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142A -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 Google Patents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142A
KR20170095142A KR1020170018281A KR20170018281A KR20170095142A KR 20170095142 A KR20170095142 A KR 20170095142A KR 1020170018281 A KR1020170018281 A KR 1020170018281A KR 20170018281 A KR20170018281 A KR 20170018281A KR 20170095142 A KR20170095142 A KR 2017009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led
air
s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소
이정훈
장상현
엄훈식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14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38760A1/ko
Priority to CN201780010998.5A priority patent/CN108601338B/zh
Publication of KR2017009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142A/ko
Priority to US16/101,389 priority patent/US1110297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Abstract

본 발명은 UV LED를 사용하여 벌레를 유인하며, 유인된 벌레를 팬으로 빨아들여 포획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충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마련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 후방에 설치되는 팬; 적어도 상기 팬 주변에서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어 전방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UV LED;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에서 배출부로 이어지는 공기유로인 덕트; 상기 흡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내벽 쪽에 마련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덕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유선형 내면; 및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괴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벌레는 걸리는 포충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SLIM INSECT TRAP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LED를 사용하여 벌레를 유인하며, 유인된 벌레를 팬으로 빨아들여 포획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생활 환경에 대한 살충 요청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살충 관련 산업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 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포충 효율이 보장되지 않고, 장치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이 비교적 크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아오고 있다.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UV 영역에서 발광하는 LED 패키지의 제조비용은 가시광선에서 발광하는 LED 패키지의 제조비용 보다 상당히 높고, UV 광의 특성에 의해 LED 패키지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제품들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UV 광원 램프에 비해 LED가 가지는 발광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UV 광원 램프 제품에 UV LED를 그대로 적용하더라도 기존의 UV 광원 램프 제품이 가지는 효과를 그대로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가령 기존의 램프는 면발광을 하는 반면 UV LED는 점발광하고, 기존의 램프는 모든 방향으로 발광하는 반면 UV LED는 한쪽 방향으로만 발광하는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외선 광원의 설치 목적에 따라 UV 광원 램프를 UV LED로 교체할 때 이러한 두 광원의 차이점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포충기의 사용 환경은 포충기를 기준으로 360도 전 방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UV LED는 한쪽 방향으로 점발광하는 광원이라는 점에서, UV LED를 포충기에 적용할 때에는 UV LED의 특성과 포충기의 사용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설계가 요구된다.
UV LED의 지향성은 한쪽 방향을 바라보며 벽에 설치될 수 있는 포충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런데 360도 전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종래의 포충기에서 포충기 주변으로 유인된 벌레를 포집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원형 팬을 이용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공기 유동에 벌레가 휩쓸려 포집부에 포획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와 원형 팬의 형태가 반영됨으로 인해, 종래의 포충기는 거의 모든 제품이 원통형의 바디를 구성하고 원통형의 바디에 원형 팬을 설치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원통형의 바디는 한쪽 방향을 바라보며 벽에 설치되는 포충기의 형태로는 부적절하다. 이에 대해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바디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바디에는 원형 팬을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그러나 원형 팬은 저속의 회전에서도 상당한 공기 유량과 흡입력을 구현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하면서도 벌레 포집하기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벌레 흡입용 팬으로서 그 적용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체에 적용할 수 있는 바디 형태를 가지면서도 원형 팬을 적용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에 최대한 슬림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하기가 간편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행할 때 소지할 수 있을 정도로 포터블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을 적용한 포충기임에도 실내에서 사용하였을 때 팬 소음이 거슬리지 않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촉매물질을 포함하여 포충기 주변 공기를 살균, 탈취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해충 특히 모기 유인 효율이 높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환경에 따라 포충기의 설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디의 외주면에서 이동이 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 내에서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기류가 형성되어 해충의 포집 효율이 향상되도록 크로스 팬이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충이 팬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크로스 팬을 감싸는 메쉬통이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육면체의 바디를 가지는 포충기의 일 면에 전방을 바라보는 원형 팬을 설치하되, 슬림한 내부 공간에 일어날 수 있는 유동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충기에 플러그를 설치하고, 이러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착탈식으로 구현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설치하였을 때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60~370 nm 에서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UV LED를 사용하되, 그 전방에 면광원화 효과를 낼 수 있는 렌즈를 더 설치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마련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 후방에 설치되는 팬; 적어도 상기 팬 주변에서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UV LED;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에서 배출부로 이어지는 공기유로인 덕트; 상기 흡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내벽 쪽으로부터 적어도 팬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유선형을 이루며 연장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덕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유선형 내면; 및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며 공기는 통과시키되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벌레는 걸리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제1유선형 내면으로부터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분할하여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형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제1유선형 내면과 대향하는 내벽 쪽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덕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유선형 내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팬의 흡입면은 정면을 바라보거나, 정면에 대해 30도 이내로 상향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흡입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상기 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팬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UV LED의 주변에는 LED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하방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면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UV LED의 피크 파장이 360 ~ 370 nm 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UV LED의 전방에는 UV LED의 좌우방향으로의 조사각을 UV LED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사각보다 더 넓게 조절하는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는 바디에 매립된 위치와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전원부에 전원을 연장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와 포충망 사이의 공간으로서 덕트와 이웃하는 공간부에는 UV LED와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제1유선형 내면 및 제2유선형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촉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UV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외면에 상기 지지대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팬은 크로스 팬 일 수 있다.
