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790B1 -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790B1
KR102266790B1 KR1020210017201A KR20210017201A KR102266790B1 KR 102266790 B1 KR102266790 B1 KR 102266790B1 KR 1020210017201 A KR1020210017201 A KR 1020210017201A KR 20210017201 A KR20210017201 A KR 20210017201A KR 102266790 B1 KR102266790 B1 KR 10226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information
led lighting
pixe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문
Original Assignee
한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문 filed Critical 한종문
Priority to KR102021001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용 인쇄물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 방법은, 광고용 인쇄물의 대상이 되는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dvertising prints}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인쇄물을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에 LED 조명 사용 시 인쇄된 도안이 보다 원 이미지에 가깝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한 광고용 인쇄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물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건물의 일측 또는 통행로에 설치되어, 광고화면 전면에 광고하기 위한 다양한 색상의 글과 이미지를 갖는 광고 도안이 표출되는 것으로 야립 옥외 광고물, 옥상 옥외 광고물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고물은 야간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박스(1)와, 박스 내에 설치되는 조명등(2)과, 박스(1)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는 광고화면(3)으로 구성되어, 박스(1) 내에 설치된 조명등(2)의 발광시, 야간에도 광고화면(3)에 표출된 도안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광고물의 광고화면(2)은 디지털 출력장비를 이용해 플렉스(유연성 원단) 전면에만 도안을 인쇄하거나, 전/후면에 동일한 도안를 인쇄하여 야간에 조명등(2) 발광시, 플렉스 전면에 광고 도안을 인쇄함과 더불어 플렉스 후면에는 전면에 인쇄된 광고 도안의 일부분에 조명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막는 검정색 시트지를 부착하는 블랙아웃(Blackout)기술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광고물은 플렉스 원단의 전면에만 광고도안이 인쇄되어, 조명등이 켜지지 않은 주간이나 야간에도 광고도안이 보이게 되거나, 블랙아웃기술이 적용되어도, 바탕색만 다를 뿐, 주간이나 야간에 동일한 이미지의 광고 도안이 보이는 단조로운 형태여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지 못해 광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발명으로, 조명등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2개의 도안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한 옥외광고물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5228호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5228호에 개시된 옥외광고물은 광고화면의 양면에 서로 다른 광고도안(모양 또는 색상)이 인쇄되어, 주간에 조명등을 작동하지 않을 경우, 광고화면의 전면에 인쇄된 도안이 외부에 표출되어 보이게 되며, 야간에 조명등이 켜지게 되면, 광고화면의 전/후면에 인쇄된 각각의 도안이 서로 오버랩 된 형태로 표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옥외광고물은 야간에 조명등 작동 시, 광고화면 후면에 인쇄된 도안의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보이거나, 도안이 뿌옇게 번져 흐리게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발명으로, 광고화면용 플렉스 원단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다른 형태의 주간표출용 도안과 야간표출용 도안을 1,2차 인쇄하여 옥외광고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1540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1540에 따르면, 광고화면용 플렉스 원단의 후면에 변색방지용 도안이 인쇄된 투명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등 발광시, 플렉스 원단의 후면에 인쇄된 야간표출용 도안이 변색되어 보이지 않고 보다 선명하게 표출됨으로써 광고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발명들에 기반한 종래의 광고물들은, 광고화면용 플렉스 원단의 전면에 표시되는 광고물의 내용 구성이나 각 구성에 입혀지는 색상에 따라 광고물의 어느 일부만 선명하게 나타나거나 또는 다른 일부가 흐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광고화면의 크기에 따라서는 광고물에 사용되는 조명의 크기 또는 조명 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같은 광고물이 인쇄된다 하더라도 사용되는 조명의 크기 또는 조명 강도에 따라 광고물에서 선명하게 나타나는 부분 또는 흐리게 나타나는 부분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즉, 조명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의 색상 변화 등을 예상하기 어려워 본래 의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색상이 나타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 공개번호 20-2013-0002594 / 공개일자 2013년05월02일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이다. 특히 광고용 인쇄물에 넣고자 하는 도안을 우선 이미지 파일화 한 후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 과정을 처리하는 현대의 광고물 제작 방법들에 있어서, 광고용 인쇄물에 사용될 조명의 크기 및 조명 강도 등에 따라 이미지 파일이 어떻게 실제 출력될 것인지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의 기본 단위인 픽셀에 입혀진 색상이 조명의 크기 또는 조명 강도가 얼마만큼 변화하는 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되는 조명 구성에 따른 최적의 도안을 이미지 파일화 하여 출력해 보다 개선된 형태를 갖는 광고용 인쇄물을 제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광고용 인쇄물 제작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광고용 인쇄물의 대상이 되는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의 변화율(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1 픽셀이 가지는 어느 하나의 색상 정보(b)에 대하여: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고,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상기 LED 조명 구성에 적용되는 LED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부분적인 또는 전반적인 색상 변화를 발생시키고,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색상 정보들의 변화율(a)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 및 상기 LED 조명 구성의 적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이 가지는 명도 및 채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의 변화율(a)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대한 고유한 정보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획득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색상에 관련된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은 동일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상기 전자 장치의 UI/UX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에 따라 상기 LED 조명 구성에 적용되는 