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824A -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 Google Patents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824A
KR20170100824A KR1020160023174A KR20160023174A KR20170100824A KR 20170100824 A KR20170100824 A KR 20170100824A KR 1020160023174 A KR1020160023174 A KR 1020160023174A KR 20160023174 A KR20160023174 A KR 20160023174A KR 20170100824 A KR20170100824 A KR 2017010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ame
electric
unicyc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김현동
정상오
장한수
박민규
박지영
박영현
신국호
홍종기
조근지
안재용
김하나
조진교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824A/ko
Publication of KR2017010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00Un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4Vehicles with one wheel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발 전동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발 전동 휠에 킥보드 파트를 체결함으로써 전동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 키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은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가 설치되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한 개의 구동바퀴(140)를 구동시키는 외발 전동휠(100)에 있어서, 후방에 후륜(230)이 체결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발판(220);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프레임과 볼 조인트(210b)로 체결되는 조종부(210); 상기 조종부(210)를 외발 전동휠(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종부(210)를 전방으로 밀면 외발 전동휠(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Electric wheel with electric kick board}
본 발명은 외발 전동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발 전동 휠에 킥보드 파트를 체결함으로써 전동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 키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에 관한 것이다.
외발 전동휠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로 주행하는 이동수단으로서, 별도의 가속장치, 감속장치, 방향조정장치 없이 탑승자의 중심을 자이로센서(Gyro sensor)가 감지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외발 전동휠은 레저산업의 발달과 함께 근래에 들어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고, 사용자가 점차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외발 전동휠은 바퀴가 한 개로 구성됨으로써 초보자의 경우 중심을 잡는데만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수십 일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가 주행 중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주행 중 울퉁불퉁한 도로에 의해 자이로센서의 순간적인 이상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넘어져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32487호, "센서 융합을 이용한 자세 안정화 전동 외발 스쿠터"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779호, "속도에 따라 차륜간 거리가 자동 조절되는 병렬형 이륜 구조의 자세제어 기반 전동 이동장치"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755호,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발 전동휠 초보자인 경우 전동휠에 킥보드파트를 체결하여 전동 킥보드 형태로 사용면서, 사용자가 전동휠에 대한 균형 감각과 사용방법을 익히면서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전동휠을 사용한 후, 외발 전동휠에 대해 숙련이 되면 킥보드파트를 분리하여 외발 전동휠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은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가 설치되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한 개의 구동바퀴(140)를 구동시키는 외발 전동휠(100)에 있어서, 후방에 후륜(230)이 체결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발판(220);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프레임과 볼 조인트(210b)로 체결되는 조종부(210); 상기 조종부(210)를 외발 전동휠(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종부(210)를 전방으로 밀면 외발 전동휠(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종부(210)는 수평 방향의 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210a);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핸들(210a) 하부에 체결되는 포크(21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종부(210)는 킥보드 파트(200)의 프레임에 대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외발 전동휠(100) 양 측에 고정볼트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포크(210c) 하부에는 구멍 형태로 고정볼트 연결부(210d)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볼트(310)가 상기 포크(210c)의 고정볼트 연결부(210d)를 관통하여 외발 전동휠(100)의 고저볼트 지지부(320)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발 전동휠 초보자인 경우 외발 전동휠에 후륜이 구비된 킥보드파트를 체결하여 전동 킥보드 형태로 사용하면서 외발 전동휠에 대한 감각을 익히면서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전동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발 전동휠 조종에 대해 숙련되면 킥보드 파트를 분리하여 외발 전동휠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킥보드 파트 탈,부착이 빠르고 간편하므로 사용장소나 사용자에 따라 전동 킥보드 또는 외발 전동휠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외발 전동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외발 전동휠에 킥보드 파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외발 전동휠과 킥보드 파트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외발 전동휠(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140)와, 상기 구동바퀴(130)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120)와, 구동바퀴(130)의 양측에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130)과, 상부에는 내부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113), 전원스위치(111),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창(112) 및 이동용 핸들(1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발 전동휠(100)은 사용자가 구동바퀴(140) 양 측에 형성된 발판(130)에 발을 올려놓는 상태로 탑승하고, 몸의 중심을 앞으로 기울이면 외발 전동휠(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외발 전동휠(100) 내부에 설치된 자이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바퀴(140)를 회전시켜 주행하게 된다.
그런데 초보자인 경우 바퀴가 한 개인 외발 전동휠(100)에 탑승하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탑승 한 상태에서 몸의 중심을 이동시켜 외발 전동휠(100)의 가속, 감속, 방향전환이 매우 힘들고 어려워 자주 넘어질 뿐만 아니라 충돌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킥보드 형태의 킥보드 파트(200)를 외발 전동휠(100)에 체결함으로써, 킥보드 파트(200)가 보조발판 역할을 하여 초보자가 외발 전동휠을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
상기 킥보드 파트(200)는 도 2과 같이 수평의 프레임의 후방에 후륜(230)이 체결되고, 프레임의 전방에는 조종부(210)가 프레임과 볼조인트(210b)로 체결된다.
상기 조종부(210)는 프레임과 볼조인트(210b)로 체결됨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조종부(210)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조종부(210)는 상부에 바 형태의 핸들(210a)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210a)의 하부에는 '∩'형태의 포크(210c)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210c)는 외발 전동휠(100)의 양측에 체결수단(300)으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300)은 포크(210c)에 구멍 형태의 고정볼트 연결부(210d)가 형성되고, 외발 전동휠(100) 양 측에 고정볼트 지지부(320)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볼트(310)가 포크(210c)의 고정볼트 연결부(210d)와 외발 전동휠(100)의 고정볼트 지지부(320)에 체결되어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초보자인 사용자가 킥보드 파트(200)의 발판(220)에 양 발을 올려 놓고 탑승하고, 양 손으로 조종부(210)의 핸들(210a)을 파지한다.
사용자가 핸들(210a)을 전방으로 밀면 조종부(210)의 포크(210c)에 체결된 외발 전동휠(100)이 고정볼트 지지부(320)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외발 전동휠(100)에 설치된 자이로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바퀴(140)를 정방향(전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방으로 민 핸들(210a)을 처음 상태로 세우면 외발 전동휠(100)의 자이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바퀴(140)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감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행 중 사용자가 핸들(210a)를 돌려 회전시키면 외발 전동휠(100)의 구동바퀴(140)가 회전함으로써 핸들(210a)을 회전시킨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발 전동휠(100)에 킥보드 파트(200)를 체결함으로써 킥보드 파트(200)의 후륜(230)이 보조바퀴 역할을 하여 초보자라도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탈 수 있다.
또한, 외발 전동휠(100)에 킥보드 파트(200)를 체결함으로써 외발 전동휠(100)이 전동 킥보드 형태로 바뀌므로 사용자는 킥보드 파트(200) 탈,부착을 통해 외발 전동휠 또는 전동 킥보드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외발 전동휠
110 : 이동용 핸들
111 : 전원스위치
112 : 배터리 잔량표시창
113 : 충전포트
120 : 커버
130 : 발판
140 : 구동바퀴
200 : 킥보드 파트
210 : 조종부
210a : 핸들
210b : 볼조인트
210c : 포크
210d : 고정볼트 연결부
220 : 발판
230 : 후륜
300 : 체결수단
310 : 고정볼트
320 : 고정볼트 지지부

