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487A -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487A
KR20170098487A KR1020160020451A KR20160020451A KR20170098487A KR 20170098487 A KR20170098487 A KR 20170098487A KR 1020160020451 A KR1020160020451 A KR 1020160020451A KR 20160020451 A KR20160020451 A KR 20160020451A KR 20170098487 A KR20170098487 A KR 2017009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rol unit
image
projection image
digital wall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정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487A/ko
Publication of KR2017009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2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projection of either still pictures or motion pi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 설치하면 변경이 쉽지 않은 획일적인 벽지 형태에서 벗어나 계절이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IT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용이하게 연동시켜 표현할 수 있으며, 조명 등 인테리어 효과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고, 투사되는 영상을 후면(後面)으로부터 전면(前面)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형 스크린부;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의 후방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DIGITAL WALLPAPER SYSTEM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FOR DIGITAL WALLPAPER}
본 발명은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 설치하면 변경이 쉽지 않은 획일적인 벽지 형태에서 벗어나 계절이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IT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용이하게 연동시켜 표현할 수 있으며, 조명 등 인테리어 효과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란 벽면을 보호하고 장식을 위해 바르는 종이로써, 초배를 한 후 그 위에 정배하고 종이나 천에 여러 가지 무늬를 인쇄한 것이 있으며, 처음부터 벽에 바르기 위해 짠 벽포나 염화비닐시트 등으로도 형성된다.
일반적인 벽지는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가 형성된 원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원지층의 상단에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의 상단에는 무늬, 문양 및 색상을 형성하는 인쇄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벽지는 평면에 다양한 무늬 모양을 인쇄한 단순한 평면적 무늬를 가진 벽지가 대부분이며, 특히 시간이 흐름에 따라 벽지의 무늬가 탈색되기도 하고 환경에 따라 쉽게 오염되었을 때 오염된 벽지를 세척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에 따라 근래에 와서는 입체적인 무늬 형상을 가진 벽지가 개발되어 더욱 고급화된 실내장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급화된 벽지의 경우도, 벽면에 한 번 구비되면 추후 바꾸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획일적인 연출을 유지할 수밖에 없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고 실시간으로 연출할 수 없는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획일적인 벽지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개념으로 벽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2166호(2001.01.26.)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826호(2006.06.19.)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989호(2006.03.09.)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4879호(2009.06.22.)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번 설치하면 변경이 쉽지 않은 획일적인 벽지 형태에서 벗어나 계절이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IT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용이하게 연동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건물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고, 투사되는 영상을 후면(後面)으로부터 전면(前面)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형 스크린부;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의 후방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건물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간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에 외장메모리 연결구가 마련되어 상기 프로젝터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제1 및 제2 관점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벽체에 마련하는 시스템 구성 단계; 제어부에서 직접 읽어들인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원격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판단하는 투사 영상 판단 단계; 및 상기 투사 영상 판단 단계에서 결정된 투사 영상을 프로젝터로 제공하여 투과형 스크린부에서 투영되도록 제어하는 투사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구동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투사 영상의 유지 시간을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주기적으로 교체시키거나 영상의 명암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사 단계는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한 감지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의하면, 획일적인 벽지 형태에서 벗어나 계절이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IT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시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종류 및/또는 명암을 조절함으로써 인테리어적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명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의 구동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고, 투사되는 영상을 후면(後面)으로부터 전면(前面)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120); 상기 프로젝터(120)와 전기 및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프로젝터(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의 후방에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는 반사미러(140); 및 상기 제어부(130)와 연동되도록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는 예를 들면 3M사의 3M™ Vikuiti™ Rear Projection Film (RPF)이 이용될 수 있다. 이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나 투명 재질에 부착될 수 있는 셀프 어드헤시브 필름(self adhesive film)이고, 또한 임의의 형상이 크기에 따라 절단이 용이하다.
상기 프로젝터(120)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과, 음극선관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확대투사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LCD 프로젝터, DLP 프로젝터, LED 프로젝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바람직하게 컴퓨터간 무선 통신(Ad-Hoc) 기능을 갖는 셋톱 박스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50)와 통신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30)는 원격지원이 가능한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단말기(150)와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인보드, 전원, CPU, ROM, RAM, 메모리카드, 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및 무선랜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보드, 전원, CPU, ROM, RAM, 메모리카드, 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및 무선랜카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AP(AccessPoint)가 없이 흩어져 있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노드들끼리 서로 통신을 하는 자율적인 구조의 네트워크로서, 이 구조에서는 중간에서 제어하는 노드가 없으므로 각 노드들은 자신이 가질 수가 있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네트워크에서 통신해야 하고 먼 거리의 노드와의 통신에는 다른 노드들을 경유하여 통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비용(hop수, 전력 등)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구하는 라우팅이 필요하다.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는 노드들끼리의 통신을 통해서 토폴로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지는 거리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된 라우터를 사용하는 방식(정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노드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130)에는 애드혹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환경의 XP 또는 VISTA 이상의 OS가 권장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리눅스, MS 임베디드 OS 등의 다른 OS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어부(130)의 구성 예를 살펴보면, 윈도우즈 XP 또는 VISTA 등의 운영체계와 이에 속한 응용 프로그램 및 투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사용자 단말기(150)와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랜; 상기 하드디스크 및 무선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하드디스크로부터 운영 체계를 판독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판독하여 RGB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젝터(120)에 전송하는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보드; 상기 하드디스크 및 무선랜, 및 상기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는 외장메모리가 접속되어 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프로젝터(120) 및 제어부(13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자체 구동가능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디지털 벽지 시스템에서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150)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반사미러(140)는 전반사 미러로 구성되며, 또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전반사거울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종횡비를 임의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50)는 상기 제어부(1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상기 제어부(130)와 연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과 연동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와 명령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에 있어, 그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하여 벽체의 장착홈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도록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와 프로젝터(120)와 제어부(130) 및 반사미러(140)는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와 프로젝터(120)와 제어부(130) 및 반사미러(140)는 하나의 장치 브라켓에 일체로 구성되어 벽체의 장착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3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오프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의 구동 운용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의 구동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의 구동 운용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벽체에 마련하는 시스템 구성 단계(S100); 제어부에서 직접 읽어들인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원격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판단하는 투사 영상 판단 단계(S200); 및 상기 투사 영상 판단 단계에서 결정된 투사 영상을 프로젝터로 제공하여 투과형 스크린부에서 투영되도록 제어하는 투사 단계(S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투사 영상의 유지 시간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교체되거나 영상의 명암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운용 방법은 상기 투사 단계(S300)에서 투과형 스크린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한 감지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패널(210); 상기 액정패널(210)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0); 및 상기 제어부(220)와 연동되도록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210)은 평판표시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devic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액정패널(210)은 하부기판과,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의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은 원격지원이 가능한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단말기(150)와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인보드, 전원, CPU, ROM, RAM, 메모리카드, 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및 무선랜카드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220)의 구성 예를 살펴보면, 윈도우즈 XP 또는 VISTA 등의 운영체계와 이에 속한 응용 프로그램 및 투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사용자 단말기(230)와 컴퓨터간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랜; 상기 하드디스크 및 무선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하드디스크로부터 운영 체계를 판독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판독하여 RGB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보드; 상기 하드디스크 및 무선랜, 및 상기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에는 외장메모리가 접속되어 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는 상기 제어부(220)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상기 제어부(220)과 연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과 연동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와 명령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그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하여 벽체의 장착홈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도록 액정패널(210)과 제어부(220)은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액정패널(210)과 제어부(220)은 하나의 장치 브라켓에 일체로 구성되어 벽체의 장착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상기 액정패널(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220)으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은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오프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의 구동 운용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만 다를 뿐 동일하게 구동 운용되므로 설명의 간략화 및 명확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에 따르면, 획일적인 벽지 형태에서 벗어나 계절이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IT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시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종류 및/또는 명암을 조절함으로써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투과형 스크린부
120: 프로젝터
130: 제어부
140: 반사미러
150, 230: 사용자 단말기
160, 240: 감지센서
210: 액정패널
220: 제어부
S100: 시스템 구성 단계
S200: 투사 영상 판단 단계
S300: 투사 단계

