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609A -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609A
KR20170094609A KR1020160015569A KR20160015569A KR20170094609A KR 20170094609 A KR20170094609 A KR 20170094609A KR 1020160015569 A KR1020160015569 A KR 1020160015569A KR 20160015569 A KR20160015569 A KR 20160015569A KR 20170094609 A KR20170094609 A KR 2017009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xtract
minutes
periodontit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상
배은영
김진우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르존몰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르존몰약연구소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4609A/ko
Publication of KR2017009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릿대 생엽을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수분 분리기에 의해 함수 고형분(함수율 40~70%)과 분리하고, 다음으로 포화 수증기 가열 처리기에 의해 100℃~200℃에서 5분~60분 동안 처리한 후,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에서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되는 조릿대 추출물 1~50질량%와; 액체상 유성 성분 6~30질량%와; 고체상 유성 성분 2~25질량%와; 크림화제 1~6질량%와; 안정화제 0~2질량%와, 보습제 0~10질량%와, 창상 치유제 0~2질량%와, 향 성분 0~5질량%와, 유기산 0,01~5질량%와, 그리고 잔량의 물이 혼합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칸디다 속(Candida spp.)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함으로써, 치주염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주염 예방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Manufactureing method of periodontitis prevention solution}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과 유기산을 함유하여 칸디다 속(Candida spp.)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함으로써, 치주염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주염(Periodontitis)은 구강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대사 산물인 독소에 의하여 치아주변 지지조직에 생기는 염증의 일종이다. 이러한 치주염은 초기의 치은염으로부터 발단되는데, 치은염을 방치하면 잇몸이 붓고 출혈과 심한 구취를 동반하는 치주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치주염은 치근막을 지지하는 콜라겐이 파괴되고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이 용해되면서 치주 인대가 분리되어 치주낭이 형성되고, 심한 경우 치아를 손상시키는 진행성 치주질환으로 발전된다.
치주염의 병인은 성별, 인종, 연령에 따라 관련된 병원균이 다르다. 이러한 치주 질환은 수년간 악화되고 소강 상태가 되는 것을 반복하며 감염상태가 지속되며, 당뇨, 에이즈, 호중구감소증, 다운증후군 등의 전신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치주 질환의 원인은 치주 포켓에 있어서의 치주염 관련 미생물의 이상 증식이 관계하고 있다. 치주염에 관련된 미생물에는,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르피로모나스 징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박테로이데스 포르싸이투스(Bacteroides forthythu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푸소박테리움 누클레툼(Fusobacterium nucleatum), 캡노사이토파가 속(Capnocytophaga spp.), corroding organisms(Wolinella spp. Compylobacter gracilis, Eikenella corrodens), 유박테리움 속(Eubacterium spp.), 트레포네마 속(Treponema spp.) 등이 있으며, 그들이 다양한 정도로 관계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충치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
또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아구창'의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구강 내에서의 칸디다 속(Candida spp.)의 이상 증식과 치주 질환과의 관련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치주염은 치주염 균으로 인하여. 잇몸에 염증이 발생. 잇몸이 붓고. 이빨(齒)이 솟구치고 들떠서 잇몸에서 피와 피고름이 나오는 질환으로서. 치료가 제대로 안되면 이빨을 빼고 보철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치주염으로 인하여 통증과 불쾌감은 물론 음식을 제대로 씹지를 못하고. 식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여 자연히 건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치주염에 대한 국소치료를 위한 것으로 안정화된 미노사이클린 연고제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제4,701,320은 용제(Base)로서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hylene glycol)과 같은 알칸디올(alkane-diol), 혹은 알칸트리올(alkane-triol)이 고농도의 마그네슘(magnesium)과 함께 미노사이클린을 안정화시킨다고 하였으나, 단점으로 고농도의 마그네슘이 미노사이클린과 킬레이트(chelate)를 형성하여 침전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치료효과를 위한 체내 흡수에도 나쁜영향을 줄수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조릿대는 강력한 살균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예컨데, 창상 감염증의 원인균이 되는 세균인 황색 포도구균, 녹농균, 대장균에 대한 항균 효과나, 위궤양의 원인균이 되는 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조릿대는 강력한 항암(抗癌)성분이 있어 폐암, 유방암에 우수한 항암 작용을 발휘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몸에 유익한 균류에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고, 다만 몸에 해로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류에만 강력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또한, 조릿대는 잇몸의 염증과 출혈을 억제하는 작용과 치주병(齒周病)이 만들어내는 효소(체내의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와 충치가 만들어내는 이(齒)를 녹이는 효소의 작용을 중화하는 작용을 하며, 구강 건조증(乾燥症)도 치유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조릿대는 구강 내 세균 중 치주병균의 대표인 폴루휘로모나스 진지발리스균과, 충치(蟲齒)균으로 알려진 뮤-탄스 연쇄(連鎖)구균(球菌)과 곰팡이의 일종인 치주병을 유발하는 칸디다균에 대하여 특히 강력한 항균 억제 작용을 한다. 그러나 유산균 같은 구강내의 유익균(有益菌)에 대하여는 상당히 높은 농도의 추출 액기스가 아니면 억제작용을 하지 않는다.
