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422A -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422A
KR20170102422A KR1020170024591A KR20170024591A KR20170102422A KR 20170102422 A KR20170102422 A KR 20170102422A KR 1020170024591 A KR1020170024591 A KR 1020170024591A KR 20170024591 A KR20170024591 A KR 20170024591A KR 20170102422 A KR20170102422 A KR 20170102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ayer
organic
layer
inorganic sealing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 하마다
하지메 아끼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7010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5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L27/324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01L27/3246
    • H01L51/5012
    • H01L51/5225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1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부 전극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 구조를 갖는다. 배리어 구조는, 제1 무기 밀봉층과 제2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유기 밀봉층을 갖는다. 제1 유기 밀봉층은, 평면적으로 보아,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되어 있고,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 뱅크보다도 두껍다.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에 형성된 하부 전극의 외주부 상에,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뱅크와 하부 전극의 상측에 발광층이나 전하 수송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형성되고, 유기층의 상측에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이하에서는, 발광층이나 전하 수송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발광 유기층이라 칭함). 대부분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유기층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전극이 밀봉층으로 덮여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49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5445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9278호 공보에서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는 2개의 밀봉층의 사이에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밀봉층이 형성되어 있다(이하에서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는 밀봉층을 무기 밀봉층이라 칭하고,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밀봉층을 유기 밀봉층이라 칭함). 이 밀봉층에 의하면,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혼입되는 이물에 기인하여 상측의 무기 밀봉층에 구멍이 생긴 경우라도, 그 구멍으로부터 침입한 수분이 발광 유기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하측의 무기 밀봉층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무기 밀봉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밀봉층이 표시 영역의 전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상측의 무기 밀봉층에 생긴 구멍을 통해 유기 밀봉층에 수분이 침투하였을 때, 수분이 유기 밀봉층에 있어서 크게 퍼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상측의 무기 밀봉층에 이물에 기인하는 구멍이 생기고, 또한, 하측의 무기 밀봉층에도 이물에 기인하는 구멍이 생긴 경우, 이 2개의 구멍의 위치가 크게 이격되어 있었다고 해도, 상측의 무기 밀봉층의 구멍으로부터 침입한 수분은 유기 밀봉층에서 크게 퍼져 하측의 무기 밀봉층의 구멍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4989호 공보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밀봉층이 화소마다 분단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5445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9278호 공보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밀봉층은 보다 미세하게 분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기 밀봉층에 있어서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4989호 공보에서는, 유기 밀봉층이 뱅크나 그 상측에 형성되는 발광 유기층이나 상부 전극을 넘지 않도록, 뱅크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무기 밀봉층은 매우 얇기 때문에, 발광 유기층 및 상부 전극에 발생한 단차에 의해 하측의 무기 밀봉층도 분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구조에서는 충분한 밀봉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뱅크의 두께를 초과하는 사이즈의 이물이 유기 밀봉층이나 하측의 무기 밀봉층에 혼입된 경우, 이물에 기인하여 상측의 무기 밀봉층이 분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5445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9278호 공보의 구조에서도, 유기 밀봉층이 뱅크보다도 얇기 때문에, 충분한 밀봉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유기 밀봉층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하여,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배치된 복수의 하부 전극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화소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의 주변을 덮고,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 뱅크와,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뱅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1 융기부를 갖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의 상방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발광 유기층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제1 융기부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2 융기부를 갖는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 구조를 갖고, 상기 배리어 구조는,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2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된 제1 유기 밀봉층을 갖고, 상기 제1 유기 밀봉층은 상기 뱅크보다도 두껍다. 이것에 의하면, 유기 밀봉층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하여,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배치된 복수의 하부 전극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화소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의 주변을 덮고,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 뱅크와,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뱅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1 융기부를 갖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의 상방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발광 유기층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제1 융기부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2 융기부를 갖는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 구조를 갖고, 상기 배리어 구조는,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2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된 제1 유기 밀봉층을 갖고,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은, 상기 하부 전극, 상기 발광 유기층 및 상기 상부 전극보다도 두껍다. 