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373B1 - 탄산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373B1
KR100262373B1 KR1019970073316A KR19970073316A KR100262373B1 KR 100262373 B1 KR100262373 B1 KR 100262373B1 KR 1019970073316 A KR1019970073316 A KR 1019970073316A KR 19970073316 A KR19970073316 A KR 19970073316A KR 100262373 B1 KR100262373 B1 KR 10026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bonated water
carbonated
carbonato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601A (ko
Inventor
노부유끼 엔도우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6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70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 B01F25/72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wit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에서도 단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고,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고,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장치(10)는 탄산 가스로 가압된 카보네이터 탱크(11)를 가로로 설치하고, 탱크(11)의 상부에 가압수를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로서 분사하는 분사 노즐(12)을 2개 구비한다. 분사 노즐(12)은 가압수를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로서 분사하여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 충돌시킨다.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서 충돌한 물방울은 휘감기며 상승한다. 분사, 충돌, 상승의 각과정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분위기 내의 탄산 가스를 흡수하여 탄산수가 되어 물방울 받이(17)에 저장된다. 물방울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물방울에 탄산 가스를 취입하기 쉬워진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나 음료 분배기 등의 탄산 음료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온에서도 단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고,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고,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에는 카보네이터 탱크를 음료 냉각용 수조에 넣어서 카보네이터 탱크 자체를 냉각하는 동시에 그 카보네이터 탱크 내에 냉수를 주입하는 저온 타입과, 카보네이터 탱크를 수조에 넣지 않고 별개로 배치하여 그 카보네이터 탱크 내에 상온의 물을 주입하는 상온 타입이 있다.
탄산 가스는 온도가 낮을수록 물에 쉽게 융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높은 탄산 가스 함유율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저온 타입 쪽이 우수하다. 그러나, 저온 타입은 수조 내에 냉각 코일도 배치되어 있으므로, 탱크 용량에 한계가 있어 한잔 또는 두잔 분량 정도의 탄산수 밖에 저장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수조를 크게 하면 탱크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나 냉각 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몇잔이나 연속해서 탄산수를 판매할 필요가 있는 자동 판매기나 음료 분배기 등에는 저온 타입보다 탱크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상온 타입이 적합하다.
이 상온 타입의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도5에 도시한다. 이 탄산수 제조 장치(1)는 세로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카보네이터 탱크(2)를 갖고, 카보네이터 탱크(2)의 상부에 가압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 탄산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탄산 가스 공급 노즐(4) 및 탱크(2) 내의 탄산수(5)의 하한 수위를 검출하는 하한 수위 검출 센서(6)를 부착하고, 카보네이터 탱크(2)의 저부에 탄산수 토출관(7)을 도입한 것이다. 탄산 가스 분위기 속을 향해서 분사 노즐(3)로부터 가압수를 분사하면 가압수와 탄산 가스의 직접적인 접촉 및 가압수에 의한 교반 효과에 의해 주위 분위기로부터 탄산 가스를 끌어들이고, 탄산 가스가 물에 융합되어 탄산수가 제조되어 카보네이터 탱크(2) 저부에 저장된다. 그 다음에는 탱크(2)로부터 필요량의 탄산수가 탄산수 토출관(7)을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도5에 도시한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카보네이터 탱크(2)가 수직형이므로 분사 노즐(3)을 하나밖에 설치할 수 없고, 게다가 가압수와 탄산 가스의 직접적인 접촉 및 가압수에 의한 교반 효과에 의해 탄산 가스를 물에 용합시키는 것이므로, 물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작아 탄산수를 얻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1)는 분사 노즐(3)을 여러개 설치한다면 카보네이터 탱크의 부피가 상당히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1)에서는 카보네이터 탱크(2) 내의 수면의 높이가 변동하게 되어 분사 노즐(3)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1)에서는 카보네이터 탱크(2) 내에 공기가 존재하면 탄산 가스의 농도가 저하되어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에서도 단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카보네이터 탱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카보네이터 탱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산수 제조 장치
11 : 카보네이터 탱크
12 : 분사 노즐
12a : 노즐 선단부
13 : 안전 밸브
13a : 수동용 링
14 : 탄산 가스 공급 노즐
15 : 플로우 스위치
15a : 중공축
15b : 플로우트
15c : 스톱퍼
15d : 보호통
15e : 상한 리드 스위치
15f : 하한 리드 스위치
16 : 탄산수 토출관
17 : 물방울 받이
17a : 작은 구멍
18 : 지지 부재
18a : 큰 구멍
19 : 탄산수 파이프
20A : 물 공급관
20B : 탄산 가스 공급관
20C : 탄산수 공급관
20D : 물 공급 분기관
20E : 공기 배출관
21A : 물 입구 전자 밸브
21B : 탱크측 물 전자 밸브
21C :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
22 : 가압 펌프
23A, 23B, 23C : 역지 밸브
24 : 탄산수
30 : 제어부
31 : 동작 스위치
32 : 전원부
100 : 음료 분배기 본체
101 : 탄산수 전자 밸브
H : 상한 수위
L : 하한 수위
