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696A - 주문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문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696A
KR20170101696A KR1020160024585A KR20160024585A KR20170101696A KR 20170101696 A KR20170101696 A KR 20170101696A KR 1020160024585 A KR1020160024585 A KR 1020160024585A KR 20160024585 A KR20160024585 A KR 20160024585A KR 20170101696 A KR20170101696 A KR 2017010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web page
order
po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김환기
Original Assignee
이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운 filed Critical 이정운
Priority to KR102016002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696A/ko
Publication of KR2017010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04W4/00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기존의 POS 시스템에도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주문처리 시스템이 소개된다. 매장의 테이블에 설치된 NFC 태그(200)에 스마트폰을 근접시키면 중앙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되며, 이 웹페이지를 통해 생성된 주문은 매장의 POS 시스템(100)과 공유된다. POS 시스템(100)의 POS 단말(120)은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로컬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POS 웹페이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주문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PURCHASE ORDERS}
본 발명은 특히 음식점과 같은 소매점의 POS(point of sale) 시스템과 연계된 주문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OS 시스템은 팔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시점에 즉시 기록함으로써 판매 및 재고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계, 점포판매 시스템을 말한다.
POS 시스템은, 예로서 외식업 매장의 경우, 터치스크린을 갖는 POS 단말기, 이에 직접 장착되거나 연결된 결제용 카드 단말기 및 주방에 배치된 주문 출력용 프린터를 구비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POS 시스템은 매장 직원이 직접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고 또 결제도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때문에 매장 직원이 바쁜 경우 주문 처리가 지연되고 또 혼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푸드 코드의 경우 무인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하여 주문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하나, 일반 음식점의 경우 키오스크를 별도 설치하는 것은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앞에서 줄을 서서 대기해야 하는 고객 불편은 해결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불편 해소를 위한 방안 중 하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의 도입이다. 특히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등 최근 모바일 결제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기에, 스마트폰과 POS 시스템을 연계한 주문 처리 비즈니스의 확대가 기대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3565호에는 고객이 스마트폰을 주문 시스템의 예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전광판이 구비되고 주문번호를 발행하는 푸드코트와 같은 매장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위 공개특허 외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 처리에 관한 여러 제안이 있었으나, 아직까지 시장에 적용된 예가 없다.
기존의 제안들이 시장에서 실패한 것은 적용성이나 범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 이유와 해결하고자 하는 바를 살펴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OS 시스템은 모바일 주문이나 결제를 지원하지 않는다. 당연하게도 모바일 주문 처리를 위해서는 기존 매장의 POS 단말기를 교체하거나 기존 POS 단말기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한다. 어느 경우든 기존 매장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해야 하며 고객을 유인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3565호의 주문 시스템은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하면 그 정보가 매장의 POS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POS 시스템은 주문번호를 발행하고 서비스 서버를 통해 이를 고객에게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위 공개특허에 의하면 POS 시스템은 주문 및 결제 과정에 관여하지 않으며 모두 서비스 서버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이 모델은 고객이 해당 매장에서 모바일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알고 있고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것을 전제한 것인데, 고객을 유인하는 요인이 없고 불편하다.
또한 위 공개특허의 주문 시스템은 푸드코트와 같이 주문번호가 표시되는 전광판을 갖는 특수한 매장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범용성이 떨어진다. 일반 소매점에 이르기까지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바일 주문은 물론 매장 주문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예로서 매장을 찾은 고객들 중에서는 모바일 주문 이용자가 있고 그렇지 않은 고객도 있다. 또 함께 매장을 찾은 고객들이라 하더라도 누구는 스마트폰으로 주문 및 결제를 하고 다른 누군가는 매장에서 현장 주문을 할 수 있다. 또한 주문은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하더라도 결제는 서로 다른 방식을 선택하고자 할 수도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모바일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위와 같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모바일 주문만을 가정한 이상적인 모델만이 제안되었을 뿐, 현실적으로 매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적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 공개특허의 서비스 서버는 POS 시스템이 아닌 주문 결제를 대리 대행하는 서버이다. 매장 관리자의 경우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매출 현황이나 재고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데, 위 공개특허의 주문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
종래에 제안되었던 것 중에는 웹기반의 POS 시스템이 있었다. 전체적인 재고관리 및 물품 구매 신청이 필요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우 이러한 웹기반 POS 시스템이 유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웹기반 POS 시스템은 외부 통신망이 끊기는 경우, POS의 구동이 되지 않아 매장에서 주문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시장에서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규의 주문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NFC 태그를 이용한다. 매장, 좋게는 매장의 테이블에 NFC 태그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NFC 지원 모바일기기를 근접 시, 모바일기기에서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미리 할당된 주소의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한다.