이것에 의하면, 유기 밀봉층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하여,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 상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상면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내장되는 회로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표시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표시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표시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표시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유지한 적의 변경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내는 각 부의 폭, 두께 및 형상 등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상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유기 EL 표시 장치(1)에 내장되는 회로부 F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구성의 위치 관계를, X축(X1 방향, X2 방향), Y축(Y1 방향, Y2 방향), Z축(Z1 방향, Z2 방향)의 좌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는, 평면적으로 보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의 영역인 표시 영역(3)을 갖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1)에는, 소정의 전압이나 제어 신호, 화상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 FPC)(9)이 부착되어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1)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9)을 통해 화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표시 영역(3)에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3)의 주연을 둘러싸는 주연 영역(4)과, 주연 영역(4)의 외측을 둘러싸는 수분 차단 영역(5)을 갖고 있다. 주연 영역(4)과 수분 차단 영역(5)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3)에는, 각각이 표시 화상을 구성하는 부화소(이하, 간단히 화소라고도 부름)인 복수의 화소 영역(6)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3)에는, 화소 영역(6)으로서, 적색의 광을 출사하는 적색 화소 영역(6R)과, 녹색의 광을 출사하는 녹색 화소 영역(6G)과, 청색의 광을 출사하는 청색 화소 영역(6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화소 영역(6)으로서, 백색의 광을 출사하는 백색 화소 영역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화소 영역(6)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 영역(6)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1 유기 밀봉층(52)이 분단된 영역인 분단선(7)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선상으로 신장되는 횡분단선(7a)과, 전후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선상으로 신장되는 종분단선(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영역(6)의 배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6)은 X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화소 영역(6)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 위치가 어긋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어도 된다. 분단선(7)은 화소 영역(6)과는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면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는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90)을 접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90)에는, 충전층(40)이 충전되어 있다. 충전층(40)은, 예를 들어 둑으로서 기능하는 시일재(41)에 둘러싸인 개소에, 투명한 충전재가 유입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하부 기판(10) 및 상부 기판(90)은 유기 EL 표시 장치(1)의 표면 또는 이면을 구성하고, 평면적으로 보아, 표시 영역(3), 주연 영역(4), 수분 차단 영역(5)을 덮고 있다. 하부 기판(10) 및 상부 기판(90)은, 예를 들어 수지나 유리 등의 경질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폴리이미드 등의 유연성을 갖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하부 기판(10)의 상방(Z2 방향)에는,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기판(10)에는, 회로층(11)과, 평탄화층(12)과, 뱅크(13)와, 하부 전극(21)과, 발광 유기층(22)과, 상부 전극(23)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하부 기판(10)에는, 상부 전극(23)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된 배리어 구조(50)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기판(10)의 상측에는, 회로층(11)이 적층되어 있다. 회로층(11)에는, TFT(박막 트랜지스터)나 용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회로부 F(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부 F는, 평면적으로 보아, 복수의 화소 영역(6)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회로부 F는, 하부 전극(21)에 대한 전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를 제어한다. 회로층(11)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부 F는, 배선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주사선 Lg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영상 신호선 Ld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전원선 Ls를 갖고 있다. 또한, 회로부 F는, 구동 TFT(111)와, 축적 용량(112)과, 스위칭 TFT(113)를 갖고 있다. 스위칭 TFT(113)의 게이트는 주사선 Lg에 접속되고, 스위칭 TFT(113)의 드레인은 영상 신호선 Ld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TFT(113)의 소스는 축적 용량(112) 및 구동 TFT(111)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TFT(111)의 소스는 전원선 Ls에 접속되고, 구동 TFT(111)의 드레인에는 하부 전극(21)이 접속되어 있다. 주사선 Lg에 게이트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스위칭 TFT(113)가 ON 상태로 된다. 이때, 영상 신호선 Ld로부터 영상 신호가 공급되면, 축적 용량(112)에 전하가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 용량(112)에 전하가 축적됨으로써, 구동 TFT(111)가 ON 상태로 되고, 전원선 Ls로부터, 후술하는 하부 전극(21)과 발광 유기층(22)과 상부 전극(23)에 전류가 흘러, 발광 유기층(22)은 광을 출사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층(11)의 상측에는,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평탄화층(12)이 적층되어 있다. 평탄화층(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후술하는 하부 전극(21)이 회로부 F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탄화층(12)은 주연 영역(4)에 이를 때까지 신장되어 있고, 회로층(11)은 주연 영역(4) 및 그 외측의 수분 차단 영역(5)에 이를 때까지 신장되어 있다.
평탄화층(12)의 상측에는, 소정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21)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하부 전극(21)은, 평면적으로 보아,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배치되어 있다. 즉, 각 하부 전극(21)은 이것에 대응하는 화소 영역(6)의 좌우 방향(X축 방향) 및 전후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전극(21)은, 예를 들어 평탄화층(12)의 상측에 대략 균일한 두께의 도전 재료를 형성하고, 각 화소 영역(6)의 사이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가공(예를 들어, 에칭 처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주연 영역(4)에 있어서의 평탄화층(12)의 상측에는, 소정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부(31)는 하부 전극(21)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다. 도전부(31)는 하부 전극(21)과 동일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하부 전극(21)의 사이에는,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뱅크(13)가 배치되어 있다. 뱅크(13)는 복수의 화소 영역(6)의 각각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하부 전극(21)의 주변(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전극(21)의 주위를 모두)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뱅크(13)가 배치됨으로써, 화소 영역(6)마다 인접하는 하부 전극(21)의 가장자리에서 후술하는 발광 유기층(22)이 분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 전극(21)과, 후술하는 상부 전극(23)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하부 전극(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뱅크(13)는 이들 하부 전극(21)의 단부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전극(21)보다도 상방(Z2 방향측)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뱅크(13)의 두께는, 하부 전극(21)의 두께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21)의 두께를 0.15∼0.20㎛로 해도 되고, 뱅크(13)의 두께를 1.00∼2.00㎛로 해도 된다.
