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620A -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620A
KR20170097620A KR1020177013624A KR20177013624A KR20170097620A KR 20170097620 A KR20170097620 A KR 20170097620A KR 1020177013624 A KR1020177013624 A KR 1020177013624A KR 20177013624 A KR20177013624 A KR 20177013624A KR 20170097620 A KR20170097620 A KR 2017009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controller
port
powe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056B1 (ko
Inventor
스캇 레스터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9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장치는,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기여분은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연관됨 - 에 대응하는 합산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합산 로직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전력원이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제2 포트 제어기를 통해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아니라면,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제1 포트 제어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청구된다.

Description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CONFLICT RESOLUTION IN POWER DELIVERY SYSTEMS}
실시예들은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유니버셜 직렬 버스 전력 전달(universal serial bus power delivery)(USB-PD은 유니버셜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디바이스, 예컨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시스템이,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수의 USB-PD 가능 포트들을 갖는 시스템은 하나를 초과하는 전력원들이 시스템에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이한 입력 전력원들이 동시에 두 개의 별개의 USB 포트들에 접속된다면, 그 입력 전력원들은 USB 디바이스에게 그리고/또는 서로에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시스템의 내부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마이크로제어기(microcontroller)(EC)가 얼마나 많은 전력이 전력원으로부터 이용 가능한지와 전력원이 시스템에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C는 시스템의 부분들이 접속을 완료하기까지 전력 공급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데, 이는 전력 및 시간 둘 다를 소비할 수 있다. 게다가, 시스템이 죽은 배터리를 가진다면, EC에는 전력이 공급 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여러 전력원들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고 이는 시스템에 그리고/또는 전력원들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USB-PD 포트 제어기 집적 회로(본 명세서에서의 포트 제어기)가 USB 디바이스의 USB-PD 커넥터(예컨대, USB 타입 C 커넥터 또는 다른 USB 커넥터)를 통해 시스템 전력 버스와 입력 전력원을 접속시키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포트 제어기는 입력 전력원과 협상할 수 있고, 협상 후 입력 전력원과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킬 수 있다.
각각의 입력 전력원이 대응하는 USB 포트에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 전력원들이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USB 디바이스는, 전력을 대응하는 USB 포트에 제공하는 대응하는 입력 전력원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접속될 것인지의 여부를 각각의 포트 제어기가 제어하는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포트 제어기는, 포트 제어기가 대응하는 입력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 또는 다른 포트 제어기가 이미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는 다른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키려고 의도하는지 또는 그렇게 접속시키는 프로세스에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용 핀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를 초과하는 입력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의 커플링은 피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포트 제어기는 다른 마이크로제어기들, 전압 조정기들 및 소프트웨어/펌웨어의 관여 없이 하나의 USB 포트를 통해 수신된 전력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자동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비용, 공간 및 전력의 절약을 초래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전류 합산 노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래서 임의의 수의 USB-PD 포트들이 추가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필요 없이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장치들 및 방법들은 전력원 협상 및 접속을 위해, 예컨대, 하드 코디드(hard coded) 시스템들보다 더욱 쉽사리 더 큰 시스템들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임의의 다른 포트 제어기가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전력을 접속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USB-PD 포트 제어기의 전용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포트 제어기가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전력을 접속하고 있지 않다면, 포트 제어기는 포트 제어기가 연관되는 USB 포트를 통해 입력 전력원 입력에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시스템(100)은, 예컨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휴대용 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고, 포트 제어기들(110 및 120), 합산 저항기(130), USB 포트들(150 및 152), 및 스위치들(142 및 144)을 포함한다. 포트 제어기(110)는 제1 전력원(146)에 의해, Vcc 전력선(154)을 통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포트 제어기(120)는 제2 전력원(148)에 의해, Vcc 전력선(156)을 통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포트 제어기(110)는 비교기 로직(112), 바이어스 전압원(113), 바이어스 전류원(114), 기준 전압원(Vref 1)(116), 및 통신 핀(118)을 포함한다. 