LED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용 인쇄물이 실제 광고되는 광고판의 LED 조명 구성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processor);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memory)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광고용 인쇄물의 대상이 되는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의 변화율(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1 픽셀이 가지는 어느 하나의 색상 정보(b)에 대하여: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고,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상기 LED 조명 구성에 적용되는 LED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부분적인 또는 전반적인 색상 변화를 발생시키고,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색상 정보들의 변화율(a)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 및 상기 LED 조명 구성의 적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이 가지는 명도 및 채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의 변화율(a)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대한 고유한 정보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획득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색상에 관련된 정보 이외의 나머지 정보들은 동일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상기 전자 장치의 UI/UX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에 따라 상기 LED 조명 구성에 적용되는 LED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용 인쇄물이 실제 광고되는 광고판의 LED 조명 구성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조명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의 색상 변화를 디지털 방식으로 미리 예상하고 보정하여 최적의 광고용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 및/또는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LED 조명 구성을 설정하기 위한 UI/UX 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 구현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물 인쇄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들(1)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각각의 장치에 구현된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전자 장치와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 등의 개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이 사용자 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장치(200)들과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대단위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 (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장치들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일 수 있다.
1.1. 기능적 구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포함된 모듈들은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 사용자 장치(200) 및/또는 인쇄 장치(100))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1.2. 장치 구현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 및/또는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a)의 인쇄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인쇄물 출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나 연결 포트 등일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모듈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출력 모듈은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상술한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모듈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통신부를 이용해 상호 간 통신을 수행하거나, 기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즉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인쇄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음원 마스터링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24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24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의 동작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광고용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구현되는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240)가 인쇄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장치(200)를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쇄물 출력부(250)는 글자 또는 이미지 등 기타 시각화 가능한 각종 정보를 인쇄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 등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 외부 기기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인쇄 장치(100)는 출력부를 이용해 광고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200)도 인쇄 장치(200)와 통신하여 인쇄 장치(100)의 출력부를 이용해 광고물을 출력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2.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반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절의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정의되지 않은 동작, 기능, 용어 등은 제 1 절의 내용들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설명될 수 있다.
2.1 광고용 인쇄물 출력 동작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또는 직접 광고용 인쇄물 관련 정보를 획득한 인쇄 장치(100)가 광고용 인쇄물 출력 동작을 수행함을 전제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장치(200)들 및/또는 복수의 인쇄 장치(100)들이 마련되어, 복수의 사용자 장치(200)들 및/또는 복수의 인쇄 장치(100)들 간에 인쇄물 관련 정보의 송수신 및 인쇄물 출력 동작이 각 동작 별로 분배되어, 별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용 인쇄물 출력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S310에서, 인쇄 장치(100)는 인쇄물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물 관련 정보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물 관련 정보는 인쇄 대상을 나타내는 글자 또는 이미지 등 기타 시각화 가능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 제1 이미지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물 관련 정보는, 상기 인쇄물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이란 특정의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점의 최소 단위를 의미하며, 하나의 파일화 된 이미지 파일은 각기 서로 다른 정보로 구성된 많은 수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픽셀들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셀들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명도 