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594A -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594A
KR20170102594A KR1020160024833A KR20160024833A KR20170102594A KR 20170102594 A KR20170102594 A KR 20170102594A KR 1020160024833 A KR1020160024833 A KR 1020160024833A KR 20160024833 A KR20160024833 A KR 20160024833A KR 20170102594 A KR20170102594 A KR 2017010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e dust
sensor
bl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347B1 (ko
Inventor
송영애
Original Assignee
(주)한성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윈도우 filed Critical (주)한성윈도우
Priority to KR102016002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3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17
    • F24F2011/0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는, 창호에 장착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구획된 일측으로 실내, 외 공기를 강제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어도 둘 이상 배열고정되고, 상, 하 표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수용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구획된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이 구성되는 작동수단; 상기 송풍기 및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체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판이 수용체를 밀폐하였을 때 송풍기가 위치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의 상, 하단부측으로 수용부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를 밀폐하는 내부면 상, 하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레일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마감판;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레일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작동수단의 피니언과 대응되는 나사형태인 래크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피니언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되어 개방부를 밀폐 또는 개방하는 작동판; 상기 수용체에 취부되어 실내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1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감지센서로부터 미세먼지가 감지된 수치값을 전송받아 전송된 미세먼지 수치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송풍기 및 모터의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감지센서를 통한 제어부의 제어로 인해 송풍기와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판으로 하여금 마감판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기가 작동함으로서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건축물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 효율적인 공기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A ventilation device of double window}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에 숭풍기가 내설되어 작동수단의 작동으로 하여금 작동판이 작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서 송풍기로 하여금 실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실내, 외에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제1, 2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부가 작동수단을 제어함으로서 자동제어 기능이 구비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문은 환기, 채광, 디자인의 용도로 이용되며, 이외에도 소음이나 결로, 단열 등의 목적에 따라서도 창문이 설계되는데, 이러한 용도나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창문은 외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온도가 서로 교환되어 창문 주위에서는 겨울엔 난방, 여름엔 냉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69579호를 개발하여 자동으로 작동판으로 하여금 마감판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기가 작동함으로서 실내창 및 실외창을 개방하지 않아도 건축물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 효율적인 공기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에 대한 개량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에 외부와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수단과 숭풍기가 구성되며, 제1감지센서를 통한 제어부를 제어로 하여금 송풍기와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서 실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2감지센서를 통해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실내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때에 자동으로 송풍기와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제어 기능이 구비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에 장착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구획된 일측으로 실내, 외 공기를 강제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어도 둘 이상 배열고정되고, 상, 하 표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수용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구획된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이 구성되는 작동수단; 상기 송풍기 및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체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판이 수용체를 밀폐하였을 때 송풍기가 위치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의 상, 하단부측으로 수용부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를 밀폐하는 내부면 상, 하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레일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마감판;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레일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작동수단의 피니언과 대응되는 나사형태인 래크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피니언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되어 개방부를 밀폐 또는 개방하는 작동판; 상기 수용체에 취부되어 실내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1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감지센서로부터 미세먼지가 감지된 수치값을 전송받아 전송된 미세먼지 수치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송풍기 및 모터의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감지센서를 통한 제어부의 제어로 인해 송풍기와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판으로 하여금 마감판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기가 작동함으로서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건축물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 효율적인 공기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감지센서를 통해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송풍기와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제어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감지센서를 통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감지센서와 프로그램부를 통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스위치를 통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a), (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수용체 및 마감판이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필터부재가 인입된 필터프레임이 취부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면상발열체가 인입된 발열프레임이 취부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마찰체가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a), (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일반적인 창호는 창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창문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는 상기 창호에 구성되어 별도로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송풍기(11)가 내설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의 수용체(10), 수용체(10) 내부에 구성되는 작동수단(20), 상기 송풍기(11) 및 작동수단(20)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개방된 수용체(10)의 일측을 밀폐하는 마감판(40), 상기 마감판(40)에서 이동되어 마감판(40)에 형성된 개방부(41)을 개폐하는 작동판(50), 창문 주위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100)로 구성되어진다.
