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49A - 노트북 컴퓨터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49A
KR20170100749A KR1020160022970A KR20160022970A KR20170100749A KR 20170100749 A KR20170100749 A KR 20170100749A KR 1020160022970 A KR1020160022970 A KR 1020160022970A KR 20160022970 A KR20160022970 A KR 20160022970A KR 20170100749 A KR20170100749 A KR 20170100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ground
circuit board
dielectric layer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553B1 (ko
Inventor
김익수
김병열
김상필
조병훈
이다연
구황섭
김현제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6002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53B1/ko
Priority to US16/077,067 priority patent/US10365687B2/en
Priority to PCT/KR2016/007256 priority patent/WO2017146315A1/ko
Priority to CN201680076649.9A priority patent/CN108431721B/zh
Priority to JP2018544864A priority patent/JP6652654B2/ja
Priority to EP16891719.3A priority patent/EP3422139B1/en
Priority to TW106202638U priority patent/TWM542913U/zh
Publication of KR2017010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노트북 컴퓨터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일단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그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단과 그 일단이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테블릿 피씨, 노트북 등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중 일반적인 노트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하는바, 본체부(1)는 키보드(1a), 터치패널(1b) 및 메인보드(미도시)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2)는 액정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2a)와 이러한 디스플레이(2a) 주변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2b)을 포함하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2)는 힌지 결합된다.
한편, 최근 노트북 디자인 개선을 위해 베젤(2b) 면적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2a)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베젤(2b)에는 와이파이(WIFI), 엘티이(LTE) 등의 RF 신호를 안테나에서 메인보드로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3)이 위치하고 있는바, 동축 케이블(3) 및 이러한 동축 케이블(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4) 등으로 인해 베젤(2b)의 면적을 축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 노트북 등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2)에 동축 케이블(3)이 아닌 연성회로기판을 설치한다면, 베젤(2b)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디스플레이(2a)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노트북 등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최적화된 연성회로기판을 도출하게 되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2-253342A(2012.12.20)
본 발명은 본체부에는 동축 케이블을 적용하고, 디스플레이부 배면에는 연성회로기판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면적 확대 및 얇은 두께를 실현하고,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신호라인이 나란히 평면 배열되어 얇은 두께를 실현하면서도, 신호 간섭 및 신호 손실을 최소화한 연성회로기판이 적용된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일단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그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단과 그 일단이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단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 베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타단과 안테나가 연결되는 상부 베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축 케이블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커넥터, 땜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끝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끝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배면에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도 한 쌍의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안테나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안테나는 무선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안테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제1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제1기판부와, 상기 제1신호라인과 평행하는 제2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제2기판부가 차폐부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첫째, 베젤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넓은 노트북 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연성회로기판과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노트북 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연성회로기판의 길이가 최소화되므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안테나가 디스플레이부 상부 양측 끝단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디스플레이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제1신호라인와 제2신호라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트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확장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다른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확장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비아홀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홀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그라운드홀을 형성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는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메인보드(M)와, 메인보드(M)에 일단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11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200)는 연성회로기판(210)을 포함하는바, 연성회로기판(210)은 디스플레이부(200) 배면에 설치되며, 그 일단은 동축 케이블(110) 타단과 결합된다.