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140A - 스위칭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스위칭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140A
KR20170101140A KR1020170024310A KR20170024310A KR20170101140A KR 20170101140 A KR20170101140 A KR 20170101140A KR 1020170024310 A KR1020170024310 A KR 1020170024310A KR 20170024310 A KR20170024310 A KR 20170024310A KR 20170101140 A KR20170101140 A KR 2017010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input terminal
switching regulator
voltage
loa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945B1 (ko
Inventor
아키히로 가와노
가츠야 고토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2001/000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비교기를 통상 전류 동작과 저소비 전류 동작을 전환할 때의 노이즈 커플링을 억제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비교기의 입력 단자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통상 전류 동작과 저소비 전류 동작을 전환할 때에, 비교기의 입력 단자로부터 저항치가 큰 피드백 저항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
본 발명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부하 시에 있어서 소비 전류를 삭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저소비 전력이 요구된다. 특히, 스마트폰, 휴대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은 배터리 구동 때문에, 저소비 전력은 보다 한층 강하게 요구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압 공급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출력 단자로부터 부하에 공급하는 전류가 저전류로부터 대전류까지 폭넓게 변화해도,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요구가 있다.
도 3은 종래의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300)의 회로도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300)는 피드백 저항(7)과, 비교기(10)와, 기준 전압 회로(12)와, R-S 플립플롭(13)과, 온 시간 제어 회로(14)와, 출력 제어 회로(15)와, 드라이버 회로(16 및 17)와, 비교기(18)와, 파워 FET(2 및 4)와, 인덕터(3)와, 콘덴서(5)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출력 전압(VOUT)을 분압하는 피드백 저항(7)은 피드백 전압(VFB)을 출력한다. 기준 전압 회로(12)는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한다. 비교기(10)는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세트 신호를 출력한다. R-S 플립플롭(13)은 세트 단자(S)에 세트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Q)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온 시간 제어 회로(14)는 출력 단자(Q)의 하이레벨의 신호를 받으면, 소정 시간 후에 리셋 단자(R)에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R-S 플립플롭(13)은 리셋 단자(R)에 리셋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Q)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 회로(15)는 R-S 플립플롭(13)의 출력 단자(Q)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파워 FET(2 및 4)의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스위칭 레귤레이터(30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저소비 전력을 실현하고 있다.
중부하 모드에서는 파워 FET(2 및 4)가 스위칭 레귤레이터(300) 내에서 주로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스위칭 레귤레이터(300)는 파워 FET(2 및 4)의 온 저항치를 작게 함으로써, 저소비 전력 및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경부하 모드에서는 파워 FET(2 및 4)에서의 전력 소비가 작아지므로, 비교기(10) 등의 회로에 의한 전력 소비가 주된 전력 손실이 된다. 그 때문에, 비교기(10) 등의 전력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저소비 전력 및 고효율을 실현하는 유효한 수단이 된다.
예를 들면, 비교기(18)는 인덕터(3) 일단의 전압과 GND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관계가 역전되었을 때에, 비교기(1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10)는 비교기(18)의 검출 신호를 받아,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저소비 전류 동작으로 이행한다.
미국 특허 제8970199호 명세서
예를 들면, 비교기(10)는 통상 동작 시에는 수 μA 오더로부터 수십 μA 오더의 전류를 소비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부하 전류가 1μA 이하나 수 μA의 경부하 모드인 경우에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비 전류를 1μA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 피드백 저항(7)은 저항치를 수 MΩ~수백 MΩ로 하여, 소비 전류를 삭감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피드백 저항(7)의 저항치가 수 MΩ~수백 MΩ인 경우, 저소비 전류 동작을 위해 비교기(10)의 동작 전류를 작은 전류로 전환하면, 피드백 저항(7)이 접속된 비교기(10)의 입력 단자의 피드백 전압(VFB)이 노이즈 커플링에 의해 변동되기 쉬워진다. 또한 피드백 저항(7)의 저항치가 크기 때문에, 변동된 피드백 전압(VFB)이 정상적인 전압으로 되돌아오는데 긴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동작 마진이 저하하거나, 혹은 오동작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저항과,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회로와,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피드백 저항의 출력 단자가 접속되고, 제2 입력 단자에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출력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전압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파워 FET를 제어하여, 원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경부하 모드를 검출하는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와,
상기 피드백 저항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입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입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비교기가 동작 전류를 전환할 때에,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본 발명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의하면, 비교기의 입력 단자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통상 전류 동작과 저소비 전류 동작을 전환할 때에, 비교기의 입력 단자로부터 저항치가 큰 피드백 저항을 분리하도록 하였으므로, 노이즈 커플링을 억제하고,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100)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100)는 피드백 저항(7)과, 스위치(8 및 9)와, 비교기(10)와, 콘덴서(11)와, 기준 전압 회로(12)와, R-S 플립플롭(13)과, 온 시간 제어 회로(14)와, 출력 제어 회로(15)와, 드라이버 회로(16 및 17)와, 하이사이드 스위칭 소자인 파워 FET(2)와, 로우사이드 스위칭 소자인 파워 FET(4)와, 인덕터(3)와, 콘덴서(5)를 구비하고 있다.