제어기(120)는 비교기 로직(122), 바이어스 전압원(123), 전류원(124), 기준 전압원(Vref 2)(126), 및 통신 핀(128)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비교기 로직(112, 122)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 로직(112, 122)은 연산 증폭기 회로, 비교기 회로,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연산 증폭기 회로, 소프트웨어, 펌웨어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핀들(126, 128)은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의 스테이터스, 예컨대, 시스템 전력이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원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다른 포트 제어기들에게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핀(118)은, 포트 제어기(110)가 스위치(142)를 통해 입력 전력원(146)과 시스템 전력 버스(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시스템 전력 레일)(150)을 접속시키려고 의도하거나 또는 그렇게 접속시키고 있을 때, 바이어스 전류원(114)으로부터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Ibias)는 내부 바이어스 전압(113)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 핀(128)은 스위치(144)를 통해 입력 전력원(148)을 시스템 전력 버스(150)에 커플링시키려는 포트 제어기(120)의 의도를 표시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원(124)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원(124)으로부터의 바이어스 전류는 내부 바이어스 전압(123)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 핀들(126, 128)은 합산 저항기(130)의 일측에 둘 다 커플링되며, 그 합산 저항기의 타측은 접지에 커플링된다. 합산 저항기(130)는 바이어스 전류들을 수신하며, 수신된 바이어스 전류들의 조합으로 인해 합산 저항기(130)의 단자들을 가로질러 합산된 전압을 초래한다.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바이어스 전류가 동일한 값을 갖는 실시예에서, 각각의 통신 핀(118, 128)에서의 합산된 전압(Vs)은 Vs = N*Ibias*Rp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서 N은 Ibias를 그들 각각의 핀들에 공급하고 있는 포트 제어기들의 수이다.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포트 예에 대해, N은 0, 1, 또는 2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바이어스 전류 (Ibias)i는 별개의 값을 가질 수 있고, Vs = ∑(Ibias)i*Rp라는 것에 주의한다).
각각의 포트 제어기(110, 120)는, 대응하는 통신 핀(118, 128)을 통해 전압(Vs)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압(Vs)이 영이면, 포트 제어기(110)는 전력원(146)을 시스템 전력 레일에 커플링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고, 포트 제어기는 Ibias를 공급할 수 있다. 포트 제어기(110)는 그러면 통신 핀(118) 상의 전압(Vs)을 체크할 수 있다. 전압 Vs = Ibias*Rp(이는, 예컨대, Vs와 기준 전압(Vref 1)의 비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가, 다른 포트 제어기들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대응하는 전력원을 접속시키고 있지 않거나 또는 그렇게 접속시키는 프로세스에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포트 제어기(110)는 USB 커넥터(150)(예컨대, USB 타입 C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자신의 전력원(146)을, 스위치(142)를 통해,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접속시킬 수 있다.
Vs = 2*Ibias*Rp의 전압이 그들의 각각의 전력원들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예컨대, 동시에 접속시키려고 의도하는 또는 그렇게 접속시키는 프로세스에 있는 두 개의 포트 제어기들로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포트 제어기(110 및 120)는 자신의 각각의 전력원(146, 148)을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자제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포트 제어기(110)는 시간 지연 후에 Vs를 체크할 수 있고, Vs=0이면, 자신의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하려고 재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접속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예컨대, Vs=0이라는 것을 포트 제어기(110)가 검출한다면, 그 포트 제어기는 포트 제어기(110)가 전력원(146)을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Ibias를 출력하도록 바이어스 전류원(114)을 재활성화시킬 수 있고, Vs= Ibias*Rp이면, 포트 제어기(110)는 입력 소스(146)를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접속시키기 위해 스위치(14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포트 제어기(120)는 전력원(148)을 시스템 전력 버스(150)에 접속시키는 것이 안전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Vs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Vs=0이면, 포트 제어기(120)는 포트 제어기(120)가 전력원(148)을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함을 표시하기 위해 바이어스 전류원(124)을 재활성화시킬 수 있고, Vs= Ibias*Rp이면, 포트 제어기(120)는 전력원(148)을 시스템 전력 버스(160)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144)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시스템(200)은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고, USB 포트들(248 및 270), 포트 제어기(210), 합산 저항기(Rp)(230), 및 스위치(242)를 포함하고, 다른 컴포넌트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다른 포트 제어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제어기(210)는 로직(212), 비교기들(214 및 216), 그리고 스위치(SW2)(202)를 포함한다. 비교기들(214, 216)과, 로직(212)은 하드웨어(예컨대, 연산 증폭기들, 회로 등),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들(214 및 216)은 시스템(200)의 접속 스테이터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다른 포트 제어기들이 각각의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접속시키려고 의도하는지의 여부, 또는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각각의 전력원을 커플링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비교기는 정보 비트(예컨대, 비트 A 및 비트 B)를 로직(212)에 제공할 수 있다. 로직(212)은 비트 A 및 비트 B의 값들에 기초하여, 스위치들(202 및 242)을 열지 또는 닫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Vref 1 및 Vref 2는 일 실시예에서 Vref 1 < (Ibias*Rp) 및 (Ibias×Rp) < Vref 2 < 2×(Ibias×Rp)로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전압들이다.