매장에는 POS 단말과 이와 로컬망을 통해 연결된 로컬 서버를 구비하는 POS 시스템이 구축된다. 고객은 NFC 지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웹페이지를 통해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으며, 매장 주문을 할 수도 있다. 매장 주문은 POS 단말을 통해 입력된다.
로컬 서버는 웹 기반의 POS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POS 단말은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POS 어플리케이션의 POS 웹페이지에 연결된다. 웹기반으로 구동되므로 POS 단말에서 웹브라우저를 지원하기만 하면, 어느 매장에도 본 발명의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POS 단말과 로컬 서버는 매장의 로컬망을 통해 연결되므로 외부 통신망이 끊기더라도 매장에서의 주문 처리가 가능하다. 매장에서의 주문 처리를 위한 POS 웹페이지가 로컬 서버에서 제공되기 때문이다.
매장 웹페이지는 중앙 서버에서 제공된다. 매장 웹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는 로컬 서버와 실시간 공유 또는 동기화된다. 나아가 POS 웹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 또한 중앙 서버와 실시간 공유 또는 동기화된다.
중앙 서버와 로컬 서버 간의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각 서버는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이상 상태가 제거된 후 저장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도록 구성된다. 각 서버는 데이터의 공유를 전담하는 분배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문 혹은 이벤트 발생 시 해당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POS 시스템이 서로 공유함에 의해, 매장 관리자가 자신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중앙 서버에서 제공하는 매장 웹페이지에 관리자 모드로 로그인하여 매출이나 재고 현황을 실시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에서 연결되는 매장 웹페이지의 주소는 태그의 설치 위치 또는 태그별로 상이하게 설정된다. 예로서 1번 테이블에 설치된 NFC 태그에 의해 연결되는 매장 웹페이지는 해당 테이블에 대해 할당된 주소값을 갖는다. 이에 의하면 매장이나 POS 웹페이지를 통해 생성된 주문은 모두 테이블별로 합계될 수 있으며, POS 단말에 테이블 당 주문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매장 웹페이지는, 주문 시 적어도 모바일결제, 매장결제를 포함하는 결제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총 주문 중 일부에 대한 부분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주문되는 메뉴마다 결제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소위 더치페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기존에 POS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매장에서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며, 또한 푸드코트와 같은 특수 매장 외에 일반 매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NFC 태그를 이용하므로, 매장을 방문한 고객으로서는 호기심이 발동하여 모바일 주문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모바일기기에 어플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NFC 태그에 근접시키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연결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웹기반으로 구축되었음에도, 외부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여 본사 혹은 중앙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도, 매장에서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하고, 또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부분 결제가 가능하므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주문 상황에 대응이 가능하며, 고객으로서는 기다리지 않고 동행한 지인들의 주문까지 한꺼번에 하면서도, 결제는 서로 달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부담이나 거부감이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시스템은 중앙 서버와 매장의 POS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공유 또는 동기화하므로,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매출 현황이나 재고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자 하는 매장 관리자 또는 매장주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다양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처리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웹페이지들을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OS 웹페이지들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웹페이지 중 관리자 화면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대의 POS를 구비하는 매장의 POS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러 매장을 연결하는 주문 처리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문 처리 시스템은 매장에 배치된 POS 시스템(100)과 NFC 태그(200), 그리고 본사의 중앙 서버(300)를 포함한다.
매장의 POS 시스템(100)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며, POS 단말(120)과 이와 로컬망으로 연결된 로컬 서버(110)를 구비한다.