상기 포충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팬을 감싸되, 복수의 구멍을 갖는 메쉬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 팬을 사용하여 공기 유동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은 포충기를 슬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이를 쉽게 벽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 면적이 넓은 원형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슬림한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 면적이 좁은 덕트로 유도함에 있어서 유선형 내벽과 가이드 베인을 사용하여, 팬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불일치로 인한 공기의 역류나 소음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저소음, 슬림 형태의 포충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벽의 위쪽에 설치된 콘센트에 포충기의 일 면, 예를 들어 후면에 설치된 플러그를 꽂는 것만으로 설치가 끝나므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플러그로 교체가 가능하고, 연장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치 환경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여행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벌레를 유인하는 효과가 가장 높은 파장 부근에서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UV LED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포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촉매물질을 더 포함함으로써 포충기 주변 공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고, 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탈취 및 살균 면적이 넓어질 뿐 아니라, 광촉매물질의 광촉매 반응으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에 의해 해충의 유인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환경에 따라 포충기의 설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은 슬림 형태의 포충기에 크로스 팬을 적용함으로써, 덕트 내에서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기류가 형성되어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팬을 감싸는 메쉬통을 더 포함함으로써, 해충이 팬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x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광원인 UV LED의 설치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광원인 UV LED의 설치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전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7실시예 및 그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8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x-x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크로스 팬 및 메쉬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 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배치”는 어떤 구성이 대상 구성에 위치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대상 구성에 분리되어 위치, 또는 대상 구성에 도포나 코팅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x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포충기는 전체적인 외관을 규정하는 바디(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은 통체를 구성한다. 슬림한 바디는 평면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디(10)의 일 면(11)과 이에 대향하여 배치된 면(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전면(11)과 후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1)의 상부에는 원형의 공기 흡입부(12)가 마련되고, 흡입부(12)에는 팬(30)이 설치된다. 팬(30)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원형의 회전팬으로서, 이는 회전축에 대해 팬의 날개가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팬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회전 팬으로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팬의 크기를 키우는 방법, 그리고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두에 두고 있는 포충기는 포터블한 크기의 것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팬의 직경은 대략 10 ~ 20 cm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정도의 규격을 가지는 팬을 유인된 벌레의 흡입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저속으로도 충분히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저속으로 회전하는 팬에는 그만큼 소음이 적게 발생하게 된다.
팬의 중심부에는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2)가 설치되며, 이러한 모터는 바디(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 복수 개(도 1에서는 3개)의 지지바(27)에 의해 흡입부(12)의 중앙 부근에 설치된 중심지지부(29)에 고정된다. 모터(32)에 의해 팬(30)이 회전하면 공기는 바디(10)의 외측에서 흡입부(12)를 통해 바디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흡입부(12) 부근에는 전방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50)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360 ~ 370 nm 의 범위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nm의 피크 파장을 가진다. 