동작 시, 포트 제어기는 입력 전력원(246)으로부터 전압 Vcc(280)를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202)는 처음에 열려 있다. 로직(210)은 합산된 전압(Vs)과 기준 전압들(Vref 1 및 Vref 2)의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Vs(예컨대, Rp(230)를 가로지름)가 다른 포트 제어기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전류들(260)을 포함하는 전류들의 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비교기(216)가 Vs가 Vref 1보다 더 크다고 결정하면, 비교기(216)는 비트 B를 1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비교기(216)는 비트 B를 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 Vs가 Vref 2보다 더 큰 것으로 결정된다면, 비교기(214)는 비트 A를 1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비교기(214)는 비트 A를 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비트들 A 및 B은 상이한 기준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Vs가 Vref 1보다 더 크다면, 비교기(216)는 비트 B를 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Vs가 Vref 2보다 더 큰 것으로 결정된다면, 비교기(214)는 비트 A를 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이 비트들 A 및 B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기준 세트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B=1이면, 로직(212)은 다른 제어기가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이미 전력을 공급하고 있(거나 또는 입력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커플링시키는 프로세스에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고 스위치(202)는 열린 채로 남아 있다. B=0이면, 로직(212)은 다른 포트 제어기가 다른 입력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하지 않는다고 그리고 시스템 전력 버스(250)는 입력 전력원에 현재 커플링되어 있지 않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로직(212)은 스위치(202)를 닫아, Vbias(217)로부터 초래되는 바이어스 전류 Ibias(218)가 합산 저항기(230)를 통해 흐르게 할 수 있다. 로직(212)은 그 다음에 지연 기간이 만료되기를 기다린다. 지연 기간이 만료된 후, 비트 A=0이고 비트 B=1이면, 로직(212)은 다른 포트 제어기가 다른 입력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고 있지 않거나 또는 그렇게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하고 있지 않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로직(212)은 USB 커넥터(248)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전력(246)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242)를 닫을 수 있다. 지연 기간은, 둘 이상의 제어기들(예컨대, 제어기(212)와 전력원의 시스템 전력 버스(250)로의 커플링을 제어하는 다른 USB 포트에 연관된 다른 제어기)이 각각의 바이어스 전류들(Ibias)을 Rp(230)에 접속시키는 각각의 스위치들을 닫고 있다면, Vs의 값이 제어기들 둘 다가 상이한 전력원들로부터의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공급하려고 동시에 시도한다는 것을 반영할 것과, 로직(212)은 입력 전력원(246)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삼가할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지연 기간 후 비트 A=1이고 비트 B=1이면, 로직(212)은, 다른 제어기가 자신의 대응하는 입력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접속시키려고 시도하고 있고 스위치(242)를 통한 입력 전력(246)과 시스템 전력 버스(250)의 접속이 중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치(202)는 다시 열릴 것이고 비교기(216)는 B=0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B=1이면, 다른 포트 비교기의 결과로서 다른 USB 포트(예컨대, USB 포트(270))를 통해 다른 전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력이 제공되고 있(거나 제공될 것이)다. B=0이면, 로직(212)은 스위치(202)를 다시 닫고, 지연 기간이 만료하기를 기다릴 수 있고, 로직(212)은 비트 A=0인지 또는 비트 A=1인지에 기초하여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전력을 공급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0이면, 로직(212)은 USB 포트(248)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전력(246)을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242)를 닫을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기(212)는 기준 전압들(Vref 1 및 Vref 2)의 각각에 대한 (예컨대, 합산 저항기를 가로지르는) 합산된 전압들의 비교를 통해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충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은 추가적인 외부 마이크로제어기(EC) 없이 완수될 수 있다.
