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823A -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823A
KR20170099823A KR1020170105639A KR20170105639A KR20170099823A KR 20170099823 A KR20170099823 A KR 20170099823A KR 1020170105639 A KR1020170105639 A KR 1020170105639A KR 20170105639 A KR20170105639 A KR 20170105639A KR 20170099823 A KR20170099823 A KR 2017009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carbonated water
carbonated
carb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128B1 (ko
Inventor
김창진
윤성문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수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탄산가스용기;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저장하는 탄산수탱크;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탱크와 탄산가스용기의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물에 탄산가스를 용해시킨 탄산수의 음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수기에서 탄산수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가스 압력용기에서 공급된 탄산가스를 물에 혼합하여 탄산가스가 물에 용해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수를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산수 제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6-0000462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고 제1996-0000462호에 개시된 탄산수 제조방법에 의하면 탄산가스와 물을 탄산가스 압력용기 내에 도입하고, 양자의 접촉에 의해 탄산수를 제조하도록 되어 있다. 탄산가스 압력용기 내에 물방울 상태의 물을 소정의 속도로 도입하고, 이 물을 탄산가스 압력용기 내에 체류하고 있는 물과 충돌시키면 기포가 발생하는데, 이 기포에 탄산가스를 흡수시키는 것에 의해 탄산수를 생성한다.
그러나 탄산가스 압력용기 내부에는 물과 함께 공기도 존재하고, 탄산가스를 탄산가스 압력용기 내부에 도입한다 하더라도 이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으로 인해 탄산가스의 분압이 낮아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하기가 어렵고,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탄산수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탄산가스용기;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저장하는 탄산수탱크;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탱크와 탄산가스용기의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후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일부 배수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했을 때보다 더 낮은 수위에서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산수탱크에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탄산수탱크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탄산수탱크로 설정된 수위까지 물을 채워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과,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와 탄산수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탱크의 탄산수가 물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과,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탄산수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탄산수탱크와 물공급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탄산가스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밸브의 개방시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의 폐쇄시 상기 탄산수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a) 물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단계; b)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탄산수탱크 내부에서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탄산수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탄산수출수밸브를 통해 출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산수탱크와 탄산가스용기의 압력을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후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일부 배수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했을 때보다 더 낮은 수위에서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설정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의 개방시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수탱크에 물을 채우는 경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탄산수를 생성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탱크의 물을 순환시킨 후 노즐을 통해 분사하거나 자석으로 교반시켜 탄산수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배기라인을 배수라인에 연결시켜 공기가 배기라인과 배수라인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교반자석이 구비되어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 이동시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생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물탱크에 원수가 입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탱크에 냉수가 입수되어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가스의 주입 및 배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가 순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의 출수 및 탄산수탱크에 물이 보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난 탄산수탱크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탄산가스용기(300), 상기 물탱크(100)로부터 공급된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300)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저장하는 탄산수탱크(200), 상기 물탱크(100)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300)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0)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공급라인(910)이 연결되고, 상기 원수공급라인(910) 상에는 상기 원수공급라인(910)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920)가 구비된다. 상기 원수밸브(920)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필터부(미도시)에서 여과된 후 물탱크(100)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00)의 외측 또는 내측 둘레에는 저장된 물의 냉각을 위한 물탱크냉각코일(110)이 구비되어, 물탱크(100)의 물을 설정된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냉수 상태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10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물탱크수위센서(120)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00)의 물이 설정된 온도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물탱크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물탱크(100)의 하부에는 냉수출수라인(94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수출수라인(940)의 타측에는 사용자에게 냉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냉수출수밸브(930)가 구비된다.
상기 물탱크(100)와 탄산수탱크(200) 사이에는, 물탱크(100)의 물을 탄산수탱크(200)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410)과, 물탱크(100)의 물을 탄산수탱크(200)로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물공급밸브(420)와, 상기 물공급라인(410)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탄산수탱크(200)로 가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펌프(430)와, 상기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탄산가스가 물탱크(1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440)와, 상기 펌프(430)에 의해 공급된 물을 탄산수탱크(200)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노즐(450)이 구비된다.
상기 펌프(430)는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물탱크(100)의 물을 탄산수탱크(20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데, 물탱크(100)의 물을 탄산수탱크(200)로 공급하거나, 탄산수탱크(200)의 물을 순환라인(610) 및 물공급라인(410)을 순차 경유하여 탄산수탱크(200)로 순환시키는 경우 작동한다.
