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20A -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 Google Patents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20A
KR20190000020A KR1020170078680A KR20170078680A KR20190000020A KR 20190000020 A KR20190000020 A KR 20190000020A KR 1020170078680 A KR1020170078680 A KR 1020170078680A KR 20170078680 A KR20170078680 A KR 20170078680A KR 20190000020 A KR20190000020 A KR 2019000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cross fan
fan
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훈식
이정훈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020A/ko
Priority to PCT/KR2018/006967 priority patent/WO201823614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바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 시트; 바디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UV LED;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점착 시트 아래쪽에 배치된 크로스 팬; 및 크로스 팬 아래쪽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한다.
UV LED에 의해 해충을 유인하고, 점착 시트와 크로스 팬을 이용하여 다양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Description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SLIM INSECT TRAP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라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생활 환경에 대한 살충 요청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살충 관련 산업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 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포충 효율이 보장되지 않고, 장치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이 비교적 크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아오고 있다.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한편, UV LED는 한쪽 방향으로 점발광하는 광원이라는 점에서, UV LED를 포충기에 적용할 때에는 UV LED의 특성과 포충기의 사용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설계가 요구된다. UV LED의 지향성은 한쪽 방향을 바라보며 벽에 설치될 수 있는 포충기에 특히 적합하다.
한편, 종래의 포충기에서 UV 램프를 이용하여 벌레를 유인하고, 유인된 벌레를 원형 팬을 이용하여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해 포집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해충을 포집부로 흡인하여 포집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형 팬을 사용함에 따라, 공기 유동을 이용하는 종래의 포충기는 거의 모든 제품이 원통형의 바디를 채용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원통형 바디는 한쪽 방향을 바라보며 벽에 설치되는 포충기의 형태로는 부적절하다.
또한, 종래의 원형 팬을 이용한 포충기의 경우, 원형 팬이 해충을 포획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포획되는 해충과 원형 팬이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나아가, 공기 유동에 의해 포집된 벌레중에서 모기는 공기 유동을 거슬러 포충기를 탈출하지 못해도 파리나 나방과 같은 곤충은 공기 유동을 거슬러 포충기를 탈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모기와 같이 탈출 가능성이 낮은 해충과 파리나 나방과 같이 탈출 가능성이 높은 해충을 모두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벽체에 적용할 수 있는 바디 형태를 가지는 슬림형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공기 유동을 이용하되, 공기 유동을 거슬러 탈출 가능성이 높은 해충도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 시트; 상기 바디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UV LED;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점착 시트 아래쪽에 배치된 크로스 팬; 및 상기 크로스 팬 아래쪽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UV LED를 이용하여 유인된 벌레를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포획함과 아울러, 크로스 팬을 이용한 공기 유동에 의해 포집부에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파리나 나방 등은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포획하고, 모기는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포집부에 포획할 수 있다.
특히, 크로스 팬이 바디 내부에 배치되므로,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팬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따라서, UV LED를 바디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나아가, 종래의 포충기는 포획되는 해충이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팬을 통과하게 되므로, 해중과 팬의 충돌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크로스 팬이 점착 시트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점착 시트에 포획되는 해충은 팬과 충돌하지 않는다.
나아가, 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크로스 팬을 이용함으로써 바디를 벽체에 적용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 발명의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정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가림막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락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팬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전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요소는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충기가 제공되는데, 이 포충기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 시트; 상기 바디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UV LED;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점착 시트 아래쪽에 배치된 크로스 팬; 및 상기 크로스 팬 아래쪽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한다.
UV LED를 이용하여 유인된 벌레를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포획함과 아울러, 크로스 팬을 이용한 공기 유동에 의해 포집부에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파리나 나방 등은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탈출을 방지하고, 모기는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포집부에 포획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크로스 팬"은 일반적으로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의 날개 바퀴(impeller)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크로스 팬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날개들을 가진다.