피드백 저항(7)은 출력 단자(OUT)의 출력 전압(VOUT)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출력한다. 기준 전압 회로(12)는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한다. 비교기(10)는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R-S 플립플롭(13)은 세트 단자(S)에 세트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Q)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온 시간 제어 회로(14)는 출력 단자(Q)의 하이레벨의 신호를 받으면, 소정 시간 후에 리셋 단자(R)에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R-S 플립플롭(13)은 리셋 단자(R)에 리셋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Q)에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 회로(15)는 R-S 플립플롭(13)의 출력 단자(Q)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파워 FET(2 및 4)의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18)는 인덕터(3) 일단의 전압과 GND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전압 관계가 역전되었을 때에, 비교기(1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10)는 비교기(18)의 검출 신호를 받아,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저소비 전류 동작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위치(8 및 9)에 대해 설명한다.
스위치(8)는 피드백 저항(7)의 출력 단자와 비교기(10)의 반전 입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9)는 비교기(10)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100)가 중부하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스위치(8)는 온되고, 스위치(9)는 오프되어 있다. 이 스위치(8 및 9)의 상태에서는, 스위칭 레귤레이터(100)는 일반적인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비교기(10)는 통상의 동작 전류로 동작하고 있다.
여기에서 스위칭 레귤레이터(100)가 중부하 모드로부터 경부하 모드가 되면, 비교기(10)는 비교기(18)의 검출 신호를 받아,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저소비 전류 동작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비교기(10)에 통상의 동작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1 정전류원과, 제1 정전류원보다 비교기(10)에 흐르게 하는 전류가 적은 제2 정전류원을 전환한다.
비교기(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면, 우선 스위치(8)는 오프되고, 스위치(9)는 온된다. 따라서 비교기(10)는 반전 입력 단자와 피드백 저항(7)의 접속이 분리되고,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의 사이가 접속된다. 다음으로 비교기(10)는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저소비 전류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 후에 스위치(8)는 온되고, 스위치(9)는 오프되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통상의 회로 구성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비교기(10)의 목적 노드가 원하는 동작점에 도달한 후, 혹은 그 전압에 가깝게 한 후, 스위치(8 및 9)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타이머 회로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타이밍에서 상술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해도 된다.
또 스위칭 레귤레이터(100)가 경부하 모드로부터 중부하 모드가 될 때에도 동일하게, 스위치(8 및 9)의 접속을 전환한 후에 비교기(10)의 동작 전류를 전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기(10)는 통상 전류 동작과 저소비 전류 동작이 전환될 때에, 반전 입력 단자와 피드백 저항(7)의 접속이 분리되므로, 반전 입력 단자는 노이즈 커플링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비교기(10)는 스위치(9)에 의해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기준 전압(VREF)이 된다. 일반적으로는 기준 전압 회로(12)는 출력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노이즈 커플링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다. 가령 기준 전압 회로(12)의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경우라도, 콘덴서(11)를 추가함으로써, 임피던스를 낮게 유지할 수 있으며, 노이즈 커플링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100)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경부하 모드를 검출하여 동작 전류를 전환하는 비교기에 적응하면 되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삼각파 발생 회로(21)와, 오차 증폭기(22)와, 기준 전압 회로(23)와, 비교기(24)와, 쇼트키 다이오드(25)를 구비한 스위칭 레귤레이터(200)여도 된다.