상기 물분사노즐(450)은 탄산수탱크(200)의 내부에 삽입된 물공급라인(410)의 단부에 직경이 작은 분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된 것으로서, 물분사노즐(450)의 분사구멍에서 분사된 물은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 수면에 충돌하여 기포를 형성시키고, 이 기포와 탄산가스의 혼합이 이루어져 높은 농도의 탄산수가 생성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는 물탱크(100)로부터 공급된 물과 탄산가스용기(300)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압력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에는 외측 또는 내측 둘레에는 저장된 탄산수의 냉각을 위한 탄산수탱크냉각코일(210)이 구비되고,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탄산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탄산수탱크온도센서(230)가 구비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에는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탄산수탱크수위센서(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산수탱크수위센서(220)는 고수위와 중수위 및 저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감지단(221)과 중수위감지단(222) 및 저수위감지단(2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수위는 물탱크(100)의 물을 탄산수탱크(200)로 공급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경우 탄산수탱크(200)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기준 수위가 되는 것으로서 탄산수탱크(200)의 만수위를 의미하고, 상기 중수위는 탄산수탱크(200)에 탄산수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위로 유지하기 위한 기준 수위가 되며, 저수위는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 수위가 지나치게 낮아 사용자에게 탄산수의 출수를 중지시키기 위한 기준 수위가 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의 하부에는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51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라인(510) 상에는 배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밸브(530)가 구비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의 상부에는 탄산수탱크(200) 상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라인(520)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라인(520) 상에는 공기의 배기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배기밸브(54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라인(520)의 타단은 배수라인(510)에 연결되어 있어, 공기는 배기라인(520)과 배수라인(510)으로 이루어진 긴 경로를 경유한 후 외부로 배기되므로,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배기라인(520)과 배수라인(510)이 연결되어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가 배수라인(510)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배기라인(520)과 배수라인(510)이 각각 독립된 유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의 상부와 배기밸브(540)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라인(520)에는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그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릴리프밸브(550)가 구비된다.
상기 릴리프밸브(550)는 탄산가스용기(300)에 구비된 레귤레이터(730)의 고장시 탄산수탱크(200)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는 경우 릴리프밸브(550)가 개방되어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이상 고압을 해소하게 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에는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한 순환라인(610)이 연결되고, 상기 순환라인(610) 상에는 순환라인(610)을 통한 물의 순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밸브(620)가 구비된다.
상기 순환라인(610)은 일단이 탄산수탱크(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물공급밸브(420)와 펌프(430) 사이를 연결하는 물공급라인(410)에 연결되어, 탄산수탱크(200)의 물은 펌프(430)의 작동에 의해 순환라인(610)과 순환밸브(620)와 물공급라인(410)을 거쳐 물분사노즐(450)에서 탄산수탱크(200)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탄산가스용기(300)와 탄산수탱크(200) 사이를 연결하는 탄산가스공급라인(710) 상에는, 탄산가스용기(300)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기 위한 레귤레이터(730)와, 탄산가스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가 탄산가스용기(30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750)와, 탄산가스공급라인(7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범위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760)가 탄산가스용기(300) 측에서부터 순차 구비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의 하부에 연결된 탄산가스공급라인(710)의 일측 단부에는 탄산가스분사노즐(720)이 구비되어, 상기 탄산가스용기(300)에서 공급된 탄산가스는 탄산가스분사노즐(720)을 통해 탄산수탱크(200)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레귤레이터(730)는 탄산가스용기(300)의 출구 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탄산가스용기(300)의 내부에는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탄산가스공급라인(710)으로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레귤레이터(730)에서 감압함으로써 탄산수탱크(200) 및 이에 연결된 부품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740)는 상기 레귤레이터(730)에서 감압된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200)로 공급하기 위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체크밸브(750)는 압력감지센서(760)와 탄산가스공급밸브(740) 사이에 구비되어, 탄산가스용기(300)의 탄산가스 잔존량이 감소하여 탄산가스용기(300)의 내부압력이 탄산수탱크(200)의 내부압력보다 떨어지는 경우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가 탄산가스용기(3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750)가 탄산가스분사노즐(720)과 압력감지센서(760)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탄산가스공급밸브(740)의 폐쇄시 탄산수탱크(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압력감지센서(760)에서 감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2체크밸브(750)는 본 실시예와 같이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압력감지센서(760) 사이에 구비되거나,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레귤레이터(7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760)는, 탄산가스공급밸브(740)의 개방시 탄산가스용기(30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탄산가스공급밸브(740)의 폐쇄시 탄산수탱크(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740)의 개방시 탄산가스용기(30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탄산가스용기(300)를 교체할 시기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740)의 폐쇄시 탄산수탱크(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탄산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압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여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개방하여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200)에 공급하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탄산수출수라인(810)과 감압밸브(820) 및 탄산수출수밸브(830)가 구비된다.