스위치(242)가 로직(212)에 의해 접촉 유지된 후에 마이크로제어기(EC)가 시스템 전력 버스(250)에 제공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경우, 일 실시예에서, 일단 시스템이 전력을 공급 받으면, EC는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고, 스위치(202)는 열릴 수 있다. 스위치(202)의 열림은 장치(200)의 전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C는, 예컨대, 시스템의 죽은 배터리 상태로 인해, 시스템 전력 버스에 대한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처음에는 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블록 302에서, 제1 전력이 제1 USB 포트(예컨대, USB 타입 C 또는 다른 USB 포트)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제1 제어기가 검출한다. 블록 304로 계속하여, 바이어스 전류(Ibias)가 제1 제어기에 의해 전압 합산 로직(예컨대, 합산 저항기)으로 전송된다. Ibias는 제1 제어기가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블록 306으로 진행하여, 제1 제어기는 전압 합산 로직에 의해 제공되는 합산된 전압(Vs)(예컨대, 합산 저항기를 가로지르는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결정 다이아몬드(308)로 진행하여, Vs는 기준 값(Vref)과 비교된다. 합산된 전압(Vs)과 Vref의 비교는 제2 제어기가 제2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제어기만이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Vs가 Vref 미만이면, 제1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가 전력을 시스템 전력에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고, 블록 310으로 진행하여, 제1 제어기는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킴으로써 제1 전력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결정 다이아몬드(308)에서 Vs가 Vref 이상이라고 결정된다면, 제1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어기가 다른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키려고 의도하거나, 또는 다른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이미 접속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합산 로직으로부터의 Vs를 모니터링하는 제어기들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제어기들이 상이한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키려고 의도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블록 312로 진행하여, 제1 제어기는 바이어스 전류와 합산 로직을 단절시키고, 블록 304에서 제1 제어기는 바이어스 전류를 재접속시키고, 블록 306에서, 제1 제어기는 Vs를 모니터링한다. 결정 다이아몬드(308)로 계속하여 Vs가 Vref 미만의 값으로 떨어진다고 결정된다면, 제1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들)가 다른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키는 것을 삼가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블록 310으로 진행하여 제1 제어기는 제1 전력을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 제1 전력원과 시스템 전력 버스를 접속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블록 402에서, 예컨대, 포트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전력이 수신되는 전력원을 통해 포트 제어기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전력은, 예컨대, 디바이스의 USB 포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포트 제어기는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생성한다. 포트 제어기에 전원이 공급된 후, Vbias는 안정화된다.
블록 404로 진행하여, 포트 제어기는 합산 로직(예컨대, 합산 저항기)에 의해 제공되는 합산된 전압(Vs)을 모니터링한다. 합산 로직은 하나 이상의 포트 제어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전류 기여분들(Ibias)을 수신할 수 있다. Vs는 다른 포트 제어기가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공급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정 다이아몬드(406)로 이동하여, Vs가 제1 기준 전압(Vref 1)보다 더 크다면, 포트 제어기는 다른 포트 제어기가 다른 포트로부터의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고 있(거나 또는 그렇게 커플링시키려고 의도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블록 416으로 진행하여, 전력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이미 제공되고 있을 때, 포트 제어기가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지 않으므로 그 방법은 중단된다.