KR 10-1406106 B1 (2014. 06. 03. 등록) KR 10-0829519 B1 (2008. 05. 0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잇몸 섬유아세포의 치주조직파괴과정에서 활성화되어 치주조직파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릿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은 조릿대 추출물 1~50질량%, 액체상 유성 성분 6~30질량%, 고체상 유성 성분 2~25질량%, 크림화제 1~6질량%, 안정화제 0~2질량%, 보습제 0~10질량%, 창상 치유제 0~2질량%, 향 성분 0~5질량%, 유기산 0,01~5질량%, 그리고 잔량의 물이 혼합되어 크림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릿대 추출물은 생엽을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수분 분리기에 의해 함수 고형분(함수율 40~70%)과 분리하고, 다음으로 포화 수증기 가열 처리기에 의해 100℃~200℃에서 5분~60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한번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에서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유기산으로서 사과산, 구연산, 젖산, 옥살산, 마론산, 호박산, 푸말산, 초산, 안식향산, 페닐 초산, 살리실산 및 페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주 포켓에서의 치주염 관련 미생물의 이상 증식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치주 질환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가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충치 등의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자는 조릿대 추출물의 각종 균류에 대한 항균 효과를 탐색하여, 조릿대 추출물을 고형분으로 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2~2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 질량%를 함유하게 되면 치주염 관련 미생물(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Bacteroides forthythus,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Capnocytophaga spp., corroding organisms(Wolinella spp. Compylobacter gracilis, Eikenella corrodens), Eubacterium spp., Treponema spp. 등) 및 스트렙토코커스 등의 충치 관련 세균, 칸디다 등의 곰팡이류에 대하여 현저한 항균 효과를 갖게 되고, 또한 조릿대 추출물에 사과산 등의 유기산을 함유시키면 항균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조릿대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릿대의 생엽이나 건조엽, 바람직하게는 건조엽을 100~180℃의 물에서 상압 또는 가압 추출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수분 분리기에 의해 함수 고형분(함수율 40~70%)과 분리하고, 다음으로 포화 수증기 가열 처리기에 의해 이 함수 고형분을 100℃~200℃에서 5분~60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한번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에서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시켜, 첫번째와 두번째 추출물을 합쳐 사용한다. 또한 조릿대 건조엽을, 예를 들면 60℃~100℃ 물에서 30분~12시간 정도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조릿대 추출물은 황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함유량은 황으로 환산하여 조릿대 추출물의 고형분 1g당 약 4~10㎎, 통상은 약 6~9㎎이다. 황 성분 중 주된 성분은 함황 아미노산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황 성분을, 황으로 환산하여 100g당 바람직하게는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6~150㎎ 함유한다.
