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199B1 -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199B1
KR100569199B1 KR1020040007562A KR20040007562A KR100569199B1 KR 100569199 B1 KR100569199 B1 KR 100569199B1 KR 1020040007562 A KR1020040007562 A KR 1020040007562A KR 20040007562 A KR20040007562 A KR 20040007562A KR 100569199 B1 KR100569199 B1 KR 10056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additive
receiv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371A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주)일렉콤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04000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199B1/ko
Priority to PCT/KR2005/000363 priority patent/WO2005075318A1/en
Priority to US10/588,362 priority patent/US20070119727A1/en
Publication of KR2005007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1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한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으며,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또 다른 용기와 결합되어, 내용물과 첨가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00)와, 일측은 연결부재(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302)을 갖는 수용부재(300)와, 수용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302)이 연결부재(200)를 통해 용기(10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연통수단과, 수용부재(300)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302)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430)가 형성되는 커버부재(400)와, 커버부재(400)의 출구(430)를 개폐하는 상부캡(500)으로 구성되는 혼합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첨가물과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하게 되고, 수용공간내에 일정량의 첨가물을 보유시켜 유통가능하여 첨가물의 패키지화는 물론 혼합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혼합용기, 첨가물, 내용물, 수용부재, 연결부재

Description

혼합 용기{mixing bott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실시예의 연통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상부캡과 커버부재의 다른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5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5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6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6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7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8실시예의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9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0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0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0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110: 주입구
200: 연결부재 210: 외부캡
220: 내부캡 222: 연통공
230: 연결부 232: 걸림홈
300: 수용부재 310: 제 1돌출부
312: 걸림턱 320: 제 2돌출부
322: 배출공 400: 커버부재
410: 커버부 420: 끼움홈
430: 출구 500: 상부캡
520: 연결편
본 발명은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으며,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또 다른 용기와 결합되어 내용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과 첨가물이 혼합되며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피 또는 소다수등과 같은 탄산음료는 밀폐용기에 보관되어 판매되거나 또는 영업장에서 일회용 용기를 이용하여 판매되고 있다. 최근들어 이러한 음료들은 취향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물을 넣어 음용하게 된다. 예를들면, 커피는 그 위에 아이스크림 또는 생크림 등 취향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선 택하여 음용하고, 소다수 등 또한 아이스크림과 함께 음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이 커피 또는 소다수 등과 같은 주재료에 첨가물을 넣어 음용하는데 있어 많은 제한이 뒤따르고 있었다. 즉,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음료제품은 밀폐된 용기내에 보관되어 판매되므로 첨가물을 넣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커피 판매전문점 등에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판매자가 현장에서 선택된 첨가물을 임의의 량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주입량의 차이로 인해 매번 맛이 다르거나 또는 음용할 수 없게 되는 등 소비자의 취향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혼합하고자 하는 첨가물질을 일정량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내용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결합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수용공간이 개방되도록 하여 첨가물과 내용물 간의 교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혼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혼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첨가물을 용기에 내장토록 함으로써 첨가물의 다양화에 의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함과 동시에 첨가물 혼합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일측은 연결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연결부재를 통해 용기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연통수단과,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된 혼합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주입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는 외부캡과, 외부캡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로 압입되며 저면에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캡과, 그리고 외부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하부에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에 의해 연결부로부터 이탈이 제한되는 제1 돌출부가 구성되고, 제 1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캡으로 삽입되며 저면에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주입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는 외부캡과, 외부캡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여 용기내로 삽입되며 저면 및 측면에 각각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캡과, 그리고 외부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하부에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에 의해 연결부로부터 이탈이 제한되는 제1 돌출부가 구성되고, 제 1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캡으로 삽입되며 저면 및 측면에 각각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돌출부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통수단은, 수용부재의 제2돌출부와 연결부재의 내부캡이 축방향으로 면접촉토록하고, 그 면접촉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통공 및 배출공이 수용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호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단벽이 설치되고, 차단벽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재 및 커버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고르게 분포된다.