상기 탄산수탱크(200) 내부는 대기압 보다 높은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되고 있어 사용자에게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를 그대로 출수하는 경우에는 탄산수의 출수 용량을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탄산수는 상기 감압밸브(820)에 의해 감압된 후 탄산수출수밸브(830)를 통해 출수된다.
상기에서는 감압밸브(820)에 의해 탄산수를 감압한 후 출수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감압밸브(820) 대신 유량감소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탄산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량감소수단으로는 일례로 탄산수출수밸브(830) 내부의 탄산수 유로를 좁히도록 구비된 오리피스(orific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100)의 외측 또는 내측 둘레에 구비된 물탱크냉각코일(110)에 의해 냉수로 냉각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물공급라인(410) 상에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물탱크(100)의 물을 냉각시킨 후 탄산수탱크(200)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탄산수탱크(200)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여 탄산수탱크(200)에 구비된 탄산수탱크냉각코일(210)에 의해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탄산수 제조방법은 원수 입수 → 냉수 입수 및 공기 배기 → 탄산가스 주입 및 배수 → 탄산수 순환 → 탄산수 출수 순서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에서의 탄산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물탱크에 원수가 입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탱크에 냉수가 입수되어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가스의 주입 및 배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가 순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서 탄산수의 출수 및 탄산수탱크에 물이 보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공급밸브(420)와 펌프(430)와 배수밸브(530)와 배기밸브(540)와 순환밸브(620)와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탄산수출수밸브(830) 및 냉수출수밸브(930)는 오프(Off) 상태에서 원수밸브(920)를 온(On)시키면 원수가 원수공급라인(910)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로 유입된다. 물탱크수위센서(120)에서 물탱크(100)의 만수위를 감지하면 원수밸브(920)를 오프(Off)시키고, 물탱크(100)의 물을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오프(Off)란 밸브(420,530,540,620,740,830,920,930)가 닫힌 상태 및 펌프(43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On)이란 밸브(420,530,540,620,740,830,920,930)가 개방된 상태 또는 펌프(430)가 작동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하 동일하다.
상기 물탱크(100)의 물이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되었음을 물탱크온도센서에서 감지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밸브(530)와 순환밸브(620)와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탄산수출수밸브(830)와 원수밸브(920) 및 냉수출수밸브(930)는 오프(Off) 상태에서 물공급밸브(420)와 펌프(430)를 온(On)시키면, 물탱크(100)의 냉수는 물공급라인(410)을 거쳐 탄산수탱크(200)로 유입된다. 이 경우 배기밸브(540)도 온(On)시켜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를 배기라인(520)과 배수라인(510)을 거쳐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와 같이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가 배기라인(520)과 배수라인(510)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면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수의 공급은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탱크수위센서(220)에서 고수위를 감지할 때까지 이루어져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 대부분은 외부로 배기되고, 탄산수탱크(200)로의 물공급에 의해 물탱크(100)의 수위가 낮아지면 원수밸브(920)를 온(On)시켜 물탱크(10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탄산수탱크(200)에 냉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밸브(420)와 펌프(430)와 배기밸브(540)와 순환밸브(620)와 탄산수출수밸브(830)와 냉수출수밸브(930) 및 원수밸브(920)는 오프(Off) 상태에서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온(On)시켜 탄산가스용기(300)의 탄산가스가 레귤레이터(730)에서 감압된 후 탄산가스공급라인(710)을 거쳐 탄산가스분사노즐(720)을 통해 탄산수탱크(200)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530)를 온(On)시켜 탄산수탱크수위센서(220)에서 중수위를 감지할 때까지 탄산수탱크(200)의 물을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배수라인(510)을 통해 배수시키고, 탄산수탱크온도센서(230)에서 설정된 온도를 감지할 때까지 탄산수탱크(200)의 물을 냉각시킨다. 상기에서는 중수위까지 배수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시키는 수위를 고수위에서 저수위까지 다양한 수위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탄산수탱크(200)에 냉수를 고수위까지 입수시킴과 동시에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한 후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탱크(200)의 중수위까지 배수시키게 되면,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탄산가스가 주입되어 탄산수탱크(200) 내부 공간의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므로 물에 용해되는 탄산가스의 양이 증가하여 높은 농도의 탄산수가 1차적으로 생성된다. 이 경우 탄산수탱크(200)의 수위가 중수위가 되면 탄산가스의 주입은 중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수시 탄산가스의 주입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산가스의 주입 없이 배수하는 방법으로는, 배수라인(510) 상에 배수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시킨 후 탄산가스를 주입하거나, 중력에 의한 자연배수를 이용하여 배수시킨 후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산수탱크(200)의 수온이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밸브(420)와 배수밸브(530)와 배기밸브(540)와 탄산수출수밸브(830)와 냉수출수밸브(930) 및 원수밸브(920)는 오프(Off) 상태에서 펌프(430)와 순환밸브(620)를 온(On)시켜 탄산수탱크(200) 내부의 탄산수를 순환라인(610)과 물공급라인(410)을 거쳐 탄산수탱크(200)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온(On)시켜 탄산가스용기(300)의 탄산가스가 탄산가스공급라인(710)을 거쳐 탄산가스분사노즐(720)을 통해 탄산수탱크(200) 내부로 분사된다.