S : 충돌 위치와 수면과의 거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산 가스로 가압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탄산 가스 분위기 내에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의 상방에 설치한 분사부로부터 가압수를 분사해서 탄산수를 제조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하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 가스의 가스 압력으로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내부가 수직 단면적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분사부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를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로부터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상기 가압수가 충돌하는 내벽을 갖는 물방울 받이와, 이 물방울 받이에 설치되어서 저장된 상기 탄산수와 유통하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물방울 받이의 상기 내벽의 소정 높이까지 저류된 탄산수면 상에 노출되도록 상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산 가스로 가압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탄산 가스 분위기 내에 상방으로부터 가압수를 분사해서 탄산수를 제조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하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 가스의 가스 압력으로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에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가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에 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와, 동작 스위치의 온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상기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로부터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상기 가압수가 충돌하는 내벽을 갖는 물방울 받이와, 이 물방울 받이에 설치되어서 저장된 탄산수와 유통하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물방울 받이의 상기 내벽의 소정 높이까지 저류된 탄산수면 상에 노출되도록 상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수를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분사한 가압수의 물방울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물방울에 탄산 가스를 취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온에서도 단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시간에 다량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높은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방울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및 충돌 후의 물방울의 발생 상태가 일정해지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된다.
또한, 기동시에 동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해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으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카보네이터 탱크의 사시도이다. 이 탄산수 제조 장치(10)는 예를 들어 음료 분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카보네이터 탱크(11)를 갖고 있다. 이 카보네이터 탱크(11)는 주위면 상부에 가압수를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로서 탱크(11) 내측으로부터 높은 압력(예를 들어 수 ㎏/㎠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는 2개의 분사 노즐(12)과, 안전 밸브(13)를 구비한 탄산 가스 공급 노즐(14)과, 탄산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로우 스위치(15)를 설치하고, 한쪽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탄산수 토출관(16)을 도입하고 있다. 안전 밸브(13)는 탱크(11)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대기에 개방해서 탱크(1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동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탱크(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동용 링(13a)을 구비하고 있다.
도2는 카보네이터 탱크(1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카보네이터 탱크(11) 내부에는 2개의 분사 노즐(12) 바로 아래에 분사 노즐(12)로부터 분사된 물방울을 수용하는 대략 단면이 U자 형상인 물방울 받이(17)를 배치하고, 각 물방울 받이(17)를 각각의 지지 부재(18)에 의해 탱크(11)의 내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각 물방울 받이(17)의 저면에는 제조된 탄산수를 탱크(11) 내의 저부로 천천히 안내하는 2개의 탄산수 파이프(19)가 지지 부재(18)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18)에는 경량화 등을 위한 복수의 큰 구멍(18a)을 형성하고, 물방울 받이(17)의 저면에는 물의 고임을 막기 위한 작은 구멍(17a)을 지지 부재(18)를 관통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분사 노즐(12)은 후술하는 가압 펌프(22)로부터의 가압수를 원추형의 주위면을 따르도록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로서 분사하고,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 충돌시키는 노즐 선단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도3은 이 탄산수 제조 장치(10)의 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분사 노즐(12)에는 수도에 물 공급관(20A)을 접속하고, 탄산 가스 공급 노즐(12)에는 도시되지 않은 탄산 가스 봄베로부터 탄산 가스 공급관(20B)을 접속하고, 탄산수 토출관(16)에 음료 분배기 본체(100) 내의 탄산수 전자 밸브(101)에 이르는 탄산수 공급관(20C)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물 공급관(20A)에는 물 입구 전자 밸브(21A), 가압 펌프(22),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 및 가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23B)를 개재하고, 탄산 가스 공급관(20B)에 탄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23B)를 개재하고 있다. 또, 가압 펌프(22)와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 사이의 물 공급관(20A)에는 음료 분배기 본체(100)에 이르는 물 공급 분기관(20D)을 접속하고, 이 물 공급 분기관(20D)에 가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23C)를 개재하고 있다. 탄산 가스 공급 노즐(14)과 역지 밸브(23B) 사이의 탄산 가스 공급관(20B)에는 공기 배출관(20E)을 접속하고, 이 공기 배출관(20E)에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21C)를 개재하고 있다.
