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770A - 지문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770A
KR20170101770A KR1020167028192A KR20167028192A KR20170101770A KR 20170101770 A KR20170101770 A KR 20170101770A KR 1020167028192 A KR1020167028192 A KR 1020167028192A KR 20167028192 A KR20167028192 A KR 20167028192A KR 20170101770 A KR20170101770 A KR 2017010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templates
recognition
matching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안? 지
추안šœ 지
후이 두
창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465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33213A1/zh
Publication of KR2017010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K9/00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06K9/62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5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8Registration of image sequ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6Management of image or video recognition tas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는 단계;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 및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을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과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문 인식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지문 인식 기술은 점차 스마트 휴대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기본 스펙이 되어가고 있으며,이는 사용자가 일상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큰 편리를 안겨준다.
기존 기술에서,지문 인식 기능은 지문 템플릿 데이터 베이스,지문 인식 소프트웨어 및 지문 센서에 의하여 실현된다.지문 템플릿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지문 템플릿을 저장하고, 각각의 템플릿은 손가락 하나의 지문 이미지를 대표하며, 지문 인식 과정에서 지문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채취하고, 지문 인식 소프트웨어는 상기 지문 이미지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중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매칭에 성공하면 지문 인식 성공을 리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 및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이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의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 기록 획득 모듈;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기 위한 순서배열 모듈; 및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 모듈;
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모듈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기 위한 배열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모듈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기 위한 통계 서브 모듈; 및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기 위한 순서배열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서브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이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의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데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며,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며,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지문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한 기술 방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고,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에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서술 및 하기 세부적인 서술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을 진행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서술은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구상의 범위를 제한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지문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2단계: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한다.
104단계: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한다.
106단계: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에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방법은,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고,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에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에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지문 인식 중의 지문 매칭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알고리즘은 매번 인식이 성공한 후 데이터 베이스 중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여 최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됨으로써, 사용자가 다음 번 인식을 진행할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손가락 지문이 최소한 횟수의 매칭을 진행하면 지문 인식을 완성할 수 있다. 하기에 두 가지 경우로 나뉘어 상기 최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으로 지문 인식을 최적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2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지문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2단계: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한다.
지문 인식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지문 채취 유닛을 통하여 입력 지문을 채취한 후,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키며, 만약 그 중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이 성공되면, 사용자가 정확한 지문을 입력한 것으로 인정하고, 만약 모든 지문 템플릿에 모두 매칭이 실패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지문이 불정확한 것으로 인정한다.
전자기기는 매번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킨 후, 매칭 결과에 따라 하나의 인식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이 성공되었을 경우, 생성된 인식 기록에는 매칭 시간, 매칭 성공 인식자 및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의 인식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매칭이 실패되었을 경우, 생성된 인식 기록은 매칭 시간 및 매칭 실패 인식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는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하여 하나의 인식 성공 기록을 설정하고, 인식이 실패된 경우에 대하여 단독으로 하나의 인식 실패 기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매번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킨 후, 만약 매칭이 성공되면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인식 성공 기록에 이번 인식 시간을 추가하고, 만약 매칭이 실패되면 인식 실패 기록에 이번 인식 시간을 추가한다.
204단계: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매번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킨 후, 매칭 결과에 따라 모두 하나의 인식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경우, 전자기기는 마지막으로 인식 성공 시 생성한 인식 기록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202단계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인식 기록을 획득할 때 최근에 매칭이 성공되었을 때 생성한 인식 기록 만을 획득할 수가 있다.
또는, 전자기기가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하여 하나의 인식 성공 기록을 설정하고, 인식이 실패된 경우에 대하여 단독으로 하나의 인식 실패 기록을 설정할 경우, 전자기기는 각각의 지문 템플릿이 대응하는 인식 성공 기록에 대하여, 상기 인식 성공 기록 중 마지막으로의 인식 시간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각 인식 시간 중, 현재 시간과 가장 가까운 인식 시간이 대응하는 지문 템플릿을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으로 확정할 수 있다.
206단계: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02단계 내지 206단계은 입력 지문이 성공적으로 지문 템플릿에 매칭된 후에 실행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매번 지문을 입력하여 매칭이 성공한 후, 전자기기는 이번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첫 번째 자리에 배열한다.