또한 조릿대 추출물은 탄닌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함유량은 조릿대 추출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5~15 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조릿대 탄닌을 고형분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0.05~7.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고, 이에 적정량의 유기산을 병용함으로써 그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기산으로는 사과산, 구연산, 젖산, 옥살산, 마론산, 호박산, 푸말산, 초산, 안식향산, 페닐 초산, 살리실산, 페놀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사과산이 바람직하다.
유기산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3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1.5 질량%이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또는 조릿대 추출물과 유기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것을 다른 성분, 담체와 혼합할 수도 있으며, 액체상, 고체상, 기체상 어떤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투여, 기타 어떠한 투여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경구 투여 형태로는 정제, 환제, 분말제, 액제, 츄잉검, 사탕, 쵸콜렛, 빵, 쿠키, 소바, 우동 등의 식품 형태가,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치약, 구강 세정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등) 등을 들 수 있다.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예로는,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제의 거즈 등의 담체에 함침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크림, 연고 등의 형태는 치주염 환부나 충치에 직접 도포하는데 적합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종 제형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에는, 소정량의 상기 조릿대 추출물 외에 통상의 의약 조성물, 화장품, 피부용 조성물, 구강 조성물(치약, 구강 세정제) 등에 사용되는 유성 성분 등의 기재 성분, 보습제, 방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물은 수도물, 천연수, 정제수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수 등의 고순도의 물이 바람직하다.
유성 성분으로는 스쿠알렌, 우지, 돈지, 마지(馬脂), 라놀린, 밀랍 등의 동물성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팜유, 호호바유, 배아유(예를 들면, 쌀 배아유) 등의 식물성유, 유동 파라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팔미틴산 옥틸,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실리콘유 등의 합성유, 반합성유를 들 수 있다.
유성 성분은 피부의 보호, 피부 연화성 부여 효과(피부 표면을 박막으로 덮어 건조를 막음과 동시에 유연성, 탄력성을 부여하는 효과), 산뜻한 느낌 등의 요구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스쿠알렌, 올리브유 및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의 조합은 바람직한 예 중 하나이다.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의 경도,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알콜, 베헤닌산, 세탄올, 바세린 등의 고체유가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과 세탄올이 조합되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크림 조성물로서 제조하기 위해서는 조릿대 추출물, 물, 유성 성분을 크림 상태로 하기 위한 크림화제가 이용된다. 크림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과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에 유화제를 첨가한 것)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안정제, 보습제, 창상 치유제, 방부제, 계면 활성제, 점결제(粘結劑), 발포제, 감미제, 청량제, 연마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수산화칼륨의 조합, 디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인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세스퀴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과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의 1:1 혼합물)(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은 1000~20000)은 안정성이 높고, 물과 기름에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크림 조성물로서 피부에 도포할 때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습제(습윤제)로는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콜라겐, 알로에 추출물(특히, 알로에 아보레센스로부터 유래된 알로에 추출물(2)이 바람직하다), 요소,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레할로스, 솔비톨,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창상 치유제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디칼륨, 감초 추출물, 쑥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조릿대 추출물 자체에 항균 작용이 있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안식향산나트륨, 파라하이드록시안식향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에스테르 등의 파라벤이라 칭해지는 것), 프로피온산나트륨, 혼합 지방산에스테르(카프린산글리세릴, 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2, 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10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감광소 201호(황색 색소), 1, 2-펜탄디올 등을 들 수 있는데, 파라벤, 혼합 지방산에스테르, 1, 2-펜탄디올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N-아실-L-글루타민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점결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등이, 발포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등이, 감미제로는 크실리톨(자일리톨), 솔비톨, 사카린나트륨 등이, 청량제로는 박하유 등이, 연마제로는 인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향 성분, 예를 들면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등피유, 향료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각 성분에 물 및 필요에 따라 유기산을 가하여 전체 100질량%로 한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크림 조성물로 제조하는 경우의 각 성분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크림 조성물의 총 100질량%에 대하여 조릿대 추출물 1~50질량%, 액체상 유성 성분 6~30질량%, 고체상 유성 성분 2~25질량%, 크림화제 1~6질량%, 안정화제 0~2질량%, 보습제 0~10질량%, 창상 치유제 0~2질량%, 향 성분 0~5질량%, 유기산 0,01~5질량%, 그리고 잔량의 물이 혼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분 이외의 각 성분의 배합량은 수분을 제외한 것의 질량%이다.
