방식을 통해 질의응답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질의응답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질의응답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질문의 입력과 응답의 출력 형식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음성 입력 방식으로 질문을 제출하고 음성 형식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키보드(또는 필기)를 잘 모르는 사용자, 손으로 동작하기 불편한 상태(예를 들어, 운전 또는 요리 중인 상태)에 처한 사용자 및 시작 장애인들로 하여금 질의응답 서버를 상당히 편리하게 이용하여 응답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형식으로 검색 문구를 입력할 경우, 텍스트 형식으로 응답을 출력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텍스트 형식으로 검색 문구를 입력할 경우, 음성 형식으로 응답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어 부재에 대한 제어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제3 실시에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장치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질문 획득 유닛(310); 질문 획득 유닛(310)이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320);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응답 수신 유닛(330); 및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응답 출력 유닛(3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며,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질문 획득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며,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질문 획득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질문 획득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며,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응답 출력 유닛(340)은 구체적으로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응답 출력 유닛(340)은 구체적으로,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적 해결 방안의 경우, 응답은 질의응답 서버에 의해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 속하는 분야 내의 전문가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검색 클라이언트 내에 배치된다. 물론, 해당 장치는 브라우저 클라이언트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품은 본 개시의 임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하는 방법에 상응한 기능적 모듈과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제4 실시예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시스템이 질의응답 정보를 처리하는 시그널링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모든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일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질의응답 정보 처리 시스템은 검색 클라이언트, 질의응답 서버 및 전문가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색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에 통합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질의응답 정보 처리의 시그널링 인터랙션 과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먼저, 검색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고,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한다. 해당 과정은 구체적으로,
검색 클라이언트의 입력 수집 모듈은, 사용자의 검색 페이지(도 4b를 참조함) 상의 검색창(40) 중의 음성 입력 아이콘(401)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하여 단말기 상의 마이크를 작동시키고, 아울러 음성 수집 지시 인터페이스(도 4c를 참조함)를 팝업하는 단계; 입력 수집 모듈이 음성 수집 지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음성 입력 완료"에 대한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마이크를 끄고, 마이크가 작동해서부터 꺼지지 전까지의 시간 내 수집한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를 오디오 파일(즉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구성된 파일)을 생성하여 검색 클라이언트의 중계 모듈에 전송하고 동시에 질의응답 서버의 표지도 전송하는 단계;
검색 클라이언트의 중계 모듈이 질의응답 서버의 표지를 수신한 후, 해당 표지와 동시에 전송한 오디오 파일을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문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는 단계; 및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검색 클라이언트는 질의응답 요청을 검색 엔진을 통해 포워딩할 필요가 없이 직접 질의응답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해당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는 질의응답 서버에만 발송될 수도 있고, 질의응답 서버와 검색 엔진에 동시에 발송될 수도 있으며, 즉 질문의 응답을 조회하는 동시에 검색도 진행한다.
다음, 질의응답 서버는 질의응답 요청을 해석하여 오디오 파일을 추출하고 해당 오디오 파일을 텍스트 형식의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전환하여, 해당 질문이 속하는 분야를 식별하고 해당 분야 내의 다수 전문가의 단말기에 응답 획득 요청을 시작하며, 여기서, 해당 요청은 오디오 파일을 포함한다.
그 다음, 각 전문가의 단말기는 응답 획득 요청에 따라 대응되는 응답을 생성하고 질의응답 서버에 반환한다.
나아가, 질의응답 서버는 수신한 응답을 검색 클라이언트에 반환하고, 검색 클라이언트의 응답 출력 모듈은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해당 응답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은, 질문자에게 있어서, 한편으로 검색 문구에 대해 텍스트 편집을 진행할 필요가 없고 음성으로 바로 입력하면 되므로 질문을 제출하기에 훨씬 편리하고, 다른 한편으로 응답이 검색 클라이언트에 직접 반환되어 사용자가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페이지를 액세스하여 응답을 검색할 필요가 없고 응답을 획득하는 적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실현한다.