208단계: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킨다.
전자기기는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킬 경우, 각각의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킨 후 매칭 성공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매칭이 성공되지 않았을 경우 계속하여 새로운 입력 지문을 다음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키며, 만약 매칭이 성공되면, 매칭이 성공한 결과를 출력하고 매칭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매번 지문 인식이 끝난 후, 전자기기는 이번에 인식한 지문 템플릿을 즉시로 지문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의 제일 앞에 배열하며, 이러한 방법은 실시가 간단하며 별도의 공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전자기기는 이번에 인식한 지문 템플릿이 다음 번에도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으로 인정하여 제일 앞에 배열함으로써, 다음 번 인식 시 소요되는 매칭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지문 템플릿은 한 동안이 지나면 점차 지문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의 뒷쪽으로 다시 순서배열된다. 상기 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몇개의 지문 템플릿이 언제나 앞쪽에 배열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지문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중 일 부분의 템플릿은 사용 빈도가 비교적 낮아 가끔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성공적으로 한번 매칭된 후에는 오랜 시간동안 다시 매칭되지 않는다. 만약 이러한 사용 빈도가 비교적 낮은 지문 템플릿이 가끔 한번씩 매칭된 후 바로 모든 지문 템플릿의 앞쪽으로 배열되면, 이후의 몇 차례의 매칭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문 템플릿의 순서배열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전자기기는 최근 N차례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렛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최근 N차례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이 동일한 템플릿인지를 검측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1과 같은 정수이며, 예를 들어 N은 3일 수 있고, 만약 최근 N차례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이 동일한 템플릿일 경우, 최근 N차례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 이기도 함)을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방법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며,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과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도3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지문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02단계: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한다.
여기서, 전자기기가 인식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도2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202에 대한 서술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304단계: 인식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한다.
여기서, 전자기기가 매번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킨 후, 매칭 결과에 따라 하나의 인식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경우, 전자기기는 획득한 각 인식 기록에 따라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기간내에 서로 다른 사용 습관을 가질 수가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교적 먼 기간 전에는 습관적으로 검지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지문 템플릿은 사용자의 검지 지문 템플릿이다. 또는 비교적 가까운 기간내에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엄지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지문 템플릿은 사용자의 엄지 지문 템플릿이다. 또는 최근 기간에는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게 되어, 이때 대응하는 지문 템플릿은 다른 사용자의 지문 템플릿이다. 즉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지문 템플릿은 일정한 시간성을 구비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매번 채취한 입력 지문을 미리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에 매칭시킨 후, 매칭 결과에 따라 하나의 인식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한 상황하에서 전자기기가 단계 302에서 인식 기록을 획득할 때, 현재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한 기간내의 인식 기록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현재 시간 이전의 일주일 내에 생성하여 저장한 인식 기록만 획득하며, 이와 상응하게, 전자기기가 인식 기록을 저장할 경우 현재 시간 이전의 상기 미리 설정한 기간내의 인식 기록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기기가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하여 하나의 인식 성공 기록을 설정하고, 인식이 실패된 경우에 대하여 단독으로 하나의 인식 실패 기록을 설정할 경우, 전자기기는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인식 성공 기록 중 지난 매번 인식 시간의 개수를 상기 지문 템플릿의 인식 성공 횟수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지문 템플릿이 일정한 시간성을 구비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하여 하나의 인식 성공 기록을 설정할 경우, 전자기기는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인식 성공 기록에만 현재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한 기간내의 인식 시간을 보류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기간을 초과하는 인식 시간은 삭제할 수 있다.
306단계: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획득한 인식 기록에 따라 확정한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가장 많은 지문 템플릿을 첫 번째 자리에 배열하고,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두 번째로 많은 지문 템플릿을 두 번째 자리에 배열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배열할 수 있다.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이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획득한 인식 기록에 따라 확정한,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가장 많은 지문 템플릿이 두 개이고, 각각각의 지문 템플릿1과 지문 템플릿2일 경우, 전자기기는 지문 템플릿1과 지문 템플릿2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을 각각 획득할 수 있으며, 만약 지문 템플릿1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2시간 전이고, 지문 템플릿2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24시간 전일 경우, 즉 지문 템플릿1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현재 시간에 가까울 경우, 전자기기는 지문 템플릿1을 첫 번째 자리에 배열하고 지문 템플릿2를 두 번째 자리에 배열할 수 있다.