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200)는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220), 하부 베젤(240), 상부 베젤(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젤(240)은 디스플레이(220) 하부에 위치하고, 이러한 하부 베젤(240)에서 동축 케이블(110) 및 연성회로기판(210)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부 베젤(230)은 디스플레이(220)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상부 베젤(230)에서 연성회로기판(210)의 타단과 안테나(212,214)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는 동축 케이블(110)이 아닌 연성회로기판(210)이 디스플레이부(200) 배면에 배치되는바, 디스플레이부(200) 측면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220)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연성회로기판(210)은 동축 케이블(110)과 달리 고정물이 불필요하여 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바, 디스플레이(220) 배면에 설치 가능하므로 더 넓은 디스플레이(220) 구현은 물론, 더 얇은 두께의 노트북 컴퓨터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메인보드(M)와 안테나(212, 214)의 연결은 동축케이블(110) 또는 연성회로기판(210) 중 하나를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210) 및 동축 케이블(110)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힌지 등 협소한 공간에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연성회로기판(21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신호 손실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100)에 위치하는 동축 케이블(110)과 디스플레이(220) 배면에 위치하는 연성회로기판(210)은 커넥터(C) 또는 땜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연성회로기판(2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양 끝단에는 제1안테나(212) 및 제2안테나(21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210)은 디스플레이부(200) 배면에 한 쌍이 설치되되, 제1안테나(212) 및 제2안테나(214)도 한 쌍의 마련되며, 한 쌍의 제1안테나(212)는 WIFI 등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한 쌍의 제2안테나(214)는 3G, 4G 등 무선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제1안테나(212)는 상부 베젤(230)의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제2안테나(214)는 각각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술한 한 쌍의 제1안테나(212)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제1안테나(212) 및 제2안테나(214)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 안정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안테나(212)와 제2안테나(214)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210)의 양 끝단의 길이 중 제1안테나(212)가 연결되는 끝단의 길이가 제2안테나(214)와 연결되는 끝단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의 연성회로기판은 그 끝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안테나(212) 및 제2안테나(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성회로기판(210) 끝단에 제1안테나(212) 및 제2안테나(214)가 일체화된 것으로, 이로 인해 상술한 상부 베젤(230)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220)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제1안테나(212)와 제2안테나(214)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210)을 "Γ"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안테나(214)가 연장 형성되는 위치를 제1안테나(212)가 연장 형성되는 위치보다 연성회로기판(210)의 수직 방향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연성회로기판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성회로기판은 노트북 컴퓨터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은 제1기판부(10)와, 제2기판부(20)와, 차폐부(30)를 포함한다.
제1기판부(10) 및 제2기판부(20)는 차폐부(30)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바, 제1기판부(10)에 형성된 제1신호라인(T1)과, 제2기판부(20)에 형성된 제2신호라인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기판부(10)와 제2기판부(20)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은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이 차폐부(3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므로 상호 신호 간섭에 의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은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2유전체 레이어(E2),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1중심 그라운드(C1), 제2중심 그라운드(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전체 레이어(E1) 및 제2유전체 레이어(E2)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에는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되고, 제2유전체 레이어(E2) 평면에는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된다.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과 제2유전체 레이어(E2) 평면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의 저면과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의 평면 역시 서로 마주보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중심 그라운드(C1)는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에 적층되되,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 사이에 위치하고, 제2중심 그라운드(C2)는 제2유전체 레이어(E2) 평면에 적층되되,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신호라인(T1)이 형성된 제1기판부(10)와 제2신호라인(T2)이 형성된 제2기판부(20)는 차폐부(30)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바,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가 위치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일측 영역을 제1기판부(10), 타측 영역을 제2기판부(20)라 정의할 수 있으며, 차폐부(30)는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는 차폐부(30) 영역은 물론, 제1기판부(10) 및 제2기판부(20) 영역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은 상술한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바,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제1신호라인(T1)이 제2유전체 레이어(E2) 평면에 형성되고, 제2신호라인(T2)이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의 배치 구조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제1유전체 레이어(E1)의 저면 및 제2유전체 레이어(E2) 평면,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제1측면 그라운드(S1) 및 제2측면 그라운드(S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제1신호라인(T1)과 제1유전체 레이어(E1)가 서로 마주보는 면, 제2신호라인(T2)과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서로 마주보는 면은 결합부(P)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진다.
결합부(P)는 고온의 프레스 결합 시 변형된 유전체 레이어이거나, 본딩시트 등 다양한 접착 매개물일 수 있는바, 이러한 결합부(P)의 구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결합부(P)의 설치 영역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결합부(P)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결합부(P)의 설치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부(P)는 제1신호라인(T1)과 제2신호라인(T2)이 공기층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제1측면 그라운드(S1) 및 제2측면 그라운드(S2)가 마주보는 영역,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가 마주보는 영역만 결합부(P)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다.
제1유전체 레이어(E1) 및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이 유전율이 낮은 공기층에 노출되는바, 커패시턴스가 낮아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은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2층 유전체 레이어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같이 3층 유전체 레이어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연성회로기판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 역시 제1기판부(10) 및 제2기판부(20)가 차폐부(30)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3실시예는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3유전체 레이어(E3),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를 포함한다.