10, 18, 24 : 비교기
12, 23: 기준 전압 회로
13 : R-S 플립플롭
14 : 온 시간 제어 회로
15 : 출력 제어 회로
21 : 삼각파 발생 회로
22 : 오차 증폭기

Claims (3)

  1.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저항과,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회로와,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피드백 저항의 출력 단자가 접속되고, 제2 입력 단자에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출력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전압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파워 FET를 제어하여, 원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경부하 모드를 검출하는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와,
    상기 피드백 저항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입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입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비교기가 동작 전류를 전환할 때에,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코일의 전압에 의해 상기 경부하 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부하 모드 검출 회로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 단자의 신호에 의해 상기 경부하 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KR1020170024310A 2016-02-26 2017-02-23 스위칭 레귤레이터 KR102575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5932 2016-02-26
JP2016035932A JP6594797B2 (ja) 2016-02-26 2016-02-26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40A true KR20170101140A (ko) 2017-09-05
KR102575945B1 KR102575945B1 (ko) 2023-09-07

Family

ID=5968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310A KR102575945B1 (ko) 2016-02-26 2017-02-23 스위칭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00157B2 (ko)
JP (1) JP6594797B2 (ko)
KR (1) KR102575945B1 (ko)
CN (1) CN107134923B (ko)
TW (1) TWI713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0007C2 (ru) 2016-05-16 2021-11-22 Интарсия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Полипептиды, селективные к рецепторам глюкагон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10320292B2 (en) * 2016-12-27 2019-06-11 Rohm Co., Ltd. Phase compensation circuit and DC/DC converter using the same
US10790746B2 (en) * 2017-08-04 2020-09-29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Power dissipation regulated buck architecture
US10673385B2 (en) * 2017-11-08 2020-06-02 Mediatek Inc. Supply modulator, modulated power supply circuit,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DE112017008189B4 (de) * 2017-12-13 202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örungserfassungsschaltung
TWI678063B (zh) * 2018-12-03 2019-11-21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恆定開啟期間控制器與使用其的降壓轉換器
CN111431392B (zh) * 2019-01-10 2021-08-03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恒定开启期间控制器与使用其的降压转换器
CN111865082B (zh) * 2020-08-06 2021-12-07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低静态电流开关变换器及其控制电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874A (ko) * 2005-07-11 2008-05-0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강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제어 회로 및 그를 이용한전자 기기
KR20090028498A (ko) * 2007-03-15 2009-03-1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8638A (ko) * 2007-07-27 2009-05-1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20090140708A1 (en) * 2004-12-03 2009-06-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C to DC converter with Pseudo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US8970199B2 (en) 2009-06-08 2015-03-0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C-DC conversion with variable bias curr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248A (ja) * 1998-03-09 1999-09-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Dc/dcコンバ−タ
JP3773718B2 (ja) * 1999-09-20 2006-05-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JP4167883B2 (ja) * 2002-11-01 2008-10-22 株式会社東芝 電源降圧回路
US7088015B2 (en) * 2003-01-17 2006-08-08 Intersil Americas Inc. Smooth voltage regulation transition circuit having fast recovery
US6768655B1 (en) * 2003-02-03 2004-07-27 System General Corp. Discontinuous mode PFC controller having a power saving modula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4237696B2 (ja) * 2004-11-17 2009-03-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ギュレータ回路
JP4980588B2 (ja) * 2005-06-21 2012-07-18 ローム株式会社 降圧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その制御回路、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8217636B2 (en) * 2008-08-27 2012-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output voltage transients in a voltage mode buck converter
JP5287191B2 (ja) * 2008-12-03 2013-09-11 株式会社リコー ヒステリシス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DE102009012767B4 (de) * 2009-03-12 2013-05-2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Geschaltete Spannungsversorgung mit Stromabtastung
JP5962115B2 (ja) * 2012-03-26 2016-08-03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回路
JP2015005054A (ja) * 2013-06-19 2015-01-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9787185B2 (en) * 2014-09-17 2017-10-10 Stmicroelectronics S.R.L. Boost converter and related integrated circu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708A1 (en) * 2004-12-03 2009-06-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C to DC converter with Pseudo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KR20080039874A (ko) * 2005-07-11 2008-05-0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강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제어 회로 및 그를 이용한전자 기기
KR20090028498A (ko) * 2007-03-15 2009-03-1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8638A (ko) * 2007-07-27 2009-05-1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8970199B2 (en) 2009-06-08 2015-03-0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C-DC conversion with variable bias 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0904A (zh) 2018-03-16
JP6594797B2 (ja) 2019-10-23
US20170250606A1 (en) 2017-08-31
US9800157B2 (en) 2017-10-24
CN107134923A (zh) 2017-09-05
JP2017153323A (ja) 2017-08-31
KR102575945B1 (ko) 2023-09-07
TWI713292B (zh) 2020-12-11
CN107134923B (zh)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945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US8334681B2 (en) Domino voltage regulator (DVR)
US9362833B2 (en)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with improved load regulation
US20150028830A1 (en) Current-mode buck converter and electronic system using the same
US10877502B2 (en) Input dependent voltage regulator with a charge pump
KR20060126780A (ko) 전류 방향 검출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스위칭 레귤레이터
US20120268090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230198402A1 (en) Dynamic biasing circuit for main comparator to improve load-transient and line-transient performance of buck converter in 100% mode
US20230016715A1 (en) Voltage Adjustment Apparatus, Chip, Power Sour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73165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20080111528A1 (en) Driving device and switching circuit thereof
US20160103464A1 (en) Powering of a Charge with a Floating Node
US9800149B2 (en) Switching regulator
US940165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8933678B2 (en) Buck volatge converting apparatus
CN210053391U (zh) 一种恒定栅源电压模拟开关电路
CN112787505A (zh) 一种dc-dc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US1000892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02575944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KR20190008149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US10250118B1 (en) PWM mode boost switching regulator with programmable pulse skip mode
US9099923B1 (en) Hybrid power supply architecture
KR20190049347A (ko) 동기 정류형 포워드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