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565A -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565A
KR20170101565A KR1020160024267A KR20160024267A KR20170101565A KR 20170101565 A KR20170101565 A KR 20170101565A KR 1020160024267 A KR1020160024267 A KR 1020160024267A KR 20160024267 A KR20160024267 A KR 20160024267A KR 20170101565 A KR20170101565 A KR 20170101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ufacturer
creator
client
cr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재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565A/ko
Publication of KR2017010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5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클라우드 서버; 창작자 단말; 제조자 단말; 및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창작 샘플에 대해서, 평가, 투표, 또는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을 통해, 제조자가 각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조자로부터 창작자의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CLOUD-BASED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제조 시스템,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창작자의 각종 창작물을 합리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하는 사업 모델을 구현한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수히 많은 창작가(예를 들면, 발명가, 예술가, 공예인, 아마추어 작가 등)들은 그들의 창작물을 제조하여 판매를 하고 싶어도 제조 노하우 부족, 및 창업의 리스크(risk) 등으로 영원히 사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제조하려는 열정이 있는 제조자가 있는 경우에도 해당 아이디어를 상품화 했을 때의 수요자의 반응을 미리 알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제조 규모라든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제조자의 경우에도 선뜻 사업 투자를 진행하기 곤란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좋은 창작물을 가진 창작가라고 하더라도, 요행히 일부 창작자만이 제조자와 사적으로 계약하거나 투자하고 있었으나, 이는 매우 극소수였을 뿐만 아니라, 창작자의 적정 이익이 보장되지 못하거나 잘못된 투자에 따라 제조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 기술로서의 특허문헌 1은 3D 프린팅 컨텐츠를 구매하는 수요자와 3D 프린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공급자에 대해 회원 가입을 하는 회원 가입 모듈; 공급자로부터 3D 프린팅 컨텐츠를 제공받아 클라우드 DB 서버에 등록 처리하는 등록 모듈; 3D 프린팅 컨텐츠를 결제 처리하고 결제한 수요자에게 결제된 3D 프린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거래 모듈; 등의 구성을 갖는 3D 프린팅 컨텐츠 거래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스템의 구성은 통상적인 인터넷 거래와 동일하게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해서 변형 여부 등을 체크하여 승인받은 창작물에 대해서만 제조자와 매칭하는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전히 창작자의 각종 창작물을 합리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함에 있어서, 창작자와 제조자, 및 이를 실제적으로 구매하는 클라이언트의 모두를 만족하기에는 미흡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해서 적절한 평가를 통해서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해서는 적정한 이익을 보장하고, 잘못된 투자 등에 의한 제조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을 창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967호(2015년 11월 23일 공개, 발명의 명칭: 3D 프린팅 컨텐츠 거래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창작자에게는 적절한 이익을 보장하고, 제조자에게는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투자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 창작자 단말; 제조자 단말; 및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창작 샘플에 대해서, 평가, 투표, 또는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을 통해, 제조자가 각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조자로부터 창작자의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 엔진은 클라우드 서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자 단말은 클라우드 서버 내의 매칭 엔진과 통신하는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구매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선금 지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자 단말은,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제작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선금 지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에 따르면, 창작자에게는 적절한 이익을 보장하고, 제조자에게는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투자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자 단말, 제조자 단말, 및 클라이언트 단말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제조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을 상세하기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제 구현이나 해석의 편의 또는 여러 가지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통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며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또는 재정의하거나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을 감안하여 그 의미가 확정되어 파악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아울러, 이하의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 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 사상에 포함되고 청구 범위의 구성 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자 단말, 제조자 단말, 및 클라이언트 단말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창작자 단말(10), 제조자 단말(2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각각, 네트워크(15, 25, 및 35)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40)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네트워크(15, 25, 및 35)는 유무선망을 