또한, 주연 영역(4)에 있어서의 평탄화층(12)의 상측에는,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연부(32)는 도전부(31)의 단부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부(32)에는, 도전부(31)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구멍인 콘택트 홀 H가 형성되어 있다. 연부(32)는 뱅크(13)와 동일한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하부 전극(21) 및 뱅크(13)의 상측에는, 발광 유기층(22)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 유기층(22)은, 평면적으로 보아, 하부 전극(21)과 뱅크(13)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모든 화소 영역(6)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발광 유기층(22)은 표시 영역(3)을 넘어 주연 영역(4)에 도달하고 있지만, 주연 영역(4)에 배치되는 도전부(31)에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발광 유기층(22)은 표시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의 광을 출사한다. 발광 유기층(22)은 도시하지 않은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표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광은, 발광 유기층(22)의 전기가 흐르는 부분으로부터 출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전극(21), 발광 유기층(22) 및 상부 전극(23)의 각각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광 유기층(22)의 화소 영역(6)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1)가 상부 기판(90)측에 화소의 광을 출사하는 경우(소위 톱 에미션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발광 유기층(22)의 상방에 배치되는 각 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 전극(21)은 금속(예를 들어, Ag) 등의 광을 반사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발광 유기층(22)(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유기층(22)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층)은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미리 정해진 색(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이나, 이것에 백색을 더한 4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유기층(22)을 부분적으로 구분 도포함으로써, 복수의 화소 영역(6)의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착색된다. 또한, 발광 유기층(22)이 구분 도포되는 대신에, 발광 유기층(22)의 상방(예를 들어, 상부 기판(90)의 하측)에, 도시하지 않은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컬러 필터층에는, 복수의 화소 영역(6)의 각각에서 미리 정해진 색으로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도 된다.
발광 유기층(22)의 상측에는, 상부 전극(2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23)은 복수의 하부 전극(21) 및 뱅크(13)의 상방에 배치되며, 연속적으로 발광 유기층(22)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23)은 표시 영역(3) 및 주연 영역(4)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전극(23)은 ITO(인듐 주석 산화물)나 IZO(인듐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주연 영역(4)에 있어서, 상부 전극(23)은 발광 유기층(22)의 단부를 넘어, 도전부(31)의 위치에 이르도록 신장되어 있다. 상부 전극(23)의 도전부(3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전부(31)와 접촉하는 부분인 접촉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3b)는 뱅크(13)와 동일층의 연부(32)에 형성된 콘택트 홀 H에 들어감으로써 도전부(31)와 접촉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접촉부(23b)는 콘택트 홀 H를 매립하도록,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상부 전극(23)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23b)를 개재하여 상부 전극(23)과 도전부(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부 전극(23)의 전체의 전기 저항을 저감하여, 발광 유기층(22)에 흐르는 전류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 차단 영역(5)에는,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절연층(61)과 제2 절연층(6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층(61)은 평탄화층(12)과 동일층에 형성되며, 제1 절연층(61)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분단되어 있다. 제2 절연층(62)은 뱅크(13) 및 연부(32)와 동일층에 위치하고, 제1 절연층(61)의 상측을 덮고 있다. 제2 절연층(62)도, 연부(32)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분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기의 절연층이 분단된 개소를 덮도록, 후술하는 제1 무기 밀봉층(51)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은, 수지 등의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층을 통해 진행한다. 이 때문에, 유기의 절연 재료가 분단되는 개소인 수분 차단 영역(5)을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표시 영역(3)이나 주연 영역(4)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 유기층(22)이나 각종 전극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뱅크(13)는 2개의 하부 전극(21)의 사이에서, 하부 전극(21)보다도 상방(Z2 방향측)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발광 유기층(22)은 표시 영역(3)에 있어서 대략 균일한 두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뱅크(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의 제1 융기부(22a)를 갖고 있다. 또한, 상부 전극(23)도, 표시 영역(3)에서는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 유기층(22)에 있어서의 제1 융기부(22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의 제2 융기부(23a)를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융기부(22a, 23a)는, 평면적으로 보아, 뱅크(13)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유기층(22)은 하부 전극(21)과 대략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상부 전극(23)은 하부 전극(21)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두께가 0.15∼0.20㎛로 형성되는 하부 전극(21)에 대해, 발광 유기층(22)의 두께를 0.15∼0.30㎛로 해도 되고, 상부 전극(23)의 두께를 0.01∼0.02㎛로 해도 된다.
상부 전극(23)의 상측에는, 발광 유기층(22)이나 각종 전극에 대한 공기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 구조(50)가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구조(50)는 상부 전극(23)이나 발광 유기층(22)에의 산소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 전극(23)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리어 구조(50)는 상부 전극(23)을 덮도록 배치된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제1 무기 밀봉층(51)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무기 밀봉층(53)과,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제2 무기 밀봉층(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유기 밀봉층(52)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무기 밀봉층(51, 53)은 SiOx나 SiNy 등의 무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유기 밀봉층(52)은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무기 밀봉층(51, 53)은,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유기 밀봉층(52)은 상부 전극(23)의 형성 후에 혼입된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 D1을 덮기 위한 것이다.