한편, 상기 바디는 상기 점착 시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상기 바디의 앞면을 통해 자외선을 상기 바디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UV LED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벌레가 유인될 수 있으며, 벌레들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바디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또한 상기 점착 시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는 점착 시트를 삽입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또한 점착 시트에 포획된 해충이 바디에 걸리지 않도록 점착 시트를 제거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상기 포충기는 상기 바디 내부에 상기 점착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바는 점착 시트를 장착하는 것을 도우며, 점착 시트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바는 바디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충기는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크로스 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유로를 좁히는 가림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림막에 의해 상기 크로스 팬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막은 크로스 팬에 의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가림막은 상기 바디의 내벽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막은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은 점착 시트에 대해 상기 크로스 팬이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 시트 상에 공기의 빠른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림막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의 일면(앞면)에 대향하는 내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은 선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유동을 보조하기 위해 유선형 등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크로스 팬의 중심축은 상기 가림막의 하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크로스 플로우 팬의 흡입구를 형성하며, 크로스 팬의 중심축을 가림막의 하부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흐름 방향에 역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림막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상기 점착 시트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점착 시트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UV LED의 피크 파장은 320 ~ 400n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는 바디에 매립된 위치와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충기는 상기 크로스 팬을 감싸되, 복수의 구멍을 갖는 메쉬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면에 부착되거나 벽면 근처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정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는 바디(10), 점착 시트(20), 발광 모듈(30), 가림막(40), 크로스 팬(50), 포집부(60), 전원부(71, 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충기(100)는 걸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바디(10)는 평평한 형태의 뒷면 및 앞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뒷면 및 앞면의 폭이 측면의 폭보다 큰 슬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는 앞면에 개구부(11)를 가진다. 하나의 개구부(11)가 앞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개구부(11)가 앞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개구부(11)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바디(20)의 측면에 점착 시트 삽입구(13)가 마련될 수 있다. 점착 시트 삽입구(13)는 점착 시트(20)를 바디(10) 내로 삽입하고 사용된 점착시트를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점착시트 삽입구(13)는 점착 시트(20)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한편, 바디(10)에 걸이부(15)가 제공될 수 있으며, 걸이부(15)를 이용하여 포충기(100)를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에 안내 바(17)가 제공될 수 있다. 안내 바(17)는 점착 시트(20)를 점착 시트 삽입구(13)를 통해 삽입할 때, 점착 시트(20)를 안내하며, 점착 시트(17)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바(17)가 점착 시트(17)의 앞쪽에 배치되어 점착 시트(17)가 앞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안내 바(17)가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안내 바(17)가 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바(17)가 점착 시트(20)의 앞면 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나, 안내 홈이 형성된 안내 바가 점착 시트(20)의 아래 및/또는 위에 배치되어 점착 시트(20)가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점착 시트 삽입구(13)에 대향하는 측면에 점착 시트 삽입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점착 시트(20)의 끝 단부가 점착 시트 삽입홈에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바디(10)의 하면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측에 포집부(6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10)가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10)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이 조립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바디(10)는 뒷면을 포함하는 몸체와 앞면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시트(20)는 점착 시트 삽입구(13)를 통해 삽입되어 바디(10) 내부에 배치된다. 점착 시트(20)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20)는 시트 형상의 베이스(21) 및 베이스(21)의 일부에 형성된 끈끈이(23)를 포함한다. 점착 시트(20)는 또한 손잡이(25)를 포함할 수 있다. 끈끈이(23)는 베이스(21) 상에 도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끈끈이(23)는 파리나 나방과 같이 상대적으로 강한 날개 힘을 가지는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된다. 끈끈이(23)는 베이스(21) 앞면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점착 시트(20)의 핸들링을 쉽게 하기 위해 베이스(21)의 일부분, 예컨대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안내 바(17)는 끈끈이(23)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21)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손잡이(25)는 점착 시트(20)를 삽입 또는 제거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끈끈이(23)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21)의 가장자리 부분이 손잡이(25)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점착 시트(20)는 바디(10)의 내벽과 안내 바(17) 사이에 배치되어 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2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설명한 안내 홈이 형성된 안내 바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자석 부재가 베이스(23)의 뒷면에 배치되고 자력을 이용하여 바디(10)의 내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포충기(10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위 아래가 뒤바뀔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변경에 따라 점착 시트(20)가 바디(10)에서 분리되거나 위치를 크게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점착 시트(2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채택될 수 있으며, 자석 부재는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발광 모듈(30)은 지지부재(31) 및 UV LED(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기다란 바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31) 상에 복수의 UV LED들(33)이 실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바 형상의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플라스틱 바 또는 유리 바일 수도 있다.