플로우 스위치(15)는 탄산수(24)의 수면의 상하 이동에 추종하여 중공축(15a)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플로우트(15b)와, 플로우트(15b)의 탈락을 방지하는 스톱퍼(15c)와, 플로우트(15b)의 외측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보호통(15d)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우트(15b) 내부에는 영구 자석(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중공축(15a) 내부에는 상방의 소정 위치에 상한 리드 스위치(15e)(도4 참조)를 구비하고, 하방의 소정 위치에 하한 리드 스위치(15f)(도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한 리드 스위치(15e)는 탄산수(24)의 수면이 상한 수위(H)에 도달하면 플로우트(15b)의 상승에 의해 플로우트(15b) 내의 영구 자석이 작용하여 온 동작하고, 온 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하는 것이다. 하한 리드 스위치(15f)는 탄산수(24)의 수면이 하한 수위(L)에 도달하면 플로우트(15b)의 하강에 의해 플로우트(15b) 내의 영구 자석이 작용하여 온 동작하고, 온 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하는 것이다.
탄산수 파이프(19)의 상단 위치는 탄산수(24)의 상한 수위(H)에 일치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탄산수(24)의 수면이 탄산수 파이프(19)의 상단과 동일한 수준 또는 그보다 하측에서 변화하고 있는 한, 분사 노즐(12)로부터 분사된 물방울의 물방울 받이(17) 내벽면에 있어서의 충돌 위치와 수면과의 일정 거리(S)가 보상된다.
도4는 본 장치(10)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장치(10)는 본 장치(1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갖고, 이 제어부(30)에 상기 물 입구 전자 밸브(21A),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21C), 상한 리드 스위치(15e) 및 하한 리드 스위치(15f)를 접속하고, 또한 본 장치(1)를 기동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31)와 전원을 본 장치(1)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부(32)를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30)는 상한 리드 스위치(15e) 및 하한 리드 스위치(15f)의 스위칭 동작에 의거한 탱크(11) 내의 탄산수(24)의 수위 제어, 동작 스위치(31)의 조작에 의거한 탱크(11) 내의 공기의 배출 제어 및 사고 방지 제어 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사고 방지 제어에서는 하한 리드 스위치(15f)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 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여,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해도 상한 리드 스위치(15e)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는 단수 또는 물의 누출 등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각부로의 전원 공급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도록 전원부(32)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물의 누출 사고나 가압 펌프(22) 모터의 전소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판매일의 영업 개시 시간이 되면 조작자는 동작 스위치(31)를 켜고, 전원부(32)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서 본 장치(10) 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시되지 않은 탄산 가스 봄베(bomb)는 소정 압력(예를 들어 8 ㎏/㎠)의 탄산 가스를 탄산 가스 공급관(20B) 및 역지 밸브(23B)를 거쳐 카보네이터 탱크(11) 내로 보낸다. 제어부(30)는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21C)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 내지 2초간) 개방하여 카보네이터 탱크(11)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탄산 가스 공급 노즐(14), 공기 배출관(20E) 및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21C)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물 입구 전자 밸브(21A) 및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를 개방하는 동시에 가압 펌프(22)를 구동한다. 가압 펌프(22)는 음료 분배기 본체(100)로부터 물 입구 전자 밸브(21A)를 거쳐 공급된 상온의 물을 가압해서 물 공급관(20A),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 및 역지 밸브(23A)를 거쳐 분사 노즐(12)로 보낸다. 분사 노즐(12)은 가압 펌프(22)로부터의 가압수를 노즐 선단부(12a)에 의해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로서 분사하여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 충돌시킨다.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 충돌한 물방울은 휘감기며 상승한다. 분사, 충돌, 상승의 각 과정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분위기 내의 탄산 가스를 흡수하여 탄산수(24)가 되어 물방울 받이(17)에 저장된다. 물방울 받이(17) 내의 탄산수(24)의 수면이 상한 수위(H)와 동일한 수위에 도달하면, 탄산수(24)가 탄산수 파이프(19)를 통해서 카보네이터 탱크(11) 내의 저부로 흘러 그곳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탱크(11) 내의 저부에 탄산수(24)가 저장되며, 그 수면이 상승해서 상한 수위(H)에 도달하면 플로우트(15b)의 상승에 의해 상한 리드 스위치(15e)가 온 되고, 온 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한다. 제어부(30)는 상한 리드 스위치(15e)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거해서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를 폐쇄하는 동시에, 가압 펌프(22)의 구동을 정지시켜 탱크(11)로의 물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30)에 의한 수위 제어에 의해 상기 동작이 반복된다.