제1유전체 레이어(E1)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위치하고,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3유전체 레이어(E3)가 위치하며,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2유전체 레이어(E2) 및 제3유전체 레이어(E3)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유전체 레이어(E1) 평면에는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되고,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에는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된다.
제1측면 그라운드(S1) 및 제2측면 그라운드(S2)는 동일한 형상,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사용 가능하다.
제1중심 그라운드(C1)는 상술한 한 쌍의 제1측면 그라운드(S1) 사이에 위치하되, 제1유전체 레이어(E1) 평면에 적층되고, 제2중심 그라운드(C2)는 상술한 한 쌍의 제2측면 그라운드(S2) 사이에 위치하되, 제1유전체 레이어(E1) 저면에 적층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가 위치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일측 영역을 제1기판부(10), 타측 영역을 제2기판부(20)라 정의할 수 있으며, 차폐부(30)는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는 차폐부(30) 영역은 물론, 제1기판부(10) 및 제2기판부(20) 영역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신호라인(T1)은 제1유전체 레이어(E1) 일측에 위치하는 제2측면 그라운드(S2)와 제2중심 그라운드(C2) 사이에 위치하고, 제2신호라인(T2)은 제1유전체 레이어(E1) 타측에 위치하는 제1측면 그라운드(S1)와 제1중심 그라운드(C1)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은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3층 유전체 레이어 구조를 갖는 경우, 연성회로기판의 상, 하에 위치하는 타 부품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전체 레이어(E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마주보는 면, 제1중심 그라운드(C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마주보는 면, 제1측면 그라운드(S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마주보는 면, 제2신호라인(T2)과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마주보는 면은 각각 제1결합부(P1)를 매개로 결합되고, 제1유전체 레이어(E1) 및 제3유전체 레이어(E3)가 마주보는 면, 제2중심 그라운드(C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가 마주보는 면, 제2측면 그라운드(S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가 마주보는 면, 제1신호라인(T1)과 제2유전체 레이어(E2)가 마주보는 면은 각각 제2결합부(P2)를 매개로 결합된다.
제1결합부(P1) 및 제2결합부(P2)는 고온의 프레스로 결합 시 변형된 유전체 레이어이거나, 본딩시트 등 다양한 접착 매개물일 수 있는바, 이러한 제1결합부(P1) 및 제2결합부(P2)의 구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4실시예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제1결합부(P1) 및 제2결합부(P2)의 설치 영역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결합부(P1) 및 제2결합부(P2)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3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와 상이한 제1결합부(P1) 및 제2결합부(P2)의 설치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차폐부(30)를 중심으로 제1기판부(10)는 차폐부(3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기판부(20)는 차폐부(30)의 타측에 위치하는바, 차폐부(30) 영역의 제1중심 그라운드(C1)와 제2기판부(20) 영역의 제1측면 그라운드(S1) 사이에는 제2신호라인(T2)이 위치하고, 제1기판부(10) 영역의 제2측면 그라운드(S2)와 차폐부(30) 영역의 제2중심 그라운드(C2) 사이에는 제1신호라인(T1)이 위치한다.