수용체(10)는 창호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케이스 형태인 수용체(10)의 내부가 구획되어 구획된 내부로 후술되는 구성요소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10)의 구획된 일측으로 건축물의 실내, 외 공기를 강제송풍시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송풍기(11)가 적어도 둘 이상 배열고정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기(11)가 수용체(10)의 길이방향으로 3 ~ 4개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수용체(10)의 길이방향으로 송풍기(11)가 다수개가 설치되어 흡입력 및 배기력을 향상시켜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용체(10)의 상, 하 표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수용부(1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마감판(4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작동수단(20)은 후술되는 작동판(50)을 구동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모터(21) 및 피니언(23)으로 구성되어지며,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체(10)의 구획된 내부에 모터(21)가 구성되고 피니언(23)은 상기 모터(21)의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23)이 회전되어 후술되는 작동판(5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는 상기 송풍기(11) 및 모터(21)를 제어하여 송풍기(11)와 모터(2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풍기(11)와 모터(2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체(10)의 구획된 내부에 위치됨으로서 제어부(30) 또한 수용체(10)의 구획된 내부에 취부되어 구성된다.
마감판(40)은 상기 수용체(10)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또한 마감판(40)이 수용체(10)를 밀폐하였을 때 송풍기(11)가 위치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개방부(41)가 형성되어 송풍기(11)에서 발생되는 흡입력과 배기력이 수용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40)은 상, 하단부측으로 수용체(10)의 수용부(13)에 인입되는 인입부(43)가 다수 형성되어 인입부(43)가 수용체(10)의 개방된 일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40)은 수용체(10)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내부면 상, 하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체(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레일부(45)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후술되는 작동판(50)이 레일부(45)의 돌출되는 면으로 이동되면서도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하여금 이동되는 작동판(50)이 레일부(4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10)와 마감판(40)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수용부(13)와 인입부(43)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체(10)와 마감판(40)에 각각 공지의 볼트공과 볼트, 끼움공와 끼움구 각각 구성되어 수용체(10)와 마감판(40)과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작동판(50)은 상기 마감판(40)의 개방부(41)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레일부(45)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송풍기(11)가 작동될 때에는 마감판(40)의 개방부(41)를 개방하고 송풍기(11)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부(41)를 밀폐하도록 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판(50)은 개방부(41)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해 개방부(41) 보다 확장된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작동판(50)의 상, 하단부가 마감판(40)에 형성되는 레일부(45)에 인입되어 이동가능할 수 있는 넓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판(5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작동수단(20)의 피니언(23)과 대응되는 나사형태인 래크(51)가 구성되어 래크(51)가 피니언(23)의 외주연과 치합됨으로서 피니언(23)의 정, 역회전으로 인해 전, 후로 이동됨으로서 개방부(41)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30)의 제어로 인해 송풍기(11)와 작동수단(20)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판(50)으로 하여금 마감판(40)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기(11)가 작동함으로서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건축물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 효율적인 공기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체(10)에 마감판(40) 및 작동판(50)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분리가 용이하여 수용체(10) 내부의 송풍기(11) 및 작동수단(20)의 교체 및 수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면서도 내부의 청소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져 구성요소의 수명을 오래 지속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제1감지센서(100)는 수용체(10)에 취부되어 실내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제1감지센서(100)로부터 미세먼지가 감지된 수치값을 전송받아 전송된 미세먼지 수치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을 수행시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감지센서(100)에 감지되는 미세먼지 수치에 의해 제어부(30)를 통한 송풍기(11)와 작동수단(20)이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서 자동으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자동환기가 수행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감지센서(100)가 취부되는 반대측의 마감판(40)에 취부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2감지센서(2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30)에는 제1감지센서(100)와 제2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 수치를 비교하여 제1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의 수치가 높으면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을 수행시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프로그램부(31)가 설치된다.
