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061A -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 Google Patents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061A
KR20170098061A KR1020160019961A KR20160019961A KR20170098061A KR 20170098061 A KR20170098061 A KR 20170098061A KR 1020160019961 A KR1020160019961 A KR 1020160019961A KR 20160019961 A KR20160019961 A KR 20160019961A KR 20170098061 A KR20170098061 A KR 2017009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econdary battery
thiol group
electroly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363B1 (ko
Inventor
이종찬
심지민
김희중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3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공된다.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상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이 높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 등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내부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이차전지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있다.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아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의 3가지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리튬이온전지 전해질은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되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전도될 수 있다. 그러나 전해질에 포함된 유기 용매는 외부 충격이나 온도 상승에 의하여 누액, 휘발, 폭발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액체 전해질에 의한 사고가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 용매가 필요 없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은 안정성은 높으나, 액체 전해질에 비해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상용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고체상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이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면 대체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므로, 높은 이온 전도도와 더불어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정성이 높은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 및 게라니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
상기 제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 비닐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상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이 높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 등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29Si NMR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IR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이차전지용 전해질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Thiol)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기존의 액체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 비해 관리가 용이하며, 변성될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가지형 폴리실록산(Branched Polysiloxane)일 수 있다. 상기 가지형 폴리실록산은 상기 폴리실록산 보다 큰 자유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싸이올기를 갖는 상기 제1 화합물은 이중 결합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과 싸이올-엔 클릭 반응(Thiol-ene click reaction)을 할 수 있다. 상기 싸이올-엔 클릭 반응은 낮은 에너지로도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싸이올-엔 클릭 반응은 자외선을 통해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광으로도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
상기 제1 화합물은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이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져, 리튬 이온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Terpene)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테르펜은 아이소프렌(Isoprene)을 기본 단위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테르펜은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중결합을 통해 가교 반응을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Limonene) 및 게라니올(Geraniol)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넨과 상기 게라니올은 같은 탄소 수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리모넨의 구조식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게라니올의 구조식은 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
상기 제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T),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P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E), 폴리페닐렌 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PPV),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피롤(polypyrrole, PPy), 폴리티오펜(polythiophen, PT),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합물 제조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구 100mL 플라스크에 염산(0.052mol, 5.2g)을 증류수 2.2g 및 에탄올 9.2g에 녹인 후 교반했다. 교반 후, 0.01mol 메르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3-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1.8g과 0.01mol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2.0g을 넣고, 50℃ 질소 분위기 하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80℃ 진공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증류수에 떨어뜨려, 최종적으로 제1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제1 화합물은 점도를 갖는 액체형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은 189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217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1.1496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29Si NMR 그래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메르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과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이 결합하여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와 29Si NMR 그래프를 를 통해 그 구조도 알 수 있다.
제2 화합물 제조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윌리엄슨의 에테르합성법(Williamson ether synthesis)으로 합성될 수 있다. 1구 250mL 플라스크에 하기 화학식 5를 갖는 화합물(0.1mol, 35g)을 넣고, 증류한 톨루엔(Toluene) 40mL에 교반하여 녹였다. 교반하여 녹인 후, 0.11mol 브롬화알릴(Allyl bromide) 13g과 0.11mol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4.4g을 넣고 45℃에서 16시간 교반했다. 교반 후 진공 감압하에서 톨루엔을 제거하고, 염화메틸렌(Methyl chloride)에 녹인 후, 증류수로 3회 추출하고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제2 화합물을 얻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약 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1H NMR 그래프를 통해 그 구조도 알 수 있다.