UV LED(33)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임의의 LED를 나타내며, 패키지 또는 칩 등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UV LED(33)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도 있으며, 또는 칩 스케일 패키지일 수도 있다.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320 ~ 400nm, 더 구체적으로는 360 ~ 370nm의 범위 내의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365nm의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발광 모듈(30)은 점착 시트(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10)의 앞면을 통해 자외선을 바디(10)의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바디(10)의 앞면은 자외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은 바디(10)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모듈(3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 모듈(3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유인된 벌레가 바디(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들(11)이 바디(10)의 앞면에 형성된다. 개구부들(11)을 바디(10)의 앞면에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유인된 벌레가 바디(10) 내부로 쉽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11)는 바디(10)의 앞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10)의 상면 등 다른 면에 형성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발광 모듈(30)이 개구부(11)의 바로 뒤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 모듈(3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모듈(30)은 개구부(11)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발광 모듈(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바디(10)의 앞면을 투과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발광 모듈(30)은 광원 장착부(도 3의 35)에 장착되어 바디(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 장착부(35)는 전원부(71, 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모듈(30)의 형태에 따라 콘센트 등과 같은 다양한 광원 장착부(35)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31) 상에 실장된 UV LED(33)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30)을 광원의 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광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발광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1)가 튜브 내에 배치되는 튜브타입 LED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31)의 일면에 UV LED(33)가 실장된 것을 설명하지만, 지지부재(31)의 양면에 LED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지지부재(31)의 일면에 배치되는 UV LED(33)는 해충 유인용 발광 다이오드이고, 반대면에 배치되는 LED는 살균 및 살충용 UVC LED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 시트(20)에 포획된 해충 및 세균을 UVC LED를 이용하여 살충 및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모듈(30)이 점착 시트(20)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30)은 바디(10)의 앞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점착 시트(20)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30)이 점착 시트(20)의 후방에 배치될 경우, 발광 모듈(3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점착 시트(20) 전방으로 조사된다. 이를 위해, 점착 시트(20)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자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투과 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21) 및 끈끈이(23)가 모두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들이 불투명할 경우,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격자 형태의 간격은 타겟 해충, 예컨대 파리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2 mm 내지 8mm 범위 내일 수 있다.
가림막(40)은 점착 시트(20)와 크로스 팬(50) 사이에 배치된다. 가림막(40)은 공기 유로를 좁히기 위해 배치된다. 가림막(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선반 형상일 수 있으며, 바디(10)의 뒷벽 및 양 측벽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가림막(4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가림막(40)은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가림막(40)이 바디(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가림막(40)은 판상의 선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가림막(40)은 공기 유동을 고려하여 유선형 형상일 수 있으며, 가림막(40)의 끝 단부가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유선형 형상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끝 단부가 위쪽으로 올라간 가림막(40a) 및 아래쪽으로 내려간 가림막(40b)을 도시한다. 가림막(40a)과 같이 끝 단부가 크로스 팬(50)으로 멀어지는 쪽, 즉, 위쪽으로 올라갈 경우, 점착 시트(20) 근처에서 공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림막(40b)과 같이, 끝 단부가 크로스 팬(50)쪽으로, 즉,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유선형 형상의 경우,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 유속을 조절하기 쉽다.
한편, 크로스 팬(50)은 가림막(40) 아래쪽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크로스 팬"은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와 무관하게 크로스 플로우 팬에 사용되는 날개 바퀴(임펠러)를 의미한다.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는 바디(10) 및 포집부(60)에 의해 형성된다.
