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943A -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943A
KR20170097943A KR1020160019670A KR20160019670A KR20170097943A KR 20170097943 A KR20170097943 A KR 20170097943A KR 1020160019670 A KR1020160019670 A KR 1020160019670A KR 20160019670 A KR20160019670 A KR 20160019670A KR 20170097943 A KR20170097943 A KR 2017009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vehicle
unit
button
choc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894B1 (ko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이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7599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9794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헌 filed Critical 이정헌
Priority to KR102016001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8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키 버튼 누름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차키를 수용할 수 있는 차키 수용부;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 제1누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상기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CA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키 버튼 누름장치 및 이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키 버튼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에 무선으로 차량의 시동을 끄고 켜는 무선 차키는 존재하지만, 무선 카키 자체를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을 관리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키 버튼 누름장치 및 이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키 버튼 누름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차키를 수용할 수 있는 차키 수용부;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
제1누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상기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을 이용해 차량 도어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 앱을 켜지 않아도 되는 락스크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박수소리, 핑거스냅으로도 차량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 차량 제어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해 줄 수 있다.
- 무선통신 거리(차키와 무선단말기간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도어가 열리거나 닫힌다.
- 차키에 따라서 트렁크, 시동, 히터/에어컨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 개인이 차량 내부에 설치하고 차키를 꽂아 사용가능하다.
- 차키 버튼 누름장치가 장착된 모든 차량을 쉐어링할 수 있다.
- 무인 렌트카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다.
- 회사 공용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키 버튼 누름장치와 무선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는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테블릿 PC, PDA 폰 등과 같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스마트 폰은 전화 통화뿐만 아니라 PC(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도 같이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고, 스마트 워치는 일반적인 시계가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테블릿 PC는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PC(퍼스널 컴퓨터)이고, PDA 폰은 이동통신모듈이 구비된 PDA(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개인정보단말기)를 의미한다.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차키를 수용할 수 있고, 차키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들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를 할 수 있도록 기계적 및 전자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키에 구비된 버튼으로, 차량 도어 오픈 버튼, 차량 도어 잠금 버튼, 트렁크 오픈 버튼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버튼들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차키에 구비된 버튼을 3가지로 임의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즉, 차량 도어 오픈 버튼, 차량 도어 잠금 버튼, 차량장비동작 버튼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여기서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은 차량의 도어를 오픈 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은 차량의 도어를 잠그기 위한 버튼이고, 차량장비동작 버튼은 차량에 구비된 장비를 동작시키거나 동작을 중단시키는 버튼이다. 차량장비동작 버튼은 예를 들면, 트렁크 오픈 버튼, 에어콘 제어 버튼, 차량 시동 버튼, 및 히터 제어 버튼과 같은 버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차키를 수용할 수 있는 차키 수용부,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 제1누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2누름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통신부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제2 제어 신호 - 차량의 도어를 닫을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제2누름부가 누르도록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기(예를 들면, 모터)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는 제1누름부가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제1모터, 제2누름부가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제2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부에 포함되는 전동기의 갯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1개의 전동기로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전동기로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누름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위치조정부는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누름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계적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제어부는 차키가 차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무선단말기와 차키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이면,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구동부를 동작시키고, 무선단말기와 차키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제2누름부가 누르도록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무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신호- 상술한 제어신호 또는 제어신호와는 별도로 마련된 신호일 수 있음-를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만약 그러한 소정의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미리 정한 값으로서, 무선단말기와 차키간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에 있을 때, 상기 소정의 신호의 세기일 수 있음) 이상이 되면, 차량 도어를 잠그는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의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차량 도어를 오픈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차키에 구비된 차량장비동작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3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통신부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제3 제어 신호 - 차량장비의 동작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제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장비동작 버튼을 제3누름부가 누르도록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예를 들면 구동부는 제1누름부가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제1모터, 제2누름부가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제2모터, 제3누름부가 차량장비동작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는 제3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위치조정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제1누름부, 제2누름부, 및 제3누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누름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계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무선통신부는, 또한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나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차키 버튼 누름 장치이 위치된 차량의 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는, 자신이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1하우징은 제2하우징에 슬라이딩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차키 수용부는 베이스와 차키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는 제1하우징의 일부로서, 차키 위치 고정부와 함께 차키를 고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차키 위치 고정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하우징의 일면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키 위치 고정부는 제1하우징의 일면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차키 위치 고정부에는 차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누름쇠는 전동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형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누름쇠는 모터(전동부의 예시)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형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누름위치조정부는 위치조정손잡이, 위치조정구조 가이드 구멍, 및 구동부(예를 들면, 모터)의 위치조정용 레일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구동부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위치조정용 레일 가이드를 따라서 구동부 또는 제1하우징이 이동될 수 있음), 위치조정손잡이를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구동부는, 제1누름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1모터, 제2누름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의 회전축은 제1누름부가 회전되도록 제1누름부와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2모터의 회전축은 제2누름부가 회전되도록 제1누름부와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선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은 전력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 장치에서, 제어부, 무선통신부, 저장부와 같은 전기, 전자, 및/또는 자기적인 소자들은, PC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PCB는 제1하우징의 밑면에 위치되어, 상술한 구동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차키 버튼 누름 장치