POS 단말(120)은 터치스크린과 내장 컴퓨터를 갖는 기존의 POS 단말기일 수 있다. POS 단말(120)에 결제용 카드 리더기가 설치되거나 별도의 카드 단말기가 POS 단말(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방의 주문 출력용 프린터가 POS 단말(120) 또는 로컬 서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서버(110)로는 POS 단말(120)과는 별도의 컴퓨터가 사용된다. POS 단말(120)을 로컬 서버(110)로 운영할 수도 있을 것이나, 시스템 성능이나 안정성, 그리고 여러 대의 POS 단말(120)을 사용하는 매장 환경을 고려할 때,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컴퓨터를 로컬 서버(110)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로컬 서버(110)에는 웹 기반의 POS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POS 단말(120)은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POS 어플리케이션의 POS 웹페이지에 연결된다. POS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주문은 로컬 서버(110)로 전송되며, 로컬 서버(110)는 매장 내 다른 POS 단말이나 중앙 서버(300)와 데이터를 공유한다.
기존의 POS 단말들은 제공자에 따라 운영체계(OS)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것은 꽤 번거로운 일이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운영체계의 POS 단말을 구비하는 매장에 대해 본 시스템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로컬 서버(110)는 매장 내 로컬망, 예로서 랜(LAN)이나 WiFi 등의 무선공유기를 통해 POS 단말(120)과 연결된다. 외부 인터넷이 끊기더라도 이러한 로컬망을 통해 POS 단말(120)과 로컬 서버(11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매장 내 고객들의 주문 처리가 가능하다.
NFC 태그(200)는 매장의 테이블에 설치된다. 매장을 찾은 고객이 NFC를 지원하는 자신의 스마트폰(10)을 NFC 태그(200)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10)에서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미리 할당된 주소의 매장 웹페이지에 연결된다. 스마트폰(10)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NFC 태그(20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웹브라우저를 연동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NFC 태그(200)는 매장 웹페이지 연결 시 매장 및 테이블 식별 값을 제공한다. 예로서 NFC 태그(200)마다 연결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매장 및 테이블 ID를 포함한다.
매장 웹페이지는 중앙 서버(300)로부터 제공된다. 중앙 서버(300)는 매장 웹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로컬 서버(110)와 실시간 공유 또는 동기화한다. 중앙 서버(300)는 단순한 중계 서버가 아니다. 로컬 서버(110)와 동일한 POS 어플리케이션을 가지며 발생 데이터를 축적하며 로컬 서버(110)와 공유하는 POS 서버이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서버(300)는 웹 서버, DB 서버 및 분배 서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로컬 서버(110)도 웹 서버, DB 서버 및 분배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서브 서버는 독립된 하드웨어이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하는 데몬일 수 있다.
로컬 웹 서버는 POS 웹페이지 데이터를 제공하며 중앙 웹 서버는 매장 웹페이지 데이터를 제공하며, 예로서 두 웹 서버 모두 apache/php로 구축된다. 이들 웹 서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로컬 및 중앙의 DB 서버에 저장되며, 각각의 분배 서버를 통해 서로 간에 동기화 또는 공유된다.
로컬 및 중앙 서버(100,300)의 분배 서버들은 각각의 웹 서버에 탑재된 데몬이다. 주문이나 결제 등의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며, 서로 간의 통신에 이상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이상 상태 제거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한다.
위와 같이 분배 서버들이 서버들(100,300) 간의 데이터 공유 또는 동기화를 전담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보안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배 서버들은 websocket/SSL 통신을 한다.
여러 대의 POS 단말(120)을 사용하는 매장의 경우, 각 POS 단말(120)은 로컬 분배 서버를 통해 주문 데이터를 공유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여러 POS 단말들(120)은 로컬 서버(110)와 로컬망으로 연결되며, 이 중 어느 POS 단말(120a)에 주문이 발생되면 이를 로컬 분배 서버가 다른 POS 단말들(120b,120c, 120d)로 전송한다.