결정 다이아몬드(406)에서, Vs가 Vref 1 미만이라면, 포트 제어기는 전력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되고 있지 않다고 결론을 내린다. 블록 408로 계속하여, 포트 제어기는 포트 제어기로부터의 Ibias를, 포트 제어기가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려고 의도한다는 표시로서, 전압 합산 로직에 제공한다. 블록 410으로 진행하여, 포트 제어기는 지연 기간(τ)을 잰다. 지연 기간(τ)은 다른 포트 제어기가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기로 결정한다면, Vs는 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려는 두 개의 포트 제어기들의 의도들을 반영할 것을, 예컨대, Vs는 각각의 포트 제어기로부터의 기여분들의 합인 반영하는 값을 가질 것을 보장하도록 의도된다. 시간 지연(τ)은, Vs의 값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기여하는 바이어스 전류들이 안정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결정 다이아몬드(412)(예컨대, 지연 기간(τ)의 만료 시)로 이동하여 Vs가 제2 기준 전압(Vref 2)보다 작다면, 포트 제어기는 자신이 제어하는 입력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인가한다. Vs가 Vref 2보다 더 크다면, 그 제어기는 전압 합산 로직이 두 개(또는 이상)의 포트 제어기들로부터 기여분들을 수신하였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방법은 결정 다이아몬드(406)로 복귀하고, Vs가 Vref 1 이상이면, 416으로 진행하여, 전력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이미 공급되고 있으므로, 그 방법은 중단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실시예가,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연관됨 - 에 대응하는 합산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합산 로직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그 장치는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전력원이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제2 포트 제어기를 통해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아니라면,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제1 포트 제어기를 또한 포함한다.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데, 제2 실시예에서, 그 장치는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포트를 포함하고,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시스템 전력 버스는 제1 전력원으로부터의 전력을 USB 포트를 통해 수신한다.
제3 실시예가 제2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제1 포트 제어기는 제1 전력원이 USB 포트에 커플링되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력원으로부터 제1 포트 제어기 전력을 수신한다.
제4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데, 제4 실시예에서, 전압 합산 로직은 접지에 커플링된 제1 저항기 단자와 적어도 두 개의 포트 제어기들의 각각에 커플링된 제2 저항기 단자를 갖는 저항기를 포함하고, 합산된 전압은 제1 저항기 단자와 제2 저항기 단자 사이에서 측정된다.
제5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전력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덧붙여, 제1 포트 제어기는 합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의 결과에 응답하여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제1 전력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제6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덧붙여, 제1 포트 제어기는 전압 합산 로직에게 제1 포트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에 대응하는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원을 포함한다.
제7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덧붙여, 제1 포트 제어기는 합산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의 비교를 수행하는 제1 비교기 로직을 포함하고, 제1 포트 제어기는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제8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전압 합산 로직에 대한 제2 전압 기여분에 연관된 제2 포트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제2 전압 기여분은 제2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2 포트 제어기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전압 합산 로직에 제공된다.
제9 실시예가 제8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데, 제9 실시예에서, 전압 합산 로직에 제공된 제2 전압 기여분 - 제2 전압 기여분은 영이 아닌 값을 가짐 - 에 응답하여, 제1 포트 제어기는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삼가한다.
제10 실시예가 제8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데, 제10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제어기는 합산된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제2 비교 값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로직을 포함하고, 제1 포트 제어기의 결정 로직은 제2 비교 값을 수신하고, 제1 비교 값 및 제2 비교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제11 실시예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덧붙여, 제1 포트 제어기는 전압 합산 로직에 커플링하기 위한 합산 전압 핀을 포함하고, 합산된 전압은 제1 포트 제어기에 의해 합산 전압 핀을 통해 판독된다.
제12 실시예가, 제1 제어기에 의해,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대응하는 제어기에 연관됨 - 을 포함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해,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제13 실시예가 제12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포트에서의 제1 전력원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을 영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4 실시예가 제12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합산된 전압이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정상상태 값을 가질 때,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것을 삼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5 실시예가 제12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1 기준 전압 미만인 정상상태 값을 갖는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6 실시예가 제14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합산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제2 기준 전압의 비교에 추가로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7 실시예가 제12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기 위한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전력원을, USB 포트를 통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8 실시예가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제19 실시예가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제20 실시예가,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명령들은 머신에 의해 실행되면, 머신으로 하여금, 복수의 제어기 로직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전압 기여분들의 합에 기초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게 하고;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이다.