제1 무기 밀봉층(51)은 표시 영역(3), 주연 영역(4), 수분 차단 영역(5)에 걸쳐 연속적으로 신장하여, 하부 기판(10)을 덮고 있다. 표시 영역(3) 및 주연 영역(4)에 있어서는, 제1 무기 밀봉층(51)은 상부 전극(23)의 상측을 덮음과 함께, 유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평탄화층(12)과, 주연 영역(4)에 있어서 뱅크(13)와 동일층에 형성되는 연부(32)를 덮고 있다. 또한, 수분 차단 영역(5)에 있어서, 제1 무기 밀봉층(51)은 제1 및 제2 절연층(61, 62)을 타고 넘도록 신장됨과 함께, 유기의 절연층이 분단된 개소에서는, 회로층(11)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무기 밀봉층(51)이 상부 전극(23)이나 평탄화층(12), 연부(32)를 덮음으로써,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층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 밀봉층(51)은 표시 영역(3)에 있어서의 상부 전극(23)과 마찬가지로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전극(23)에 있어서의 제2 융기부(23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융기하는 부분인 제3 융기부(51a)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무기 밀봉층(51)은 하부 전극(21), 발광 유기층(22) 및 상부 전극(23)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0.01∼0.30㎛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 전극(21)과 발광 유기층(22)과 상부 전극(23)에 대해, 제1 무기 밀봉층(51)의 두께를 0.50∼1.0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무기 밀봉층(51)을 발광 유기층(22)보다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발광 유기층(22)에 어느 정도의 단차가 발생해도, 제1 무기 밀봉층(51)이 도중에서 끊어지지 않고 상부 전극(23)의 상측을 덮을 수 있어, 발광 유기층(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무기 밀봉층(53)은 제1 무기 밀봉층(51)을 덮도록 배치되며, 표시 영역(3), 주연 영역(4), 수분 차단 영역(5)에 걸쳐 연속적으로 신장되어 있다. 제2 무기 밀봉층(53)은 소정 영역마다, 후술하는 제1 유기 밀봉층(52)을 분단하고 있다. 제1 유기 밀봉층(52)이 분단된 개소인 분단선(7)에서는, 제2 무기 밀봉층(53)은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접하고 있다. 또한, 제2 무기 밀봉층(53)은 복수의 화소 영역(6)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유기 밀봉층(52)의 형상에 대응하여, 화소 영역(6)에 있어서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무기 밀봉층(53)의 두께는, 제1 무기 밀봉층(51)의 두께와 동일해도 되고, 제1 무기 밀봉층(51)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된다. 예를 들어, 0.50∼1.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1 무기 밀봉층(51)에 대하여, 제2 무기 밀봉층(53)의 두께를 1.00∼2.00㎛로 해도 된다. 제2 무기 밀봉층(53)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제2 무기 밀봉층(53)의 끊김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어, 발광 유기층(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유기 밀봉층(52)은 상하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제2 무기 밀봉층(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극(23)의 형성 후에 이물 D1이 혼입되면, 이물 D1이 부착된 개소에서 제1 무기 밀봉층(51)이 도중에서 끊어지거나, 제1 무기 밀봉층(51)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도 얇아지거나 하기 때문에, 제1 무기 밀봉층(51)의 밀봉 성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제1 유기 밀봉층(52)이 이물 D1을 덮고, 그 제1 유기 밀봉층(52)의 상측에 제2 무기 밀봉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발광 유기층(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은, 평면적으로 보아, 표시 영역(3)을 구성하는 소정 영역마다 제2 무기 밀봉층(53)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제1 유기 밀봉층(52)은 분단선(7)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유기 밀봉층(52)은 뱅크(13)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분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기 밀봉층(52)은 1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 있다. 제1 유기 밀봉층(52)은, 예를 들어 제1 무기 밀봉층(51)의 상측을 유기의 절연 재료로 덮은 후, 이것에 레이저 등의 광을 조사하여,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유기 밀봉층(52)을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제1 유기 밀봉층(52)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기 밀봉층(53)에 이물 D2가 혼입됨으로써, 이 이물 D2의 주위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구멍으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면, 수분은 제1 유기 밀봉층(52)에서 퍼져, 그 하측의 제1 무기 밀봉층(51)에 도달한다. 가령 제1 유기 밀봉층(52)이 복수로 분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무기 밀봉층(53)의 구멍으로부터 침입한 수분은, 제1 유기 밀봉층(52)을 좌우 방향(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의 X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표시 영역(3)의 전역으로 퍼져 버린다. 그렇게 되면, 수분은, 이물 D2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 이물 D1에도 전달되고, 이 이물 D1의 주위에 형성된 제1 무기 밀봉층(51)의 구멍을 통해, 상부 전극(23), 발광 유기층(22)에 침입해 버린다. 이와 같이 침입한 수분에 의해 발광 유기층(22)이 열화되어 버려, 표시 영역(3)에 있어서 광을 출사할 수 없는 영역(점등 불량 영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이물 D1과 이물 D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기 밀봉층(52)을, 제2 무기 밀봉층(53)에 의해 분단함으로써, 제1 유기 밀봉층(52)에서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물 D2의 주위로부터 침입한 수분은, 제2 무기 밀봉층(5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이물 D1의 주위에 도달하지 못한다. 