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652A -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 Google Patents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652A
KR20170099652A KR1020160022015A KR20160022015A KR20170099652A KR 20170099652 A KR20170099652 A KR 20170099652A KR 1020160022015 A KR1020160022015 A KR 1020160022015A KR 20160022015 A KR20160022015 A KR 20160022015A KR 20170099652 A KR20170099652 A KR 2017009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member
wall
bottle
additiv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곽석원
김동훈
백창진
최준영
Original Assignee
김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102016002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652A/ko
Publication of KR2017009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는, 병에 첨가된 첨가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납부를 구비하는 제1 수납 부재 및 상기 제1 수납부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된 제 2 수납 부재로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와 상기 제 2 수납 부재는 각각 첨가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공을 구비하는,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를 수용하게 되는 상측 개구를 구비하며, 병에 형성된 병나선부에 대응하는 병마개 나선부를 구비한 고정부를 포함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과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이 정렬되어 연통될 때, 연통된 통로를 통하여 첨가물이 낙하하게 된다.

Description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Bottle Closure For Providing Contents and Bottle Assembl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 내부의 액체에 용해될 액상 또는 분말형태의 소정의 첨가물이 병의 마개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보관되고 있다가 필요한 시점에 병 내부의 액체로 낙하하여 공급되게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통 및 판매되는 대부분의 드링크류 및 음료류는 병에 한 종류의 물질만을 보관 및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드링크류 및 음료류를 마시면서 액체 또는 분말로 된 영양제 등을 혼음하고자 할 경우에는 영양제를 먼저 먹은 후 병에 혼입된 음료를 마시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병에 들어있는 술에 매실 추출물이나 레몬, 양주 또는 술을 덜 취하게 하는 액체 음료 등을 혼합하여 마시고자 할 때에도 병 속으로 매실 추출물 등을 투입하거나 주전자에 술을 옮긴 후 술이 든 주전자에 매실 추출물을 등을 투입하여 음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물을 병속의 음료에 낙하시켜 첨가물을 공급하는 병마개가 제공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병마개의 경우, 병목 내부의 첨가물 수용부에 수용된 첨가물이 병마개를 개방함과 동시에 병마개가 구성된 개폐부가 상승되어 첨가물이 병 내부 음료에 낙하되어 음료에 혼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병마개는 병의 병목에 구성되고 내부가 중공인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외주연에 수용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플랜지와, 상기 수용부의 저부에 수용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수용저부와, 상기 수용저부의 중앙에 관통된 유출공이 구성된 첨가물 수용부와, 상기 별의 명복 외부에 결합되는 마개결합부와, 상기 마개결합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마개결합부의 상부면을 밀폐하는 마개상부와, 상기 마개상부면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내부 중앙에 원주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성되는 병마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병마개가 개방되면 개폐부가 유출공을 개방하여 첨가물 수용부에 충진된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병마개의 경우, 첨가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수용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일 뿐이어서 첨가물 수용부 내의 첨가물이 유출공을 통하여 모두 배출되지 않고 그 일부가 첨가물 수용부 내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첨가물의 투여량이 정밀하게 개량되어야 하는 첨가물의 경우 첨가물이 첨가물 수용부에 남게되면 정확한 투여량이 병속으로 낙하하지 않게 되어 첨가물의 계량된 농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가물이 한번 투여되고 난 이후에 첨가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경우, 종전 첨가물과 다른 첨가물을 충진할 경우에는 종전 첨가물과 새롭게 충전되는 첨가물이 혼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가물을 수용하고 있는 챔버가 병마개의 하측 단부의 높이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병이 제대로 세워져 있는 경우에 조차도 첨가물을 투하하고자 하는 시점이 아닌 시점에서도 병 내부에 담겨진 음료의 상부가 첨가물 수용부와 접촉하고 있어서, 첨가물이 음료에 의해 적셔지게 되는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2011-000673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한 내용물 공급 병뚜껑 및 이를 구비한 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는, 병에 첨가된 첨가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납부를 구비하는 제1 수납 부재 및 상기 제1 수납부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된 제 2 수납 부재로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와 상기 제 2 수납 부재는 각각 첨가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공을 구비하는,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를 수용하게 되는 상측 개구를 구비하며, 병에 형성된 병나선부에 대응하는 병마개 나선부를 구비한 고정부를 포함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과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이 정렬되어 연통될 때, 연통된 통로를 통하여 첨가물이 낙하하게 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제 1 수납부재 벽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벽 하측에 배치되는 내측 측면 차폐벽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내측 저면 차폐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로부터 상기 내측 측면 차폐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와 상기 제 1 수납부재는 상보적인 체결부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마개부는, 그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폐쇄 플레이트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의 외주면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폐쇄벽 