이 경우 펌프(430)에 의해 압송된 탄산수는 물공급라인(410)을 거쳐 물분사노즐(450)을 통해 강한 물줄기가 되어 탄산수탱크(200)의 수면에 충돌하고, 이와 같은 충돌에 의해 생성된 기포층이 탄산가스와 물이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줌과 동시에 수면에 물의 흐름을 형성시켜 탄산가스의 용해도가 증가되어 탄산수의 탄산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산수의 순환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면 펌프(430)와 순환밸브(620) 및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오프(Off)시켜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대기상태에서 탄산수탱크(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압력감지센서(76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온(On)시켜 탄산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펌프(430)와 순환밸브(620)를 온(On)시켜 탄산수를 순환시키면서 탄산수의 탄산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대기상태에서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탄산수탱크온도센서(230)가 감지하면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냉각시킨다.
탄산수의 출수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밸브(420)와 펌프(430)와 배수밸브(530)와 배기밸브(540)와 순환밸브(620)와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냉수출수밸브(930) 및 원수밸브(920)는 오프(Off) 상태에서 탄산수출수밸브(830)를 온(On)시키면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가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려 탄산수출수라인(810)과 감압밸브(820)를 거쳐 탄산수출수밸브(830)를 통해 출수된다.
탄산수의 출수로 인해 탄산수탱크(200)의 중수위가 해제되면 물공급밸브(410)와 펌프(430)가 온(On)되어 물탱크(100)의 냉수를 탄산수탱크(200)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1체크밸브(440)로 인해 탄산수탱크(200)의 압력으로 인해 탄산수가 물탱크(10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탱크(100)의 냉수 공급이 탄산수탱크(200)의 중수위까지 이루어지면, 탄산가스공급밸브(740)를 온(On)시켜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200)에 분사하고, 펌프(430)와 순환밸브(620)를 온(On)시켜 순환과정을 다시 진행한다. 이 경우 탄산가스공급밸브(740)와 펌프(430) 및 순환밸브(620)를 온(On)시키는 시간은 물탱크(100)의 냉수 공급으로 탄산수탱크(200)의 중수위까지 채워지는 시간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탄산수의 출수량이 일시적으로 많아 탄산수탱크수위센서(220)에서 저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탄산수의 출수를 중지시키기 위해 탄산수출수밸브(830)를 오프(Off)시킨 후 상기한 탄산수 생성 과정을 반복한다. 이 경우 탄산수의 출수를 중지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은 생성된 탄산수의 탄산농도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부터 출수 요구가 있는 경우에도 설정된 시간 동안은 출수가 중지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탄산수탱크(200)의 수온이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된 후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 순환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탄산수탱크(200)의 탄산수 순환이 이루어진 후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난 탄산수탱크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수탱크(200-1)의 하부에 경사면(201-1)이 형성되어 있는 점, 순환라인(610)과 순환밸브(620) 및 물분사노즐(450)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탄산수탱크(200-1)의 탄산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자석(240-1)과 교반모터(250-1)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모든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탄산수탱크(200-1)는 하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면(20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201-1)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교반자석(240-1)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자석(240-1)이 위치한 탄산수탱크(200-1)의 하부 외측에는 자력으로 상기 교반자석(240-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모터(250-1)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모터(250-1)에도 모터자석(251-1)이 구비되어 있어, 교반모터(250-1)를 구동시키면 모터자석(251-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자석(251-1)의 회전에 따라 교반자석(240-1)이 회전함으로써 탄산수탱크(200-1) 내부의 탄산수를 교반시킨다.