값 및 채도 값 기타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명도 값은 0~100(%) 중 하나의 수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명도 값에 대한 정보는 비트로서 전달될 수 있으며, 0~100까지의 수치를 나타내기 위한 7비트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채도 값은 Red(R), Green(G) 및 Blue(B) 각각에 대하여 0~255 중 하나의 수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채도 값은 R, G 및 B가 갖는 각각의 수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을 위한 R, G 및 B 값은 각각 0~255까지의 수치를 나타내기 위한 8비트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픽셀을 위한 R, G 및 B의 조합을 위해 총 24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이 갖는 색상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명도 값 또는 채도 값 이외의 기타 모든 색상과 관련된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인쇄물 관련 정보는 광고되는 인쇄물에 사용될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는 인쇄물이 실릴 수 있는 광고판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는 설정된 광고판의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LED 조명의 개수, LED 조명의 배치 및/또는 LED 조명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여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LED 조명의 개수, LED 조명의 배치 및/또는 LED 조명의 강도는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에 LED 조명을 배치할 수 있으며, LED 조명의 강도 역시 수치화하여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는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는, 인쇄물이 실제 광고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의 적용은 인쇄물이 실제 실릴 광고판에 사용되는 LED 조명이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쇄물이 실제 광고되는 LED 조명의 구성을 동일하게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로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S320에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수신한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특정의 LED 조명 구성이 입력된다면, 해당 특정의 LED 조명 구성 적용에 따라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등이 어떻게 변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가 제1 이미지 파일에 적용됨에 따라,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각 정보 값이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이 적용되면 명도 값과 채도 값은 증가하며, 기타 색상 정보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즉, LED 조명 구성에 맞춰 LED 모듈들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당 이미지 파일의 밝기를 부분적 또는 전반적으로 변화시킨다면, 변화된 이미지 파일의 픽셀들은 이전과 다른 명도 값, 채도 값 등 기타 색상 정보에 대하여 변경된 정보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는 LED 조명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는 사용되는 LED 조명의 개수, LED 조명의 배치 및/또는 LED 조명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는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정보 변경에 기반한 것일 수 있으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는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변경된 정보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정보 변경은 각 픽셀의 위치, 각 픽셀이 본래 가지고 있던 정보 및 적용되는 LED 조명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이 갖는 0~100까지의 명도 값에 관한 수치는 LED 조명 구성의 적용에 따라 그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명도 값에 관한 수치의 최대값은 100으로서 100을 초과하여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이 50의 명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6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해당 픽셀의 명도 값이 20%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증가분만큼의 수치는 비트로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정보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이 갖는 0~255까지의 각 R, G 및 B의 채도 값에 관한 수치는 LED 조명 구성의 적용에 따라 그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R, G 및 B의 채도 값에 관한 수치의 최대값은 255로서 255를 초과하여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이 (R, G, B) = (100, 100, 0) 조합의 채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120, 120, 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해당 픽셀의 R 및 G 값이 20%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각 R 및 G에 대한 증가분만큼의 수치는 비트로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정보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이 (R, G, B) = (100, 10, 200) 조합의 채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120, 11, 25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해당 픽셀의 R 값이 20%만큼, G 값이 10%만큼, B 값이 25%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각 R, G 및 B에 대한 증가분만큼의 수치는 비트로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정보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시들을 일반화하여, 특정의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제1 픽셀이 포함하는 하나의 색상 정보 값이 a*100(%) 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면, 해당 a 값이 해당 하나의 색상 정보의 변경 값으로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에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 획득은 명도 값 또는 채도 값 등의 색상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는 기타 모든 색상 정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변경된 정보는, 각 픽셀에 대한 고유한 정보로서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S330에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은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적용된 LED 조명 구성에 의한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 파일은 제1 이미지 파일에서 각 픽셀들의 색상 정보 값만 변경되고, 기타 다른 정보는 제1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제1 픽셀이 50의 명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6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제1 픽셀의 명도 값이 20%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20%만큼의 명도 변화는 LED 조명 구성의 영향에 의한 것이므로, 이 때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이를 보정하여 50/1.2=41.667의 명도 값을 갖게 될 수 있다. 