망라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창작자 단말(10), 제조자 단말(2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비교적인 좁은 지역에 모여 있을 수도 있지만, 타국 등과 같이 전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창작자 단말(10), 제조자 단말(2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개수에 대해서 적절하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도시한 각 단말의 개수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잘 알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클라이언트 서버(40)는, 대표적으로, 입출력부(42)와 매칭 엔진(44)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입출력부(42)는, 통상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비하는 입출력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프로젝터 등과 같이 다종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그 수량이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이 때의 입출력부(42)는 반드시 클라우드 서버(40) 내에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격(remote)으로 제어되는 입출력부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40)는 물리적인 서버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서버일 수도 있으며,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단일 서버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서버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제조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동 도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및 제조자 단말은, 공통적으로, 앱(App)을 갖는 메모리, 앱의 실행 등을 보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부, 총괄적인 동작을 보증하기 위한 CPU, 및 통상의 입출력부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메모리, 스토리지부, CPU, 및 입출력부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잘 알고 있는 구성들이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30) 및 및 제조자 단말(20)은 메모리에 앱(App)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앱은, 후술하는 도 3의 클라우드 서버(40) 내의 메모리에 있는 앱(App), 특히 이 앱 내의 매칭 엔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네트워크(15)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40) 내의 앱과 상호 통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 및 제조자 단말(20)과 클라우드 서버(40)가 네트워크(15)를 통해서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으나, 창작자 단말(10), 제조자 단말(30) 역시 적절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40)와 상호 통신할 수 있음은 잘 알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와 달리, 클라우드 서버(40, 도 1 참조)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앱(App) 내의 매칭 엔진 및 스토리지부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서의 매칭 데이터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매칭 엔진 및 매칭 데이터의 구성 역시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스토리지부, CPU, 데이터베이스, 및 입출력부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잘 알고 있는 구성들이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매칭 엔진은 메모리에 적재된 앱에 포함되어 있고, 매칭 데이터는 스토리지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매칭 엔진은 메모리가 아니라 CPU에, 또한 매칭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창작자 단말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업로드하는 단계(S10),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상기 창작 샘플에 대해서, (1) 평가, (2) 투표, 또는 (3)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S20), 제조자 단말을 통해, 제조자가 각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S30),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S40),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S50),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S60), 및 최종적으로, 제조자로부터 해당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창작자 단말(10), 제조자 단말(20), 클라이언트 단말(30), 및 클라우드 서버(40, 이상 도 1 참조)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먼저, 창작자 단말(10)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업로드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창작자는 자신의 창작물이 문서, 그림, 동영상, 포스터 등과 같이 전자화된 창작물의 경우 이 창작물을 그대로 업로드할 수도 있으나, 해당 창작물의 일부 샘플로서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창작물이 음원이나, 문서, 또는 동영상 등의 형태라면, 해당 창작물의 일부만을 공개할 수 있다.
이는, 클라우드 서버(40)를 폐쇄형(closed type)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픈형(open type)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불특정 다수로의 해당 아이디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자동차나 축구공과 같은 현실에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물품의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더욱 더 창작 샘플을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창작 샘플은 해당 제품의 제품, 컨셉을 담은 그림, 컨셉을 설명하는 설명서, 제품을 설명하는 동영상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10)을 통해서, 최소한의 예상 가격 등을 동시에 포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작자가 예상 제조 단가를 공개하면, 후술하는 제조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한 평가시 최소한의 기준, 즉 가이드라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상기 창작 샘플에 대해서, (1) 평가, (2) 투표, 또는 (3)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는 최종 사용자로서 궁극적으로 창작자의 창작품을 실질적으로 구매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창작자가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한 창작 샘플에 대해서, (1) 평가, (2) 투표, 또는 (3) 예약을 할 수 있다.