상기 수용부재내에는 제 1돌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관이 일체로 구성되고, 안내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은 별도로 구성하여 수용부재의 제 1돌출부의 내측에 나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캡은 출구에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캡은 출구에 끼워맞춤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캡은 연결편에 의해 수용부재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하부차단판과, 그리고 하부차단판의 중심에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개폐판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일측 내주 연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연결부재에 분리 방지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되, 내부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상부차단판이 형성되고, 상부차단판의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개폐판이 일체로 구성된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된 혼합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되며, 수용부재의 상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되며, 수용부재의 상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개폐판은 하부차단판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양단 및 측면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개폐판은 상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양단 및 측면에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개폐판의 상부에는 상부개폐판의 배출공으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개폐판은 하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개폐판은 상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개폐판의 외표면과 면 접촉하도록 하는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수용부재의 회전시 연통공 및 배출공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그리고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중심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된 혼합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용기의 주입구에 압입되는 내부캡이 형성되고, 내부캡의 단부에는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의 적어도 두 개의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일측 내주연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연결부재에 분리 방지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되, 내부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각견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된 혼합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연통공 및 배출공은 등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부채꼴 형태의 구멍으로 구성되어 수용부재의 회전시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연통공중 적어도 하나에는 및 배출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이 돌출 구성된다.
상기 배출공중 적어도 하나에는 및 연통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이 돌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고 같다.
도 1 내지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는데, 도1은 전체구성을 보인 분리상태의 단면도이고, 도2는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3은 연통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00)와, 일측은 연결부재(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302)을 갖는 수용부재(300)와, 수용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302)이 연결부재(200)를 통해 용기(10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연통수단과, 수용부재(300)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302)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430)가 형성되는 커버부재(400) 및 커버부재(400)의 출구(430)를 개폐하는 상부캡(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주입구(110)의 숫나사(112)에 결합되는 암나사(212)를 갖는 외부캡(210)과, 이 외부캡(21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캡(220)을 포함한다. 내부캡(220)은 상기 주입구(110)로 압입되는 것으로 저면에 연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200)는 외부캡(21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환형의 걸림홈(232)이 형성되는 연결부(23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300)는 내부에 수용공간(302)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수용부(304)로 이루어지며, 수용부(304)의 일측(도면상 상부)은 개방되고, 그 반대측 즉,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230)에 결합되는 제 1돌출부(310)가 구성되고, 제 1돌출부(31)의 주연에는 상기 걸림홈(232)에 결합하는 환형의 걸림턱(312)이 돌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돌출부(310)로부터 축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내부캡(220)으로 삽입되는 제 2돌출부(3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 2돌출부(320)의 저면에는 상기 연통공(222)과 대응하는 배출공(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수단은 수용부재(300)의 제 2돌출부(320)와 연결부재(200)의 내부캡(220)이 축방향으로 면접촉토록하고, 그 면접촉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통공(222) 및 배출공(322)이 수용부재(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호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통공(222) 및 배출공(322)은 수용부재의 회전위치에 상호 어긋나거나 또는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과 첨가물의 혼 합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400)는 반구형의 커버부(410)로 구성되며, 커버부(410)의 하단 주연에 상기 수용부재(300)의 개방단에 결합하는 끼움홈(420)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중앙부에는 관형태로 연장돌출되는 출구(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구(430)에는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캡(500)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캡(500)은 출구(430)에 끼워맞춤결합하도록 구성하여 개폐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캡(50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편(520)에 의해 커버부재(400)에 일체로 구성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연결편(520)은 손잡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용기전체의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상부캡(5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구(430)에 나사결합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이때 연결편은 이용코저 할때에는 상부캡이 연결편에 대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의 내측에 차단벽을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차단벽(440)은 출구(430)인접부에 스트로우 등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444)이 형성되고, 면상에는 복수의 구멍(4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용기본체를 기울였을 때 아이스크림 등의 첨가물이 일시에 쏟아지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내용물과 첨가물의 접촉지간을 지연시켜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4는 누설방지를 위한 위한 시일편이고, 314는 시일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돌출부(310)를 연결부(230)에 압입하면 걸림턱(312)이 걸림홈(312)에 걸리게 되고, 이때 회전은 가능하며 축방향 이동은 제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공간(302)에는 아이스크림 등의 첨가물이 충진되고, 커버부재(400)가 닫혀지고, 상부캡(500)이 출구(4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첨가물이 수용공간(302)내에 충진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소비자는 별도로 구입된 내용물이 들어있는 음료용기의 캡을 제거한 후에 외부캡(210)을 용기의 주입구(11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도 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연통공(222)과 배출공(322)은 상호 어긋나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기(100)를 거꾸로 하여도 용기내에 보관되어 있는 커피 또는 소다수 등의 내용물은 수용공간(302)측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부재(300)를 회전시켜 연통공(222)과 배출공(322)을 일치시키면, 비로서 용기의 내부는 첨가물 수용공간(302)과 연통되어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캡(500)을 열고, 용기를 거꾸로 하게되면 내용물이 출구로 토출되어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은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첨가물을 녹이며 혼합된 상태로 토출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맛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는 위의 작동설명에서 수용공간(302)내에 첨가물이 혼합된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첨가물이 없는 상태로 판매된후 사용자가 직접 취향에 따라 첨 가물을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는 혼합용기를 용기(100)에 결합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수용부재(300)로부터 커버부재(40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 및 등가의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예상되는 사항 즉, 내용물이 수용부재(300)로 유입된 직후 자중에 의해 곧바로 수용부재의 내벽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인해 첨가물과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아이스크림등의 첨가물이 내용물에 충분히 녹아들지 않게 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재(300) 및 커버부재(400)의 내주면에는 각각 다수의 돌기(330)(412)가 고르게 분포된다. 돌기(330)(412)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내용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데 바람직하며, 또한 가능한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이 수용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내로 유입된 후 돌기(330)(412)들에 의해 흐름 저항을 받게 되므로 수용공간(302)에서 보다 긴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어 첨가물과의 접촉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내용물과 첨가물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3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을 갖는다.