크로스 팬(50)은 복수의 날개들이 원통형으로 조합된 것이다. 가림막(40)에 의해 크로스 팬(50)을 향해 좁은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크로스 팬(50)의 중심축은 가림막(40)의 하부 영역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크로스 팬(50)은 원통형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크로스 팬(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바디(10)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 팬(50)이 도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바디(10)의 앞면 쪽에서는 아래로 향하는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뒷면 쪽에서는 위로 상승하는 공기 유동이 발생한다. 가림막(40)은 위로 상승하는 공기 유동을 차단한다. 크로스 팬(50)의 중심축이 가림막(40)의 하부 영역 내에 배치될 경우, 이러한 역류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팬(50)을 채택함으로써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부(11)로부터 팬을 멀리 떨어뜨릴 수 있으며, 바디(10)를 원통형이 아닌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은 슬림 형태의 포충기에 크로스 팬(50)을 적용함으로써, 바디(10) 내부에서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기류가 형성되어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로스 팬(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에 미도시)는 공지된 크로스 팬(50) 용 모터를 적용할 수 있고, 모터는 팬(5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바디(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크로스 팬(50)은 팬날개가 20 개 내지 40 개, 예를 들어 24 개 내지 36 개 일 수 있으며, 크로스 팬(50)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내지 3500 rpm, 예를 들어 2100 rpm 내지 3000 rpm 일 수 있다. 팬 날개의 개수가 20 개 미만 또는 상기 크로스 팬(50)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미만인 경우 해충의 포집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40 개 초과 또는 상기 크로스 팬(50)의 회전속도가 3500 rpm 초과인 경우 해충 사체가 크로스 팬(50)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해충, 특히 모기는 0.8 m/s 이상의 풍속에서 비행을 멈추고 기류에 흘러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0.5 m/s 미만의 기류의 속도에서는 곤충이 상기 포충기 내로 흡입되는 효율이 낮을 수 있고, 3 m/s 초과인 경우 곤충이 탈출을 시도하거나 지나치게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팬(50)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크로스 팬(50)의 회전속도, 팬 날개 개수를 상기 수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해충이 크로스 팬(50)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동시에 해충이 비행을 멈추고 높은 효율로 포집부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팬(50) 및 메쉬통(51)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크로스 팬(50)을 나타내고, 도 7(b)는 크로스 팬(50)을 감싸기 위한 메쉬통(51)을 나타내며, 도 7(c)는 메쉬통(51)으로 감싸진 크로스 팬(50)을 나타낸다.
크로스 팬(50)은 메쉬통(51) 없이 바디(10)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통(51)이 크로스 팬(50)을 감쌀 수도 있다. 메쉬통(51)은 직경이 1 ㎜ 내지 3 ㎜ 인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해충, 특히 모기가 메쉬통(5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기류 발생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메쉬통(51) 내에 크로스 팬(50)을 배치함으로써, 해충이 크로스 팬(50)에 충돌하여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충과 팬(50)이 충돌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포집부(60)는 바디(10)의 하부에 설치된다. 포집부(60)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벌레는 통과시키지 않는 방충망일 수 있다. 이러한 포집부(60)는 유연한 포충망일 수도 있으나, 통 형상의 견고한 망일 수도 있다. 포집부(60)는 바디(10)의 아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포집부(60)에 어느 정도 벌레가 차게 되면 포집부를 바디(10)로부터 분리한 후 내부에 모여 있는 벌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집부(60)는 측면 및 하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크로스 팬(50)에 의한 공기 유동을 고려하여 일측면에만 통풍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포충기 구조에 의하면, 컴팩트한 크기의 공간에 많은 구성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크로스 팬(50)과 UV LED(33)는 이를 제어할 제어회로가 필요하고,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전원회로 역시 필요하다. 제어회로 또는 전원회로는 예컨대 가림막(4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포충기(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전원부(7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원부(70)는 바디(10)에 고정되는 프레임(71)을 구비하고, 프레임(71)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플러그(73)를 구비한다. 프레임(71)은 바디(10)에 대해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마다 서로 다른 플러그 형태에 맞는 프레임(71)으로 전원부를 교체하여 바디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가 이렇게 포충기의 후면에 위치하면, 가령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위 플러그(73)를 꽂는 것만으로 포충기(100)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벽 위쪽에 설치된 콘센트가 없는 경우에는 연장선(77)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연결할 수 있고, 바디(10) 상부에 구비된 걸이부(15)를 활용하여 포충기(100)를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포충기(100)는 일반적인 가정집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TV 등의 디스플레이 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충기(100)는 걸이부(25)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플러그(73)를 콘센트에 꽂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11) 상에 포충기(1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111)는 바디(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111) 상에 포충기(10)가 놓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벽면에 또는 벽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바디