즉,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 상 41.667 명도 값은, 해당 LED 조명 구성의 영향을 받는 경우 41.667*1.2=50의 명도 값을 갖는 것으로 보여져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이 갖는 명도 값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이 (R, G, B) = (100, 100, 0) 조합의 채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120, 120, 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해당 픽셀의 R 및 G 값이 20%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R 및 G 값의 20%만큼의 변화는 LED 조명 구성의 영향에 의한 것이므로,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이를 보정하여 100/1.2=83.333의 R 및 G 값을 갖게 될 수 있다. 즉,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83.333, 83.333, 0) 조합의 채도 값을 갖게 되며, 해당 LED 조명 구성의 영향을 받는 경우 83.333*1.2=100의 명도 값을 갖는 것으로 보여져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이 갖는 명도 값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이 (R, G, B) = (100, 10, 200) 조합의 채도 값을 가진 채, LED 조명 구성이 적용되어 이후 (120, 11, 250)의 명도 값을 갖게 되었다면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해당 픽셀의 R 값이 20%만큼, G 값이 10%만큼, B 값이 25%만큼 증가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각 R, G 및 G 값의 변화는 LED 조명 구성의 영향에 의한 것이므로,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이를 보정하여 각 R=100/1.2=83.333, G=10/1.1=9.091, B=200/1.25=160의 조합을 갖게 될 수 있다. 즉,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83.333, 9.091, 160) 조합의 채도 값을 갖게 되며, 해당 LED 조명 구성의 영향을 받는 경우 (83.333*1.2=100, 9.091*1.1=10, 160*1.25=200) 조합의 채도 값을 갖는 것으로 보여져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이 갖는 명도 값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시들을 일반화하여, 특정의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제1 픽셀이 포함하는 하나의 색상 정보 값(b)이 a*100(%) 만큼 증가하였다면,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정보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특정의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제1 픽셀이 포함하는 하나의 색상 정보 값(b)이 a*100(%) 만큼 감소하였다면, 제1 이미지 파일의 제1 픽셀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정보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정보를 보정하는 것은 명도 값 또는 채도 값 등의 색상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는 기타 모든 색상 정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제1 픽셀이 포함하는 하나의 색상 정보 값(b) 및/또는 특정의 LED 조명 구성으로 인한 변경 비율(a)은 각 픽셀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S340에서,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는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출력부에 전송 또는 입력하고,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다. 인쇄 장치(100)는 인쇄 장치 본인이 포함하는 출력부에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200)는 출력부를 갖는 인쇄 장치(100)에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통신의 형태로서 전송하고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제2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0)는 제1 이미지 파일 및 인쇄물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이미지 파일의 생성 및 출력 과정까지 별다른 제어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 장치(100)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는 제1 이미지 파일 및 인쇄물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이미지 파일의 생성 과정까지 별다른 제어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인쇄 장치(100)와 통신되어 있는 경우 출력 과정까지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의 인쇄 장치(100)에 대한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방식,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 등 기타 가능한 모든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된 인쇄물은 광고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된 인쇄물이 실릴 광고판의 LED 조명 구성은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가 기 수신했던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된 인쇄물이 광고판에 실릴 경우 보여지는 이미지의 색상은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과 동일할 수 있다.
2.2 LED 조명 구성 입력 동작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ED 조명 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UI/UX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시는 인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를 위한 UI/UX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LED 조명 구성의 방식은, 특정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실제 LED 조명이 비춰질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이 어떻게 비춰지는 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반영하여 미리 화면 상으로 이미지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 조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변화 방식은, 예를 들면 카메라 또는 스마트 폰의 '필터'에 의한 사진 이미지 변화 방식과 유사한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현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 폰은, 사진 이미지의 색상을 분위기 또는 상황에 맞게 편집하는 툴인 필터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사진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상 변화에 근거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달리, '필터'로서 사진 이미지에 색상, 밝기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포인트인 LED 모듈 구성의 개수, 배치 및 강도 등을 실제 광고판에 사용되는 LED 조명을 고려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광고판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필터' 기능을 사진 이미지 상 부분적 또는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셈이며, 전술한 것처럼 최초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최적의 광고용 인쇄물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내는 데 그 목적, 의의 및 효과가 있다.
