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31B1 -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31B1
KR102144731B1 KR1020200053474A KR20200053474A KR102144731B1 KR 102144731 B1 KR102144731 B1 KR 102144731B1 KR 1020200053474 A KR1020200053474 A KR 1020200053474A KR 20200053474 A KR20200053474 A KR 20200053474A KR 102144731 B1 KR102144731 B1 KR 10214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holes
door
ventilatio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5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94Door leaves with ventilated inner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화장실 도어와, 화장실 도어를 경첩을 기준으로 축회동가능하게 좌우측과 상측에서 각각 감싸는 좌우측도어틀과 상측도어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도어의 두께를 갖고 화장실 도어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화장실 도어 축회동시 상측도어틀 하단과 면접되게 위치되는 기립된 직육면체로, 화장실측 전방 중심에는 흡배기공이 형성되고, 흡배기공 내측선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사등분되어 좌우측에만 다수개의 좌우측흡기통공을 각각 갖는 흡배기관이 형성되며, 흡배기공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측흡배기공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흡배기공과 좌우측흡배기공 사이에는 냄새감지센서와 대기질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며, 흡배기공 하부에는 습도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실내측 정면 좌우측에는 좌우측환풍공이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며, 좌우측환풍공 선단 내측으로는 직육면체형상으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좌우측환풍공 연장선상에 좌우측환풍통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갖는 좌우측작동함체가 형성되고, 기립된 사각판체로 측면개방부를 통해서 좌우측작동함체 내부로 삽입되고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면에는 피니언모터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를 갖고 피니언모터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좌우측개폐판이 형성되는 도어환기틀몸체; 누은 원형통체로 도어환기틀몸체 흡배기관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좌우측흡기통공을 각각 차단시키는 좌우측차단판을 갖고 후방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좌우측차단판을 축회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환기회전커버틀; 상기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통해 흡배기관 내주연에 삽입되어 흡배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화장실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와 악취를 거르는 링형상의 공기정화필터링; 상기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 전방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커버; 상기 필터커버 내측에 위치되고 공기정화필터링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어기와 연결되어 실내측 공기를 흡배기공으로 유입시키는 환풍정역모터; 상기 도어환기틀몸체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전원과 통전되고, 통전 연결된 냄새감지센서와 대기질감지센서에 의해서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이 인지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의 좌우측차단판이 흡배기관의 좌우측흡기통공 밀폐시키고 환풍정역모터를 작동시켜 오염된 화장실 실내공기가 좌우측흡배기공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도어환기틀몸체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공기정화필터링의 좌우측흡기통공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면서 환풍정역모터에 의한 배풍력으로 필터커버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가 정화된 공기가 다시 화장실 실내로 유입되어 화장실 실내의 공기를 점차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인지되는 화장실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모터를 작동회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의 좌우측차단판이 흡배기관의 좌우측흡기통공을 밀폐시키고 피니언모터를 작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에서 좌우측개폐판을 슬라이딩이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개방시키며 환풍정역모터를 회동작동시켜 흡배기관의 흡배기공을 통해 내부로 습기를 갖는 화장실 공기를 흡입하여 개방된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송풍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시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환풍정역모터에 의해 도어환기틀몸체 좌우측흡배기공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좌우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흡배기관의 공기정화필터링을 통해 필터인되어 정화처리된 공기가 흡배기공을 통해 화장실로 다시 유입되고, 화장실 실내공기의 습도가 높을시 제어기에 의해 환풍정역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거쳐 내부로 흡입된 습도높은 