즉, 상부 전극(23)이나 발광 유기층(22)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 밀봉층(51)에 혼입된 이물 D1과, 제2 무기 밀봉층(53)에 혼입된 이물 D2를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화소 영역(6) 내에 이물 D1과 이물 D2가 혼입된 경우)에는, 이물 D2로부터 침입한 수분은 이물 D1에 도달해 버리지만, 이와 같이 대략 동일 위치에 이물 D1, D2가 혼입될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제1 유기 밀봉층(52)을 분단함으로써, 상부 전극(23)이나 발광 유기층(22)에 수분이 침입할 확률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의 두께는, 뱅크(13)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유기 밀봉층(52)의 상면(52a)은 뱅크(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2, 제3 융기부(23a, 51a)의 상방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1.00∼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뱅크(13)에 대하여 제1 유기 밀봉층(52)의 두께를 40.00∼50.0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유기 밀봉층(52)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뱅크(13)의 두께를 초과하는 사이즈의 이물 D1이 제1 무기 밀봉층(51)에 혼입된 경우라도, 제1 유기 밀봉층(52)으로 이물 D1을 덮을 수 있어, 이물 D1에 의해 제2 무기 밀봉층(53)이 분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으로 이물 D1을 충분히 덮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제1 유기 밀봉층(52)의 상면(52a)을 평탄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는 제2 무기 밀봉층(53)의 상면(53a)도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기울지 않게 평탄하게 할 수 있다. 기울기없이 제2 무기 밀봉층(53)이 형성됨으로써, 제2 무기 밀봉층(53)의 두께가 균일화되고, 수분이나 산소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은 주연 영역(4)에 있어서도 형성되어 있다. 주연 영역(4)에 있어서의 제1 유기 밀봉층(52)은 콘택트 홀 H나 그 주위에 형성되는 각 층을 덮고 있다. 주연 영역(4)에 있어서의 제1 유기 밀봉층(52)은 반드시 분단되지 있지는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은 표시 영역(3)의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제2 무기 밀봉층(53)에 의해 충전층(40)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즉, 수분 차단 영역(5)에는 제1 유기 밀봉층(52)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무기 밀봉층(51)과 제2 무기 밀봉층(53)이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를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외부로부터 유기의 층을 타고 발광 유기층(22)이나 각종 전극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리어 구조(50)에 있어서의 제1 유기 밀봉층(52)이 소정 영역마다(예를 들어,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됨으로써, 제1 유기 밀봉층(52)에 있어서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유기 밀봉층(52)은 뱅크(13)보다도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제1 무기 밀봉층(51)에 혼입된 이물 D1을 확실하게 덮을 수 있어, 이물 D1에 의해 제2 무기 밀봉층(53)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 밀봉층(51)도, 하부 전극(21), 발광 유기층(22) 및 상부 전극(23)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유기층(22)에 어느 정도의 단차가 발생해도 제1 무기 밀봉층(51)이 도중에서 끊어지지 않고 상부 전극(23)의 상측을 덮을 수 있어, 발광 유기층(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변형예]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져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예(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제1 변형예]
이하에, 제1 변형예에 대하여,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에 대하여, 표시 영역(3)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배리어 구조(50)에 포함되는 제1 유기 밀봉층(52)이 평면적으로 보아, 1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유기 밀봉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배리어 구조(1050)에 있어서, 제1 유기 밀봉층(1052)은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제1 무기 밀봉층(1051)과 제2 무기 밀봉층(1053)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유기 밀봉층(1052)은 3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색 화소 영역(6R), 녹색 화소 영역(6G), 청색 화소 영역(6B)의 각각 1개씩을 포함하는 3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 있다. 제1 유기 밀봉층(1052)이 분단되는 영역인 분단선(1007)(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선상으로 신장되는 종분단선(1007b))은, 바로 근처의 분단선(1007)이 배치되는 화소 영역(6) 사이로부터 세어 3번째의 화소 영역(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화소 영역(6)으로서, 백색의 광을 출사하는 백색 화소 영역이 형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제1 유기 밀봉층(1052)은 적색 화소 영역(6R), 녹색 화소 영역(6G), 청색 화소 영역(6B) 및 백색 화소 영역의 각각 1개씩을 포함하는 4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도 된다. 적색 화소 영역(6R), 녹색 화소 영역(6G), 청색 화소 영역(6B)(및, 백색 화소 영역)을 포함하여 1개의 주화소가 구성되는 경우, 이 주화소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분단선(1007)이 형성되어도 된다. 즉, 분단선(1007)은 표시 영역(3)에 구성되는 복수의 주화소마다 형성되어도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표시 영역(3)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유기 밀봉층(1052)을 분단하는 영역인 분단선(2007)은 좌우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다. 이 경우, 분단선(2007)은 반드시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지는 않아도 되고, 제1 유기 밀봉층의 전체를 횡단하는 분단선(2007)에 의해, 제1 유기 밀봉층이 복수로 분단되어도 된다. 또한, 분단선(2007)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모든 화소 영역(6)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영역(6) 사이마다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예에서는, 분단선(3007)은 전후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다. 