Claims (8)

  1. 차키 버튼 누름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차키를 수용할 수 있는 차키 수용부;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
    제1누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상기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키에 구비된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2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제2 제어 신호 - 차량의 도어를 닫을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상기 제2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키가 상기 차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차키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이면, 상기 차량 도어 오픈 버튼을 상기 제1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차키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차량 도어 잠금 버튼을 상기 제12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차키에 구비된 차량장비동작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제3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제3 제어 신호 - 차량장비의 동작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장비동작 버튼을 상기 제3누름부가 누르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나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
  8.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차키 버튼 누름장치;
    상기 차키 버튼 누름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160019670A 2016-02-19 2016-02-19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19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70A KR102190894B1 (ko) 2016-02-19 2016-02-19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70A KR102190894B1 (ko) 2016-02-19 2016-02-19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06A Division KR20200140231A (ko) 2020-12-08 2020-12-08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43A true KR20170097943A (ko) 2017-08-29
KR102190894B1 KR102190894B1 (ko) 2020-12-14

Family

ID=5975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670A KR102190894B1 (ko) 2016-02-19 2016-02-19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8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118A (zh) * 2018-06-07 2018-10-16 厦门曦然科技有限公司 一种将汽车遥控钥匙改造成无钥匙进入系统的装置及方法
KR102072398B1 (ko) * 2019-06-05 2020-02-03 (주)카버샵 차량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95583B1 (ko) * 2020-01-20 2020-03-31 (주)카버샵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00080567A (ko) * 2018-12-27 2020-07-07 노대성 차량 리모컨을 이용한 원격도어제어 시스템
KR20220146978A (ko)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아이카 보안이 강화된 차키 공유 방법
WO2023100455A1 (ja) * 2021-11-30 2023-06-08 株式会社ヨコオ 電子キー収容ケースおよび電子キー操作装置
WO2023100456A1 (ja) * 2021-11-30 2023-06-08 株式会社ヨコオ 電子キー操作装置
WO2023113331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위드라이브 블루투스 기반 랙 앤 피니언 기어와 서보 모터를 이용한 범용 스마트키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79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차량 공유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027A (ja) * 2005-04-18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DE102012015925A1 (de) * 2012-08-10 2014-03-06 Convexis Gmbh System zur automatisierten Übergabe eines Funkschlüssels zwischen Sharing-Teilnehmern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JP2015106335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都電器 リモコン用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027A (ja) * 2005-04-18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DE102012015925A1 (de) * 2012-08-10 2014-03-06 Convexis Gmbh System zur automatisierten Übergabe eines Funkschlüssels zwischen Sharing-Teilnehmern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JP2015106335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都電器 リモコン用操作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118A (zh) * 2018-06-07 2018-10-16 厦门曦然科技有限公司 一种将汽车遥控钥匙改造成无钥匙进入系统的装置及方法
KR20200080567A (ko) * 2018-12-27 2020-07-07 노대성 차량 리모컨을 이용한 원격도어제어 시스템
KR102072398B1 (ko) * 2019-06-05 2020-02-03 (주)카버샵 차량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95583B1 (ko) * 2020-01-20 2020-03-31 (주)카버샵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20146978A (ko)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아이카 보안이 강화된 차키 공유 방법
WO2023100455A1 (ja) * 2021-11-30 2023-06-08 株式会社ヨコオ 電子キー収容ケースおよび電子キー操作装置
WO2023100456A1 (ja) * 2021-11-30 2023-06-08 株式会社ヨコオ 電子キー操作装置
WO2023113331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위드라이브 블루투스 기반 랙 앤 피니언 기어와 서보 모터를 이용한 범용 스마트키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894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7943A (ko)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N105303653A (zh) 手机套车辆密钥卡
JP6482146B2 (ja) 車両通信装置および車両通信システム
US10127804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loud computing system architecture systems and methods
EP32364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vehicle using induction field communication
EP3350791B1 (en) Vehicle based trainable transceiver and authentication of user
KR102352560B1 (ko)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859A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5994364B2 (ja) 携帯機器収容装置
CN102857264A (zh) 短程通信系统、车载设备和便携式通信终端
US10960849B2 (en) Remote control button actuator with removable tray
US2022018067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636285B1 (ko) 무선 충전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스마트 키의 무선 충전 방법
US201902024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P3832834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0977930B2 (en) Remote control button actuation system with proxy remote
CN108099843B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20210113118A (ko) 차키 버튼 누름장치를 활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70015009A (ko) 모바일 기기 일체형 스마트 키 지원장치
JP6301712B2 (ja) 認証システム
KR20030043083A (ko) 이동통신단말기, 차량제어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차량원격제어시스템
JP201418548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7464313B (zh) 一种钥匙、一种控制方法和系统、及一种电子设备
JP7002380B2 (ja) 車両設定装置
EP3038071A1 (en) Identification device for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of a vehicle and remote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1106000043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