특별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본 실시예 중의 검색 클라이언트의 중계 모듈은 검색 클라이언트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고, 검색 클라이언트 및 질의응답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데이터 중계 센터이다.
제5 실시예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해당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상기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 상기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질의응답 서버에 의해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 속하는 분야 내의 전문가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된다.
제6 실시예
도 5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510)(도 5에서 하나의 프로세서(510)를 예로 듬);
메모리(520); 및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입력 장치(530) 및 출력 장치(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중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입력 장치(530) 및 출력 장치(540)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5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예시된다.
메모리(52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모듈(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중의 질문 획득 유닛(310),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320), 응답 수신 유닛(330) 및 응답 출력 유닛(3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각종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 중의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520)는 저장 프로그램 영역과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 기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시 메모리 소자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기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530)는 입력한 숫자 혹은 문자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대한 키 신호의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장치 (54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은 상기 메모리(52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동작;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나아가,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동작은,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상기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및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개시이 소프트웨어 및 필수의 범용 하드웨어에 의존하여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로만 구현될 수도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임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의 기술에 대해 기여가 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FLASH),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함된 각 유닛 및 모듈은 기능 로직에 따라 분류되었으나, 상응한 기능을 실현할 수만 있다면 상술한 분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각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은 오직 상호 구분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내용은 오직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의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가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상기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상기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 상기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질의응답 서버에 의해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 속하는 분야 내의 전문가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9.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질문 획득 유닛;
    상기 질문 획득 유닛이 획득한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응답 수신 유닛;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응답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응답 요청 시작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상기 질의응답 서버에 규정된 포맷에 따라 질의응답 요청으로 캡슐화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버의 주소를 상기 질의응답 요청의 목표 주소로 추가하며,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 상기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검색 문구를 수신하고,
    수신한 검색 문구의 유형이 질문 유형인 것을 식별할 경우, 수신한 검색 문구에 따라 금번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을 통해 음성 방식으로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창 중의 음성 수집 아이콘에 대한 트리거 동작을 검출한 후, 음성 수집 장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음성 정보가 질문 유형의 음성 정보인 것을 식별할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획득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를 호출하여 음성 방식으로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질의응답 서버에 의해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 속하는 분야 내의 전문가들에 대응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7.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클라이언트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정보 처리 장치.
  18.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19.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설치된 검색창을 통해 입력한 질문 유형의 검색 문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문구를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으로 하여 질의응답 서버로 질의응답 요청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질의응답 서버로부터 반환된 상기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창에 대응되는 결과 표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KR1020177021637A 2015-07-28 2015-11-18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KR20170102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52114.4 2015-07-28
CN201510452114.4A CN106407198A (zh) 2015-07-28 2015-07-28 问答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PCT/CN2015/094881 WO2017016104A1 (zh) 2015-07-28 2015-11-18 问答信息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930A true KR20170102930A (ko) 2017-09-12

Family

ID=5788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37A KR20170102930A (ko) 2015-07-28 2015-11-18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39812A1 (ko)
EP (1) EP3242224A4 (ko)
JP (1) JP6730994B2 (ko)
KR (1) KR20170102930A (ko)
CN (1) CN106407198A (ko)