11: 개구부
13: 점착 시트 삽입구
15: 걸이부
17: 안내 바
20: 점착 시트
21: 베이스
23: 끈끈이
30: 발광 모듈
31: 지지부재
33: UV LED
40, 40a, 40b: 가림막
50: 크로스 팬
51: 메쉬통
60: 포집부
70: 전원부
71: 프레임
73: 플러그
75: 접속부
77: 연장선
100: 포충기
111: 지지대
200: 가전제품

Claims (14)

  1.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 시트;
    상기 바디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UV LED;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점착 시트 아래쪽에 배치된 크로스 팬; 및
    상기 크로스 팬 아래쪽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점착 시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점착 시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포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상기 점착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바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바는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포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크로스 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유로를 좁히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바디의 내벽에서 돌출된 포충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팬의 중심축은 상기 가림막의 하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포충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그 끝 단부가 상기 크로스 팬쪽으로 또는 상기 크로스 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포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기 점착 시트 전방에 배치된 포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의 피크 파장은 320 ~ 400nm의 범위 내인 포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부가 마련되되,
    상기 플러그는 바디에 매립된 위치와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한 포충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팬을 감싸되, 복수의 구멍을 갖는 메쉬통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포충기.
KR1020170078680A 2017-06-21 2017-06-21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KR20190000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80A KR20190000020A (ko) 2017-06-21 2017-06-21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PCT/KR2018/006967 WO2018236147A1 (ko) 2017-06-21 2018-06-20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80A KR20190000020A (ko) 2017-06-21 2017-06-21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20A true KR20190000020A (ko) 2019-01-02

Family

ID=6473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80A KR20190000020A (ko) 2017-06-21 2017-06-21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00020A (ko)
WO (1) WO20182361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3364A1 (en) * 2019-02-06 2020-08-13 Dynamic Solutions Worldwide, LLC Plug-in insect trap with replaceable adhesive fan
KR20210135774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팜클 실내용 포충 장치
KR20220071735A (ko) * 2020-11-24 2022-05-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취약점 탐색방법 및 그것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3787A1 (ja) * 2015-06-18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770B1 (ko) * 2010-12-27 2012-11-28 유버 주식회사 해충 포획 장치
KR101464735B1 (ko) * 2013-05-13 2014-11-27 주식회사 이레그린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KR20150124695A (ko) * 2014-04-29 2015-1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해충 트랩 장치
KR101952125B1 (ko) * 2015-02-11 2019-02-26 (주)한빛시스템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
KR20170106882A (ko) * 2016-03-14 2017-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3364A1 (en) * 2019-02-06 2020-08-13 Dynamic Solutions Worldwide, LLC Plug-in insect trap with replaceable adhesive fan
US11470832B2 (en) 2019-02-06 2022-10-18 Dynamic Solutions Worldwide, LLC Plug-in insect trap with replaceable adhesive card
KR20210135774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팜클 실내용 포충 장치
KR20220071735A (ko) * 2020-11-24 2022-05-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취약점 탐색방법 및 그것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147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2558267B1 (ko) 포충기
US8402691B2 (en) Insect trap
KR20190000020A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CN110831437B (zh) 捕虫器
US11154044B2 (en) Insect trap
CN108601338B (zh) 使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薄型捕虫器
KR101691587B1 (ko) 포충기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KR101960250B1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1885904B1 (ko) 살균 포충기
KR20150125220A (ko) 포충 장치
AU2008243253B2 (en) Insect trap
CN110430753B (zh) 黏着型捕虫器
KR20190050882A (ko) 포충기
JPWO2011004782A1 (ja) 捕虫用照明器具
JP2009296987A (ja) 捕虫器
JP2005100809A (ja) 照明器具
KR20180060922A (ko) 포충기
KR102525233B1 (ko) 포충기
CN211672065U (zh) 一种高效灭蚊装置
KR20190000473A (ko) 포충기
KR20190037605A (ko) 포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