그리고 로컬 분배 서버는 해당 매장 주문 정보를 중앙 서버(300)에도 전송하여 데이터를 공유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의 형성 및 데이터 공유를 통해 매장 관리자는 매장 외부에서 자신의 모바일기기로 중앙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매장 웹페이지의 관리자모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매출이나 재고의 확인 및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로컬 서버(100)에 분배 서버 역할을 하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이 프로그램을 통해 POS 단말기들(120)이나 중앙 서버(300)와 데이터 공유를 전담하게 하고 또, 자료를 주기적으로 조회하는 DB-Polling 방식이 아닌, 주문 발생 시에 서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DB 자원이나 네트워크 자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매장의 POS 단말(120)과 중앙 서버(300)는 전용선이나 기타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VAN과 PG 사업자가 분리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에, 예로서 매장의 POS 단말(120)은 VAN(value added network)과 연결되며, 중앙 서버(300)는 PG(payment gateway)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는 이상 설명된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함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 처리 과정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장에는 POS 시스템(100)이 갖추어져 있고 매장 테이블마다 NFC 태그(200)가 설치되어 있다. 매장을 찾은 고객이 테이블에서 NFC 지원 스마트폰(10)을 NFC 태그(200)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10)은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해당 매장 및 테이블 ID가 포함된 주소의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한다.
위와 같이 NFC 태그(200)를 이용하여 매장 웹페이지가 연결하도록 하는 것은 고객이나 매장 관리자에게 상당한 편리를 제공한다. 고객은 자신의 스마트폰(10)에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중앙 서버(300)나 매장 관리자로서는 매장 웹페이지에 연결된 고객의 테이블 ID를 식별할 수 있다.
매장 웹페이지는 중앙 서버(300)의 웹 서버로부터 제공된다.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매장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주문을 하면, 중앙 서버(300)에서는 주문 매장과 테이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의 로컬 서버(110)와 주문 데이터를 공유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매장 웹페이지에서의 주문은 고객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요구된다.
도 2는 매장 웹페이지들 중 메뉴 선택화면(310)을 보인 것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메뉴 선택화면(310)에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며 이들의 레시피나 기타 필요한 정보가 링크된다. 고객이 메뉴를 선택(311)하고 주문(312)을 누르면 도 3의 주문 화면(320)이 열린다.
도 3에서 보듯이, 주문화면(320)은 주문 개수(321,322)를 선택하고, 다른 메뉴를 계속 주문할 것인지 주문을 완료하고 결제 단계로 넘어갈지를 선택(323)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21은 1~2개의 주문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322는 3개 이상의 선택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주문완료(323)가 선택되면, 도 4의 결제화면(330)이 열린다. 결제화면(330)은 고객이 주문 메뉴에 대한 결제방법(331)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결제방법(331)은 적어도 휴대폰결제(즉 매장 웹페이지에서의 결제)와 매장결제(매장 POS 단말기를 통한 결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주문 동시 바로 결제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결제방법은 주문 메뉴마다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고객은 자신이 결제할 주문에 대해서는 휴대폰결제를 선택하고 타인의 결제할 주문에 대해서는 매장결제를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체 주문을 하더라도 본인 주문에 대해서만 부분 결제를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객이 결제화면(330)을 통해 결제 시도 시, 해당 결제는 매장의 POS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앙 서버(200) 측에서 완료된다. 이러한 면에서 중앙 서버(300)는 POS 시스템이며, 예로서 결제 서버(400)에서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거나 혹은 매장 웹페이지에 링크된 결제 모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문화면(320)이나 결제화면(330)은 중앙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되는 주문을 언제 매장의 POS 시스템(100)과 공유할 것인지가 문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고객이 결제화면(330)에서 결제방법을 선택하면 주문이 생성된 것으로 판정하고 이를 로컬 서버(110)로 전송하여 POS 단말(12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매장의 POS 단말(120)에 표시되는 주문화면(130)과 결제화면(140)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POS 웹페이지는 로컬 서버(110)로부터 제공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중앙 서버(300) 및 POS 단말(120)을 통해 생성된 주문들은 POS 단말(120)의 주문화면(130)에 테이블별로 합계되며 테이블당 주문 현황(131)이 파악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시인성을 위해 POS 단말(120)을 통해 입력된 매장 주문과 매장 웹페이를 통한 모바일주문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매장 웹페이지를 통한 모바일 주문이나 매장의 POS 단말(120)을 통해 생성되는 매장 주문 시, 해당 주문 정보에는 각 주문의 시각 정보 또는 순번 정보가 포함된다. 주문화면(130)에는 테이블당 주문 현황과 함께 주문 리스트(132)가 주문 순서에 따라 나열되어, 순서대로 주문을 주방에 알리거나 주방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주문화면(130)은 매장 관리자가 테이블 번호를 터치하면 주문입력이나 결제를 선택할 수 있고 각 선택에 따라 필요한 화면이 팝업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제화면(140)은 총 주문과 금액, 그리고 이미 결제된 금액(141, 모바일결제일 것이다)을 확인하여 남은 잔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결제화면(140)은 매장 결제 시, 신용카드나 현금 결제 외에 모바일결제(PG 결제)나 포인트 결제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객이 NFC 태그(20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매장 웹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중앙 서버(300)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매장 웹페이지의 탐색은 허용하지만 이를 통한 주문은 차단한다. 일정 시간 후 주문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NFC 태그(200)에 근접시켜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해야 한다.