제1결합부(P1)는 제1유전체 레이어(E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2유전체 레이어(E1,E2)를 결합시키고, 제2결합부(P2)는 제1유전체 레이어(E1)와 제3유전체 레이어(E3) 사이에 위치하여 제1, 3유전체 레이어(E1,E3)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1신호라인(T1)이 공기층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2결합부(P2)는 제1기판부(10)의 제1신호라인(T1)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제거되고, 제1결합부(P1)는 제2신호라인(T2)이 공기층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2기판부(20)의 제2신호라인(T2)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제거된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기판부(10) 영역에서 제1측면 그라운드(S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1유전체 레이어(E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1중심 그라운드(C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는 제1결합부(P1)를 매개로 결합되고, 차폐부(30) 영역에서 제1중심 그라운드(C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 역시 제1결합부(P1)를 매개로 결합되며, 제2기판부(20) 영역에서는 제1중심 그라운드(C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1측면 그라운드(S1)와 제2유전체 레이어(E2)만 제1결합부(P1)를 매개로 결합되어 제2신호라인(T2)이 공기층에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제2기판부(20) 영역에서 제2측면 그라운드(S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 제1유전체 레이어(E1)와 제3유전체 레이어(E3), 제2중심 그라운드(C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는 제2결합부(P2)를 매개로 결합되고, 차폐부(30) 영역에서 제2중심 그라운드(C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 역시 제2결합부(P2)를 매개로 결합되며, 제1기판부(10) 영역에서는 제2중심 그라운드(C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 제2측면 그라운드(S2)와 제3유전체 레이어(E3)만 제2결합부(P2)를 매개로 결합되어 제1신호라인(T1)이 공기층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이 유전율이 낮은 공기층에 노출되는바, 커패시턴스가 낮아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비아홀(V1,V2,V3,V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유전체 레이어 구조의 연성회로기판에서는 제1유전체 레이어(E1) 평면에 제1그라운드 레이어(G1)가 적층되고, 제2유전체 레이어(E2) 저면에 제2그라운드 레이어(G2)가 적층되는바, 차폐부(30)를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기판부(10) 영역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비아홀(V1)이 관통 형성되고, 차폐부(30)를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제2기판부(20) 영역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제2비아홀(V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차폐부(30)에는 차폐부(3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이 형성된다.
제1비아홀(V1) 및 제2비아홀(V2)은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1측면 그라운드(S1), 결합부(P),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관통함으로써, 제1측면 그라운드(S1),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및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도통시킨다.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은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1중심 그라운드(C1), 결합부(P), 제2중심 그라운드(C2),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관통함으로써, 제1중심 그라운드(C1), 제2중심 그라운드(C2),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및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도통시킨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 유전체 레이어 구조의 연성회로기판에도 제1비아홀(V1), 제2비아홀(V2),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이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비아홀(V1)은 제1기판부(10) 영역, 제2비아홀(V2)은 제2기판부(20) 영역,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은 차폐부(3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비아홀(V1) 및 제2비아홀(V2)은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1결합부(P1), 제1측면 그라운드(S1),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2결합부(P2), 제3유전체 레이어(E3),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관통함으로써, 제1측면 그라운드(S1), 제2측면 그라운드(S2),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및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도통시킨다.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은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제2유전체 레이어(E2), 제1결합부(P1), 제1중심 그라운드(C1), 제1유전체 레이어(E1), 제2중심 그라운드(C2), 제2결합부(P2), 제3유전체 레이어(E3),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관통함으로써, 제1중심 그라운드(C1), 제2중심 그라운드(C2),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및 제2그라운드 레이어(G2)를 도통시킨다.
한편,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비아홀(V1), 제2비아홀(V2), 제3비아홀(V3) 및 제4비아홀(V4)은 연성회로기판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비아홀(V1) 및 제3비아홀(V3)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제1라인(L1) 상에 위치하고, 제2비아홀(V2) 및 제4비아홀(V4)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제2라인(L2) 상에 위치하되, 제1라인(L1) 및 제2라인(L2)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비아홀(V1,V2,V3,V4)을 형성하는 경우, 제1중심 그라운드(C1) 및 제2중심 그라운드(C2)의 차폐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바, 복수 개의 비아홀(V1,V2,V3,V4)을 교차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폐부(30)에 위치하는 제3비아홀(V3)과 제4비아홀(V4)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서 차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과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또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G2)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라인(T1) 또는 제2신호라인(T2)과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또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G2)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을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 또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G2)에는 원형의 그라운드 홀(H)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로 인해 제1신호라인(T1) 및 제2신호라인(T2)의 면적을 증가할 수 있게 되므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그라운드 홀(H) 형성한 도면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그라운드 홀(H)을 형성하는 경우, 제1기판부(10) 영역에서 제1신호라인(T1)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G2)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고, 제1신호라인(T1)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에는 원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며, 제2기판부(20) 영역에서 제2신호라인(T2)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고, 제2신호라인(T2)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E2)에는 원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된다.