여기서, 분단선(3007)은 반드시 좌우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예에서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적색 화소 영역(6R)이 배열되어 있고, 녹색 화소 영역(6G)과, 청색 화소 영역(6B)도 전후 방향을 따라서 마찬가지로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화소 영역(6)의 사이에 배치되는 분단선(3007)은 화소 영역(6)의 색마다 제1 유기 밀봉층을 분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는 횡분단선(4007a)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는 종분단선(4007b)을 포함하는 분단선(4007)에 있어서, 횡분단선(4007a)과 종분단선(4007)의 양쪽이, 복수의 화소 영역(6) 사이마다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횡분단선(4007a)이 M개(도 7c의 예에서는, 3개)의 화소 영역(6) 사이마다 배치되고, 종분단선(4007a)이 N개(도 7c의 예에서는, 3개)의 화소 영역(6) 사이마다 배치되는 경우, 제1 유기 밀봉층은, M×N개(도 7c의 예에서는, 9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의 변형예에 의해 제1 유기 밀봉층을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함으로써도, 제1 유기 밀봉층이 분단된 개소에서 수분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어, 제1 유기 밀봉층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함으로써, 분단 개소의 형성을 레이저 등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 택트를 짧게 할 수 있다.
[2-2. 제2 변형예]
이하에, 제2 변형예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의 단면과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배리어 구조(2050)에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제1 무기 밀봉층(2051)과 제1 유기 밀봉층(2052)과 제2 무기 밀봉층(2053)이 적층되는 것 외에, 제2 무기 밀봉층(205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유기 밀봉층(2054)과, 이 제2 유기 밀봉층(2054)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무기 밀봉층(2055)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무기 밀봉층(2055)은 제2 무기 밀봉층(2053)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제2 무기 밀봉층(2053)과, 제3 무기 밀봉층(205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수지 등의 유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제2 무기 밀봉층(2053)에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표시 영역(3)과 주연 영역(4)에 있어서 제2 무기 밀봉층(2053)을 덮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제1 유기 밀봉층(2052)이 분단된 개소를 매립하여 제2 무기 밀봉층(2053)을 덮고, 표시 영역(3) 및 주연 영역(4)에 걸치는 상면(2054a)이 평탄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제1 유기 밀봉층(2052)의 단부보다도, 제1 및 제2 절연층(61, 62)의 근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제3 무기 밀봉층(2055)은 SiOx나 SiNy 등의 무기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3 무기 밀봉층(2055)은 제2 무기 밀봉층(2053)에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표시 영역(3)과 주연 영역(4)에 있어서 제2 무기 밀봉층(2053)을 덮고 있다. 또한, 제3 무기 밀봉층(2055)은 주연 영역(4)의 외측의 제2 유기 밀봉층(205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서, 제2 무기 밀봉층(2053)과 접하고 있다.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수분 차단 영역(5)에 있어서, 제2 무기 밀봉층(2053)과 제3 무기 밀봉층(2055)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충전층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유기 밀봉층(2054)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이 외부로부터 유기의 층을 타고 발광 유기층(22)이나 각종 전극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무기 밀봉층(2051)과 제1 유기 밀봉층(2052)과 제2 무기 밀봉층(2053)의 3층 외에, 제2 유기 밀봉층(2054)과 제3 무기 밀봉층(2055)의 2층을 더 적층함으로써, 발광 유기층(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 유기 밀봉층(2054)은 제2 무기 밀봉층(2053)에 부착된 이물 D2를 덮을 수 있고, 제3 무기 밀봉층(2055)은 제2 유기 밀봉층(2054)이나 제2 무기 밀봉층(2053)에 형성되는 구멍 등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영역(3)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 유기 밀봉층(2054)이 있음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1)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이었던 경우, 유기 EL 표시 장치(1)가 구부러졌을 때에, 제2 유기 밀봉층(2054)이 굽힘 응력 흡수를 행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내부의 막의 파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2-3. 제3 변형예]
이하에, 제3 변형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의 단면과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배리어 구조(3050)는, 제2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제1 무기 밀봉층(3051), 제1 유기 밀봉층(3052), 제2 무기 밀봉층(3053), 제2 유기 밀봉층(3054), 제3 무기 밀봉층(3055)을 포함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유기 밀봉층(3054)은 제2 변형예와는 달리, 소정 영역마다 제3 무기 밀봉층(3055)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유기 밀봉층(3054)은 제1 유기 밀봉층(3052)과 마찬가지로, 뱅크(13)가 배치되는 위치(즉,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영역(6)의 사이)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또한, 제2 유기 밀봉층(3054)이 분단되는 개소에서는, 제3 무기 밀봉층(3055)은 제2 무기 밀봉층(3053)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유기 밀봉층(3054)이 복수로 분단됨으로써, 제2 유기 밀봉층(3054)을 통해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유기 밀봉층(3054)은 제1 유기 밀봉층(3052)이 분단되는 모든 개소에서 분단되어 있지만, 제2 유기 밀봉층(3054)은 제1 유기 밀봉층(3052)이 분단되는 개소에서 반드시 분단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유기 밀봉층(3052)이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3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는 경우, 제2 유기 밀봉층(3054)은 당해 3의 배수인 6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도 되고, 9개의 화소 영역(6)마다 분단되어도 된다.