도 1에는 이러한 UV LED의 설치 위치로 흡입부 둘레의 전면(11) 부분, 지지바(27) 부분 및 중심지지부(29)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UV LED가 설치된 위치의 아래 부분에는,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의 차폐면(23)이 구비된다. 차폐면(23)은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하방을 향해 조사되는 것을 차폐한다. 가령 실내에 포충기를 설치할 경우 실내에서 장시간 거주하는 사람에게 자외선 노출은 뜻하지 않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데, 차폐면(23)은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차폐면(23)은 전면(11)을 구성하는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내부 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8)가 구비된다. 덕트(18)는 흡입부(12)에서 흡입된 공기가 배출부(19)로 유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의 회전축의 방향 또는 흡입부(12)의 공기 흡입 방향과, 배출부(19)의 공기 배출 방향이 서로 교차하거나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흡입부(12)는 전방을 향하고 있다면 배출부(19)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배출부(19) 아래에는 포충망(60)이 설치된다. 포충망(60)은 공기는 통과시키고, 벌레는 통과시키지 않는 방충망일 수 있다. 이러한 포충망(60)은 바디(10)의 아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포충망(60)에 어느 정도 벌레가 차게 되면 포충망을 바디로부터 분리한 후 내부에 모여 있는 벌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덕트(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공기의 흡입 방향과 배출 방향이 서로 어긋나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유선형의 내벽면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쪽에 위치하는 바디(10)의 내벽에는 전방에서 들어온 공기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유선형내면(15)이 형성된다. 제1유선형내면(15)에 의해 팬의 중심높이(c)보다 위쪽의 흡입부 부분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유선형내면(15)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그 유동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제1유선형내면(15)은 바디 내벽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팬의 중심높이(c)보다 아래쪽까지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디가 슬림하게 구성되어 전면과 후면 사이의 간격이 흡입부의 직경에 비해 상당히 작게 되어 있는 경우, 제1유선형내면(15)만으로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바디가 슬림한 경우 제1유선형 내면(15)의 유선형 형상이 팬의 중심높이(c)보다 아래쪽의 흡입부 부분까지 커버하도록 그 형상을 연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팬의 중심높이(c)보다 아래쪽의 흡입부 부분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선형이 아닌 내벽 부분과 부딪히게 된다. 이렇게 내벽 부분과 부딪히는 공기는 큰 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유동 손실이 발생하며, 오히려 위쪽으로 역류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바디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팬의 중심높이(c)보다 아래쪽의 공기 유동량이 팬의 중심높이보다 위쪽의 공기 유동량보다 많기 때문에 압력의 불균일을 초래하고, 이것이 역류(back flow)를 일으켜 에너지 손실과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유선형내면(15)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 베인(16)을 제1유선형내면에 대해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였다. 도 2에서는 하나의 가이드 베인(16)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유선형내면과 가이드 베인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2 이상의 가이드 베인(16)이 마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 베인의 설치 개수는 팬의 직경, 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베인(16)이 구비되면, 가령 도 2에서 팬의 중심높이(c)보다 아래쪽에서 흡입되는 공기 역시 가이드 베인(16)의 유선형 표면 형상을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베인(16)의 하방으로의 연장 길이는 상술한 공기 유동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면 족하다.
또한 더욱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위해, 제1유선형 내면(15)과 대향하는 내면에도 제2유선형내면(17)을 마련할 수 있다. 제2유선형내면(17)은 팬의 하단부 부근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밑으로 그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렇게 유선형내면(15,17)과 가이드 베인(16)에 의해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며 하향 유동하는 공기는 덕트(18)를 따라 배출부(19)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포충망(60) 밖으로 배출되며, 공기 중에 함께 있던 벌레나 곤충은 포충망(60)에 걸려 걸러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덕트(18)의 유동 단면적은 흡입부(12)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으므로 덕트(18)를 흐르는 공기는 흡입부(12) 부근보다 더 가속된 상태로 유동한다. 즉 흡입부(12) 부근의 공기 압력보다 덕트(18) 내부의 공기 압력이 더 낮게 된다. 따라서 흡입부(12)에 설치된 팬(30)을 통해 빨려 들어오는 공기는 덕트(18)를 거치면서 더욱 가속되는 유동을 하게 되어 벌레의 포집에 더 유리하다. 이처럼 흡입부(12)의 단면적보다 덕트(18)의 단면적이 더욱 작은 바디(10)의 구조에서 팬(30)이 흡입부(12)에 설치된 본 발명의 구조는 벌레 포집에 최적의 구조이면서도 바디(10)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미 흡입되어 포충망(60)에 포집된 벌레는, 비록 저속이라고 할 지라도 팬(30)이 회전하는 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18)를 거슬러 올라가 빠져나가기 어렵다.