이상의 각 성분을, 교반날과 바람직하게는 유화기를 구비한 가열 혼합용기에 투입하고 70~90℃에서 1~2시간 교반 혼합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크림 조성물 외에 연고, 액상, 젤상, 겔상, 에어졸, 그 외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크림 조성물의 형태가 간편하고 효과도 크다. 또한, 반고체 또는 액체의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적정량, 예를 들어 크림 조성물로 적용할 경우, 0.1~1g 정도를 1일 1~5회, 통상은 1~3회 정도, 환부, 예를 들면 치주염 환부나, 충치의 치근, 치주부에 도포하면 된다. 도포량, 도포 횟수는 증상의 정도에 맞춰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경구 섭취할 경우, 조릿대 추출물 고형분으로 체중 1kg당 0.01~0.1g 정도를 1일 1~5회, 통상은 1~3회 정도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섭취량, 섭취 횟수는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비경구 섭취할 경우, 조릿대 추출물 고형분으로 체중 1kg당 0.01~0.1g 정도를 1일 1~5회, 통상은 1~3회 정도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섭취량, 섭취 횟수는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조릿대 추출물은 조릿대속(屬)의 추출물로서, 그 1.25 질량% 수용액은 사람의 태아 신장에서 유래된 293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을 고형분으로 1~50질량% 함유하고 있으며, 치주염 관련 미생물, 칸디다균 등에 대한 현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에서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조릿대의 건조엽을 가압 열수 추출 탱크에 넣어 125℃에서 10분간 처리하고, 냉각수에서 열수를 80℃ 정도까지 냉각하여, 추출물과 함수 고형분을 스크류 프레스로 분리하여 함수율을 약 50 질량%로 하였다. 또한, 약 50질량% 함수 고형분을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180℃에서 10분, 포화 수증기에 의한 가압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처리한 함수 고형분을 다시한번 가압 열수 추출 탱크에 넣고 110℃에서 5분간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시켰다. 첫번째와 두번째의 추출물을 합쳐 규조토로 여과하고, 고형분이 50질량%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한 후, 110 내지 130℃의 유동 살균 처리를 하여 조릿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의 성분과 질량비로 혼합하여 교반 날개와 유화기를 구비한 가열 혼합기에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교반 혼합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스쿠알렌 5.0질량%, 올리브유 6.0질량%, 레몬 오일 1.0질량%, 스테아린산 4.0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8질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폴940) 0.2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자기 유화형) 1.0질량%, N-아실-L-글루타민산나트륨 0.2질량%, 1,3-부틸렌글리콜 1.0질량%, 요소 10.0질량%, 알란토인 0.1질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질량%, 파라옥시안식향상프로필 0.1질량%,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8질량%) 12.5질량%, 수산화칼륨 0.02질량%, 잔량의 이온 교환수.
상기의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8질량%)은 앞서 제조한 고형분 50질량%의 조릿대 추출물을 물로 희석하여서 되는 고형분 농도 8질량%의 조릿대 추출물이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면서, 고형분 농도 8질량%의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25중량%로 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면서, 고형분 농도 8질량%의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37.5질량%로 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면서, 고형분 농도 8질량%의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75질량%로 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의 성분과 질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스쿠알렌 1.0질량%, 올리브유 4.0질량%, 오렌지 오일 1.0질량%,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6.0질량%, 스테아린산 4.0질량%, 세탄올 2.0질량%, 디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0.5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질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폴940) 0.2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자기 유화형) 1.4질량%, N-아실-L-글루타민산나트륨 0.2질량%, 1,3-부틸렌글리콜 1.0질량%, 요소 3.0질량%, 알란토인 0.1질량%, 혼합 지방산 에스테르(니코가드DL) 0.5질량%,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8질량%) 75.0질량%, 수산화칼륨 0.05질량%, 이온 교환수 0.05질량%.