공기가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화장실과 실내의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화장실 도어의 개방없이도 화장실의 자연환기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Toilet door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시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환풍정역모터에 의해 도어환기틀몸체 좌우측흡배기공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좌우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흡배기관의 공기정화필터링을 통해 필터인되어 정화처리된 공기가 흡배기공을 통해 화장실로 다시 유입되고, 화장실 실내공기의 습도가 높을시 제어기에 의해 환풍정역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거쳐 내부로 흡입된 습도높은 공기가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화장실과 실내의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화장실 도어의 개방없이도 화장실의 자연환기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 등과 같이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예전에는 인간의 주거 시설과 격리된 위치에 시설하여 사용하다가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도시 인구가 증가되고, 주거 문화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으로 변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대부분 인간의 주거 공간내에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장실은 실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화장실에 시설되는 변기나 세면기 등은 위생성이 확보되도록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또한 화장실이 종래의 배설물의 처리 기능 외에 반신욕이나 미용을 위해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내부 공간이나 시설이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대부분의 공동 주택 등의 화장실 내부에는 천장 패널에 배기 그릴이 설치되고, 이 배기 그릴이 설치된 상부 또는 측면에는 환풍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환풍기(fan)가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나, 악취 등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배기 그릴은 다수의 배기공을 갖는 구조이기는 하지만, 배기공 주변의 면적은 배기를 막는 구조이기 때문에 악취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기에 큰 문제가 없지만 악취가 심한 경우 악취를 신속하게 배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립된 직육면체로 정면 상부는 개방되고 선단부에 정면패킹링을 갖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단중심 힌지돌부에 축결합된 힌지핀에 의해 상하부로 축회동되는 개폐도어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분거름필터를 하단에 갖는 하광상협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공기유입공의 좌우측에는 수분감지센서와 악취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며 공기유입공 상단에는 송풍팬이 장착되고 송풍팬 상부로는 좌우측으로 개방된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배출통로의 좌측단에는 외측단에 패킹을 갖고 돌출되어 배출통로의 우측단에 밀폐되게 삽입되는 삽입관이 형성되고 배출통로 좌측하단에는 송풍팬 상부로 사선연장되는 배출안내판이 형성되어 화장실 내부 정면벽 상부에 다수개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메인배출구; 상기 메인배출구의 연장선상에서 연결되면서 좌측단에 위치되어 기립된 직육면체로 정면 상부는 개방되고 선단부에 정면패킹링을 갖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단중심 힌지돌부에 축결합된 힌지핀에 의해 상하부로 축회동되는 개폐도어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분거름필터를 하단에 갖는 하광상협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공기유입공의 좌우측에는 수분감지센서와 악취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며 공기유입공 상단에는 송풍팬이 장착되고 송풍팬 상부로는 좌우측으로 개방되면서 메인배출구 연장선상에 배출통로가 형성되되 좌측단에는 좌측으로 길이연장되면서 전방에 측면배출구의 선단이 삽입연결되는 사각끼움공이 형성되며 배출통로 좌측하단에는 송풍팬 상부로 사선연장되는 배출안내판이 형성되어 화장실 내부 정면벽 좌측단 상부에 메인배출구 연장선상에서 연통되어 고정설치되는 좌측단 메인배출구; 기립된 직육면체로 정면 상부는 개방되고 선단부에 정면패킹링을 갖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단중심 힌지돌부에 축결합된 힌지핀에 의해 상하부로 축회동되는 개폐도어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분거름필터를 하단에 갖는 하광상협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공기유입공의 좌우측에는 수분감지센서와 악취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며 공기유입공 상단에는 송풍팬이 장착되고 송풍팬 상부로는 좌우측으로 개방된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배출통로의 좌측단에는 외측단에 패킹을 갖고 돌출되어 배출통로의 우측단에 밀폐되게 삽입되는 삽입관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열중 최외측의 외측단은 밀폐형성되며 배출통로 좌측하단에는 송풍팬 상부로 사선연장되는 배출안내판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열중 좌측단 메인배출구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좌측단 메인배출구의 사각끼움관에 삽입되어 관연결되는 연통공을 갖는 측면연결관이 형성되어 화장실 내부 좌측면 상부에 다수개가 연통되어 고정설치되는 측면배출구; 상기 메인배출구 연장선상의 우측단에서 연통되어 기립된 직육면체로 상부에는 상기 메인배출구 배출통공 연장선상에서 연결되면서 전방으로 사각연통공이 형성되고 사각연통공 하부에는 사각연통공과 분리되고 상기 메인배출구와 좌측단 메인배출구 및 측면배출구의 각 악취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송풍팬을 각각 작동시키되 수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오염된 공기가 미리 설정된 수분량 이상일 경우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콘트롤러가 장착되어 덮개로 마감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연통콘트롤박스; 및 화장실 우측벽 천장에 고정되는 사각관체로 일측에는 배출팬을 갖는 천장배출구와 연통되고 저면 일측에는 악취흡입공이 형성되며 일측선단에는 상기 연통콘트롤박스의 사각연통공에 삽입연통되는 연통연결관이 형성되는 팬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가 특허등록 제10-1964986호(2019.04.02.