제21 실시예가 제20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21 실시예에서,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합산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제22 실시예가 제20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덧붙여,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각각의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대응하는 전류에 연관되고, 각각의 전류는 각각의 제어기가 각각의 전력원을 대응하는 USB 포트 - 각각의 USB 포트는 별개임 - 를 통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도록 결정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제23 실시예가, 제1 제어기에 의해,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대응하는 제어기에 연관됨 - 을 포함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과,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해,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제24 실시예가 제23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USB 포트에서의 제1 전력원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을 영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25 실시예가 제23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기준 전압 미만인 정상상태 값을 갖는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26 실시예가 제23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26 실시예에서, 제1 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은, 추가로, 합산된 전압이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정상상태 값을 가질 때,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것을 삼가하기 위한 것이다.
제27 실시예가 제26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합산된 전압의 측정을 반복하고, 합산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제2 기준 전압의 비교에 추가로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28 실시예가 제23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결정하는 수단에 의한, 제1 전력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기 위한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전력원을, USB 포트를 통해,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29 실시예가, 합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합산된 전압 - 합산된 전압은 전압 합산 로직으로부터 수신됨 - 을 비교기의 제1 입력에 제공하는 합산된 전압 핀을 포함하며, 비교기는 합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제1 비교에 기초하여,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력원은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전에 전력을 비교기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30 실시예가 제29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를 더 포함하며, 전력은 장치에 의해 제1 전력원으로부터 USB 포트를 통해 수신된다.
제31 실시예가 제29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바이어스 전류를 전압 측정 로직에 제공하는 전류원을 더 포함하며, 바이어스 전류는 합산된 전압에 포함될 제1 전압에 대응하고 제1 전압은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비교기에 의한 의도에 연관된다.
제32 실시예가 제3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32 실시예에서, 그 합산된 전압이 제1 전압보다 더 크다는 것을 비교가 표시할 때, 비교기는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삼가할 것을 결정한다.
제33 실시예가 제31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며, 제33 실시예에서, 합산된 전압이 제1 전압보다 더 크다는 것을 비교가 표시할 때, 비교기는 전압 합산 로직으로부터 바이어스 전류를 디커플링하고, 바이어스 전류를 전압 합산 로직에 재커플링시키기 위해 그리고 디커플링 후, 합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제2 비교에 기초하여,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압보다 더 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전력원을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하는 것을 삼가한다.
실시예들은 시스템들의 많은 상이한 유형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배치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통신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고, 대신, 다른 실시예들이, 명령들을 프로세싱하는 장치의 다른 유형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코드로 구현될 수 있고 명령들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머신에 의해 사용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머신으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를 조작하게 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들, 광 디스크들, 고체 상태 드라이브들(solid state drives)(SSD들), 콤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들(compact disk read-only memories)(CD-ROM들), CD-RW들(compact disk rewritables), 및 광자기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들(read-only memories)(ROM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DRAM들),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static random access memories)(SRAM들)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random access memories)(RAM들),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들(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EPROM들), 플래시 메모리들,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들(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EEPROM들)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들, 자기 또는 광 카드들, 또는 전자적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매체 중 임의의 유형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수많은 수정들 및 그것들로부터의 변형들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의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5)

  1.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대응하는 포트 제어기에 연관됨 - 에 대응하는 합산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합산 로직; 및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전력원이 상기 복수의 포트 제어기들 중 제2 포트 제어기를 통해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아니라면, 제1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제1 포트 제어기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는 상기 제1 전력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제1 전력원을 상기 USB 포트에 커플링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원으로부터 제1 포트 제어기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합산 로직은 접지에 커플링된 제1 저항기 단자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포트 제어기들의 각각에 커플링된 제2 저항기 단자를 갖는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합산된 전압은 상기 제1 저항기 단자와 상기 제2 저항기 단자 사이에서 측정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력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합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의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전력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전압 합산 로직에게 상기 제1 포트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에 대응하는 제1 전류를 제공하는 제1 전류원을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합산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의 비교를 수행하는 제1 비교기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이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합산 로직에 대한 제2 전압 기여분에 연관된 상기 제2 포트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압 기여분은 제2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상기 제2 포트 제어기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합산 로직에 제공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합산 로직에 제공되는 상기 제2 전압 기여분 - 상기 제2 전압 기여분은 영이 아닌 값을 가짐 - 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제1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삼가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합산된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제2 비교 값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 제어기의 결정 로직은 상기 제2 비교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비교 값 및 상기 제2 비교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원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제어기는 상기 전압 합산 로직에 커플링하기 위한 합산 전압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합산된 전압은 상기 제1 포트 제어기에 의해 상기 합산 전압 핀을 통해 판독되는, 장치.