308단계: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매번 지문 인식이 완성된 후 전자기기는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인식 성공 횟수를 통계하고,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인식 성공 횟수를 순서배열하여, 인식 성공 횟수가 많은 템플릿을 앞쪽으로 배열하고 횟수가 적은 것을 뒤쪽으로 배열할 수 있다. 만약 두 템플릿의 인식 성공 횟수가 동일할 경우, 마지막으로 인식한 템플릿을 앞쪽으로 배열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과거에 인식이 성공한 총 횟수를 통계하고, 대응하는 손가락의 사용 빈도를 구현하였으며, 보다 정밀한 최근 최다 사용의 알고리즘을 실현할 수 있다. 자주 이용하는 손가락은 계속 맨 앞쪽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끔 자주 이용하지 않는 손가락으로 인식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사용되는 템플릿은 데이터베이스의 앞쪽으로 다시 배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은 템플릿의 사용 빈도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선택적으로, 지문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중의 각각의 지문 템플릿은 입력된 시간이 다르므로, 일부분의 후에 입력한 지문 템플릿은 사용 빈도가 매우 높지만, 총 횟수가 전에 입력한 지문 템플릿 보다 적은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재 순서배열할 때 전자기기는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빈도를 더 통계하여, 매칭이 성공한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할 수 있다. 진일보로,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빈도가 동일할 경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획득한 인식 기록은 매번 지문 인식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전자기기는 인식 기록 중의 매번 지문 인식 시간 및 매번 지문 인식 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입력 지문과의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 성공 빈도를 계산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 성공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한다. 즉 전자기기가 획득한 인식 기록은 지난 매번 지문 매칭의 매칭 시간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문 템플릿에 대하여, 전자기기는 획득한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지문 템플릿의 매칭 성공 횟수를 확정하는 외에, 획득한 인식 기록 중에서 상기 지문 템플릿이 처음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과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을 더 획득하여, 상기 지문 템플릿이 처음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과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고, 상기 지문 템플릿의 매칭 성공 횟수 및 상기 지문 템플릿이 처음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과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지문 템플릿의 매칭 성공 빈도를 계산하며, 마지막으로, 매칭 성공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한다.
전자기기에 지문 템플릿이 총 3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3개의 지문 템플릿은 각각각의 지문 템플릿1, 지문 템플릿2 및 지문 템플릿3이며, 여기서 지문 템플릿1이 처음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은 200일 전이고,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은 20일 전이며, 매칭 성공 횟수는 360회이다. 지문 템플릿2가 처음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은 100일 전이고,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은 30일 전이며, 매칭 성공 횟수는 280회이다. 지문 템플릿3이 처음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은 10일 전이고,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은 당일이며, 매칭 성공 횟수는 100회이다. 계산을 통해, 지문 템플릿1의 매칭 성공 빈도는 2회/일이고, 지문 템플릿2의 매칭 성공 빈도는 4회/일이며, 지문 템플릿3의 매칭 성공 빈도는 10회/일인 것을 획득하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세개의 지문 템플릿을 지문 템플릿3, 지문 템플릿2 및 지문 템플릿1의 순서에 따라 순서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방법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고,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과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최근 최다 사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문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중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고, 매번 인식 성공 후, 사용자가 가장 많이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맨 앞쪽으로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음 번에 자주 사용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인식을 진행할 경우, 극소 차례의 매칭 만으로 인식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지문 인식 중의 지문 매칭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전반적인 기능을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이며,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시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지문 인식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실현되어 지문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 일 수가 있다. 상기 지문 인식 장치는 기록 획득 모듈(401), 순서배열 모듈(402) 및 매칭 모듈(40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획득 모듈(401)은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순서배열 모듈(402)은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데 사용된다.