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는, 화장실에서 발생된 악취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는 있으나, 연결조립구조로 그 구성이 많고 복잡하여 그 설치비용이 크게 부담되고, 수분이 많은 화장실 실내의 조건상 송풍팬의 수명이 다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64986호(2019.04.0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시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환풍정역모터에 의해 도어환기틀몸체 좌우측흡배기공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좌우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흡배기관의 공기정화필터링을 통해 필터인되어 정화처리된 공기가 흡배기공을 통해 화장실로 다시 유입되고, 화장실 실내공기의 습도가 높을시 제어기에 의해 환풍정역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거쳐 내부로 흡입된 습도높은 공기가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화장실과 실내의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화장실 도어의 개방없이도 화장실의 자연환기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화장실 도어와, 화장실 도어를 경첩을 기준으로 축회동가능하게 좌우측과 상측에서 각각 감싸는 좌우측도어틀과 상측도어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도어의 두께를 갖고 화장실 도어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화장실 도어 축회동시 상측도어틀 하단과 면접되게 위치되는 기립된 직육면체로, 화장실측 전방 중심에는 흡배기공이 형성되고, 흡배기공 내측선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사등분되어 좌우측에만 다수개의 좌우측흡기통공을 각각 갖는 흡배기관이 형성되며, 흡배기공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측흡배기공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흡배기공과 좌우측흡배기공 사이에는 냄새감지센서와 내외측의 대기질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며, 흡배기공 하부에는 습도감지센서가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실내측 정면 좌우측에는 좌우측환풍공이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며, 좌우측환풍공 선단 내측으로는 직육면체형상으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좌우측환풍공 연장선상에 좌우측환풍통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갖는 좌우측작동함체가 형성되고, 기립된 사각판체로 측면개방부를 통해서 좌우측작동함체 내부로 삽입되고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면에는 피니언모터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를 갖고 피니언모터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좌우측개폐판이 형성되는 도어환기틀몸체;
누은 원형통체로 도어환기틀몸체 흡배기관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좌우측흡기통공을 각각 차단시키는 좌우측차단판을 갖고 후방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좌우측차단판을 축회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환기회전커버틀;
상기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통해 흡배기관 내주연에 삽입되어 흡배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화장실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와 악취를 거르는 링형상의 공기정화필터링;
상기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 전방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커버;
상기 필터커버 내측에 위치되고 공기정화필터링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어기와 연결되어 실내측 공기를 흡배기공으로 유입시키는 환풍정역모터;
상기 도어환기틀몸체의 좌우측흡배기공에 나사결합되는 원통체인 나사결합부를 갖고 나사결합부에는 다수개의 환풍공을 갖으며 전방선단에는 좌우측흡배기공을 외부측에서 덮어 막는 밀폐머리부를 갖는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 및