상기 수용부재(300)내에는 제 1돌출부(31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관(340)이 일체로 구성된다. 안내관의 단부는 반구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다다. 또한, 안내관(340)에는 전체면에 걸쳐 다수의 분사공(342)이 고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3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이 안내관(340)을 따라 이동하며 첨가물의 중심부에서 토출되어지므로 내용물이 첨가물과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첨가물이 내용물에 충분하게 녹아들게 된다.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4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안내관을 형성함에 있어 사출작업의 곤란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따르면, 안내관(340)은 독립구성되고, 제 1돌출부(310)의 내면에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수용부재(300)에는 제 1돌출부(310)의 내면에 암나사(316)를 형성하고, 원통형의 안내관(340)의 개방단에 상기 암나사(316)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344)를 형성하고, 전체면에 걸쳐 면상에 다수의 분사공(3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4실시예에서는 안내관(340)을 별도로 성형하여 제 1돌출부(310)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증가하는 단점은 있으나, 성형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안내관(340)은 제 1돌출부(310)와 나사결합이 아닌 다른형태 즉, 억지끼워맞춤형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도 8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5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9에는 그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내부캡을 길게 구성하여 내용물의 토출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내부캡(220)이 외부캡(21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110)를 통과하여 용기(100)의 내부까지 연장구성되어 있다. 내부캡(220)의 단부에는 각각 저면연통공(222)과 측면연통공(223)이 형성된다. 또한, 제 2돌출부(320)는 상기 내부캡(220)으로 삽입되며 단부에 상기 저면연통공(222)과 측면연통공(223)에 대응하는 저면배출공(322) 및 측면배출공(3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5 실시예에서는 내부캡(220) 및 제 2돌출부(320)가 연장되어 용기(100)내부로 충분히 깊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연통공(222) 및 배출공(322)을 측면에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용물의 토출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공 및 배출공 또한 수용부재(300)이 회전에 의해 상호 연통되거나 또는 어긋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6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11에는 그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로우 등을 삽입하여 음용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고, 내용물과 첨가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연결부재(200)가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40)를 갖으며, 체결부(24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25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지지부(250)내에는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하부차단판(260)이 일체로 구성된다. 하부차단판(260)의 중심에는 연통공(272)이 형성된 하부개폐판(27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부재(300)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재(300)는 일측 내주연에 상기 걸림턱(252)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352)에 의해 연결부재(200)에 축방향 이동은 제한되며 회전은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수용부재(300)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302)을 갖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상부차단판(360)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부차단판(360)의 중심에는 배출공(372)이 형성된 상부개폐판(37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차단판(260)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되고, 수용부재(300)의 상부차단판(360)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개폐판(270)은 하부차단판(260)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연통공(272)은 축방향 단부 뿐만아니라 측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개폐판(270)은 상부차단판(36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연통공(272)과 대응하도록 양단 및 측면에 배출공(37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개폐판(260)의 상부에는 상부개폐판(360)으로 삽입되는 연장부(274)가 구성되어 내용물이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4는 누설방지를 위한 위한 시일편이고, 254는 시일링이다.