Claims (7)

  1. 건물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고, 투사되는 영상을 후면(後面)으로부터 전면(前面)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형 스크린부;
    상기 투과형 스크린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의 후방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
  2. 건물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벽체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개방면에 구성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간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에 외장메모리 연결구가 마련되어 상기 프로젝터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디지털 벽지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도로 구성되는
    디지털 벽지 시스템.
  5. 청구항 3에 따른 디지털 벽지 시스템을 벽체에 마련하는 시스템 구성 단계;
    제어부에서 직접 읽어들인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원격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투사 영상을 투사할 것인지 판단하는 투사 영상 판단 단계; 및
    상기 투사 영상 판단 단계에서 결정된 투사 영상을 프로젝터로 제공하여 투과형 스크린부에서 투영되도록 제어하는 투사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벽지 구동 운용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투사 영상의 유지 시간을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주기적으로 교체시키거나 영상의 명암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벽지 구동 운용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사 단계는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한 감지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투사 영상을 온/오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지털 벽지 구동 운용 방법.
KR1020160020451A 2016-02-22 2016-02-22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KR20170098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451A KR20170098487A (ko) 2016-02-22 2016-02-22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451A KR20170098487A (ko) 2016-02-22 2016-02-22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487A true KR20170098487A (ko) 2017-08-30

Family

ID=5976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451A KR20170098487A (ko) 2016-02-22 2016-02-22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4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72B1 (ko) * 2018-04-18 2019-09-05 김재환 전자 벽지 시스템
KR102081746B1 (ko) 2019-02-26 2020-02-26 임성규 비주얼 디지털 장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72B1 (ko) * 2018-04-18 2019-09-05 김재환 전자 벽지 시스템
KR102081746B1 (ko) 2019-02-26 2020-02-26 임성규 비주얼 디지털 장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72166B2 (en) 2019-02-26 2024-04-30 Seongkyu LIM Visual digital decor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2639B2 (ja) 折り畳み式の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TW533744B (en) Information processing miniature devices with embedded projectors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S201601630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thereof
US20150237319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US9992463B2 (en) Alignments for a projection system with a shaped projection screen using alignment content
US20160037144A1 (en)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a non-rectangular projection screen, capable of projection alignment by using alignment marks and method of alignment therefor
US20180246617A1 (en) Transparent interactive touch system and method
WO2019192244A1 (zh) 参数配置方法、装置及显示装置
JP2005173291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08957916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KR20170098487A (ko)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CN104597967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投影方法
US10345689B2 (en) Lighting device
JP2015138084A (ja) 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032469B1 (ko) 블라인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JP4175070B2 (ja) 画像入出力装置、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33385B1 (ko) 제어장치
TW201303835A (zh) 顯示裝置
JP2007225859A (ja) プロジェクタ
KR101347802B1 (ko)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52834A (ko)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트
KR102266790B1 (ko)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JP2016159779A (ja) 画像表示装置
KR20110017029A (ko) 후면 투사형 필름을 이용한 광고 영상 형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