상기 도어환기틀몸체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전원과 통전되고, 통전 연결된 냄새감지센서와 대기질감지센서에 의해서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이 인지되면, 모터를 작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의 좌우측차단판이 흡배기관의 좌우측흡기통공 밀폐시키고 환풍정역모터를 작동시켜 오염된 화장실 실내공기가 좌우측흡배기공(13,14)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도어환기틀몸체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공기정화필터링의 좌우측흡기통공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면서 환풍정역모터에 의한 배풍력으로 필터커버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가 정화된 공기가 다시 화장실 실내로 유입되어 화장실 실내의 공기를 점차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인지되는 화장실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모터를 작동회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의 좌우측차단판이 흡배기관의 좌우측흡기통공을 밀폐시키고 피니언모터를 작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에서 좌우측개폐판을 슬라이딩이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개방시키며 환풍정역모터를 회동작동시켜 흡배기관의 흡배기공을 통해 내부로 습기를 갖는 화장실 공기를 흡입하여 개방된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송풍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실내공기의 오염시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환풍정역모터에 의해 도어환기틀몸체 좌우측흡배기공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의 환풍공을 통해 좌우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흡배기관의 공기정화필터링을 통해 필터인되어 정화처리된 공기가 흡배기공을 통해 화장실로 다시 유입되고, 화장실 실내공기의 습도가 높을시 제어기에 의해 환풍정역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의 흡배기공을 거쳐 내부로 흡입된 습도높은 공기가 좌우측작동함체의 좌우측환풍통공과 좌우측환풍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화장실과 실내의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화장실 도어의 개방없이도 화장실의 자연환기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좌우측작동함체에서 좌우측개폐판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환기회전커버틀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화장실 실내공기 오염시의 공기 이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실내공간 건조와 동시에 화장실 실내가 습할 때의 공기 이동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의 수동 환기시 공기 이동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40)에 설치되는 화장실 도어(41)와, 화장실 도어(41)를 경첩(42)을 기준으로 축회동가능하게 좌우측과 상측에서 각각 감싸는 좌우측도어틀(32,33)과 상측도어틀(31)과, 화장실 도어(41)와 상측도어틀(31) 사이에 위치되는 함체인 도어환기틀몸체(10)와, 흡배기관(1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환기회전커버틀(21)과, 이물질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공기정화필터링(22)과, 공기정화필터링(22)을 감싸는 필터커버(23)와, 제어기(20)에 의해 정역화동되는 환풍정역모터(24)와, 수동으로 좌우측흡배기공(13,14)에 나사결합되어 환풍공(25d)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거나 좌우측흡배기공(13,14)을 밀폐시키는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와, 냄새감지센서(15)와 대기질감지센서(16,16a) 및 습도감지센서(17,17a)를 정보를 취득하여 미리 입력된 설정치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환풍정역모터(24)와 피니언모터(18f,19f)와 환기회전커버틀(21)의 모터(21a)를 작동시켜 화장실(40) 실내의 악취재거와 화장실(40) 실내의 습기로 실내(50)의 건조를 해결시키는 제어기(2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는, 상기 화장실 도어(41)의 두께를 갖고 화장실 도어(41)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화장실 도어(41) 축회동시 상측도어틀(31) 하단과 면접되게 위치되는 기립된 직육면체로, 화장실(40)측 전방 중심에는 흡배기공(11)이 형성되고, 흡배기공(11) 내측선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사등분되어 좌우측에만 다수개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각각 갖는 흡배기관(12)이 형성되며, 흡배기공(11)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측흡배기공(13,14)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흡배기공(11)과 좌우측흡배기공(13,14) 사이에는 냄새감지센서(15)와 내외측면에 대기질감지센서(16,16a)가 각각 형성되며, 흡배기공(11) 하부에는 습도감지센서(17,17a)가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실내(50)측 정면 좌우측에는 좌우측환풍공(18,19)이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며, 좌우측환풍공(18,19) 선단 내측으로는 직육면체형상으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좌우측환풍공(18,19) 연장선상에 좌우측환풍통공(18b,19b)이 형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18c,19c)를 갖는 좌우측작동함체(18a,19a)가 형성되고, 기립된 사각판체로 측면개방부(18c,19c)를 통해서 좌우측작동함체(18a,19a) 내부로 삽입되고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면에는 피니언모터(18f,19f)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18e,19e)를 갖고 피니언모터(18f,19f)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좌우측개폐판(18d,19d)이 형성된다. 상기 냄새감지센서(15)나 대기질감지센서(16) 및 습도감지센서(17)는 화장실(40) 실내측 뿐만 아니라 실내(50)측에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환기회전커버틀(21)은, 누은 원형통체로 도어환기틀몸체(10) 흡배기관(12)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각각 차단시키는 좌우측차단판(21b,21c)을 갖고 후방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좌우측차단판(21b,21c)을 축회동시키는 모터(21a)를 갖는다.