매칭 모듈(403)은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장치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느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고,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과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도5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지문 인식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실현되어 지문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 일 수가 있다. 상기 지문 인식 장치는 기록 획득 모듈(401), 순서배열 모듈(402) 및 매칭 모듈(40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획득 모듈(401)은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순서배열 모듈(402)은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데 사용된다.
매칭 모듈(403)은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모듈(402)은 확정 서브 모듈(402a) 및 배열 서브 모듈(402b)을 포함한다.
확정 서브 모듈(402a)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배열 서브 모듈(402b)은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모듈(402)은 통계 서브 모듈(402c) 및 순서배열 서브 모듈(402d)을 포함한다.
통계 서브 모듈(402c)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에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는데 사용된다.
순서배열 서브 모듈(402d)은 대응하는 매칭에 성공한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순서배열 서브 모듈(402d)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이 대응하는 매칭에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데도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식 기록은 매번의 지문 인식 시간을 지시하는 데도 사용되며, 상기 순서배열 모듈(402)은 빈도 계산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빈도 계산 서브 모듈은 상기 매번 지문 인식의 시간 및 매번 지문 인식 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입력 지문에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에 성공한 빈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순서배열 서브 모듈(402d)은 빈도 계산 서브 모듈에서 계산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되는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데도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장치에 따르면,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고, 과거 기록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고,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새로운 입력 지문과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며, 과거에 매칭이 성공한 상황에 따라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킴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지문 템플릿을 제일 앞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지문 인식 시, 최근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템플릿과 우선으로 매칭시켜, 지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지문 인식의 속도를 제고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며,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며,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것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고,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것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에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고,
대응하는 매칭에 성공한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것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응하는 매칭에 성공한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대응하는 매칭에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것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이 조작을 실시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600)의 블록도이며, 예를 들어 장치(6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팅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프로세싱 유닛(602), 메모리(604), 전원 유닛(606), 멀티미디어 유닛(608), 오디오 유닛(6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612), 센서 유닛(614) 및 통신 유닛(616) 중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2)는 일반적으로 장치(600)의 전체 조작,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2)은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20)를 구비하여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602)은 기타 유닛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602)은 멀티미디어 유닛(608)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조작을 서포트 하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600)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어,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 ROM(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있다.
전원 유닛(606)은 장치(6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6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데 관련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될 수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가변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유닛(6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6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유닛(616)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12)는 프로세싱 유닛(6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를 위해 각 방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의 온/오프 상태, 유닛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은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패드일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 또는 장치(600)의 유닛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6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6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6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근처의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이미지 형성 응용에 이용하기 위한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614)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616)은 장치(6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장치(6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유닛(616)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외부의 브로드캐스팅 관리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616)은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600)는 상기 임의의 어느 한 실시예가 제공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 DSPD (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를 포함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명령어를 포함한 메모리(604)을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어는 장치(600)의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임의의 어느 한 실시예가 제공한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의 명령어가 장치(6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장치(600)로 하여금 상기 도1 내지 도3 중 임의의 어느 한 도면이 나타내는 지문 인식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에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9)

  1.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 및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에서 입력 지문에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기 위한 인식 기록을 획득하는 기록 획득 모듈;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는 순서배열 모듈; 및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배열 모듈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확정하는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첫 번째 지문 템플릿으로 배열하는 배열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배열 모듈은,
    상기 인식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각각의 지문 템플릿의 매칭이 성공한 횟수를 통계하는 통계 서브 모듈; 및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의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순서배열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배열 서브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의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에 대응하는 매칭이 성공한 횟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의 마지막으로 매칭이 성공한 시간이 가까운 순서에 따라 상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지문 템플릿을 순서배열하는 데도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매번 지문 인식 시, 미리 저장한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 중 입력 지문에 매칭에 성공한 지문 템플릿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식 기록을 획득하며,
    상기 과거 기록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을 다시 순서배열하며,
    새로운 입력 지문이 수신되었을 경우, 다시 순서배열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새로운 입력 지문을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문 템플릿에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장치.