실시예 6
하기의 성분과 질량비로 혼합하여, 교반날개와 유화기를 구비한 가열 혼합기에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교반 혼합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동 파라핀 10.0질량%, 스쿠알렌 1.0질량%, 올리브유 1.0질량%, 오렌지 오일 1.0질량%,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6.0질량%, 1,2-펜탄디올 0.5질량%, 페녹시에탄올 0.5질량%, 세탄올 1.5질량%, 스테아린산 4.0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자기 유화형) 2.5질량%, 디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0.5질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질량%, N-아실-L-글루타민산나트륨 0.2질량%, 1,3-부틸렌글리콜 1.0질량%, 에탄올 3.0질량%, 트리메틸글리신 0.5질량%, 히알루론산나트륨 1.0질량%,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50질량%) 12.0질량%, 정제수 51.5질량%.
실시예 7
하기의 성분과 질량비로 혼합하여 교반 날개와 유화기를 구비한 가열 혼합기에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교반 혼합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크림을 제조하였다.
올리브유 3.0질량%, 스쿠알렌 1.0질량%, 유동 파라핀 3.0질량%, 세탄올 1.3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자기 유화형) 5.0질량%,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릴에테르 1.0질량%,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에테르 1.0질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140) 1.0질량%, 벤토나이트 0.5질량%, 크산탄검 0.2질량%, 글루코노-δ-락톤 4.0질량%, d1-사과산 1.0질량%, 트리에탄올아민 3.3질량%, 1,2-펜탄디올 0.5질량%, 페녹시에탄올 0.5질량%, 1,3-부틸렌글리콜 2.0질량%,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50질량%) 12.0질량%, 정제수 57.7질량%.
실시예 8
하기의 성분과 질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산수소칼슘(연마제) 30~40질량%,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50%) 25질량%, 솔비트액(습윤제) 10~30질량%, 글리세린(습윤제) 10~30질량%, 실리카(연마제 3~10질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점결제) 1~5질량%, 라우릴황산나트륨(발포제) 1~5질량%, d1-사과산 1질량%, 크실리톨(감미제) 1 질량% 이하, 박하유(청량제) 1질량% 이하, 인산마그네슘(안정제) 1질량% 이하,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발포제) 1질량% 이하, 사카린나트륨(감미제) 1질량% 이하, 정제수 잔량.
실시예 9
실시예 7에서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함유량 50 질량%)의 양을 16질량%로 하고, 정제수의 양을 조정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릿대 추출물 고형분 함유량이 8질량%인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7에서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함유량 50 질량%)의 양을 20질량%로 하고, 정제수의 양을 조정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릿대 추출물 고형분 함유량이 8질량%인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7에서 조릿대 추출물(고형분 함유량 50 질량%)의 양을 30질량%로 하고, 정제수의 양을 조정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릿대 추출물 고형분 함유량이 8질량%인 본 발명의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대하여 충치 관련 세균과 그 외의 비관련 구균군에 대한 항균력과, 치주염 관련 세균에 대한 항균력과, C.albicans 및 C.glaburata에 대한 항진균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시험예(1)
시험액으로서, 주식회사 호우오우도우제(製) 'TWEBS'(조릿대 추출물을 고형분 농도로 50질량%, 사과산을 1질량% 포함하는 pH 약 5.0의 용액)를 사용하였다. 희석에는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세균에 대해서는, 4, 2, 1, 0.5%와 2배 희석으로, Candida에 대해서는 8, 7, 6, 5, 4, 3, 2, 1%로 변화시켜, MIC를 측정하였다.
GAM 한천 배지를 감수성 측정용 배지로 하여 한천 평판 희석법에 의해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를 측정하였다. 통성균은 24시간의 호기 배양 후에, 혐기성균은 48시간의 혐기 배양 후에 판정을 실시하였다. 접종균량은 spot당 약 106배 정도로 하였다. 필요에 따라, 2N NaOH 수용액 또는 10% 염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하여 배지 pH의 조정을 실시하였다.