도 13의 (c) 및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성회로기판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그라운드 홀(H)을 형성하는 경우, 제1기판부(10) 영역에서 제1신호라인(T1)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G2)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고, 제1신호라인(T1)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에는 원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며, 제2기판부(20) 영역에서 제2신호라인(T2)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1그라운드 레이어(G1)에는 사각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되고, 제2신호라인(T2)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2그라운드 레이어(E2)에는 원 형상의 그라운드 홀(H)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동축 케이블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연성회로기판
212 : 제1안테나 214 : 제2안테나
220 : 디스플레이 230 : 상부 베젤
240 : 하부 베젤 10 : 제1기판부
20 : 제2기판부 30 : 차폐부
E1 : 제1유전체 레이어 E2 : 제2유전체 레이어
E3 : 제3유전체 레이어 G1 : 제1그라운드 레이어
G2 : 제2그라운드 레이어 S1 : 제1측면 그라운드
S2 : 제2측면 그라운드 C1 : 제1중심 그라운드
C2 : 제2중심 그라운드 T1 : 제1신호라인
T2 : 제2신호라인 P : 결합부
P1 : 제1결합부 P2 : 제2결합부
V1 : 제1비아홀 V2 : 제2비아홀
V3 : 제3비아홀 V4 : 제4비아홀
L1 : 제1라인 L2 : 제2라인
H : 그라운드 홀 C :커넥터
M : 메인보드

Claims (7)

  1.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일단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그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단과 그 일단이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타단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 베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타단과 안테나가 연결되는 상부 베젤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커넥터, 땜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끝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끝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배면에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도 한 쌍의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안테나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안테나는 무선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안테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제1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제1기판부와, 상기 제1신호라인과 평행하는 제2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제2기판부가 차폐부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KR1020160022970A 2016-02-26 2016-02-26 노트북 컴퓨터 KR10244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70A KR102444553B1 (ko) 2016-02-26 2016-02-26 노트북 컴퓨터
US16/077,067 US10365687B2 (en) 2016-02-26 2016-07-05 Laptop computer
PCT/KR2016/007256 WO2017146315A1 (ko) 2016-02-26 2016-07-05 노트북 컴퓨터
CN201680076649.9A CN108431721B (zh) 2016-02-26 2016-07-05 笔记本电脑
JP2018544864A JP6652654B2 (ja) 2016-02-26 2016-07-05 ノートパソコン
EP16891719.3A EP3422139B1 (en) 2016-02-26 2016-07-05 Laptop computer
TW106202638U TWM542913U (zh) 2016-02-26 2017-02-23 筆記型電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70A KR102444553B1 (ko) 2016-02-26 2016-02-26 노트북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49A true KR20170100749A (ko) 2017-09-05
KR102444553B1 KR102444553B1 (ko) 2022-09-20

Family

ID=5968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970A KR102444553B1 (ko) 2016-02-26 2016-02-26 노트북 컴퓨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65687B2 (ko)
EP (1) EP3422139B1 (ko)
JP (1) JP6652654B2 (ko)
KR (1) KR102444553B1 (ko)
CN (1) CN108431721B (ko)
TW (1) TWM542913U (ko)
WO (1) WO2017146315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29A1 (ko) * 2018-07-05 2020-01-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10906A (ko) * 2018-07-23 2020-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05572B2 (en) 2018-10-19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KR20200112793A (ko) * 2020-09-23 2020-10-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43328A (ko) * 2018-07-23 2020-1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18119A1 (ko) * 2019-12-11 2021-06-17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1256892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3153895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767B1 (ko) * 2016-02-11 2024-0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552614B1 (ko) * 2016-02-26 2023-07-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US11296399B2 (en) * 2017-07-13 2022-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tennas in thin devices
CN109167153B (zh) * 2018-08-29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天线辐射体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592870B2 (en) 2020-06-11 2023-02-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rchitecture and components
WO2022119409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84Y1 (ko) * 2001-07-25 2001-1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 단말기