가령 덕트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덕트의 상부에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날개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팬을 설치한 종래의 포충기는, 팬이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팬의 직경보다 바디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없고, 덕트에 벤츄리 형상을 구현하지 않는 한 공기 유동이 가속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12)과 후면(13)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덕트를 슬림하게 함으로써 바디(10)를 슬림하게 구성하면서도, 이러한 바디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간격보다 면적을 훨씬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바디의 전면에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날개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팬(30)을 설치한 포충기를 구현함으로써, 외관이 슬림하여 미려하면서도, 벌레 포집 효율이 더욱 좋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포충기 구조에 의하면, 컴팩트한 크기의 공간에 많은 구성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팬과 UV LED는 이를 제어할 제어회로가 필요하고,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전원회로 역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팬(30)과 포충망 사이의 공간으로서 덕트와 나란히 위치하는 공간부(21)에 상술한 팬과 UV LE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또는 전원회로가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충기의 전원부는 바디의 후면(13) 상부에 설치된다. 전원부는 바디(10)에 고정되는 프레임(71)을 구비하고, 프레임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플러그(73)를 구비한다. 프레임(71)은 바디(10)에 대해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마다 서로 다른 플러그 형태에 맞는 프레임(71)으로 전원부를 교체하여 바디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가 이렇게 포충기의 후면 상부에 위치하면, 가령 벽 위쪽에 설치된 콘센트에 위 플러그(73)를 꽂는 것만으로 포충기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벽 위쪽에 설치된 콘센트가 없는 경우에는 후술할 연장선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연결할 수 있고, 바디 상부에 구비된 걸이부(25)를 활용하여 포충기를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포충기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흡입부 상에 지지바(27)와 중심지지부(29)가 생략되어 있고, 대신 모터(32)가 바디(10)의 후면(13) 쪽에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기 유동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지지바(27)와 중심지지부(29)를 없앰으로써 공기 유동 효율을 더 높인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UV LED(50)가 전면(11)에 대해 외향 돌출되지 않도록 흡입부(12) 둘레에 설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차폐면(23) 구조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포충기의 전면 외관을 더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제3실시예의 포충기는 가이드 베인(16)을 생략하고, 제2유선형 내면(17)을 보다 넓은 영역에서 형성하여 덕트(18)의 내부 공간과 유동 단면적을 더 넓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비해 제3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베인(16)을 생략함으로써 제품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였고, 제1유선형내면(15)을 아래쪽으로 더욱 넓은 영역까지 형성하여 팬의 중심높이(c)보다도 하부의 영역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제1유선형 내면(17)에 의해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흐름이 유도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가령 이는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 팬의 중심높이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가 크기 않을 경우나, 바디의 전후방향 두께를 조금 더 두껍게 할 수 있는 경우 활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대비하였을 때 팬(30)이 약간 상방을 바라보도록 설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팬(30)이 약 a의 기울기만큼 상방을 바라보게 되면 중심높이(c)를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는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손실 없는 유동의 가이드가 가능하다. 팬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포충기의 슬림한 바디의 치수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며, 가령 팬이 기울어지는 각도(a)는 30도 이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광원인 UV LED의 설치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광원인 UV LED의 설치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사용되는 UV LED는 점광원으로서 조사각이 120도 내외이다.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포충기의 사용 환경은, 벽체의 위쪽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넓은 범위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설치된 UV LED는 좌우방향으로는 조사각이 넓고, 상하방향으로는 조사각이 좁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포충기에 사용되는 UV LED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는 조사각이 넓고, 상하방향으로는 조사각이 좁도록 하는 렌즈를 설치하였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렌즈(55)는 UV LED(5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렌즈(55)의 입사면(즉 UV LED와 마주하는 면)은 UV LED의 광원의 중심을 구의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가지도록 하여 렌즈에 입사되는 자외선이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렌즈의 출사면(즉 전방을 향하는 면)에서는 출사되는 자외선이 최대한 전방을 향해 굴절되도록 하기 위해 렌즈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서 렌즈의 중앙 높이 부분으로 갈수록 반경(r)이 점차 커지는 곡면 형태로 구성하였다. 즉 렌즈(55)에 의해 UV LED(50)의 자외선 조사각(j)은 상하방향으로 120도보다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렌즈의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자외선이 최대한 좌우방향으로 넓게 퍼지면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렌즈의 좌우측 단부에서 렌즈의 전방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반경(r)이 점차 작아지는 곡면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하였다. 즉 렌즈(55)에 의해 UV LED(50)의 자외선 조사각(k)은 좌우방향으로 120도보다 더 커지게 된다.
상기 렌즈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으면서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의 재질은 석영, 단량체의 비율이 80% 이상 인 PMMA, 불소계 합성수지(가령 Dupont 사의 Teflon)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55)의 외면은 샌드 블라스트 공정 등을 통해 거칠기 처리되어 더욱 면광원화할 수 있다.
UV LED(5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포충의 목적이 되는 곤충의 종류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기존의 자외선 램프와 달리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반치폭(spectrum half width)이 좁아 피크파장 부근에 자외선 세기가 집중된다는 점, 피크파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UV LED를 사용하였을 때 포충 효율을 드라마틱하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할 때보다, UV LED를 사용하는 경우 벌레 유인 효과가 훨씬 탁월하다는 것은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동일한 조건에서 UV LED를 설치한 포충기와, 기존의 상용 BL(black light)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를 사용하여 포충 실험을 한 결과이다. 먼저 두 광원의 제원을 살피면 아래 표와 같다.