Candida spp.는 Mycosel 한천 배지(BD)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얻은 피험균주의 집락을 사용하고, MHbroth(Difco) 중에 McFarland #1 탁도의 균액을 조정하여, 그 1백금이(10㎕)를 시험액 함유 평판 계열에 획선 도말법으로 접종하였다. 1백금이에는 약 106의 세균을 포함한다. 35℃에서 24시간 배양 후, 발육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발육이 인정된 경우 (+)로 판정하였다.
또한, MIC 정밀도 관리용 균주로서, 대장균 ATCC25922, 황색포도상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25923을 사용하였다.
충치 관련 세균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GTC218을 이용하였다. 대조균으로서, 충치와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고 있는 구강, 인두 등 상기도의 병원균 화농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ATCC19615,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ATCC6305를 포함하는 그램양성 구균 5주를 이용하였다.
치주염 관련 미생물로는,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33277, Prevotella intermedia ATCC25611, Bacteroides forthythus, Fusobacterium nucleatum ATCC25586,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Capnocytophaga ohraceus GAI-5586을 이용하였다. Brucella HK 혈액 한천 배지상의 순배양균을 얻어 사용하였다. 배양은 혐기성 글로브박스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시험예(1)의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충치 관련 세균과 그 외의 비관련 구균군에 대한 항균력 106
세균명 조릿대 추출물 시험액의 MIC
Streptococcus mutans 2.0
Streptococcus pyogenes 2.0
Streptococcus pneumoniae 0.5
Streptococcus milleri group 2.0
Staphylococuus aureus 4
Enterococcus faecalis >4
치주염 관련 세균에 대한 항균력 107
세균명 조릿대 추출물 시험액의 MIC(pH7) 조릿대 추출물 시험액의 MIC(pH6)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33277 0.5 ND
Prevotella intermedia ATCC25611 1.0 2.0
Bacteroides forthythus NT NT
Fusobacterium nucleatum ATCC25586 2.0 2.0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NT NT
Capnocytophaga ohraceus GAI-5586 2.0 0.5
Campylobacter gracilis NT NT
C.albicans 및 C.glaburata에 대한 항진균 작용 106
조릿대 추출물 시험액의 MIC(%) Candida albicans주 Candida glabrata주
pH5 pH7 pH5
8` - - -
7 - - -
6 - - -
5 1 3 -
4 4 5 4
3 3 - 1
2 - - -
1 - - -
ND - - -
합계 8 8 5
시험결과
본 발명의 조릿대 추출물은 산성 조건하(pH6.0~5.0)에서, S.mutans의 발육을 2%로 저지하였다. 또한, Candida spp.의 발육은 5%로 저지되었다.
2. 시험예(2)
TWEBS의 서브MIC의 농도에 의한 Porphyromonas gingivalis(Pg균)의 균체 외 분비물량의 감소
치구(齒垢)라 함은 치아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 바이오 필름은 세균에서 유래된 폴리머나 타액에서 유래된 폴리머(Ep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substances 또는 glycocalyx) 안에 파묻혀 생존하고 있는 복수의 세균 집단이다. 치아 표면의 바이오 필름은 구강 점막이나 혀의 점막 표면의 바이오 필름과 비교하여 잘 벗겨지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각종 살균성 물질의 작용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치주염의 원인으로서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Pg균은 치주염과의 관련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혐기성균의 하나로, 강력한 프로테아제를 생산하여 치육의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Pg균은 균체 외에 glycocalyx(글리코칼릭스)를 생산한다. 또한, Pg균의 프로테아제는 베지클에 의해 균체 외로 방출된다.