이와 같이 교반자석을 이용하게 되면 탄산수를 교반시키기 위해 탄산수탱크(200-1)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탄산수탱크(200-1)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 7에 나타난 탄산수탱크(200-1)에는 경사면(201-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경사면(201-1) 대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산수탱크(200-2)의 하부를 수평면(201-2)과 수직면(202-2)이 형성되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평면(201-2)은 도 7의 경사면(201-1)과 같이 경사진 형상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교반자석(240-1)은 경사면(201-1)으로 둘러싸인 내부 또는 수직면(202-2)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교반모터(250-1)의 의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고, 탄산수탱크(200-1)를 제품 조립을 위해 이동하거나 탄산수 제조장치의 완제품을 이동하는 경우 교반자석(240-1)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며, 탄산수탱크(200-1)를 조립하기 위해 그 내부에 교반자석(240-1)을 투입하는 경우 저절로 위치를 찾아가게 되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해진다.
제2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제조장치에 의한 탄산수 제조방법은, 원수 입수 → 냉수 입수 및 공기 배기 → 탄산가스 주입 및 배수 → 탄산수 교반 → 탄산수 출수 순서로 되어 있어, 제1실시예의 탄산수 순환 과정 대신 탄산수 교반 과정이 구비된 점에서만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과정은 모두 동일하다.
탄산수 교반 과정은 교반모터(250-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교반모터(250-1)의 회전에 따라 교반자석(240-1)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탄산수탱크(200-1, 200-2) 내부의 탄산수가 회전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키고, 탄산가스 주입 과정에 의해 1차로 생성된 탄산수가 와류에 의해 골고루 섞여 탄산가스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탄산수의 탄산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교반모터(250-1)의 회전수(RPM)를 조절하여 탄산수의 탄산농도와 탄산수의 생성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데, 높은 회전수(RPM)는 낮은 회전수(RPM)보다 동일시간동안 고농도의 탄산수를 생성시키거나 동일한 농도의 탄산수를 더 빠른 시간에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반 과정이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되고 나면 교반을 멈추고 대기상태로 진입하고, 이후의 과정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수탱크(200,200-1,200-2)에 물을 채우는 경우 탄산수탱크(200,200-1,200-2)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탄산수를 생성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고, 탄산수탱크의 물을 순환시킨 후 노즐을 통해 분사하거나 자석으로 교반시켜 탄산수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물탱크 110 : 물탱크냉각코일
120 : 물탱크수위센서 200,200-1,200-2 : 탄산수탱크
201-1 : 경사면 201-2 : 수평면
202-2 : 수직면 210 : 탄산수탱크냉각코일
220 : 탄산수탱크수위센서 230 : 탄산수온도센서
240-1 : 교반자석 250-1 : 교반모터
251-1 : 모터자석 300 : 탄산가스용기
410 : 물공급라인 420 : 물공급밸브
430 : 펌프 440 : 제1체크밸브
450 : 물분사노즐 510 : 배수라인
520 : 배기라인 530 : 배수밸브
540 : 배기밸브 550 : 릴리프밸브
610 : 순환라인 620 : 순환밸브
710 : 탄산가스공급라인 720 : 탄산가스분사노즐
730 : 레귤레이터 740 : 탄산가스공급밸브
750 : 제2체크밸브 760 : 압력감지센서
810 : 탄산수출수라인 820 : 감압밸브
830 : 탄산수출수밸브 910 : 원수공급라인
920 : 원수밸브 930 : 냉수출수밸브
940 : 냉수출수라인

Claims (29)

  1.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탄산가스용기;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저장하는 탄산수탱크;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탱크와 탄산가스용기의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지센서;
    로 이루어진 탄산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후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일부 배수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했을 때보다 더 낮은 수위에서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에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탄산수탱크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탄산수탱크로 설정된 수위까지 물을 채워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탄산수탱크의 상부와 상기 배수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라인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상기 배기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과,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와 탄산수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산수탱크의 탄산수가 물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과,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탄산수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탄산수탱크와 물공급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 상에는 탄산수 생성시 상기 순환라인을 통한 순환을 단속하기 위한 순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라인과 물공급라인의 교차점과 상기 물탱크 사이에는 상기 물탱크에서 탄산수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에 삽입된 상기 물공급라인의 단부에는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구멍이 형성된 물분사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탄산가스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밸브의 개방시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의 폐쇄시 상기 탄산수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탄산가스용기 사이에는 상기 탄산수탱크의 탄산수가 상기 탄산가스용기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의 바닥에는 교반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교반자석이 위치한 탄산수탱크의 외측에는 자력으로 상기 교반자석을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는 상부에 비해 하부의 단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는 하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16. a) 물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단계;