  전압[V] 전류[A] 전력[W] PF Wp[nm]
피크파장
Fw[nm]
Spectrum
Half width
Φe[mW]
방사속(Radiant Flux)
Φv[lm]
UV LED 220.1 0.034 4.98 0.66 367.94 9.24 759.19 5.7
Black Light 램프 220.1 0.247 6.4 0.12 365.88 18.36 528.8 8.37
두 광원 모두 피크 파장 365nm 부근으로 비슷하지만, 스펙트럼 피크치의 중간 부분의 폭(spectrum half width)은 UV LED가 BL 램프의 반에 불과하고, 가시광선 영역 대비 UV의 세기는 UV LED가 133mW/lm으로 BL 램프 63mW/lm보다 2배 이상 크다.
이를 가지고 야외 축사에서 2회 실험을 하였는데, 하룻밤 동안 유인되어 포집된 개체의 수(Trap Index)는 다음과 같다.
종(Specie) 일반명칭
(전염질병)
포집 개체수 평균 포집율% (표준편차)
B/L UV LED B/L UV LED
Aedes vexans 금빛숲모기
(West Nile Fever)
1
0
7
0
12.5
(-)
87.5
(-)
Anopheles sinensis 중국얼룩날개모기
(Malaria)
296
316
1,028
2,500
16.8b
(7.9)
83.2a
(7.9)
Culex pipiens 빨간집모기
(West Nile Fever)
118
104
497
536
17.8b
(2.1)
82.2a
(2.1)
Cx . tritaeniorhynchus 작은빨간집모기
(J. Encephalitis)
687
452
3,307
3,196
14.8b
(3.4)
85.2a
(3.4)
Mansonia uniforms 반점날개늪모기 145
80
269
368
26.5b
(12.1)
73.5a
(12.1)
Total 1,247
952
5,108
6,600
16.1b
(4.9)
83.9a
(4.9)
위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UV LED 포충기를 사용한 경우가, 기존의 BL램프 포충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5배 이상의 포집 효율을 갖는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UV LED가 기존의 자외선 램프보다 반치폭(spectrum half width)이 훨씬 좁아 원하는 파장대의 자외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는 점, 조사되는 광이 지향성을 가지고 있어서 목표가 되는 지점에 자외선 조사 영역을 집중할 수 있다는 점 등에 기인한 것이라 추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UV LED(50)는 365nm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UVA 영역대의 자외선은 벌레 유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영역 중 특히 어떠한 파장대에서 더 효과가 좋은지에 대해서는 딱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기존의 지식은 UVA 영역의 자외선 램프가 다른 영역의 자외선 램프보다 벌레 유인 효과가 더 좋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UV LED는 자외선 램프에 비해 반치폭이 상당히 좁기 때문에 어떠한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더 벌레 유인 효과가 좋은지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암실 조건에서 각각 340nm 피크파장과 365nm 피크파장의 면광원화 자외선을 조사하며 방사속이 500mW인 UV LED가 설치된 두 Lurallite 트랩을 사용하여 집파리에 대해 실시한 포충 경쟁 실험을 하였다.
집파리 포집율은 50마리의 집파리를 서로 얼마나 포집하였는가를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실험 장소는 암실 내의 스크린 봉합공간(1.8 x 3.7 x 1.8m)이다. 실내온도는 26±1℃, 습도는 64±4%이며, 아침부터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동안 동시에 자외선에 노출시킨 경합 테스트(paired test)였으며, 서로 위치를 바꾸어 동일한 조건으로 2회 실시하였다.
노출기간 (시간) 누적 포집율의 평균과 표준편차 (%)
365 nm 피크파장
(500mW 방사속
면광원화)
340 nm피크파장
(500mW 방사속
면광원화)
Total
1 11.0 ±1.4a1 ) 3.0 ±1.4a 14.0 ±0.0
2 23.0 ±4.2a 5.0 ±1.4a 28.0 ±2.8
4 56.0 ±5.7a 11.0 ±1.4a 67.0 ±4.2
8 79.0 ±7.1a 14.0 ±0.0b 93.0 ±7.1
12 84.0 ±2.8a 16.0 ±2.8b 100.0 ±0.0
각각 365nm 피크파장과 340nm 피크파장을 가지는, 면광원화한 500mW 방사속의 UV LED가 설치된 Luralite 트랩을 이용하여, 아침부터 12시간동안 암실 조건에서 스크린 봉합공간 내에 있는 50마리의 집파리에 대한 포집율 비교(서로 위치를 바꾸어 동일한 조건으로 2회 실시)
1)은 해당 표기가 있는 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p>0.05; SPSS PC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paired t-test).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8시간과 12시간 노출에서, 365nm 피크파장의 500mW 방사속의 면광원 자외선이 340nm 피크파장의 500mW 방사속의 면광원 자외선보다 집파리 포집율이 더욱 높다. 따라서 365nm 피크파장의 자외선이 340nm 피크파장의 자외선보다 더 포집 효율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험 결과에 근거, 본 발명에서는 365nm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UV LED(50)를 광원으로 한다. 대략 360~ 370 nm 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라면 이와 동등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전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도 2 내지 도 5에는 포충기의 전원부(70)를 구성하는 프레임(71)이 바디(10)에 대해 구분된 형태로 도시되었다. 이는 포충기의 전원부(70) 구성이 바디(10)에 대해 분리될 수 있음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71)은 바디(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71)에는 벽에 설치된 콘센트와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73)가 형성된다. 플러그(73)는 국가마다 그 규격에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규격의 플러그(73)가 형성된 프레임(71)을 바디(10)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각 국가의 전원 규격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플러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1)에 매립된 위치와,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에 콘센트가 설치된 경우, 상기 플러그(73)를 벽체의 콘센트에 꽂게 되면 포충기의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벽체의 원하는 위치에 콘센트가 없는 경우에는 연장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충기에는 연장선을 꼽을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부에 연장선(77)을 꽂으면 콘센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도 포충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플러그(73)는 프레임(71)에 매립된 위치로 두고, 걸이부(25; 도 1 참조)를 활용하여 포충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1)에 접속부(75)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로, 제1유선형 내면(15) 및 제2유선형 내면(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촉매물질(110)이 포함되고, 상기 