KR1020167028192A 2016-02-01 2016-08-11 지문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101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68890.9 2016-02-01
CN201610068890 2016-02-01
CN201610210599.0 2016-04-06
CN201610210599.0A CN107025421B (zh) 2016-02-01 2016-04-06 指纹识别方法和装置
PCT/CN2016/094651 WO2017133213A1 (zh) 2016-02-01 2016-08-11 指纹识别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70A true KR20170101770A (ko) 2017-09-06

Family

ID=5952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92A KR20170101770A (ko) 2016-02-01 2016-08-11 지문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9266B2 (ko)
KR (1) KR20170101770A (ko)
CN (1) CN107025421B (ko)
RU (1) RU265125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3319B (zh) * 2016-07-05 2019-07-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匹配方法和装置
CN109284588A (zh) * 2018-08-22 2019-0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验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543382A (zh) * 2018-11-23 2019-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纹路解锁方法、纹路解锁系统及显示装置
CN111091034A (zh) * 2019-05-05 2020-05-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手指识别的搜题方法及家教设备
CN111898559B (zh) * 2020-08-03 2024-04-26 南京奥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人脸识别速度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755A (ja) * 1997-03-31 1998-10-20 Toshiba Corp データ分散型入退室管理システム
US6100811A (en) * 1997-12-22 2000-08-08 Trw Inc. Fingerprint actuation of customized vehicle features
JP2001266151A (ja) * 2000-03-17 2001-09-28 Toshiba Corp 個人識別装置および個人識別方法
KR100899199B1 (ko) * 2002-11-05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JP2006018677A (ja) * 2004-07-02 2006-01-19 Sharp Corp 生体データ照合装置、生体データ照合方法、生体データ照合プログラムおよび生体データ照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471898B2 (ja) * 2005-07-22 2010-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671838B2 (ja) * 2005-10-31 2011-04-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8242954A (ja) * 2007-03-28 2008-10-09 Nec Corp 個人認証用の指紋認識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個人認証用のバイオメトリクス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端末
JP2008276359A (ja) * 2007-04-26 2008-11-13 Murata Mach Ltd 個人認証装置
RU2355307C2 (ru) * 2007-05-21 2009-05-20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Иванов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личности по рисунку отпечатка пальц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1231692A (zh) * 2007-12-24 2008-07-30 浙江金指码科技有限公司 通过指纹特征值调整的学习型智能指纹识别比对方法
CN101620675A (zh) * 2009-06-16 2010-01-06 浙江维尔电子有限公司 一种提高指纹验证通过率的方法
JP5276554B2 (ja) * 2009-09-07 2013-08-28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生体情報認証装置および生体情報認証プログラム
US9898642B2 (en) *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EP3108612B1 (en) * 2014-02-18 2020-07-22 Secureauth Corporation Fingerprint based authentication for single sign on
CN105099701B (zh) * 2015-07-29 2018-06-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鉴权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25421A (zh) 2017-08-08
CN107025421B (zh) 2020-10-13
JP2018507447A (ja) 2018-03-15
JP6609266B2 (ja) 2019-11-20
RU2651250C1 (ru)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770A (ko) 지문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3669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остоянием экрана терминала, а такж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808050B (zh) 信息搜索方法及装置
CN105845124B (zh) 音频处理方法及装置
EP3176709A1 (en) Video categ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23750A (ko) 연락처 정보 추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810172B2 (en) Data clear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7102772B (zh) 触控方法及装置
CN105279957A (zh) 消息提醒方法和装置
CN104636140B (zh) 固件压缩方法、固件解压方法和装置
CN104636164B (zh) 启动页面生成方法及装置
EP29884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
KR20170132833A (ko) 압력 검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N107958239B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CN105205153A (zh) 文件存储方法和装置
CN107423757B (zh) 聚类处理方法及装置
CN109246184A (zh) 一种时间信息获取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17133213A1 (zh) 指纹识别方法和装置
CN108153488B (zh) 数据自增方法及装置
CN105653027B (zh) 页面缩放方法及装置
CN106200030B (zh) 液晶显示屏、压力测量方法及装置
CN104793847B (zh) 图片展示方法及装置
CN103869982A (zh) 操作项选择方法及装置
KR20180056757A (ko) 지문 인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5379044B (zh) 握持状态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