LED 조명 구성 동작은, LED 조명 구성을 위한 각 LED 조명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사전에 미리 구성된 형태의 LED 조명 구성들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이미지 파일에서, LED 조명 모듈에 가까운 픽셀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아 색상 변화가 클 것이며, 각 픽셀의 색상 정보는 각 픽셀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의 LED 조명 모듈들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은 광고용 인쇄물의 크기에 따라 미리 일정하게 구성된 복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에 사용될 LED 조명 모듈의 크기는, 실제 광고용 인쇄물의 크기 및 실제 광고판에 사용될 LED 조명 모듈의 크기를 함께 고려하여, LED 조명 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UI/UX 상에서 설정되는 인쇄물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은 광고용 인쇄물의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LED 조명 모듈의 개수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LED 조명 모듈의 개수가 결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은 일반적인 LED 광고에 사용되는 LED 조명 모듈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구성은 LED 조명 모듈의 빛 세기, 즉 강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모듈의 강도는 모든 LED 조명 모듈에 대하여 동일하되, 1~10까지의 수치 범위에 따라 그 세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일 예시들은, LED 조명 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UI/UX에 표시되는 광고용 인쇄물(400) 및 LED 조명 모듈(410)의 형태로서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LED 조명 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UI/UX는 광고용 인쇄물(400)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광고용 인쇄물의 크기는 UI/UX 상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UI/UX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가로 및 세로 등의 인자를 입력하여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실제 광고판의 크기 및 실제 광고용 인쇄물의 크기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LED 조명 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UI/UX는 LED 조명 모듈(41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LED 조명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는 UI/UX 상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UI/UX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LED 조명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를 입력하여 LED 조명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개시된 것처럼 LED 조명 구성은 광고용 인쇄물의 크기 및 LED 조명 모듈 구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등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이와 같은 메모리 또는 컴퓨터를 포함한 차량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processor);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광고용 인쇄물의 대상이 되는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 및 LED 조명 구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LED 조명 구성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보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 변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들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의 변화율(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1 픽셀이 가지는 어느 하나의 색상 정보(b)에 대하여: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고,
    상기 제1 픽셀이 가지는 상기 하나의 색상 정보가 a*100(%) 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제2 픽셀은 b/(1-a)의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갖도록 생성되며,
    상기 LED 조명 구성은, 상기 LED 조명 구성에 적용되는 LED 모듈의 개수, 배치 및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부분적인 또는 전반적인 색상 변화를 발생시키고,
    상기 색상 정보들의 변화율(a)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각 픽셀에 포함된 색상 정보(b)들 및 상기 LED 조명 구성의 적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7201A 2021-02-08 2021-02-08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26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1A KR102266790B1 (ko) 2021-02-08 2021-02-08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1A KR102266790B1 (ko) 2021-02-08 2021-02-08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90B1 true KR102266790B1 (ko) 2021-06-17

Family

ID=7660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01A KR102266790B1 (ko) 2021-02-08 2021-02-08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00A (ko) * 2001-12-31 2003-07-07 설창우 광고용 간판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10079765A1 (ja) * 2009-01-08 2010-07-15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記録用シート及び電飾看板
KR20130002594U (ko) 2011-10-21 2013-05-02 박재순 큐알코드를 활용한 인쇄물 광고를 스마트폰을 통해 아파트 모바일 홈페이지와 지역 상가 모바일 홈페이지로 연결하는 아파트 통합 모바일 마케팅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방안과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00A (ko) * 2001-12-31 2003-07-07 설창우 광고용 간판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10079765A1 (ja) * 2009-01-08 2010-07-15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記録用シート及び電飾看板
KR20130002594U (ko) 2011-10-21 2013-05-02 박재순 큐알코드를 활용한 인쇄물 광고를 스마트폰을 통해 아파트 모바일 홈페이지와 지역 상가 모바일 홈페이지로 연결하는 아파트 통합 모바일 마케팅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방안과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529B2 (en) Output light monitoring for benchmarking and enhanced control of a display system
JP6105195B2 (ja) 拡散反射を融合した発光性表示器
US90930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presentation
US9024953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projector, computer program, and image generating method
JP2012118513A5 (ko)
EP1793271A4 (en) PROJECTOR
US11132832B2 (en) Augmented reality (AR) mat with light, touch sensing mat with infrared trackable surface
KR102266790B1 (ko) 광고용 인쇄물 제작 방법 및 장치
US8917291B2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US2020033665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KR101681428B1 (ko) 지능형 파사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KR102239525B1 (ko) 휴대용 플렉서블 led 현수막
JP2020003746A (ja) 電子機器、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62180B1 (en) Multi-layered display apparatus having a mesh layer with light emitting diodes
EP2712193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generating a presentation
KR20170098487A (ko) 디지털 벽지 시스템 및 디지털 벽지 구동제어 방법
JP2012094014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802609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74176B (zh) 光源擴增實境系統
JP2015118312A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60624A1 (es) Escaparate interactivo con pantalla incorporada
JP6661099B1 (ja) 掛け軸システム
KR102230525B1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KR101016332B1 (ko) 벽면에 달력 조사기능을 가진 탁상달력
JP201214147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