광촉매물질(11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UV LED(50)를 더 갖는 구성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광촉매물질(110)은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산화주석(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물질(110)이 티타늄산화물(TiO2)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가지는 광촉매필터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촉매필터는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세라믹과 같이 공기 흐름이 유통될 수 있는 재질에 광촉매물질(110)이 코팅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광촉매물질(11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UV LED(50) 는 약 200 nm 내지 400 nm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촉매물질(110)에 자외선이 흡수되면 전자(e-)와 정공(+)이 생성되는데, 상기 전자와 정공은 공기 중 오염물질과 산화 환원 반응을 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물질(110)은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은 강한 산화제로서 공기 중 유기오염물질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포충기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모기 유인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다.
즉, 제5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촉매물질(110) 및 이에 광을 조사하는 UV LED(50)를 더 포함함으로써, 포충기 주변 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는 효과뿐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해충의 유인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11은 도 10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바디(10)를 지지하는 지지대(210) 및 바디(10) 외면에 지지대(21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2)을 갖는 구성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바디(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바디(10) 외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12)을 따라 바디(10) 외면에서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포충기의 설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충기는 지지대(210)의 일 단에서 결합된 지지판(211)을 더 가짐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포충망(60)이 지면으로부터 바디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면사, 비닐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포충망(6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흡입부(12)와 포충망(60)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대(210)를 배치시킨 후, 가전제품(412)에서 열이 발생하는 부분에 흡입부(12)를 위치시킴으로써 해충의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가전제품 등을 이용하여 설치 환경에 따라 지지대(210)를 이동시켜 바디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7실시예 및 그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팬(30)이 장착되지 않은 구성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포충기는 흡입부(12)에 대응하는 바디(10)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통과구멍(410)이 마련되고, 팬을 갖는 가전제품(413),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 냉장고, 컴퓨터 등의 팬(411), 예를 들어 냉각팬이 배치된 곳에 바디(10)의 후면이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포충기는 팬(30)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가전제품(413)에 최대한 슬림한 형태로 설치되어, 가전제품(413)에 장착된 팬(411)에 의한 흡입기류에 의해 해충이 포충망(60)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전제품(413) 등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제8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x-x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포충기의 크로스 팬(310) 및 메쉬통(311)을 나타낸 것으로, 제8실시예는 팬이 크로스 팬(310) 형태라는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은 슬림 형태의 포충기에 크로스 팬(310)을 적용함으로써, 덕트(18) 내에서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기류가 형성되어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로스 팬(3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에 미도시)는 공지된 크로스 팬(310) 용 모터를 적용할 수 있고, 바디(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크로스 팬(310)은 팬날개가 20 개 내지 40 개, 예를 들어 24 개 내지 36 개 이며, 크로스 팬(310)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내지 3500 rpm, 예를 들어 2100 rpm 내지 3000 rpm 일 수 있다.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20 개 미만 또는 상기 크로스 팬(310)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미만인 경우 해충의 포집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40 개 초과 또는 상기 크로스 팬(310)의 회전속도가 3500 rpm 초과인 경우 해충 사체가 크로스 팬(310)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해충, 특히 모기는 0.8 m/s 이상의 풍속에서 비행을 멈추고 기류에 흘러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0.5 m/s 미만의 기류의 속도에서는 곤충이 상기 포충기 내로 흡입되는 효율이 낮을 수 있고, 3 m/s 초과인 경우 곤충이 탈출을 시도하거나 지나치게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 팬(310)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크로스 팬(310)의 회전속도, 팬날개 개수를 상기 수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해충이 상크로스 팬(310)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동시에 해충이 비행을 멈추고 높은 효율로 포충망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포충기는 크로스 팬(310)을 감싸되, 복수의 구멍을 갖는 메쉬통(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통(311)은 직경이 1 ㎜ 내지 3 ㎜ 인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해충, 특히 모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기류 발생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크로스 팬(310)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해충이 크로스 팬(310)에 달라붙음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거나 모터의 내구성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해충, 특히 모기가 통과할 수 없으나 기류 발생을 억제하지 않도록 구멍의 직경이 1 ㎜ 내지 3 ㎜ 인 메쉬통(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흡입부(12)에 공기통과구멍(312)이 마련될 수 있으며, 나비 등 체적이 큰 날벌레가 포충기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이 열악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바디