즉, 제1, 2감지센서(100, 200) 및 제어부(3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부(31)로 하여금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실내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때에 자동으로 송풍기(11)와 작동수단(20)을 작동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제어 기능이 구비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창호의 일측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배선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부를 제어하여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여부를 선택하는 전기스위치(300)가 구성된다.
또한 전기스위치(300)의 옆으로 제1감지센서(100)와 제2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 수치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400)가 구성되어 제어부를 통한 자동제어기능이 없이도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실내 미세먼지와 실외 미세먼지 수치를 관찰하여 전기스위치(300)를 통해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여부를 선택하여 제어부(30)의 고장 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10)의 수용부(13)와 마감판(40)의 인입부(43)가 상호 마찰되는 부위로 걸림되는 걸림턱(15)과 걸림부(47)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15)은 수용부(13)의 사이에 인입부(43)가 인입되는 방향의 상측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퍼지도록 연장된 단부는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47)는 인입부(43)의 하측면에 수용부(13)에 인입되는 반대방향의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테이퍼지도록 연장된 단부는 상측으로 수직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판(40)의 인입부(43)가 수용체(10)의 수용부(13)에 인입되어 수용체(10)에 마감판(40)이 결합될 때 걸림턱(15)의 테이퍼지는 형태에 따라 걸림부(47)가 슬라이딩된 후 걸림부(47)의 단부와 걸림턱(15)의 단부가 상호 걸림되어 인입부(43)가 수용부(13)에 인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어 수용체(10)과 마감판(4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40)에 형성된 개방부(41)의 내측으로 사각 형태의 필터프레임(60)이 취부되고 상기 필터프레임(60)으로 필터부재(61)가 인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61)로 하여금 작동판(50)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개방부(41)로 송풍기(11)에 의해 실외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에 혼입된 미세먼지 및 각종 유해물질의 필터링이 이루어짐으로서 실내의 공기가 정화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필터부재(61)는 다수 개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먼지와 같은 미세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카본필터 또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을 정균하는 헤파필터가 선택적으로 구성되거나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과 같이 외부온도가 건축물 실내온도와 차이가 나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난방이 이루어지는 실내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40)에 형성된 개방부(41)의 외측으로 사각 형태의 발열프레임(70)이 취부되고 상기 발열프레임(70)으로 면상발열체(71)가 인입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겨울철에 난방을 실시하는 건축물의 내부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0) 및 마감판(40)의 외측 테두리 부위로 연질의 마찰체(80)가 구비되어 마찰체(80)가 창호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0 : 수용체 11 : 송풍기
13 : 수용부 15 : 걸림턱
20 : 작동수단 21 : 모터
23 : 피니언 30 : 제어부
40 : 마감판 41 : 개방부
43 : 인입부 45 : 레일부
47 : 걸림부 50 : 작동판
51 : 래크 60 : 필터프레임
61 : 필터부재 70 : 발열프레임
71 : 면상발열체 80 : 마찰체
100 : 제1감지센서 200 : 제감지센서
300 : 전기스위치

Claims (7)

  1. 창호에 장착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구획된 일측으로 실내, 외 공기를 강제송풍시키는 송풍기(11)가 적어도 둘 이상 배열고정되고, 상, 하 표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수용부(1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용체(10);
    상기 수용체(10)의 구획된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21) 및 상기 모터(21)의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23)이 구성되는 작동수단(20);
    상기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수용체(10)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판이 수용체(10)를 밀폐하였을 때 송풍기(11)가 위치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개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판의 상, 하단부측으로 수용부(13)에 인입되는 인입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10)를 밀폐하는 내부면 상, 하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체(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레일부(45)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마감판(40);
    상기 개방부(41)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레일부(41)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작동수단(20)의 피니언(23)과 대응되는 나사형태인 래크(51)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피니언(23)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되어 개방부(41)를 밀폐 또는 개방하는 작동판(50);