위와 같이 일정 시간 후 매장 웹페이지를 통한 주문을 차단함에 의해 고객이 스마트폰을 조작하다가 주문을 잘못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중앙 서버(300)의 웹서버가 제공하는 매장 관리자용 화면(340)을 보인 것이다. 매장의 POS 시스템(100)과 중앙 서버(300)는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하므로, 매장 관리자는 매장 웹페이지에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여 매출 현황(341)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매출 외에 재고관리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위의 관리자용 매장 웹페이지와 마찬가지로 로컬 서버(110)에서도 해당 관리자용 POS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매장 관리자는 POS 웹페이지를 통해 매출이나 재고관리를 할 수 있으며, POS 웹페이지의 메뉴 리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수정 및 업데이트된 POS 웹페이지 데이터는 중앙 서버(200)와 공유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본사의 중앙 서버(300)와 이와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된 다수 가맹점의 POS 시스템(100a~100g)을 포함한다. 중앙 서버(300)와 각 가맹점의 POS 시스템(100)에는 웹 기반의 POS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가맹점을 찾은 고객은 해당 가맹점에 배치된 NFC 태그를 이용하여 중앙 서버(300)를 통해 모바일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고, 이 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POS 시스템(100)과 공유된다. 가맹점의 POS 단말(120)을 통해 발생된 주문 또한 중앙 서버(300)와 공유되며, 해당 가맹점의 관리자는 자신의 모바일기기로 실시간 매출 확인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매장 웹페이지를 통한 모바일 주문은 고객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필요로 한다. 고객이 어느 매장(100a)에서 모바일주문을 하는 경우, 해당 고객의 개인정보는 본사 서버(300)에 저장 및 관리된다. 물론 고객 동의하에 해당 매장(100a)에 개인정보 일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매장에서는 제공 받은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광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매장에서 자체적으로 대 고객 광고를 할 수 있겠지만,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해당 업무가 본사에 의뢰될 수 있을 것이다. 본사는 고객의 스마트폰 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 SNS 등을 통해 가맹점으로부터 의뢰된 대 고객 광고를 하거나, 가맹점들의 동의 하에 본사 차원에서의 이벤트 광고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문 처리 시스템의 중앙 서버(300)는 앱서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매장에서 NFC 태그를 이용하여 매장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모바일주문을 하거나 또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어플을 이용하여 앱서버를 통해 주문 처리를 할 수 있다. NFC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주문이 활성화된다면, 앱 이용의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앱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광고나 고객 유인에 도움이 된다. 도 10에서 보듯이 고객에게 할인 이벤트를 푸시 알림하거나, 위치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에 있는 고객들이나 특정 연령대에 대해서만 광고를 하거나, 성별에 따라 광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등, 타게팅 광고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모바일 광고에 응하여 가맹점을 찾은 고객에게는 포인트를 부여하고, 적립된 포인트는 가맹점 어디에서나 사용하게 할 수 있다. 가맹점으로부터 받은 광고비 일부를 고객에게 페이백(payback)함으로써 고객의 만족을 증대시키고 또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매장 POS 시스템 110: 로컬 서버
120: POS 단말 200: NFC 태그
300: 중앙 서버 400: 결제 서버

Claims (12)

  1. POS 단말과 이와 로컬망을 통해 연결된 로컬 서버를 구비하는 매장의 POS 시스템;
    상기 매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NFC 지원 모바일기기를 근접 시, 모바일기기에서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미리 할당된 주소의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하도록 하는 NFC 태그; 및
    상기 매장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이 웹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로컬 서버와 실시간 공유 또는 동기화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서버는 웹 기반의 POS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POS 단말은 자체 웹브라우저를 통해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POS 어플리케이션의 POS 웹페이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POS 웹페이지를 통해 발생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실시간 공유 또는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및 로컬 서버는,
    이들 간의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이상 상태가 제거된 후 저장된 주문 및 결제 데이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및 로컬 서버는 각각,