이때, 평가는,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된 창작 샘플에서, 예컨대, 0 - 10까지의 척도가 적용되는 평가치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백분율로 표시하는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투표는, 인기 투표와 같은 것으로, 페이스북(Facebook) 등에서의 좋아요(Like)와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약은, 이와 같은 평가나 투표없이도 해당 창작물을 제조만 이루어진다면 사실상 즉시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평가/투표/예약 등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서,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구매 의사를 더욱 확실하게 반영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30) 내의 선금 지불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선금 지불 수단은 창작물에 대해서 클라이언트가 확실하게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것으로, 주식 시장에서의 청약 증거금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창작물이 최종적으로 제작 또는 발표가 무산되는 경우, 각각의 클라이언트에게 이들 선금을 되돌려 줄 수도 있다.
다르게는, 이들 선금 중의 일부는 증거금으로서, 차기 선금 지불을 위한 예비금으로 일정 부분 공제되어 클라우드 서버(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제조자는 제조자 단말(20)을 통해,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조자 역시 해당 창작물에 대해서 제조 의사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서, 제조자 단말(20)을 통해서, 해당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할 수 있다.
이때, 제조자는 자신의 생산 능력, 납품 가능성, 행당 창작물의 품질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응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자측에서의 제조 불이행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자로부터의 제조 의사 역시, 평가/투표/예약과 같은 상술한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조자 역시 장착자의 창작물에 대한 확고한 제작 의사를 반영하기 위해서, 제조자 단말(20)에 소정의 선금 지불 수단(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당 창작물에 대한 소정의 마진(margin)을 사전에 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클라이언트 단말(30) 내의 선금 지불 수단, 또는 제조자 단말(20) 내의 선금 지불 수단은, 모두, 클라이언트 단말(30) 및 제조자 단말(20) 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40)에 통합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서버(미도시) 또는 서버 어레이(미도시)를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매칭 엔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30) 및 제조자 단말(20)을 통한, 평가/투표/예약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이에 더하여 상술한 선금의 금액 등을 추가적으로 감안하여,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연산하는 것에 의해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30)과 제조자 단말(20)은, 소정의 시간, 예컨대 30 영업일의 기간 내에, 해당 창작물에 대해서, 평가/투표/예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매칭 엔진은 메모리 내의 앱(App) 내에 매칭 엔진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그 이외의 장소, 예컨대, CPU나, 스토리지부 등에 존재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서 적재(loading)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술한 가중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평가에 대해서는 1의 가중치를, 투표에 대해서는 5의 가중치, 예약에 대해서는 10의 가중치, 선금에 대해서는 선금의 액수에 따라서 각 구간별로 20, 25, 30, ... 등과 같이 책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선금을 많이 걸면 걸수록 해당 창작물의 제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가중치 배분 방식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다르게 구현된 가중치 배분 방식에 따르면, 예약수가 많은 창작물의 제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해당 창작 샘플을 제조함에 있어서, 어떤 제조자가 가장 우월한 지가 클라이언트 단말(30)에 공개될 수 있다.
본 단계(S50)에서는, 제작 가능성이 가장 제조자 단말(20)과 해당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공개할 수 있다.