11: 전면
12: 흡입부
13: 후면
14: 체결부
15: 제1유선형내면
16: 가이드 베인
17: 제2유선형내면
18: 덕트
19: 배출부
21: 공간부
23: 차폐면
25: 걸이부
27: 지지바
29: 중심지지부
30: 팬
31: 흡입면
32: 모터
a: 기울기
c: 팬의 중심높이
50: UV LED
55: 렌즈
j: 상하방향 조사각
k: 좌우방향 조사각
60: 포충망
70: 전원부
71: 프레임
73: 플러그
75: 접속부
77: 연장선
110: 광촉매물질
210: 지지대
211: 지지판
212: 가이드레일
310: 크로스 팬
311: 메쉬통
312: 곤충통과구멍
410: 공기통과구멍
411: 가전제품 팬
412, 413: 가전제품

Claims (17)

  1. 바디;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마련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 후방에 설치되는 팬;
    적어도 상기 팬 주변에서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UV LED;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에서 배출부로 이어지는 공기유로인 덕트;
    상기 흡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내벽 쪽으로부터 적어도 팬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유선형을 이루며 연장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덕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유선형 내면; 및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며 공기는 통과시키되 공기와 함께 빨려 들어온 벌레는 걸리는 포충망;
    을 포함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선형 내면으로부터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분할하여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형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선형 내면과 대향하는 내벽 쪽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덕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유선형 내면;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의 흡입면은 정면을 바라보거나, 정면에 대해 30도 이내로 상향 기울어진 상태인 포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의 직경은 상기 바디의 일 면과 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포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단면적은 상기 덕트의 단면적보다 더 큰 포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는 흡입면 상에 위치하는 포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는 상기 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팬의 후방에 위치하는 포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의 주변에는 LED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하방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면이 설치되는 포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의 피크 파장은 360 ~ 370 nm 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포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의 전방에는 UV LED의 좌우방향으로의 조사각을 UV LED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사각보다 더 넓게 조절하는 렌즈가 설치되는 포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는 바디에 매립된 위치와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한 포충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충기.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선형 내면 및 제2유선형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촉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UV LED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외면에 상기 지지대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포충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은 크로스 팬 인 포충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팬을 감싸되, 복수의 구멍을 갖는 메쉬통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KR1020170018281A 2016-02-11 2017-02-09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KR20170095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465 WO2017138760A1 (ko) 2016-02-11 2017-02-10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CN201780010998.5A CN108601338B (zh) 2016-02-11 2017-02-10 使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薄型捕虫器
US16/101,389 US11102971B2 (en) 2016-02-11 2018-08-10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5573 2016-02-11
KR1020160015573 2016-02-11
KR1020160061015 2016-05-18
KR20160061015 2016-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142A true KR20170095142A (ko) 2017-08-22

Family

ID=5975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81A KR20170095142A (ko) 2016-02-11 2017-02-09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02971B2 (ko)
KR (1) KR20170095142A (ko)
CN (1) CN1086013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26A (ko)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소해충 생물검정용 흡충기