WO (1) WO2017016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0138A (zh) * 2017-08-11 2017-12-15 陕西合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获得问题反馈的辅助系统及方法
CN109102809B (zh) * 2018-06-22 2021-06-15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机器人的对话方法及系统
CN109697259B (zh) * 2018-12-29 2023-04-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桓台县供电公司 变电站用问答查询系统
CN109684466B (zh) * 2019-01-04 2023-10-13 钛氧(上海)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教育顾问系统
CN110275948A (zh) * 2019-05-30 2019-09-2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自助服务的自由跳转方法、装置及介质
US11545148B2 (en) 2019-06-18 2023-01-03 Roku, Inc. Do not disturb functionality for voice responsive devices
CN110516051A (zh) * 2019-07-26 2019-11-2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809095A (zh) * 2019-10-25 2020-02-18 大唐网络有限公司 语音外呼的方法和装置
CN110941695A (zh) * 2019-11-05 2020-03-31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问答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858872B (zh) * 2020-04-10 2024-05-28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问答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82195B (zh) * 2020-10-27 2022-12-27 北京百分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问答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360612A (zh) * 2021-05-25 2021-09-07 张健 一种基于问诊请求的ai诊断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CN114372215B (zh) * 2022-01-12 2023-07-14 抖音视界有限公司 一种搜索结果展示、搜索请求处理方法及装置
CN115587201A (zh) * 2022-10-17 2023-01-1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搜索结果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394B2 (en) * 2000-06-30 2005-05-31 Askm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knowledge management
JP3903820B2 (ja) * 2002-03-20 2007-04-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然言語処理システム及び自然言語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28608A (ja) * 2003-10-21 2005-05-19 Nec Corp 回答システム、回答サーバ、回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66379B2 (ja) * 2005-01-11 2010-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音声認識装置
JP4654780B2 (ja) * 2005-06-10 2011-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質問応答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検索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33463A (ja) * 2005-11-08 2007-05-31 Kyodo Jyushin Service Kk 携帯電話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WO2007108788A2 (en) * 2006-03-13 2007-09-27 Answe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swer extraction
US8527278B2 (en) * 2009-06-29 2013-09-03 Abraham Ben David Intelligent home automation
CN101986293B (zh) * 2010-09-03 2016-08-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在搜索界面中呈现搜索答案信息的方法及设备
CN102004794B (zh) * 2010-12-09 2013-05-0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搜索引擎系统及其实现方法
CN103177025B (zh) * 2011-12-23 2017-07-21 深圳市世纪光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互动问答信息系统回答信息的推荐方法和装置
CN102651022B (zh) * 2012-03-31 2017-05-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搜索方法和装置
JP5498556B2 (ja) * 2012-10-24 2014-05-21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質問回答方法
JP5835197B2 (ja) * 2012-11-29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CN103473297A (zh) * 2013-09-05 2013-12-25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智能移动终端的多媒体问答系统和方法
US9460085B2 (en) * 2013-12-09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sting and training a question-answering system
CN104239462A (zh) * 2014-09-02 2014-12-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搜索结果的展现方法和装置
CN104462262B (zh) * 2014-11-21 2017-10-3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搜索的方法、装置和浏览器客户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0994B2 (ja) 2020-07-29
CN106407198A (zh) 2017-02-15
JP2018510407A (ja) 2018-04-12
WO2017016104A1 (zh) 2017-02-02
EP3242224A4 (en) 2018-02-14
US20180239812A1 (en) 2018-08-23
EP3242224A1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2930A (ko) 질의응답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US94799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translation-based communication ser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ervice
US11288303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apparatus
WO2018157349A1 (zh) 一种机器人交互方法及交互机器人
CN111932144B (zh) 一种客服坐席分配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6004763A1 (zh) 业务推荐方法和具有智能助手的装置
EP36339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586244B (zh) 一种语音客服方法及系统
WO2015043547A1 (en)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essage respons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CN107977238A (zh) 应用启动方法及装置
WO2020052370A1 (zh) 自助服务的使用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15424624B (zh) 一种人机互动的服务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2016006607A (ja) 対話型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308240B (zh) 操作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4064943A (zh) 会议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343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keyword identifier
CN110929014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150501A (zh) 一种语音交互方法及电子设备
EP3644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printing of voice assistant search results
CN109739462B (zh) 一种内容输入的方法及装置
CN109725798B (zh) 智能角色的切换方法及相关装置
US20220374618A1 (en) Intera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CN109274825A (zh) 一种消息提醒方法及装置
WO2017028635A1 (zh) 一种信息处理系统、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996138B1 (ko)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