Claims (4)

  1.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가 설치되어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한 개의 구동바퀴(140)를 구동시키는 외발 전동휠(100)에 있어서,
    후방에 후륜(230)이 체결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발판(220);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프레임과 볼 조인트(210b)로 체결되는 조종부(210);
    상기 조종부(210)를 외발 전동휠(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종부(210)를 전방으로 밀면 외발 전동휠(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210)는,
    수평 방향의 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210a);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핸들(210a) 하부에 체결되는 포크(21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210)는 킥보드 파트(200)의 프레임에 대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외발 전동휠(100) 양 측에 고정볼트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포크(210c) 하부에는 구멍 형태로 고정볼트 연결부(210d)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볼트(310)가 상기 포크(210c)의 고정볼트 연결부(210d)를 관통하여 외발 전동휠(100)의 고저볼트 지지부(320)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KR1020160023174A 2016-02-26 2016-02-26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KR20170100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74A KR20170100824A (ko) 2016-02-26 2016-02-26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74A KR20170100824A (ko) 2016-02-26 2016-02-26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24A true KR20170100824A (ko) 2017-09-05

Family

ID=5992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174A KR20170100824A (ko) 2016-02-26 2016-02-26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8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89A (ko) 2017-10-11 2019-04-19 이태홍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동휠의 철로 주행장치
GB2569806A (en) * 2017-12-22 2019-07-03 Artemev Timur Support framework for a self-balancing transportation device
CN112407112A (zh) * 2020-11-23 2021-02-26 江西欧亚非车业有限公司 一种平衡车用教学辅助支撑装置
CN113200116A (zh) * 2020-01-31 2021-08-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移动体及电动车辆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89A (ko) 2017-10-11 2019-04-19 이태홍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동휠의 철로 주행장치
GB2569806A (en) * 2017-12-22 2019-07-03 Artemev Timur Support framework for a self-balancing transportation device
CN113200116A (zh) * 2020-01-31 2021-08-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移动体及电动车辆
CN113200116B (zh) * 2020-01-31 2022-10-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移动体及二轮的电动车辆
CN112407112A (zh) * 2020-11-23 2021-02-26 江西欧亚非车业有限公司 一种平衡车用教学辅助支撑装置
CN112407112B (zh) * 2020-11-23 2022-02-15 江西欧亚非车业有限公司 一种平衡车用教学辅助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755B1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EP2409905B1 (en) Powered unicycle
US8640807B2 (en) Vehicle
US7192040B2 (en) Drive mechanism for vehicle
KR20170100824A (ko) 전동 킥보드 겸용 외발 전동 휠
WO2011033575A1 (ja) 倒立振子型移動体
WO2017081523A1 (en) Self-balancing single wheel board with anti-fall and brake safety systems
US8381859B2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JP2005094898A (ja) 平行2輪乗用台車
CN104802910B (zh) 自平衡车辆及其安全控制方法
KR20140134095A (ko) 자가균형 이륜 이동차
EP3592636B1 (en) Auto-balancing vehicle with independent wheel control
WO2019244893A1 (ja) 飛行体及びその制御方法
JP5263058B2 (ja) 搭乗姿勢保持機構及び同軸二輪車
JP2018012492A (ja) 電動式ボード
JP7421193B2 (ja) マニュアル制御を伴う電動一輪車
KR101335373B1 (ko) 전동보행기
KR102484843B1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101935858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JP2011042181A (ja) 車両
KR101602197B1 (ko) 허벅지 조향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
KR101994985B1 (ko) 킥보드
JP2011042199A (ja) 車両
WO2017095165A1 (ko) 동력전달 기어가 구비된 외륜휠
US11643162B2 (en)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