    상기 수용체(10)에 취부되어 실내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1감지센서(100);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제1감지센서(100)로부터 미세먼지가 감지된 수치값을 전송받아 전송된 미세먼지 수치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100)가 취부되는 반대측의 마감판(40)에 취부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2감지센서(20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에는 제1감지센서(100)와 제2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 수치를 비교하여 제1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의 수치가 높으면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을 수행시키는 프로그램부(3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100)가 취부되는 반대측의 마감판(40)에 취부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수치화시키는 제2감지센서(200)가 구성되고,
    상기 창호의 일측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배선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부를 제어하여 송풍기(11) 및 모터(21)의 작동여부를 선택하는 전기스위치(300)가 구성되고,
    상기 전기스위치(300)의 옆으로 제1감지센서(100)와 제2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되는 미세먼지 수치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4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0)는 수용부(13)의 사이에 마감판(40)의 인입부(43)가 인입되는 방향의 상측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의 걸림턱(15)이 구성되고,
    상기 마감판(40)은 인입부(43)의 하측면에 수용부(13)에 인입되는 반대방향의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상측으로 수직연장되는 형태의 걸림부(47)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40)은 개방부(41)의 내측으로 필터프레임(60)이 취부되고 상기 필터프레임(60)으로 필터부재(61)가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40)은 개방부(41)의 외측으로 발열프레임(70)이 취부되고 상기 발열프레임(70)으로 면상발열체(71)가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0) 및 마감판(40)의 외측 테두리 부위로 연질의 마찰체(8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1020160024833A 2016-03-02 2016-03-02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10183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33A KR101835347B1 (ko) 2016-03-02 2016-03-02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33A KR101835347B1 (ko) 2016-03-02 2016-03-02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94A true KR20170102594A (ko) 2017-09-12
KR101835347B1 KR101835347B1 (ko) 2018-03-08

Family

ID=5992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33A KR101835347B1 (ko) 2016-03-02 2016-03-02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77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자동차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948B1 (ko) 2018-03-16 2020-12-04 김승민 창문형 공기 청정기
KR102272904B1 (ko) 2019-02-27 2021-07-05 엠제이하이테크(주) 미세먼지 저감 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건축물
KR102144731B1 (ko) * 2020-05-04 2020-08-14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18B1 (ko) * 2009-12-08 2010-09-28 현대건설주식회사 외기냉방 겸용 전열 교환 폐열회수 환기유니트
KR101269579B1 (ko) * 2012-12-26 2013-05-30 (주)한성윈도우 이중창의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77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자동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347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1835347B1 (ko)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101808116B1 (ko) 공기청정 시스템
KR100625302B1 (ko) 환기 모듈 창호 시스템
TWI555954B (zh) 空氣清淨機
JP4581024B1 (ja) 空気調和機
KR101998489B1 (ko)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KR100894362B1 (ko) 환기시스템의 필터 청소장치
JP6457253B2 (ja) 空気調和機
KR101269579B1 (ko) 이중창의 환기장치
KR20090123646A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방화문
US200400202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energy in indoor cooling and heating
JP4417709B2 (ja) 空気調和機
KR101526136B1 (ko) 에너지 회수형 가역팬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
KR100566022B1 (ko) 공기 조화기
JP6444608B2 (ja) 空気調和機
JP2001074300A (ja) 空気調和機
KR200369798Y1 (ko) 지상 건물용 공기 청정기
KR102454848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자동 도어 시스템 및 기타 보조 장치를 구비한 미래 창호 시스템
KR20080065130A (ko) 공기조화기
JP2011052891A (ja) 空気調和機
KR20080065407A (ko) 공기조화기
KR20060119068A (ko)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JP2005233539A (ja) 空気調和機
JP2006162158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