이러한 제 6실시예에서는 연통공(272) 및 배출공(372)이 주입구(110) 및 출구(430)와 동축상에 형성되므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S)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스트로우(S)삽입 깊이에 따라 내용물 또는 첨가물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스트로우를 깊게 넣으면 용기(100)내의 내용물 즉, 소다수 또는 커피 등을 마시게 되는 반면, 깊이를 낮게 하면 수용공간에 보유된 아이스 크림과 함께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6실시예는 연통공(272)과 배출공(372)이 항시 개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혼합용기만의 판매에 적합하며, 수용공간에 첨가물을 수용시켜 판매할 경우에는 체결부(240)에 마개를 제공하거나 또는 스티커등으로 밀폐시키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차단판(260)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하고, 수용부재(300)의 상부차단판(360) 또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성하여 하부차단판(260)과 상부차단판(360)이 면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예상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7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하부개폐판 및 상부개폐판 각각 연통공 및 배출공을 형성하여 수용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들이 상호 연통되거나 어긋나게 하여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고, 내용물과 첨가물의 혼합을 효과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하부개폐판(270)에는 하부차단판(26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반구형으로 구성된다. 하부개폐판(270)상에는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통공(27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개폐판(370)에는 상부차단판(36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개폐판(270)의 외표면과 면접촉하도록 하는 반구형으로 구성된다. 상부개폐판(370)에는 상기 연통공(272)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37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7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에 회전위치에 따라 연통공(272) 및 배출공(372)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고, 연통부가 첨가물의 중앙부에 구성되므로 내용물이 첨가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8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수용부재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수용부재(600)는 암나사(612)가 형성되어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체결부(610)를 갖는다. 체결부(61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620)내에는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중심에 연통공(642)이 형성되는 차단판(63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연통공(642)은 차단판(630)의 중앙부에 반구형 돌출부(640)를 구성하여 그 주연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8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서, 연통공(642)이 항시 개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혼합용기 만의 판매에 적합하며, 수용공간에 첨가물을 수용시켜 판매할 경우에는 체결부(610)에 마개를 제공하거나 또는 스티커 등으로 밀폐시키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9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수용부재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됨가 동시에 내부캡을 더 포함하여 시일효과를 높힐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640)의 내측에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압입되는 내부캡(650)이 형성되고, 내부캡(650)의 단부에는 다수의 연통공(6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9실시예에서는 내부캡(650)이 주입구(110)에 압입되므로 양호한 시일성능이 보장되며, 내부캡(650)의 단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스티커마개를 부착한 상태로 유통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스티커를 떼어내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 10실시예의 구성이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16에는 분리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7에는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는 보다 신속한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며, 수용부재의 회전에 따른 개폐동작을 효과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연결부재(200)는 용기(100)의 주입구(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40)를 갖는다. 체결부(24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25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250)가 구성되며, 지지부(250)의 단부에는 하부차단판(260)이 일체로 구성된다. 하부차단판(260)에는 축방향 중심 둘레에 등 간격의 적어도 두 개의 연통공(26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재(300)는 내부에 양측이 개방되는 수용공간(302)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수용부(350)로 구성되며, 수용부(350)의 일측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턱(252)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3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34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02)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상부차단판(360)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부차단판(360)에는 상기 연통공(262)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각견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3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262) 및 배출공(362)은 등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부채꼴형태의 구멍으로 구성되어 수용부재(300)의 회전시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262)에는 적어도 하나에는 및 배출공(362)으로 삽입되는 걸림편(262a)이 돌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362)중 적어도 하나에는 및 연통공(262)으로 삽입되는 걸림편(362a)이 돌출 구성되어 있다. 걸림편은 연통공(262) 또는 배출공(362)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만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0실시예에서는 연통공(262) 및 배출공(362)이 충분히 크게 구성되므로 첨가물과 내용물간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상의 실시예들 사이의 호환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단순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치환에 의한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캡을 갖는 커버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를 용기에 결합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을 용기의 수용공간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첨가물과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하게 되고, 수용공간내에 일정량의 첨가물을 보유시켜 유통가능하여 첨가물의 패키지화는 물론 혼합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3)

  1. (삭제)
  2.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일측은 연결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연결부재를 통해 용기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연통수단과,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주입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는 외부캡과, 외부캡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로 압입되며 저면에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캡과, 그리고 외부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하부로 돌출되며 주연에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을 갖는 제1 돌출부가 구성되고, 제 1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캡으로 삽입되며 저면에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돌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3.