  12. 제1 제어기에 의해,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대응하는 제어기에 연관됨 - 을 포함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해 상기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포트에서의 제1 전력원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을 영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산된 전압 - 상기 합산된 전압은 제2 전력이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될 것이라는 표시를 제공함 - 이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정상상태 값을 가질 때,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것을 삼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 기준 전압 미만인 정상상태 값을 갖는 상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상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합산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제2 기준 전압의 비교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전력원을,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9.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머신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복수의 제어기 로직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전압 기여분들의 합에 기초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게 하고;
    상기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합산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상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각각의 제어기로부터 수신될 대응하는 전류에 연관되고, 각각의 전류는 상기 각각의 제어기가 각각의 전력원을 대응하는 USB 포트 - 각각의 USB 포트는 별개임 - 를 통해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키도록 결정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2. 제1 제어기에 의해, 전압 기여분들의 합 - 각각의 전압 기여분은 대응하는 제어기에 연관됨 - 을 포함하는 합산된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기 로직에 의해 상기 합산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전력을 시스템의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USB 포트에서의 제1 전력원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연관된 제1 전압 기여분을 영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제1 기준 전압 미만인 정상상태 값을 갖는 상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고, 추가로, 상기 합산된 전압이 적어도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정상상태 값을 가질 때,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제공하는 것을 삼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기준 전압만큼 큰 상기 합산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합산된 전압의 측정을 반복하고, 상기 합산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제2 기준 전압의 비교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시스템 전력 버스에 커플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177013624A 2014-12-23 2015-11-24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102625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0,285 US9874913B2 (en) 2014-12-23 2014-12-23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conflict resolution in power delivery systems
US14/580,285 2014-12-23
PCT/US2015/062279 WO2016105792A1 (en) 2014-12-23 2015-11-24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conflict resolution in power delivery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620A true KR20170097620A (ko) 2017-08-28
KR102625056B1 KR102625056B1 (ko) 2024-01-16

Family

ID=5612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624A KR102625056B1 (ko) 2014-12-23 2015-11-24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4913B2 (ko)
EP (1) EP3237994B1 (ko)
JP (1) JP6605601B2 (ko)
KR (1) KR102625056B1 (ko)
CN (1) CN107005051B (ko)
WO (1) WO2016105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4045B2 (en) 2014-10-23 2017-11-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SB port controller with automatic transmit retries and receive acknowledgements
US10692674B2 (en) * 2015-11-13 2020-06-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rt controller with power contract negotiation capability
US9766675B2 (en) * 2015-12-04 2017-09-1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to provide power in idle states
US10228742B2 (en) 2017-05-18 2019-03-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USB power control analog subsystem architecture
CN110494759A (zh) * 2017-05-18 2019-11-22 赛普拉斯半导体公司 Usb功率控制模拟子系统中的电流感测
US10320180B1 (en) * 2018-04-24 2019-06-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urrent control and protection for universal serial bus type-C (USB-C) connector systems
US10317969B1 (en) * 2018-04-27 2019-06-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VCONN swapping in dual-powered type-C cable applications
US11217994B2 (en) 2018-08-21 2022-01-04 Burrana Ip And Assets, Llc Power controller for aircraft recepta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4998A1 (en) * 2006-11-12 2008-05-15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Reduced Guard Band for Power Over Ethernet
US20110261547A1 (en) * 2010-04-26 2011-10-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ndby power control in a multiple power supply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843A (ja) * 1996-04-03 1997-10-14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電源装置