US20020054495A1 (en) * 2000-09-18 2002-05-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030060348A (ko) * 2002-01-08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20070124930A1 (en) * 2005-12-02 2007-06-07 Cisco Technology, Inc. Coaxial via in PCB for high-speed signaling designs
JP2011176653A (ja) * 2010-02-25 2011-09-08 Fujitsu Component Ltd アンテナ装置
KR20120120661A (ko) * 2011-04-25 2012-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JP2012253342A (ja) 2010-12-03 2012-12-20 Murata Mfg Co Ltd 高周波信号線路
US20140292588A1 (en) * 2013-04-02 2014-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tenna
US20140307380A1 (en) * 2013-04-11 2014-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1000A (ja) * 2002-12-18 200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信号伝送装置
JP2006024618A (ja) * 2004-07-06 2006-01-26 Toshiba Corp 配線基板
JP2011061126A (ja) * 2009-09-14 2011-03-24 Sumitomo Bakelite Co Ltd 回路基板
US20100231461A1 (en) * 2009-03-13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elective multi-ban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5523848B2 (ja) * 2010-01-20 2014-06-18 株式会社フジクラ 多周波アンテナ
DE112012006392T5 (de) * 2012-11-28 2015-03-26 Intel Corporation Gelenkkonfiguration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KR101305518B1 (ko) * 2013-02-13 2013-09-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전송선로를 구비한 단말기
KR102060733B1 (ko) * 2013-02-25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기능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150016041A1 (en) * 2013-07-10 2015-01-15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module
KR102242319B1 (ko) * 2014-08-22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4495A1 (en) * 2000-09-18 2002-05-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0249984Y1 (ko) * 2001-07-25 2001-1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 단말기
KR20030060348A (ko) * 2002-01-08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20070124930A1 (en) * 2005-12-02 2007-06-07 Cisco Technology, Inc. Coaxial via in PCB for high-speed signaling designs
JP2011176653A (ja) * 2010-02-25 2011-09-08 Fujitsu Component Ltd アンテナ装置
JP2012253342A (ja) 2010-12-03 2012-12-20 Murata Mfg Co Ltd 高周波信号線路
KR20120120661A (ko) * 2011-04-25 2012-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US20140292588A1 (en) * 2013-04-02 2014-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tenna
US20140307380A1 (en) * 2013-04-11 2014-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29A1 (ko) * 2018-07-05 2020-01-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5010A (ko) * 2018-07-05 2020-0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91539B2 (en) 2018-07-05 2023-10-17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10906A (ko) * 2018-07-23 2020-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43328A (ko) * 2018-07-23 2020-1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15964B2 (en) 2018-07-23 2023-11-14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0705572B2 (en) 2018-10-19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US11144098B2 (en) 2018-10-19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WO2021118119A1 (ko) * 2019-12-11 2021-06-17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1256892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00112793A (ko) * 2020-09-23 2020-10-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53895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53B1 (ko) 2022-09-20
TWM542913U (zh) 2017-06-01
WO2017146315A1 (ko) 2017-08-31
EP3422139A1 (en) 2019-01-02
US20190041907A1 (en) 2019-02-07
EP3422139B1 (en) 2020-09-16
CN108431721B (zh) 2021-05-07
EP3422139A4 (en) 2019-09-04
CN108431721A (zh) 2018-08-21
US10365687B2 (en) 2019-07-30
JP6652654B2 (ja) 2020-02-26
JP2019512132A (ja)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0749A (ko) 노트북 컴퓨터
KR20170100752A (ko) 연성회로기판
US20170264722A1 (en) Electronic device
JP7190636B2 (ja) 電子機器
KR20140100822A (ko)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80026362A (ko) 안테나 병설 터치패널
EP3012908B1 (en) Mobile terminal with novel antenna structure
CN103050773A (zh) 一种天线及具有该天线的电子设备
CN112216958A (zh) 电子设备
CN105024136A (zh) 移动终端
US8519904B2 (en) Keyboard structure with antenna function
CN111193098A (zh) 立体式天线及电子装置
US20100073240A1 (en) Antenna
US11409329B2 (en) Flexible displa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22042000A1 (zh) 一种电子设备
KR101133540B1 (ko)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CN103959930A (zh) 接地垫片和电子设备
US942383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20130293442A1 (en) Antenna having connecting circuit
CN107438007B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GB2624521A (en) Electronic devices with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US8537056B2 (en) Antenna and portable device employing the same
TW202025555A (zh) 多天線系統及其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