이때, 공개되는 데이터는 상술한 가중치가 반영된 결과이며, 바람직하게는, 테이블(table)의 형태, 파이(pie) 챠트의 형태 등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구매 결정을 내리는데 시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달리, 창작자가 제조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창작자는, 제조자의 제조 능력, 제조량, 납기, 예상되는 마진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제조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선택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제조자를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매칭 결과를 검토한 다음,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구매는, 바람직하게는, 클라우드 서버(40)가 제공하는 쇼핑 몰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판매 수익의 정산이 명료하게 되어, 창작자와 제조자 및 클라이언트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조자로부터 해당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통상의 배송 업체를 이용하는 배송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창작자의 창작품에 대해서 제 3 자 모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40)에는, 해당 창작자의 지적 재산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적 재산권 전문가가 참여하는 단말(미도시)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되는 모든 창작 샘플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저작권을 등록해 둘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40)를 통해서 창작자와 제조자가 중계되기 때문에, 창작자와 제조자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되며, 클라이언트 역시 적절한 가중치를 갖는 매칭 엔진에 의해서 정해지는 최적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결정되는 매칭 결과에 대해서 쉽게 수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수요자의 선호도 및 제조자의 제조 능력 등을 사전에 파악한 다음에 제조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업 비용의 최소화, 및 판매에 따른 제반 리스크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은, 창출된 수익은 적절한 분배 방식에 따라서 분배될 수 있으며, 창출된 수익의 일부를 활용하여, 창작자와 제조자 모두를 후원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 수익의 일부를 적립하여 두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창작자 단말
15 : 네트워크
20 : 제조자 단말
25 : 네트워크
30 : 클라이언트 단말
35 : 네트워크
40 : 클라우드 서버
42 : 입출력부
44 : 매칭 엔진
S10 : 창작자 단말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업로드하는 단계
S20 :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상기 창작 샘플에 대해서, (1) 평가, (2) 투표, 또는 (3)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
S30 : 제조자 단말을 통해, 제조자가 각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
S40 :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S50 :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
S60 :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S70 : 제조자로부터 해당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

Claims (5)

  1. 클라우드 서버;
    창작자 단말;
    제조자 단말; 및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창작자가 창작물의 창작 샘플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상기 창작 샘플에 대해서, 평가, 투표, 또는 예약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을 통해, 제조자가 각 창작 샘플에 대해서 응모하는 단계;
    매칭 엔진을 통해, 제조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제조자 단말과 창작 샘플의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공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해당 창작물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조자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창작물을 클라이언트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칭 엔진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의 상기 매칭 엔진과 통신하는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구매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선금 지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단말은, 상기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제작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선금 지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KR1020160024267A 2016-02-29 2016-02-29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KR20170101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7A KR20170101565A (ko) 2016-02-29 2016-02-29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7A KR20170101565A (ko) 2016-02-29 2016-02-29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565A true KR20170101565A (ko) 2017-09-06

Family

ID=5992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67A KR20170101565A (ko) 2016-02-29 2016-02-29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5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28B1 (ko) 2020-07-07 2020-10-26 (주)부품디비 공장없는 제조를 위한 개방형 제조 서비스 시스템
CN112561724A (zh) * 2020-11-20 2021-03-2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专业用户、制造商的网络化协同制造平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28B1 (ko) 2020-07-07 2020-10-26 (주)부품디비 공장없는 제조를 위한 개방형 제조 서비스 시스템
CN112561724A (zh) * 2020-11-20 2021-03-2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专业用户、制造商的网络化协同制造平台
WO2022105080A1 (zh) * 2020-11-20 2022-05-2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专业用户、制造商的网络化协同制造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563B2 (en) 3D printing: marketplace with federated access to printers
KR102271733B1 (ko)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20150220748A1 (en) 3d printing in marketplace environments
CN107209823A (zh) 3d打印中的数字权利管理
US20140019285A1 (en) Dynamic Listing Recommendation
US20170262914A1 (en) Online marketplace for wholesale deals
KR101587928B1 (ko) 3d 프린팅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US201800254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Up Sale Transactions for an Online Auction
CN111028036A (zh) 定制商品的在线发布方法及装置、终端、服务器及介质
KR101950908B1 (ko)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70101565A (ko) 클라우드 기반 제조 시스템
KR102270645B1 (ko) 제조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765180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176108B1 (ko)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8663A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컨텐츠 융합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270166A1 (en) Electronic auction platform with multi-lot, multi-buyer auctions
US1169423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odular framework of asynchronous and parallel processes
WO202102427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 to project design and space layout planning
KR102614886B1 (ko) 복수의 판매자를 포함하는 계층구조에 이용자를 초대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20170337516A1 (en) Distributed product development and funding system
US20160328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3d printing and on-demand industry development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32632B1 (ko)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