US11313569B2 (en) * 2020-04-29 2022-04-26 Dongguan Weibo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air purification robot with mosquito-repell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3787A1 (ja) * 2015-06-18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N205884470U (zh) * 2016-08-05 2017-01-18 宁波大央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灭蚊功能的无叶风扇
US10006619B1 (en) 2016-12-28 2018-06-26 WLC Enterprises, Inc. Combination LED lighting and fan apparatus
US10393357B2 (en) * 2016-12-28 2019-08-27 WLC Enterprises, Inc. Combination built-in air flow mechanism, grow lighting and bug killer
US20180360020A1 (en) * 2017-06-15 2018-12-20 Warren Burch Insect Control Device
DE102017120212A1 (de) * 2017-09-01 2019-03-07 Biogents Ag Insektenfalle und Verfahren zum Anlocken und/oder Fangen von Fluginsekten
TW202001489A (zh) * 2018-06-15 2020-01-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散熱風扇
CN110301414A (zh) * 2019-07-29 2019-10-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室内挂壁式灯具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7550A (en) * 1930-05-02 1931-05-26 Louis J L Rector Insect trap
US2807116A (en) * 1955-10-21 1957-09-24 Arthur Finley Corn borer and flying insect trap
US3020671A (en) * 1960-04-06 1962-02-13 Ampsco Corp Insect trap
US4127961A (en) * 1976-03-29 1978-12-05 Pestolite Inc. Apparatus for entrapping insects
CA2092658C (en) * 1993-03-12 1996-07-16 Arthur Carle Trap for catching mosquitoes or all night flying insects and method therefor
IT1276687B1 (it) * 1995-06-08 1997-11-03 Mo El Srl Dispositivo per catturare insetti e simili
JP3729433B2 (ja) * 1997-08-14 2005-12-21 みかど化工株式会社 捕虫器
US20020020105A1 (en) * 2000-08-14 2002-02-21 Sharpe Allen N. Flying insect trap
ITMI20011276A1 (it) 2001-06-18 2002-12-18 Mo El Srl Contenitore di raccolta per apparecchiature insetticide ed apparecchiatura per catturare insetti e simili munita di tale contenitore
US6840003B2 (en) * 2003-02-04 2005-01-11 Dale Moore Light emitting insect trap
KR200332379Y1 (ko) * 2003-08-01 2003-11-10 임남교 날벌레 포획장치
KR200402319Y1 (ko) * 2005-07-08 2005-11-29 김욱 흡입식 포충기
KR200425478Y1 (ko) * 2006-05-29 2006-09-19 송종명 해충 포집장치
KR100928094B1 (ko) * 2006-12-20 2009-11-24 김승수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895502B1 (ko) 2007-06-29 2009-05-0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9595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100009816A (ko) * 2008-07-21 2010-01-29 이상학 염전용 해충포집기
US9453652B2 (en) * 2009-01-09 2016-09-27 S. C. Johnson & Son, Inc. Fragrance dispenser
CN201435924U (zh) * 2009-07-22 2010-04-07 上海申雷节能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结构的捕蚊机
JP5527529B2 (ja) * 2010-03-25 2014-06-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30115963A (ko) * 2012-04-13 2013-10-22 한승주 날벌레 차단 포획구
KR101253467B1 (ko) * 2012-12-31 2013-04-10 김연우 벽면 설치형 포충기
BR112015020980B1 (pt) * 2013-03-01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madilha de insetos e método de utilização de uma armadilha de insetos
CN104430262B (zh) * 2013-09-25 2019-07-05 荣金集团有限公司 昆虫诱捕器
KR20150112755A (ko) * 2014-03-28 2015-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CN204070241U (zh) * 2014-09-29 2015-01-07 怀化本业农机有限公司 一种太阳能涡流式捕虫器
CN104488840A (zh) * 2014-12-13 2015-04-08 张柳明 一种诱杀蚊子的方法及其灭蚊灯
TWI549608B (zh) * 2014-12-19 2016-09-21 國立高雄應用科技大學 捕蚊燈
CN204907620U (zh) * 2015-06-15 2015-12-30 怀化本业农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扇吸式捕虫器或杀虫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26A (ko)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소해충 생물검정용 흡충기
US11313569B2 (en) * 2020-04-29 2022-04-26 Dongguan Weibo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air purification robot with mosquito-repell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1338A (zh) 2018-09-28
CN108601338B (zh) 2021-08-10
US11102971B2 (en) 2021-08-31
US20180368383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5142A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KR102558267B1 (ko) 포충기
CN205658234U (zh) 捕虫器
KR101691587B1 (ko) 포충기
KR20150112755A (ko)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US11154044B2 (en) Insect trap
JP2013545488A (ja) 捕虫トラップ
WO2020115927A1 (ja) 捕虫器
CN107182967A (zh) 捕虫器
CN107182968B (zh) 捕虫器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20170112972A (ko) 포충기
KR20190000020A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JP2007209266A (ja) 捕虫装置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KR20190019763A (ko) 포충기
KR20170038954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CN108244070A (zh) 捕虫器
KR20190050882A (ko) 포충기
CN207948656U (zh) 捕虫器
KR102574929B1 (ko) 포충기
JP4483186B2 (ja) 侵入害虫防除方法、及び侵入害虫防除装置
CN217184515U (zh) 一种诱捕蚊虫照明装置
CN211672065U (zh) 一种高效灭蚊装置
KR20190037605A (ko) 포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