시험예(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WEBS는 Pg균에 아주 강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어 0.5%의 농도로 발육을 저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2)에서는 Pg균의 글리코칼릭스 생산에 미치는 TWEBS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을 위한 서용 균주로는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33277을 사용하고, 아네로팩(스기야마겐)을 이용하는 혐기성 배양법으로 Pg균을 TWEBS의 subMIC 농도를 포함하는 변법 GAM 한천 배지에 발육시키고 그 발육된 균태를 전자 현미경(SEM, TEM)으로 관찰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 변법 GAM 한천 배지에서 발육한 균태의 육안적 관찰한 결과, TWEBS의 0.2% 존재 하에서 발육한 균태와, TWEBS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에서 발육한 균태를 콘라디봉 집균하였다. TWEBS의 0.2% 존재 하에서 발육한 균태는 비함유 배지에서 발육한 균태에 비하여 점조(粘稠)성이 확실히 낮았고, 고정액 내에서의 확산성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한, TWEBS의 0.2% 존재하에서 발육한 균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서의 관찰한 결과 TWEBS 비함유 배지 안에서 발육한 Pg균의 주위에는 글리코칼릭스 형태의 분비물의 존재가 대량 인정되었으며, 그 글리코칼릭스에 균체가 덮여 있는 상이 도처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TWEBS의 0.2%를 포함하는 배지 표면에서 증식한 Pg균의 주위에는 글리코칼릭스 형태의 분비물이 적었으며, 글리코칼릭스에 균체가 덮여 있는 듯한 상이 극히 적었으며, 균체 주위의 분비물의 양이 적어서 균체가 노출된 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pg균체의 주위에는 베지클 형태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TWEBS는 0.5%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 Pg균의 증식을 저지한다는 것이(MIC 0.5%) 시험예(1)로부터 명백하며, 시험예(2)로부터는 TWEBS는 MIC보다 낮은 농도인 subMIC(0.2%)의 농도로 Pg균의 글리코칼릭스로 생각되어지는 균체 외 물질이 생산되거나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2)

  1. 조릿대 추출물 1~50질량%, 액체상 유성 성분 6~30질량%, 고체상 유성 성분 2~25질량%, 크림화제 1~6질량%, 안정화제 0~2질량%, 보습제 0~10질량%, 창상 치유제 0~2질량%, 향 성분 0~5질량%, 유기산 0,01~5질량%, 그리고 잔량의 물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릿대 추출물은 생엽을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수분 분리기에 의해 함수 고형분(함수율 40~70%)과 분리하고, 다음으로 포화 수증기 가열 처리기에 의해 100℃~200℃에서 5분~60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한번 가압 열수 추출기에 의해 100℃~180℃에서 5~30분 동안 처리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KR1020160015569A 2016-02-11 2016-02-11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KR20170094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69A KR20170094609A (ko) 2016-02-11 2016-02-11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69A KR20170094609A (ko) 2016-02-11 2016-02-11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609A true KR20170094609A (ko) 2017-08-21

Family

ID=5975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569A KR20170094609A (ko) 2016-02-11 2016-02-11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4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2132A (ja) * 2018-06-25 2020-01-0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2132A (ja) * 2018-06-25 2020-01-0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323B2 (ja) 歯周病治療用及び/又は予防用組成物
EP2155222B1 (en) Extract of trigonella foenum-graecum
US20080070875A1 (en) Acne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00222358A1 (en) Topical dermatologic acne treatment cream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10131498A (ko)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RU2699560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гель с фитопело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JP7526849B2 (ja) 銅化合物、亜鉛化合物、及びl-メント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11890A (zh) 一种口腔养护牙膏组合物
AU2014313866B2 (en) Reaction platform and method for making pollen based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beeswax and uses thereof
RU233452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170094609A (ko) 치주염 예방액의 제조 방법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216382B1 (ko)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EP1716859B1 (de) Pflanzenextrakte gegen Halitosis, Gingivitis oder Parodontitis
KR20140143063A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090001268A (ko) 백리향유를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94269A (ja) 歯周病菌増殖抑制用組成物
WO2024180883A1 (ja) 抗真菌剤組成物
RU2734250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пленк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альвеолита с фитопело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Achmad et al. Herbal Plants as a Treatment for Halitosis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JP2013151442A (ja) 哺乳類が分泌する抗菌ペプチド分泌促進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