상기 공기정화필터링(22)은,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흡배기공(11)을 통해 흡배기관(12) 내주연에 삽입되어 흡배기공(11)을 통해 유입되는 화장실(40)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와 악취를 거르는 링형상의 공기정화필터이다.
상기 필터커버(23)는,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흡배기공(11) 전방에 삽입고정되는 커버이다.
상기 환풍정역모터(24)는, 상기 필터커버(23) 내측에 위치되고 공기정화필터링(22)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어기(20)와 연결되어 실내측 공기를 흡배기공(11)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는,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좌우측흡배기공(13,14)에 나사결합되는 원통체인 나사결합부(25c)를 갖고 나사결합부(25c)에는 다수개의 환풍공(25d)을 갖으며 전방선단에는 좌우측흡배기공(13,14)을 외부측에서 덮어 막는 밀폐머리부(25b)를 갖는다. 상기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는 필요에 따라 나사를 돌리는 방식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환풍공(25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실내공간(50)에 습도를 공급할 때에는 환풍공(25d)의 크기를 최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전원과 통전되고, 통전 연결된 냄새감지센서(15)와 대기질감지센서(16,16a)에 의해서 화장실(40) 실내공기의 오염이 인지되면, 모터(21a)를 작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21)의 좌우측차단판(21b,21c)이 흡배기관(1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밀폐시키고 환풍정역모터(24)를 작동시켜 오염된 화장실(40) 실내공기가 좌우측흡배기공(13,14)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의 환풍공(25d)을 통해 도어환기틀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공기정화필터링(2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면서 환풍정역모터(24)에 의한 배풍력으로 필터커버(23)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가 정화된 공기가 다시 화장실(40) 실내로 유입되어 화장실(40) 실내의 공기를 점차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17,17a)에 의해 인지되는 화장실(40)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모터(21a)를 작동회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21)의 좌우측차단판(21b,21c)이 흡배기관(1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밀폐시키고 피니언모터(18f,19f)를 작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18a,19a)에서 좌우측개폐판(18d,19d)을 슬라이딩이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18a,19a)의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개방시키며 환풍정역모터(24)를 회동작동시켜 흡배기관(12)의 흡배기공(11)을 통해 내부로 습기를 갖는 화장실(40) 공기를 흡입하여 개방된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통해 실내(50)로 송풍시켜 실내(50)측에 위치된 습도감지센서(17a)에 의해 일정수준의 습도를 유지시키고 화장실(40) 실내의 습도 또한 일정수준으로 정상화시키게 된다.
화장실(40)의 자연 환기시에는 도어환기틀몸체(10)의 좌우측흡배기공(13,14)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의 환풍공(25d)을 최대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개폐판(18d,19d)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좌우측환풍통로(18b,19b)와 좌우측환풍공(18,19)을 개방시킴으로써 화장실 도어(41)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실(40)의 자연환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장실(40) 실내공기의 오염시 제어기(20)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10)의 공기정화필터링(22)을 통한 정화된 공기가 다시 좌우측흡배기공(13,14)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의 환풍공(25d)을 통해 화장실(40) 실내로 유입되고, 화장실(40) 실내공기의 습도 높을시 제어기(20)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환기틀몸체(10)의 흡배기공(11)을 통해 유입된 습도높은 공기가 좌우측환풍공(18,19)을 통해 실내(50)로 배출되어 실내(50)의 습도를 일정수준 유지하면서 화장실(40) 실내의 습도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화장실 도어(41)의 개방없이도 화장실(40)의 자연환기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어환기틀몸체 11 : 흡배기공
12 : 흡배기관 12a,12b : 좌우측흡기통공
13,14 : 좌우측흡배기공 15 : 냄새감지센서
16,16a : 대기질감지센서 17,17a : 습도감지센서
18,19 : 좌우측환풍공 18a,19a : 좌우측작동함체
18b,19b : 좌우측환풍통로 18c,19c : 측면개방부
18d,19d : 좌우측개폐판 18e,19e : 랙기어부
18f,19f : 피니언모터
20 : 제어기 21 : 환기회전커버틀
21a : 모터 21b,21c : 좌우측차단판
22 : 공기정화필터링 23 : 필터커버
24 : 환풍정역모터 25,25a :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
25b : 밀폐머리부 25c : 나사결합부
25d : 환풍공
31 : 상측도어틀 32,33 : 좌우측도어틀
40 : 화장실 41 : 화장실 도어
42 : 경첩
50 : 실내

Claims (1)