JP4168467B2 (ja) * 1998-02-05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JP2000284865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Ltd 電源制御装置と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CN1227486C (zh) * 2000-04-24 2005-11-16 三洋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通信系统
JP2001339850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情報端末装置
JP2006115637A (ja) * 2004-10-15 2006-04-27 Sony Corp 電源装置
JP2007026083A (ja) * 2005-07-15 2007-02-0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CN101364745B (zh) * 2007-08-08 2012-09-05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可自动选择供电电源的电子装置
JP2009075902A (ja) * 2007-09-21 2009-04-09 Fujitsu Ltd パワーデバイス及び記憶装置
JP4575488B2 (ja) * 2008-10-31 2010-11-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CN102044906A (zh) * 2009-10-23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切换电路及可自动切换供电电源的电子装置
US8656193B2 (en) 2010-02-17 2014-02-18 Dell Products, Lp Power module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20120246458A1 (en) * 2011-03-25 2012-09-27 Cisco Technology, Inc. Power optimization on a thin client device
US8772966B1 (en) 2011-05-18 2014-07-08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power supply source
US8904217B2 (en) * 2012-03-09 2014-12-02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computer device
US9256263B1 (en) * 2012-05-14 2016-02-09 Juniper Networks, Inc. Efficient power allocation for redundant power supply with system priority
US9240685B2 (en) 2013-01-21 2016-01-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econfigurable matrix-based power distribution architecture
US20150198989A1 (en) * 2013-03-15 2015-07-1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universal serial bus power source to power a computer device
US9219475B2 (en) 2013-05-01 2015-12-22 Nxp B.V. Power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control logic circuit for assessing and selecting power supplies
CN106164813A (zh) * 2014-05-06 2016-11-23 密克罗奇普技术公司 Usb供电端口控制
US9846464B2 (en) * 2014-07-11 2017-12-19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31551B2 (en) * 2014-08-26 2016-12-27 Cisco Technology, Inc. Dynamically configurable power-over-etherne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4998A1 (en) * 2006-11-12 2008-05-15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Reduced Guard Band for Power Over Ethernet
US20110261547A1 (en) * 2010-04-26 2011-10-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ndby power control in a multiple power supply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792A1 (en) 2016-06-30
JP6605601B2 (ja) 2019-11-13
EP3237994A4 (en) 2018-08-15
CN107005051A (zh) 2017-08-01
KR102625056B1 (ko) 2024-01-16
US20160179155A1 (en) 2016-06-23
JP2018503163A (ja) 2018-02-01
EP3237994B1 (en) 2019-11-06
EP3237994A1 (en) 2017-11-01
US9874913B2 (en) 2018-01-23
CN107005051B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7620A (ko) 전력 전달 시스템들에서의 전력 충돌 해결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99061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current shunt and overcurrent protection (OCP) for power supplies
JP6838879B2 (ja) 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電子機器、給電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8269531B1 (en) Programmable power supervisor
CN108351677B (zh) 具有供电合约协商能力的端口控制器
US6184660B1 (en) High-side current-sensing smart battery charger
US20110060850A1 (en) Mobile device of supporting uart and usb communication using same conn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354440A1 (en) Power-loss protection
US8055831B2 (en) Computer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exter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162588A (zh) 电池辅助的电源
CN105375549A (zh) 用于控制电池状态的方法、系统及电池
JP2006252570A (ja) 複数電圧印加における自動電圧検出
CN104954145A (zh) 以太网供电方法、供电设备和以太网供电系统
EP2796960A1 (en) Power supply circuit i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7032119A1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11119551B2 (en) Power consumption sensing for power over ethernet (PoE) power sourcing equipment (PSE) system
CN113453108A (zh) 无线耳机、无线耳机系统和无线耳机的关机方法
CA287754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 shock hazard from biosensor meters
EP2751951B1 (en) Power drawn by network powered device
US20160365805A1 (en) Power transfer systems
US20200142462A1 (en) Power supply identification
TW201517459A (zh) 輸出功率的中斷及輔助功率
WO2016149011A1 (en) Automatically determining a number of functioning batteries
KR101028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11829169B2 (en) USB power deliver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