[2-4. 제4 변형예]
이하에, 제4 변형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의 단면과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배리어 구조(4050)는 제1 무기 밀봉층(4051), 제1 유기 밀봉층(4052) 및 제2 무기 밀봉층(4053)의 하측(Z1 방향측)에, 제2 유기 밀봉층(4054)과 제3 무기 밀봉층(4055)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리어 구조(4050)는 제1 무기 밀봉층(4051)을 덮도록 배치된 제3 무기 밀봉층(4055)과, 제1 무기 밀봉층(4051)과 제3 무기 밀봉층(4055) 사이에 배치된 제2 유기 밀봉층(4054)을 갖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3 무기 밀봉층(4055)이 상부 전극(23)에 적층되고, 이 위에 제2 유기 밀봉층(4054), 제1 무기 밀봉층(4051), 제1 유기 밀봉층(4052), 제2 무기 밀봉층(4053)이 차례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무기 밀봉층(4051, 4053, 4055)은, 표시 영역(3)과 주연 영역(4)과 수분 차단 영역(5)에 걸쳐 연속하여 신장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제2 유기 밀봉층(4054)은 표시 영역(3)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지 않고, 이 제2 유기 밀봉층(4054)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유기 밀봉층(4052)이, 뱅크(13)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제1 무기 밀봉층(4051)과 제2 무기 밀봉층(4053)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기 밀봉층(4052)을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제1 유기 밀봉층(4052)에 침입한 수분이, 제1 무기 밀봉층(4051)의 하측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기 밀봉층(4052)이 복수로 분단되어 있으면, 그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유기 밀봉층(4054)이 복수로 분단되어 있지 않아도, 상부 전극(23)이나 발광 유기층(22)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3)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 유기 밀봉층(4054)이 있음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1)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이었던 경우, 유기 EL 표시 장치(1)가 구부러졌을 때에, 제2 유기 밀봉층(4054)이 굽힘 응력 흡수를 행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내부의 막의 파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2-5. 제5 변형예]
이하에, 제5 변형예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 하부 전극(5021) 및 뱅크(5013)의 상측에 형성되는 발광 유기층(5022)은, 인접하는 발광 유기층(5022)의 단부에 올라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에 의해, 발광 유기층(50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5023)은 복수로 분단되어 있다. 또한, 배리어 구조(5050)로서, 뱅크(50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 전극(5023)에 형성되는 오목부 C1을 매립하도록, 제1 무기 밀봉층(5051)과, 제1 유기 밀봉층(5052)이 적층되어 있고, 제1 유기 밀봉층(5052)을 덮도록 제2 무기 밀봉층(50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발광 유기층(5022)의 단부에 올라타도록 형성된 발광 유기층(5022)과, 이 올라탄 부분에 적층되도록 형성된 제2 무기 밀봉층(5053)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C2를 매립하도록, 제2 유기 밀봉층(5054)이 형성되어 있고, 제3 무기 밀봉층(5055)이 제2 유기 밀봉층(5054)을 덮고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무기 밀봉층(5051, 5053, 5055)이 매우 얇은 경우, 발광 유기층(5022) 및 상부 전극(5023)에 발생한 단차에 의해, 이들 무기 밀봉층도 분단되어 버려, 충분한 밀봉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3 무기 밀봉층(5055)에 적층되도록, 뱅크(5013)보다도 두꺼운 제3 유기 밀봉층(5058)과, 발광 유기층(5022)보다도 두꺼운 제4 무기 밀봉층(5059)을 형성하고, 또한 제3 유기 밀봉층(5058)을 뱅크(5013)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제4 무기 밀봉층(5059)에 의해 분단함으로써, 발광 유기층(5022)에 대한 밀봉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4 무기 밀봉층(5059)을 두껍게 함으로써, 발광 유기층(5022) 및 상부 전극(5023)의 단차에 의해 제4 무기 밀봉층(5059)이 분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기 밀봉층(5058)을 두껍게 함으로써, 뱅크(5013)의 두께를 초과하는 사이즈의 이물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제3 유기 밀봉층(5058)을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제3 유기 밀봉층(5058)에 있어서 수분이 크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전극(5023) 및 발광 유기층(5022)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그와 같은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유기 EL 표시 장치
3 : 표시 영역
4 : 주연 영역
5 : 수분 차단 영역
6 : 화소 영역
7, 1007, 2007, 3007, 4007 : 분단선
9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0 : 하부 기판
11 : 회로층
12 : 평탄화층
13, 5013 : 뱅크
21, 5021 : 하부 전극
22, 5022 : 발광 유기층
22a : 제1 융기부
23, 5023 : 상부 전극
23a : 제2 융기부
23b : 접촉부
31 : 도전부
32 : 연부
H : 콘택트 홀
40 : 충전층
41 : 시일재
50, 1050, 2050, 3050, 4050, 5050 : 배리어 구조
51, 1051, 2051, 3051, 4051, 5051 : 제1 무기 밀봉층
52, 1052, 2052, 3052, 4052, 5052 : 제1 유기 밀봉층
52a : 제3 융기부
53, 1053, 2053, 3053, 4053, 5053 : 제2 무기 밀봉층
2054, 3054, 4054, 5054 : 제2 유기 밀봉층
2055, 3055, 4055, 5055 : 제3 무기 밀봉층
5058 : 제3 유기 밀봉층
5059 : 제4 무기 밀봉층
D1, D2 : 이물
61 : 제1 절연층
62 : 제2 절연층
90 : 상부 기판
F : 회로부
111 : 구동 TFT
112 : 축적 용량
113 : 스위칭 TFT
Lg : 주사선
LD : 영상 배선
Ls : 전원선

Claims (9)

  1.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배치된 복수의 하부 전극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화소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의 주변을 덮고,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 뱅크와,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뱅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1 융기부를 갖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의 상방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발광 유기층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제1 융기부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2 융기부를 갖는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 구조를 갖고,
    상기 배리어 구조는,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2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된 제1 유기 밀봉층을 갖고,