그 후, 판매할 때마다 음료 분배기 본체(100)측 제어에 의한 탄산수 전자 밸브(101)의 개폐에 의해, 탄산 가스 봄베에 의한 탄산 가스의 가압에 의거해서 한잔 분량의 탄산수(24)가 탄산수 토출관(16), 탄산수 공급관(20C) 및 탄산수 전자 밸브(101)를 거쳐 음료 분배기 본체(100) 측에 공급된다. 복수회의 판매에 의해 카보네이터 탱크(11) 내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는 탄산수(24)의 수면이 하한 수위(L)에 도달하면, 플로우트(15b)의 하강에 의해 하한 리드 스위치(15f)가 켜지고, 온 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한다. 제어부(30)는 하한 리드 스위치(15f)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거해서 탱크측 물 전자 밸브(21B)를 개방하는 동시에, 가압 펌프(22)를 구동해서 탱크(11)로의 물의 공급을 개시한다. 판매일의 영업 종료 시간이 되면 조작자는 동작 스위치(31)를 끈다. 전원부(32)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본 장치(1) 각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상술한 본 장치(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분사 노즐(12)에 의해 안개 형태의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고 있으므로, 물방울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물방울에 탄산 가스를 취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분사 노즐(12)을 2개 설치하고, 그리고 탱크(11)의 내부가 수직 단면적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갖도록 카보네이터 탱크(11)를 가로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탄산수의 수면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결과, 상온 상태에서도 단시간에 다량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높은 탄산수(24)를 제조할 수 있다.
(b) 물방울 받이(17) 내의 탄산수의 수면을 탄산수 파이프(19)에 의해 일정하게 하고 있으므로, 분사 노즐(12)로부터 분사된 물방울의 물방울 받이(17)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충돌 위치와 수면의 거리(S)가 일정해진다. 이 결과, 물방울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및 충돌 후의 물방울의 발생 상태가 일정해지므로, 탄산수(24)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된다.
(c) 탱크(11) 내에 공기가 존재하면 탱크(11) 내의 탄산 가스의 농도가 저하되어 제조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저하시키는데, 동작 스위치(31)의 조작에 의거해서 카보네이터 탱크(1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으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장치(1)를 기동시키는 동작 스위치(31)를 조작하기만 하면 탱크(11) 내의 공기의 배출이 행해지므로, 정기적으로 수동으로 공기 배출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되어 조작자의 부담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수동용 링(13a)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요하면 언제라도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d) 상한 리드 스위치(15e) 및 하한 리드 스위치(15f)의 스위칭 동작에 의거해서 상한 수위(H)와 하한 수위(L) 사이에서 수위 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탄산수의 일정한 저장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복수잔의 탄산수를 연속해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 단시간에 다량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높은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상온 타입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저온 타입에 적용해도 된다.
그리고, 세로 치수가 가로 치수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카보네이터 탱크를 세로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복수의 분사 노즐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사 노즐의 수에 대응해서 복수의 물방울 받이를 설치했으나, 하나의 공통 물방울 받이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사 노즐로부터의 물방울을 물방울 받이의 내벽면을 향해서 분사하고 있으나, 물방울 받이 내의 수면을 향해서 분사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카보네이터 탱크의 상부에 가압수를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복수 설치하고 있으므로, 분사한 가압수의 물방울과 탄산 가스 분위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물방울에 탄산 가스를 취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온에서도 단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탄산 가스 함유율이 높은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카보네이터 탱크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방울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및 충돌 후의 물방울의 발생 상태가 일정해지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이 항상 일정하게 안정화된다.