상기 측면 폐쇄벽의 하측 외주 방향의 마개부 테두리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링부 상기 링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첨가물 공급 병마개는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역회전 방지 돌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수납부재는, 상기 제 1 수납 부재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 상기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의 외측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내측벽에 대하여 이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수납부재 외측 벽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내측벽 하측에 배치되는 외측 측면 차폐벽 및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외측 저면 차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은 상기 외측 측저 차폐부로부터 상기 외부 측면 차폐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의 레그부는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이격부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개부의 레그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 삽입공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수납부재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최종 단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부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최종 단부의 높이보다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병조립체를 병과, 전술한 구성의 첨가물 공급 병마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첨가물 수용부 내부의 첨가물이 병 내부에 투하될 때, 첨가물 수용부 내부에 첨가물이 잔류하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둘째, 계량된 첨가물의 전량이 첨가물 수용부 내부에 남김 없이 배출되므로 액체에 용해될 첨가물의 농도를 의도한 농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병이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첨가물 수용부의 하단부가 병 내부에 채워진 용액의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지 않게 되어 첨가물이 의도하지 않게 용액에 의해 적셔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첨가물이 충진된 상태의 병마개를 테이블에 놓거나 적재시에 첨가물 수용부의 하단부가 병마개의 테두리부의 하단부 아래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첨가물 수용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병마개를 수직하게 적재시에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한번 사용된 병마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잔류 첨가물과 새로운 첨가물이 섞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손잡이를 돌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첨가물을 병 내부의 용액과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일곱째, 첨가물이 충진된 병마개만을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병 조립체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덟째, 병마개의 전체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서도 첨가물 수용부의 개방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서, 짧은 시간에 첨가물을 용액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아홉째, 첨가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다수개이므로, 병 내부의 용액의 수면의 다수의 곳에 동시에 첨가물을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첨가물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열번째, 첨가물이 첨가물 수용부에 수납되어 있는 동안에는 차폐부재가 오버랩되어 첨가물의 투하 경로를 차단하게 되어 첨가물이 의도하지 않게 투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한번째, 병마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병마개 제조 및 판매자 입장에서 기존에 판매된 병마개 이외에도 추가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병의 상측 병개구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가 고정되는 병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첨가물 공급 병마개의 마개부를 하측에서 올려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수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 2 수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 2 수납 부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마개부의 레그부와 고정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를 구비한 병조립체에서 첨가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병의 상측 병개구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가 고정되는 병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는 용액이 담겨지게 되는 병(200)의 병개구(220)의 주변부에 형성된 병 나선부(210)와 상보적인 나선부를 가져서 병개구를 폐쇄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100)는, 병에 첨가된 첨가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된 마개부(110)와, 상기 마개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납부를 구비하는 제1 수납 부재(130) 및 상기 제1 수납부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된 제 2 수납 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와 상기 제 2 수납 부재(150)는 각각 첨가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공(140, 16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100)는 상기 제2 수납부재(150)를 수용하게 되는 상측 개구(179)를 구비하며, 병에 형성된 병나선부(210)에 대응하는 병마개 나선부(174)를 구비한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 및 제 2 수납 부재(150)가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140)과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160)이 정렬되어 연통될 때, 첨가물 수납부(131)에 수납되어 있던 첨가물이 개방공(140, 160)에 의해 형성된 연통된 통로를 통하여 낙하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마개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마개부(110)는 그 최상측에 배치되는 원형의 상부 폐쇄 플레이트(114)와,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114)의 외주면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폐쇄벽(112)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114)와 상기 측면 폐쇄벽(1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 페쇄벽(112)은 