    상기 제1 유기 밀봉층은, 상기 뱅크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밀봉층은,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뱅크가 배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밀봉층은, 평면적으로 보아, 복수의 상기 화소마다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구조는,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3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2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3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유기 밀봉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밀봉층은,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상기 제3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밀봉층은,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뱅크가 배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구조는,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3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3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유기 밀봉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밀봉층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밀봉층 및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9.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배치된 복수의 하부 전극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화소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의 주변을 덮고, 상방으로 융기하는 형상을 갖는 뱅크와,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뱅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1 융기부를 갖는 발광 유기층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및 상기 뱅크의 상측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발광 유기층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유기층의 상기 제1 융기부에 대응하여 융기하는 제2 융기부를 갖는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 구조를 갖고,
    상기 배리어 구조는,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1 무기 밀봉층과 상기 제2 무기 밀봉층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마다 상기 제2 무기 밀봉층에 의해 분단된 제1 유기 밀봉층을 갖고,
    상기 제1 무기 밀봉층은, 상기 하부 전극, 상기 발광 유기층 및 상기 상부 전극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170024591A 2016-03-01 2017-02-24 유기 el 표시 장치 KR20170102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9426A JP2017157406A (ja) 2016-03-01 2016-03-01 有機el表示装置
JPJP-P-2016-039426 2016-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422A true KR20170102422A (ko) 2017-09-11

Family

ID=5972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591A KR20170102422A (ko) 2016-03-01 2017-02-24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56596A1 (ko)
JP (1) JP2017157406A (ko)
KR (1) KR20170102422A (ko)
CN (1) CN107146803B (ko)
TW (1) TW2017434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2912B2 (ja) * 2017-06-26 2020-09-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US10714706B2 (en) 2017-09-25 2020-07-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470063B1 (ko) * 2017-12-15 2022-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장치용 oled 패널
KR102546293B1 (ko) * 2017-12-28 2023-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
WO2019138579A1 (ja) * 2018-01-15 2019-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832017B (zh) * 2018-06-07 2020-06-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模组、电子装置
CN109065760B (zh) 2018-08-22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及封装方法、显示装置
US11296156B2 (en) * 2018-11-28 2022-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770A (ja) * 2004-06-17 2006-01-05 Toyota Industries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el装置
JP4702009B2 (ja) * 2005-11-22 2011-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00254B2 (ja) * 2005-11-22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257957A (ja) * 2009-04-01 2010-11-11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01847652B (zh) * 2010-04-21 2011-08-1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显示面板
KR101900364B1 (ko) * 2011-12-22 2018-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03054B1 (ko) * 2012-07-11 2018-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80233B1 (ko) * 2012-09-04 2019-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054763B2 (ja) * 2013-02-12 2016-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6139196B2 (ja) * 2013-03-15 2017-05-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5049972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46803A (zh) 2017-09-08
CN107146803B (zh) 2020-09-04
US20170256596A1 (en) 2017-09-07
JP2017157406A (ja) 2017-09-07
TW201743484A (zh)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939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KR20170102422A (ko) 유기 el 표시 장치
US9741775B2 (en) Display device
KR101647554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US10809837B2 (en)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sensor
JP2016134236A (ja) 表示装置
US10490603B2 (en) Display device
US11782542B2 (en) Display device
KR102237802B1 (ko) 터치 센서 내장 표시 장치
JP2018005111A (ja) 表示装置
US20220165976A1 (en) Display device
JP6817007B2 (ja) 表示装置
CN111819910A (zh) 显示装置
US20210343826A1 (en) Display device
KR2024007519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