    b)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탄산수탱크 내부에서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탄산수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탄산수출수밸브를 통해 출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산수탱크와 탄산가스용기의 압력을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탄산가스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적어도 일부 제거한 후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일부 배수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탄산수탱크로 공급했을 때보다 더 낮은 수위에서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에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탄산수탱크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물탱크의 물이 상기 탄산수탱크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기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기하여 제거하는 단계;
    b-2) 상기 탄산수탱크수위센서에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물탱크에서 탄산수탱크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단계;
    b-3)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상기 물탱크의 물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3)단계는,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상기 탄산수탱크로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3)단계는,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 후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상기 탄산수탱크로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3)단계는,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의 물은 펌프에 의해 순환라인을 거쳐 물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탄산수탱크 내부로 순환되고,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는 상기 탄산수탱크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순환되는 물과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탄산수탱크수위센서에서 고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물탱크에서 탄산수탱크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탄산수의 출수 중 상기 탄산수탱크수위센서의 저수위가 감지된 경우 탄산수의 출수가 중지되도록 상기 탄산수출수밸브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탄산수탱크의 물을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설정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공급밸브의 개방시 상기 탄산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후, 상기 탄산수의 출수로 인해 상기 탄산수탱크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로 감소하면 상기 물탱크의 물과 상기 탄산가스용기의 탄산가스를 상기 탄산수탱크에 공급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의 순환이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진 후 상기 펌프를 오프(off)시킴과 동시에 탄산가스의 공급을 중단시켜 대기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탄산수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탄산가스의 공급과 함께 상기 펌프를 온(On)시켜 탄산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05639A 2017-08-21 2017-08-21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39A KR101875128B1 (ko) 2017-08-21 2017-08-21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39A KR101875128B1 (ko) 2017-08-21 2017-08-21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52A Division KR101782831B1 (ko) 2015-01-13 2015-01-13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823A true KR20170099823A (ko) 2017-09-01
KR101875128B1 KR101875128B1 (ko) 2018-07-05

Family

ID=5992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39A KR101875128B1 (ko) 2017-08-21 2017-08-21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981A (zh) * 2018-09-19 2019-02-12 中国石油大学(北京) 用于碳化水腐蚀实验的实验系统和实验方法
KR20190133945A (ko)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8192A1 (en) * 2019-09-25 2021-03-31 Mittemitte GmbH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enhancing and/or carbonating an aqueous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64525A1 (en) * 2001-04-06 2004-12-13 Scott Nicol Carbo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7000771A (ja) * 2005-06-23 2007-01-1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炭酸水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45A (ko)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CN109323981A (zh) * 2018-09-19 2019-02-12 中国石油大学(北京) 用于碳化水腐蚀实验的实验系统和实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128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128B1 (ko)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12408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apidly carbonating water
CA1037271A (en) Liquid carbon dioxide carbo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231851A (en) Method and device for carbonating and cooling a liquid
JP6859573B2 (ja) 送水ポンプレス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CA2727169C (en) Apparatus for mixing concentrated water treatment solutions
KR101782831B1 (ko)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4622A (ko) 탄산수 제조장치
KR101190788B1 (ko) 마이크로 버블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JP6097986B1 (ja) 炭酸水製造装置
US20180087211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516292B2 (ko)
KR20230067943A (ko) 탄산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산수 제조 방법
KR960000462B1 (ko) 탄산수의 제조방법
KR100262373B1 (ko) 탄산수제조장치
JP2000348250A (ja) 炭酸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70076350A (ko) 가스 용해기 및 이것을 이용한 순환형 욕조장치
JP2007000770A (ja) 炭酸水製造装置
JP2010132341A (ja) 飲料注出装置
JP2019018138A (ja) 炭酸水の製造装置、炭酸水の製造方法及び水に高濃度で炭酸ガスを溶解させる方法
JP2007268245A (ja) 浴槽用混合装置
KR102472811B1 (ko) 탄산가스 용해 장치
KR20050087536A (ko) 탄산수 공급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JP2889609B2 (ja) 炭酸水製造供給装置
KR101723155B1 (ko)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