또한, 기동시에 동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해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으므로, 탄산수의 탄산 가스 함유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탄산 가스로 가압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탄산 가스 분위기 내에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의 상방에 설치한 분사부로부터 가압수를 분사해서 탄산수를 제조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하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 가스의 가스 압력으로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내부가 수직 단면적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분사부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를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로부터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상기 가압수가 충돌하는 내벽을 갖는 물방울 받이와, 이 물방울 받이에 설치되어서 저장된 상기 탄산수와 유통하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물방울 받이의 상기 내벽의 소정 높이까지 저류된 탄산수면 상에 노출되도록 상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탄산 가스로 가압된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탄산 가스 분위기 내에 상방으로부터 가압수를 분사해서 탄산수를 제조하고, 상기 탄산수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 내의 하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 가스의 가스 압력으로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에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가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과,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에 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와,
    동작 스위치의 온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상기 공기 배출용 전자 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보네이터 탱크는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로부터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상기 가압수가 충돌하는 내벽을 갖는 물방울 받이와, 이 물방울 받이에 설치되어서 저장된 탄산수와 유통하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물방울 받이의 상기 내벽의 소정 높이까지 저류된 탄산수면 상에 노출되도록 상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1019970073316A 1996-12-25 1997-12-24 탄산수제조장치 KR100262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4804 1996-12-25
JP34480496A JP3717615B2 (ja) 1996-12-25 1996-12-25 炭酸水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01A KR19980064601A (ko) 1998-10-07
KR100262373B1 true KR100262373B1 (ko) 2000-08-01

Family

ID=1837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316A KR100262373B1 (ko) 1996-12-25 1997-12-24 탄산수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17615B2 (ko)
KR (1) KR100262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39B1 (ko) * 2008-09-26 2012-02-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699A (ja) * 2001-04-27 2002-11-12 Fuji Electric Co Ltd 炭酸水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ボネータ
US6574981B2 (en) * 2001-09-24 2003-06-10 Lancer Partnership, Ltd. Beverage dispensing with cold carbonation
KR100735914B1 (ko) * 2006-02-22 2007-07-0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 장치
JP2015147183A (ja) * 2014-02-06 2015-08-20 株式会社イズミフードマシナリ 炭酸飲料製造装置
HUP1900397A1 (hu) * 2019-11-22 2021-05-28 Simon Laszlo Pal Dr Szén dioxid gázzal alacsony nyomáson, hidrogén gázzal nagy nyomáson szaturált, üvegben vagy egyéb speciális anyagú flakonban robbanásveszélymentesen, a teret légmentesen kitöltve és diffúziómentesen palackozot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36A (ko) * 1987-06-02 1989-03-11 로버트 에이.켈러 후혼합 음료분배 탄산수기내에서의 탄산처리 개선 장치
KR890003229Y1 (ko) * 1986-03-20 198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Crt 표시제어장치의 색신호 속성 처리회로
KR960040436A (ko) * 1995-05-30 1996-12-17 다까노 야스아끼 탄산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229Y1 (ko) * 1986-03-20 198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Crt 표시제어장치의 색신호 속성 처리회로
KR890000036A (ko) * 1987-06-02 1989-03-11 로버트 에이.켈러 후혼합 음료분배 탄산수기내에서의 탄산처리 개선 장치
KR960040436A (ko) * 1995-05-30 1996-12-17 다까노 야스아끼 탄산수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39B1 (ko) * 2008-09-26 2012-02-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01A (ko) 1998-10-07
JPH10180064A (ja) 1998-07-07
JP3717615B2 (ja)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08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apidly carbonating water
US595500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CA1037271A (en) Liquid carbon dioxide carbon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262373B1 (ko) 탄산수제조장치
US20160220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Carbonation of a Fluid
CN102015033A (zh) 水增强的惰性气体淹没灭火
US6234621B1 (en) Foamless ramp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ink to eliminate foam in an ink tank
JP2003190750A (ja) 気体溶解装置
KR101875128B1 (ko)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0269A (ko)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장치
CN1035236C (zh) 碳酸化装置
IE48647B1 (en) Liquid de-gassing unit
US525999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JP3187054B2 (ja) 炭酸水を製造するため水をco▲下2▼ガスで富化する装置
JP2008272632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加圧溶解方法
JPH08323171A (ja) 炭酸水製造装置
JP6097986B1 (ja) 炭酸水製造装置
EP048138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JP3897636B2 (ja) 気液溶解装置
JP2603817Y2 (ja) 白煙発生装置
KR20120084134A (ko) 마이크로 버블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JP2630879B2 (ja) カーボネータ
JP2889609B2 (ja) 炭酸水製造供給装置
USRE37499E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JP4139946B2 (ja) 液体窒素噴霧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