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일측은 연결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연결부재를 통해 용기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연통수단과,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주입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는 외부캡과, 외부캡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여 용기내로 삽입되며 저면 및 측면에 각각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캡과, 그리고 외부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하부로 돌출되며 주연에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을 갖는 제1 돌출부가 구성되고, 제 1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캡으로 삽입되며 저면 및 측면에 각각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돌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수단은, 수용부재의 제2돌출부와 연결부재의 내부캡이 축방향으로 면접촉토록하고, 그 면접촉부에 각각 배치되는 연통공 및 배출공이 수용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호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단벽이 설치되고, 차단벽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 및 커버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고르게 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내에는 제 1돌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관이 일체로 구성되고, 안내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제 1돌출부의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암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은 밀폐되며, 전체면에 걸쳐 면상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커버부재의 출구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커버부재의 출구에 끼워맞춤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연결편에 의해 커버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2.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하부차단판과, 그리고 하부차단판의 중심에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개폐판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일측 내주연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연결부재에 분리 방지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되, 내부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상부차단판이 형성되고, 상부차단판의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개폐판이 일체로 구성된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되며, 수용부재의 상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 구성되며, 수용부재의 상부차단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5.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판은 하부차단판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양단 및 측면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개폐판은 상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양단 및 측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판의 상부에는 상부개폐판의 배출공으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7.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판은 하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개폐판은 상부차단판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개폐판의 외표면과 면접촉하도록 하는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수용부재의 회전시 연통공 및 배출공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8.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그리고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중심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용기의 주입구에 압입되는 내부캡이 형성되고, 내부캡의 단부에는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20. 용기의 주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지지부내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축중심 둘레에 등 간격의 적어도 두 개의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일측 내주연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연결부재에 분리 방지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을 갖되, 내부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며 연통공과 대응하도록 축중심 둘레에 등 각견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차단판이 일체로 구성된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수용공간내의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출구를 개폐하는 상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 및 배출공은 등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부채꼴형태로 구성되어 수용부재의 회전시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중 적어도 하나에는 및 배출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이 돌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중 적어도 하나에는 및 연통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이 돌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KR1020040007562A 2004-02-05 2004-02-05 혼합 용기 KR10056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62A KR100569199B1 (ko) 2004-02-05 2004-02-05 혼합 용기
PCT/KR2005/000363 WO2005075318A1 (en) 2004-02-05 2005-02-05 Bottle
US10/588,362 US20070119727A1 (en) 2004-02-05 2005-02-05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62A KR100569199B1 (ko) 2004-02-05 2004-02-05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371A KR20050079371A (ko) 2005-08-10
KR100569199B1 true KR100569199B1 (ko) 2006-04-14

Family

ID=3726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562A KR100569199B1 (ko) 2004-02-05 2004-02-05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688A2 (en) * 2009-05-14 2010-11-18 Nice Reusables, Inc. Reusable containers with clean-seam interface
KR101881756B1 (ko) * 2018-01-02 2018-07-25 (주)아우딘퓨쳐스 화장품 용기
KR20200076787A (ko) * 2018-12-19 2020-06-30 (주)클림 첨가음료 투입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394A (ko) * 2004-04-09 2005-10-13 조영국 혼합 용기
KR100656991B1 (ko) * 2005-12-05 2006-12-14 (주)피스코엔지니어링 내압측정용 병마개
KR100689994B1 (ko) * 2006-01-16 2007-03-08 황재훈 액체용기
WO2010041812A1 (ko) * 2008-10-08 2010-04-15 Lee Sang Jin 혼합 용기
KR101333905B1 (ko) * 2011-12-16 2013-11-27 조명희 막걸리용 교반용구
KR102396260B1 (ko) * 2021-12-09 2022-05-09 최문호 부품 등 운반용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688A2 (en) * 2009-05-14 2010-11-18 Nice Reusables, Inc. Reusable containers with clean-seam interface
WO2010132688A3 (en) * 2009-05-14 2011-03-03 Nice Reusables, Inc. Reusable containers with clean-seam interface
KR101881756B1 (ko) * 2018-01-02 2018-07-25 (주)아우딘퓨쳐스 화장품 용기
KR20200076787A (ko) * 2018-12-19 2020-06-30 (주)클림 첨가음료 투입용 캡
KR102159609B1 (ko) * 2018-12-19 2020-09-28 (주)클림 첨가음료 투입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371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1595C1 (ru) Колпачок для закупоривания ёмкости с жидкостью
KR100571711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1749699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US9102441B1 (en) Compartmentalized dispens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20060108363A1 (en) 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US20060049127A1 (en) Container
US20070119727A1 (en) Bottle
KR10087215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ES2883692T3 (es) Un envase para bebidas con dispensador
KR100569199B1 (ko) 혼합 용기
US20100078436A1 (en) Fluid container with two liquid compartments and two end caps
UA120182C2 (uk) Кришка з камерою для зберігання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KR100602418B1 (ko) 용기마개
WO2006027782A2 (en) Container
KR200495854Y1 (ko) 분리편이 구비된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WO2006055508A2 (en) 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200376968Y1 (ko) 밀폐 용기
KR20050078517A (ko) 용기 마개
KR20060082504A (ko) 용기의 마개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KR200455718Y1 (ko) 리필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