  1. 공동주택용 화장실(40)에 설치되는 화장실 도어(41)와, 화장실 도어(41)를 경첩(42)을 기준으로 축회동가능하게 좌우측과 상측에서 각각 감싸는 좌우측도어틀(32,33)과 상측도어틀(31)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도어(41)의 두께를 갖고 화장실 도어(41)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화장실 도어(41) 축회동시 상측도어틀(31) 하단과 면접되게 위치되는 기립된 직육면체로, 화장실(40)측 전방 중심에는 흡배기공(11)이 형성되고, 흡배기공(11) 내측선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사등분되어 좌우측에만 다수개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각각 갖는 흡배기관(12)이 형성되며, 흡배기공(11)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측흡배기공(13,14)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흡배기공(11)과 좌우측흡배기공(13,14) 사이에는 냄새감지센서(15)와 내외측에 대기질감지센서(16,16a)가 각각 형성되며, 흡배기공(11) 인접하여 습도감지센서(17,17a)가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실내(50)측 정면 좌우측에는 좌우측환풍공(18,19)이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며, 좌우측환풍공(18,19) 선단 내측으로는 직육면체형상으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좌우측환풍공(18,19) 연장선상에 좌우측환풍통공(18b,19b)이 형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18c,19c)를 갖는 좌우측작동함체(18a,19a)가 형성되고, 기립된 사각판체로 측면개방부(18c,19c)를 통해서 좌우측작동함체(18a,19a) 내부로 삽입되고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면에는 피니언모터(18f,19f)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18e,19e)를 갖고 피니언모터(18f,19f)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좌우측개폐판(18d,19d)이 형성되는 도어환기틀몸체(10);
    누은 원형통체로 도어환기틀몸체(10) 흡배기관(12)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각각 차단시키는 좌우측차단판(21b,21c)을 갖고 후방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좌우측차단판(21b,21c)을 축회동시키는 모터(21a)를 갖는 환기회전커버틀(21);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흡배기공(11)을 통해 흡배기관(12) 내주연에 삽입되어 흡배기공(11)을 통해 유입되는 화장실(40)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와 악취를 거르는 링형상의 공기정화필터링(22);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흡배기공(11) 전방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커버(23);
    상기 필터커버(23) 내측에 위치되고 공기정화필터링(22)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어기(20)와 연결되어 실내측 공기를 흡배기공(11)으로 유입시키는 환풍정역모터(24);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의 좌우측흡배기공(13,14)에 나사결합되는 원통체인 나사결합부(25c)를 갖고 나사결합부(25c)에는 다수개의 환풍공(25d)을 갖으며 전방선단에는 좌우측흡배기공(13,14)을 외부측에서 덮어 막는 밀폐머리부(25b)를 갖는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 및
    상기 도어환기틀몸체(10)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전원과 통전되고, 통전 연결된 냄새감지센서(15)와 대기질감지센서(16,16a)에 의해서 화장실(40) 실내공기의 오염이 인지되면, 모터(21a)를 작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21)의 좌우측차단판(21b,21c)이 흡배기관(1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밀폐시키고 환풍정역모터(24)를 작동시켜 오염된 화장실(40) 실내공기가 좌우측흡배기공(13,14)의 좌우측환풍밀폐조절구(25,25a)의 환풍공(25d)을 통해 도어환기틀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공기정화필터링(2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면서 환풍정역모터(24)에 의한 배풍력으로 필터커버(23)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가 정화된 공기가 다시 화장실(40) 실내로 유입되어 화장실(40) 실내의 공기를 점차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17,17a)에 의해 인지되는 화장실(40)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모터(21a)를 작동회동시켜 환기회전커버틀(21)의 좌우측차단판(21b,21c)이 흡배기관(12)의 좌우측흡기통공(12a,12b)을 밀폐시키고 피니언모터(18f,19f)를 작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18a,19a)에서 좌우측개폐판(18d,19d)을 슬라이딩이동시켜 좌우측작동함체(18a,19a)의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개방시키며 환풍정역모터(24)를 회동작동시켜 흡배기관(12)의 흡배기공(11)을 통해 내부로 습기를 갖는 화장실(40) 공기를 흡입하여 개방된 좌우측환풍통공(18b,19b)과 좌우측환풍공(18,19)을 통해 실내(50)로 송풍시키는 제어기(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KR1020200053474A 2020-05-04 2020-05-04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KR10214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74A KR102144731B1 (ko) 2020-05-04 2020-05-04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74A KR102144731B1 (ko) 2020-05-04 2020-05-04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731B1 true KR102144731B1 (ko) 2020-08-14