소정의 외경(D112out) 및 소정의 내경(D112in)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개부(110)는 상기 측면 폐쇄벽(112)의 하측 외주 방향의 마개부 테두리면(1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116a, 116b, 116c)를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예시적으로 상기 마개부(110)는 120도의 각도 간격으로 제 1 레그부(116a), 제 2 레그부(116b) 및 제3 레그부(116c)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마개부(110)는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114)의 하면에 배치되어 돌출되는 링부(117)를 구비하며, 상기 링부(117)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리브(119a, 119b, 119c, 119d)를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예시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90도 각도 간격으로 제 1 체결 리브(119a), 제 2 체결 리브(119b), 제 3 체결 리브(119c), 및 제 4 체결 리브(119d)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110)와 상기 제 1 수납부재(130)는 상보적인 체결부를 각각 구비하는데, 상기 마개부(110)의 체결리브(119a, 119b, 119c, 119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납 부재(130)에 형성된 홈(134a, 134b, 134c, 134d)와 맞물려서 상보적인 체결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홈에 대한 구조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첨가물 공급 병마개(100)의 마개부(110)는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113)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역회전 방지 돌기(118a, 118b, 118c)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역회전 방지 돌기(118a, 118b, 118c)는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113)으로부터 인접한 레그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역회전 방지 돌기와 인접한 레그부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 2 수납부재(150)의 스페이서(155a, 155b, 155c)의 원주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제 1 수납 부재(130)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며 소정의 내경(D132in) 및 소정의 외경(D132out)으로 형성된 제 1 수납부재 벽(132)과, 상기 제 1 수납 부재(132)의 벽 하측에 배치되는 내측 측면 차폐벽(138) 및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내측 저면 차폐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납부재 벽(132)와 상기 내측 측면 차폐벽(138) 사이에는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된 제 1 수납 부재 가이드 경사면(136)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의 제 1 수납부재 벽(132)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예를 들어 90도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홈(134a, 134b, 134c, 134d)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마개부(110)의 체결 리브(119a, 119b, 119c, 119d)에 각각 대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의 개방공(140)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139)로부터 상기 내측 측면 차폐벽(138)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방공(140)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139)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예를 들어 2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139)는 개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39l) 및 내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39t)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39l)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39t)는 각각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39l)는 내측 측면 차폐벽(138)의 내측 측면 차폐벽 리딩부(138l)와 완만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39t)는 내측 측면 차폐벽(138)의 내측 측면 차폐벽 트레일링부(138t)와 완만하게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납 부재(130)의 상측부는 상기 마개부(110)의 하측의 개구로 삽입되어 상기 마개부(110)의 체결 리브(119a, 119b, 119c, 119d)는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의 제 1 수납부재 벽(132)에 형성된 홈(134a, 134b, 134c, 134d)에 체결되게 된다.
상기 마개부(110)와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재 벽(132)의 내경(D132in)은 상기 마개부(110)의 링부(117)의 외경(D117out)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수납부재 벽(132)의 외경(D132out)은 상기 마개부(110)의 측면 폐쇄벽(112)의 내경(D112in)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2의 제 2 수납 부재(150)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제 2 수납 부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고하면, 상기 제 2 수납부재(150)는,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154), 및 상기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154)의 외측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55a, 155b, 155c)에 의해 상기 제 2 수납 부재(150)의 내측벽(154)에 대하여 빈 공간인 이격부(155)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수납부재 외측 벽(152)을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의 개수는 상기 마개부(110)의 레그부의 개수에 대응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110)가 3개의 레그부(116a, 116b, 116c)를 가진다면, 상기 제 2 수납부재(150)는 3개의 스페이서(155a, 155b, 155c)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제 2 수납부재(150)는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내측벽(154) 하측에 배치되는 외측 측면 차폐벽(158) 및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외측 저면 차폐부(15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납부재 내측벽(154)와 상기 외측 측면 차폐벽(158) 사이에는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된 제 2 수납 부재 가이드 경사면(156)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수납 부재 가이드 경사면(156)는 상기 제 1 수납부재 가이드 경사면(13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납부재 외측벽(152)의 표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15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 2 수납부재 외측면(152)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수납 부재(150)의 개방공(160)은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159)로부터 상기 내측 측면 차폐벽(158)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방공(160)은 상기 제1 수납부재(130)의 개방공(140)와 대응되도록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159)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예를 들어 2개 형성된다.