이차전지용 전해질 제조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 0.1g, 상기 제2 화합물 0.0824g, 가교제(리모넨(Limonene) 또는 게라니올(Geraniol)) 0.0432g, 광개시제(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0.00824g, 및 리튬염(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lithium, LiTFSI) 0.018497g을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0.5mL에 넣어 용해시켰다. 용해시킨 후, 2.5×2.5cm2 크기의 유리판에 캐스팅했다. 여분의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상압·상온(1atm, 25℃)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캐스팅한 상기 유리판을 자연광에 30분 노출시켜,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을 상기 유리판에서 떼어낸 후, 60℃ 진공 조건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얻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에서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25mol%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함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0mol%, 50mol%, 및 75mol%인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얻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IR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a)는 제1 화합물을 나타내며, 2565cm-1 부근에 존재하는 IR 피크는 상기 (a)의 싸이올(Thiol)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포함되는 제2 화합물의 함량에 따라 (b) 내지 (e)로 표현하였다. 상기 (b) 내지 (e)의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0mol%,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상기 (b) 내지 (e)는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 및/또는 상기 가교제가 결합하여 제조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 및/또는 가교제가 결합하여,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조된 후에는 2565cm-1 부근에 존재하는 IR 피크가 감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확인할 수 있다. (a) 내지 (c)는 리모넨(Limonene)을 가교제로 사용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낸다. 또, 상기 (a) 내지 (c)의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리모넨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d) 내지 (f)는 게라니올(Geraniol)을 가교제로 사용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낸다. 또, 상기 (d) 내지 (f)는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게라니올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이 25mol%에서 75mol%로 증가할수록,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고리 형상을 갖는 상기 리모넨은 고리 저항(Ring strain)이 작용하여 선 형상을 갖는 상기 게라니올에 비해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자유 회전(Free rotation)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자유 회전이 저하되어, 상기 이온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에서 상기 (f)의 이온전도도 값은 1.0×10-4S/cm이고, 30℃에서 상기 (c)의 이온전도도 값은 2.9×10-5S/cm일 수 있다.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리튬-바나듐 산화물(LiV3O8) 0.6g, Super P 0.2g, 및 폴리비닐이딘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0.2g을 NMP(N-methyl 2-pyrrolidone) 3mL에 넣어 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용액을 알루미늄 집전체 위에 닥터 블레이드 방식으로 층을 형성한 후, 120℃ 진공 조건에서 NMP를 제거하여, 이차전지용 캐소드 전극을 형성했다. 상기 이차전지용 캐소드 전극을 원형으로 펀칭하고, 이를 애노드 전극(Lithium metal anode) 및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과 함께 집적하여 코인셀을 형성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는 0.1C, 60℃ 구동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 상기 코인 셀 어셈블리는 20사이클 동안 전지를 구동하였을 때 용량 유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화학식 3]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 및 게라니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4]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 비닐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KR1020160019961A 2016-02-19 2016-02-19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KR10181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ko) 2016-02-19 2016-02-19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ko) 2016-02-19 2016-02-19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61A true KR20170098061A (ko) 2017-08-29
KR101813363B1 KR101813363B1 (ko) 2017-12-28

Family

ID=5975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ko) 2016-02-19 2016-02-19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56A1 (ko)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539076B2 (en) 2018-05-14 2022-12-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94B1 (ko) 2018-09-28 2023-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08B1 (ko) * 2002-09-23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56A1 (ko)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539076B2 (en) 2018-05-14 2022-12-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363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Thiol‐branched solid polymer electrolyte featuring high strength, toughness, and lithium ionic conductivity for lithium‐metal batteries
Guo et al. Healable, highly conductive, flexible, and nonflammable supramolecular ionogel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Mai et al. Self‐healing materials for energy‐storage devices
Chai et al. In situ generation of poly (vinylene carbonate) based solid electrolyte with interfacial stability for LiCoO2 lithium batteries
Ngai et al. A review of polymer electrolytes: fundamental, approaches and applications
KR102303831B1 (ko)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리튬이차전지
Rolland et al. Single-ion diblock copolymers for solid-state polymer electrolytes
Zhang et al. Self-heal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for room-temperature 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JP2002100405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および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
JP5827404B2 (ja) 電極保護膜形成剤
KR20150061538A (k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가 가지결합하여 형성된 고분자 및 이온성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막 및 이의 용도
Rong et al. UV-cured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of solid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lithium metal batteries
KR101813363B1 (ko)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Zuo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a novel gel polymer electrolyte by dual plasticizers
Hu et al. Recent progress of polymer electrolytes for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He et al. High conductivity, lithium i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hydrocarbon backbone with pendent carbonate
Mong Anh et al. Solid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from poly (arylene ether sulfone)-g-poly (ethylene glyco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ang et al. Boronic ester transesterification accelerates ion conduction for comb-like solid polymer electrolytes
US20150340160A1 (en) Self-rechargeable hybrid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Wang et al. High-rate 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flexible all-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He et al. Difunctional block copolymer with ion solvating and crosslinking sites as solid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ies
WO2012144477A1 (ja) フェノール化合物含有導電性高分子
JP2002100404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複合電極、電気化学的デバイス
JP2002025335A (ja) 重合性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00021406A (ja) 電極用結着剤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