Family

ID=7205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474A KR102144731B1 (ko) 2020-05-04 2020-05-04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7652A (zh) * 2022-04-11 2022-07-12 莫军 一种多层住宅卫生间自动换气装置
KR102434860B1 (ko) 2022-03-14 2022-08-22 주식회사 에코로셀 간편하고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US11725452B2 (en) * 2018-01-11 2023-08-15 Ublo Inc. Indoor ventilation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02B1 (ko) * 2004-02-03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1436B1 (ko) * 2007-04-12 2008-08-11 조성환 환기와 정화와 배연 및 습도제어기능을 갖는 다기능창호시스템
KR20130105038A (ko) * 2012-03-16 2013-09-25 노홍제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101835347B1 (ko) * 2016-03-02 2018-03-08 (주)한성윈도우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20180112236A (ko) * 2017-04-03 2018-10-12 허종만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KR101964986B1 (ko) 2018-12-19 2019-04-0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1989291B1 (ko) * 2019-01-22 2019-06-14 임기영 중문용 현관 냄새제거장치
KR102043408B1 (ko) * 2019-03-29 2019-11-11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화장실의 환기 개선을 위한 조립식 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02B1 (ko) * 2004-02-03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1436B1 (ko) * 2007-04-12 2008-08-11 조성환 환기와 정화와 배연 및 습도제어기능을 갖는 다기능창호시스템
KR20130105038A (ko) * 2012-03-16 2013-09-25 노홍제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101835347B1 (ko) * 2016-03-02 2018-03-08 (주)한성윈도우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20180112236A (ko) * 2017-04-03 2018-10-12 허종만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KR101964986B1 (ko) 2018-12-19 2019-04-0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1989291B1 (ko) * 2019-01-22 2019-06-14 임기영 중문용 현관 냄새제거장치
KR102043408B1 (ko) * 2019-03-29 2019-11-11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화장실의 환기 개선을 위한 조립식 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5452B2 (en) * 2018-01-11 2023-08-15 Ublo Inc. Indoor ventilation system
KR102434860B1 (ko) 2022-03-14 2022-08-22 주식회사 에코로셀 간편하고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CN114737652A (zh) * 2022-04-11 2022-07-12 莫军 一种多层住宅卫生间自动换气装置
CN114737652B (zh) * 2022-04-11 2024-04-12 莫军 一种多层住宅卫生间自动换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31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KR100580288B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CN100356114C (zh) 组合式空气净化器和通风设备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CN205137683U (zh) 一种自清洁空气净化系统
JPH07253231A (ja) 建物の壁部に組み込まれる室内空気浄化装置
CN105890062A (zh) 一种窗式新风净化器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KR20150111718A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US2009005600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JP4599906B2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KR101992285B1 (ko) 설치공간의 제약을 해소한 공기 청정 순환 장치
KR2021004815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JP4883155B2 (ja) 空気清浄機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226659B1 (ko) 먼지센서 오염방지 공기청정기
KR10196498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0979193B1 (ko) 욕실 환기장치
KR200394917Y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JP4617739B2 (ja) 空気清浄機
KR101063459B1 (ko)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CN208347626U (zh) 一种用于公寓门上的室内空气净化、通风装置
KR20220046078A (ko) 실내외 공기 배출과 흡입이 가능한 양방향성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