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159)는 개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59l) 및 외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59t)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59l)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59t)는 상기 제 1 수납부재(130)의 내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39l) 및 내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39t)와 대응되도록 각각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 리딩부(159l)는 외측 측면 차폐벽(158)의 외측 측면 차폐벽 리딩부(158l)와 완만하게 연장되며,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 트레일링부(159t)는 외측 측면 차폐벽(158)의 외측 측면 차폐벽 트레일링부(158t)와 완만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 1 수납 부재(130)가 상기 제 2 수납 부재(150)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재 벽(132)의 외경(D132out)은 상기 제 2 수납부재(150)의 내측 벽(154)의 내경(D154in)보다 작게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110)의 각 레그부는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이격부(155)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수납부재(130)의 개방공(140)와 제 2 수납부재(150)의 개방공(160)이 일치되도록 정렬될 때, 첨가물이 각 개방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 1 수납부재(130)의 개방공(140)와 제 2 수납부재(150)의 개방공(160)이 완전히 서로 오정렬될 경우에는 첨가물이 각 개방공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개방공이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는 첨가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내측 측면 차폐벽(138) 및 내측 저면 차폐부(139)의 내측 표면적의 합은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14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납부재(150)의 외측 측면 차폐벽(158) 및 외측 저면 차폐부(159)의 내측 표면적의 합은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16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차폐 역할을 하는 부재의 내측 표면적은 개방되는 공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수납부재(130)와 제 2 수납부재(150)의 개방공의 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방공이 폐쇄된 경우 제 1 수납부재의 내측 저면 차폐부와 제 2 수납부재의 외측 저면 차폐부는 일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내측 측면 차폐벽과 제 2 수납부재의 외측 측면 차폐벽도 일부가 오버랩되어 첨가물의 밀봉 성능이 향상된다.
도 7은 도 2의 고정부(170)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7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170)는 중앙에 고정부 개구(179)를 구비한 원통형 형상의 고정부 측면(172)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170)는 상기 마개부(110)의 하나 이상의 레그부(116a, 116b, 116b)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 삽입공(176a, 176b,176c)을 상측 외주면(177u)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 개구(179)의 주변에는 고정부 가이드면(17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 수납부재(150)가 상기 고정부 개구(179)를 통하여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 가이드면(175)의 내경(D175in)은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하부 구조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납부재(150)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최종 단부인 외측 저면 차폐부(159)의 수직 위치는 상기 고정부(170)의 측면(172)이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최종 단부의 수직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제2 수납부재(150)의 하측 구조물 일부가 고정부(170)의 측면의 하단부 보다 더 아래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첨가물 제공 병마개(100)를 병에 체결하기 전 세워두었을 경우 제 2 수납부재가 바닥에 접촉하지 않고 고정부의 측면이 바닥에 접촉하게 되므로 혹시라도 첨가물이 바닥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병마개를 세로로 서로 적층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2의 마개부(110)와 고정부(170)이 서로 고정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마개부(110)의 측면 폐쇄벽(112)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 예를 들어 제3레그부(116c)는 가 하측 단부에 경사면을 가진 제 3 이탈 방지부(116cp)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이탈 방지부(116cp)의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는 제 3 이탈 방지 턱(116cps)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의 측면(172)의 상측 외주면(177u)에는 제 3 레그 삽입공(176c)가 형성되되, 상기 제 3 레그부(116c)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단 삽입공(176c)에 제 3 레그부(116c)가 삽입되면, 마개부와 고정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이탈 방지턱(116cps)에 대응되는 고정부 걸림턱(176cs)가 레그 삽입공 내에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공급 병마개(100)가 병(200)에 결합되어 병조립체를 형성한 구성을 개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납부재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과 제 1 수납부재의 개방공이 정렬되어 첨가물이 낙하할 수 있는 연속적인 통로가 형성되고, 이어서 첨가물(C)은 병(200) 내부에 채워져 있는 용액(W)에 투입되어 용해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수납부재(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수납부재(150)의 이격부(155)를 관통하여 있는 마개부(110)의 레그부(116a, 116b, 116c)는 제 2 수납부재(150)의 스페이서(155a, 155b, 155c)에 걸려서 회전이 정지되게 되고 이 시점이 제 1 수납부재와 제 2 수납부재의 각각의 개방공이 정렬되어 일치하게 됨으로써 개방공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가 최대 개방되는 시점이 된다. 한편, 마개부(110)의 테두리면(113)에는 역회전 방지돌기(118a, 118b, 118c)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역회전 방지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스페이서(155a, 155b, 155c)가 통과할 수는 있지만 스페이서는 상기 레그부에는 걸리게 되며, 이후 역회전 방향으로 제 2 수납부재의 외측벽(152)를 회전시키려고 하면 상기 역회전 방지 돌기의 턱이 스페이서에 걸려서 제 2 수납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되어 개방공을 다시 폐쇄할 수는 없게 되어 재사용이 방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병마개 110: 마개부