    이들 간의 데이터의 공유 또는 동기화를 전담하게 하기 위한 분배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크는 매장의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모바일기기에서 연결되는 매장 웹페이지의 주소는 태그의 설치 위치 또는 태그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매장 및 POS 웹페이지를 통해 생성되는 주문 데이터는 각 주문의 시각 또는 순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매장의 복수 테이블에 설치되며,
    매장 및 POS 웹페이지를 통해 생성된 주문이 테이블별로 합계되어 테이블당 주문 현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DB 서버;
    매장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 및
    로컬 서버와의 데이터 공유 또는 동기화를 전담하는 분배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DB 서버;
    POS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 및
    중앙 서버와의 데이터 공유 또는 동기화를 전담하는 분배 서버;를 구비하며,
    로컬 및 중앙의 각 분배 서버는 통신 이상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이상 상태가 제거된 후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장 웹페이지는,
    주문 시 적어도 모바일결제, 매장결제를 포함하는 결제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총 주문 중 일부에 대한 부분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매장 웹페이지는,
    주문되는 메뉴마다 결제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모바일기기가 NFC 태그에 의해 매장 웹페이지에 연결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매장 웹페이지를 통한 주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
KR1020160024585A 2016-02-29 2016-02-29 주문처리 시스템 KR20170101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85A KR20170101696A (ko) 2016-02-29 2016-02-29 주문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85A KR20170101696A (ko) 2016-02-29 2016-02-29 주문처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94A Division KR102086200B1 (ko) 2017-07-26 2017-07-26 주문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96A true KR20170101696A (ko) 2017-09-06

Family

ID=5992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85A KR20170101696A (ko) 2016-02-29 2016-02-29 주문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6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36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토브 음식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8763A (ko) * 2018-05-09 2019-11-19 정창훈 매체 인식을 통한 알림 방법
KR20200121698A (ko) * 2019-04-16 2020-10-26 윤왕근 무인 운영 시스템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36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토브 음식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8763A (ko) * 2018-05-09 2019-11-19 정창훈 매체 인식을 통한 알림 방법
KR20200121698A (ko) * 2019-04-16 2020-10-26 윤왕근 무인 운영 시스템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841A (ko) 주문처리 시스템
US10540702B2 (en) System for interactive marketing in reconfigurable vendor space
US20130297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on Between Online and Physical Value-Chain Endpoints
KR20170101696A (ko) 주문처리 시스템
JP20200041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2015007424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방법
KR20150095969A (ko) 오픈마켓의 통합관리 시스템
JP6277098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70123123A (ko) 음식 주문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200043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987936B2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及び電子レシート提供方法
KR20120076618A (ko)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0140A (ko) 스마트폰용 쿠폰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265461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JP2015179451A (ja) 在庫情報閲覧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24464A (ko) 편의점용 광고 디스플레이 패널
KR20140134155A (ko)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10970764B2 (en) System for interactive marketing in reconfigurable vendor space
JP6065140B1 (ja) ポイント交換管理システム
KR101928873B1 (ko) 온라인 투 오프라인 간편결제 기반의 기부금 모금 방법
KR101224407B1 (ko) 쿠폰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382A (ko) 판매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378240B1 (ko) 거래 보증 및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시공업체 통합 중개 시스템
KR20190046067A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