112: 측면 폐쇄벽 114: 상부 폐쇄 플레이트
116a, 116b, 116c: 레그부
118a, 118b, 118c: 역회전 방지돌기
113: 마개부 테두리면 117: 링부
119a, 119b, 119c: 체결리브 130: 제 1 수납부재
131: 첨가물 수납부 132: 제 1 수납부재 벽
136: 제 1 수납부재 가이드 경사면
138: 내측 측면 차폐벽 139: 내측 저면 차폐부
140: 제 1 수납부재 개방공 150: 제 2 수납부재
152: 제 2 수납부재 외측벽 154: 제 2 수납부재 내측벽
160: 제 2 수납부재 개방공 170: 고정부
172: 고정부 측면 174: 병마개 나사부
175: 고정부 가이드면 179: 상측 개구
200: 병

Claims (14)

  1. 병에 첨가된 첨가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납부를 구비하는 제1 수납 부재 및 상기 제1 수납부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된 제 2 수납 부재로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와 상기 제 2 수납 부재는 각각 첨가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공을 구비하는,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를 수용하게 되는 상측 개구를 구비하며, 병에 형성된 병나선부에 대응하는 병마개 나선부를 구비한 고정부를 포함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납 부재 및 제 2 수납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과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이 정렬되어 연통될 때, 연통된 통로를 통하여 첨가물이 낙하하게 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제 1 수납부재 벽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벽 하측에 배치되는 내측 측면 차폐벽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내측 저면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은 상기 내측 저면 차폐부로부터 상기 내측 측면 차폐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와 상기 제 1 수납부재는 상보적인 체결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그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폐쇄 플레이트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의 외주면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폐쇄벽
    상기 측면 폐쇄벽의 하측 외주 방향의 마개부 테두리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
    상기 상부 폐쇄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링부
    상기 링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역회전 방지 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마개부 테두리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 부재는,
    상기 제 1 수납 부재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
    상기 제 2 수납부재 내측 벽의 외측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내측벽에 대하여 이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수납부재 외측 벽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내측벽 하측에 배치되는 외측 측면 차폐벽 및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저부에 배치되는 외측 저면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은 상기 외측 저면 차폐부로부터 상기 외측 측면 차폐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의 레그부는 상기 제 2 수납 부재의 이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개부의 레그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재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부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높이보다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내측 측면 차폐벽 및 내측 저면 차폐부의 내측 표면적의 합은 제 1 수납 부재의 개방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납부재의 외측 측면 차폐벽 및 외측 저면 차폐부의 내측 표면적의 합은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개방공과 제 2 수납부재의 개방공의 면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공급 병마개.
  14. 제1항의 첨가물 공급 병마개를 포함하는 병조립체.
KR1020160022015A 2016-02-24 2016-02-24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KR20170099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15A KR20170099652A (ko) 2016-02-24 2016-02-24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15A KR20170099652A (ko) 2016-02-24 2016-02-24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52A true KR20170099652A (ko) 2017-09-01

Family

ID=5992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15A KR20170099652A (ko) 2016-02-24 2016-02-24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6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075B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9102441B1 (en) Compartmentalized dispens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20060096942A1 (en) Stackable bottle system
US201201683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US20120223100A1 (en)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KR101749699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170037886A (ko) 범용 병마개
US8752738B2 (en) Dispenser and methods
US9284102B2 (en) Dispenser and methods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US7562770B1 (en) Drink holder
KR20170099652A (ko) 첨가물 공급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조립체
US20170225832A1 (en) Retainable scoop and container
KR100569199B1 (ko) 혼합 용기
US11745913B1 (en) Multi-compartment liquid beverage container assembly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EP2476627A1 (en) Nozzle arrangement fixed on a container
KR101398750B1 (ko)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