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785A -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785A
KR20170093785A KR1020177011394A KR20177011394A KR20170093785A KR 20170093785 A KR20170093785 A KR 20170093785A KR 1020177011394 A KR1020177011394 A KR 1020177011394A KR 20177011394 A KR20177011394 A KR 20177011394A KR 20170093785 A KR20170093785 A KR 2017009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ode
uplink
downlink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키 미즈사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치{DEVICE}
본 개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장소 및/또는 시간대에 따라, 다운링크(downlink: DL)의 트래픽과 업링크(uplink: UL)의 트래픽의 비율이 변동된다. 그 때문에, 트래픽에 따라, D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과, U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을 유연하게 조정함으로써,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이 요망된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복신 방식으로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가 서포트되고 있다. TDD에서는, 트래픽에 따라, UL/DL 컨피규레이션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UL 서브프레임과 DL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즉, TDD에서는, D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과, U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FDD에서는, DL 대역과 UL 대역이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D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과, UL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양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없다. FDD에 있어서, 보다 많은 DL 대역과 보다 적은 UL 대역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결과, UL 대역의 무선 리소스의 사용률이 낮아져서, 무선 리소스가 효율적으로 사용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당해 방법은, 플렉시블 듀플렉스(Flexible Duplex)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FDD의 UL 대역을 TDD 모드에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18562호 공보
그러나,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UL 대역에서 무선 통신이 양호하게 행하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F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T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T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T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FDD-LTE에 있어서의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기지국이 매크로셀의 기지국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기지국이 스몰셀의 기지국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 통신부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UL 대역에서의 UL과 DL의 전환에 기인하는 DL 송신 타이밍의 지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 TA 및 제2 TA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DL 대역 및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DL 서브프레임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4는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6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서론
2.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3. 각 장치의 구성
3.1. 기지국의 구성
3.3. 단말 장치의 구성
4. 제1 실시 형태
4.1. 기술적 과제
4.2. 기술적 특징
4.3. 처리의 흐름
5. 제2 실시 형태
5.1. 기술적 과제
5.2. 기술적 특징
5.3. 처리의 흐름
6. 제3 실시 형태
6.1. 기술적 과제
6.2. 기술적 특징
6.3. 처리의 흐름
7. 제4 실시 형태
7.1. 기술적 과제
7.2. 기술적 특징
7.3. 처리의 흐름
8. 제5 실시 형태
8.1. 기술적 과제
8.2. 기술적 특징
8.3. 처리의 흐름
9. 응용예
9.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9.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10. 정리
<<1. 서론>>
처음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UL 송신 타이밍의 조정, 및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송신 타이밍을 설명한다.
(1) UL 송신 타이밍의 조정
(a)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기지국(예를 들어, eNB(evolved Node B))과 단말 장치(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 간의 거리 및 전반 지연은 단말 장치에 따라 상이하다. 그 때문에,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UL 신호의 기지국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의 UL 송신 타이밍이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은, 타이밍 어드밴스(TA) 커맨드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고, 단말 장치는, 당해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adjust)한다.
(a-1) TA의 초기값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면, 기지국은, TA(예를 들어, TA=0 내지 1282))를 나타내는 TA 커맨드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리스펀스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TA부터 NTA(NTA=TA*16)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DL 수신 타이밍과, NTA에 기초하여,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FDD의 케이스에서는, TA(즉, UL 송신 타이밍과 DL 수신 타이밍의 차분)는 NTA*TS이다. TS는, 1/30.72마이크로초(us)이다.
한편, TDD의 케이스에서는, TA는, (NTA+624)*TS이다. 624*TS의 오프셋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으로부터 DL 송신으로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NTA로부터 하나의 TA가 유도되므로, NTA는, TA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a-2) TA의 갱신
랜덤 액세스 처리 후에는, 기지국은, TA의 갱신을 위해서, TA(예를 들어, TA=0 내지 63)를 나타내는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NTA , old 및 TA로부터, NTA , New(NTA, New=NTA, old+(TA-31)*16)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DL 수신 타이밍과, NTA , New에 기초하여,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a-3) TA의 예
도 1은, F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T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F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기지국 및 단말 장치의 송수신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는, DL 송신 타이밍과 UL 수신 타이밍이 동기하고 있다. 환언하면, 당해 기지국에서는, DL 프레임 타이밍과 UL 프레임 타이밍이 동기하고 있다. 한편, 전반 지연에 기인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DL 수신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늦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UL 송신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보다도 빠르다.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UL 송신 타이밍은,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DL 수신 타이밍보다도 TA(91)만큼 빠르다.
도 2는, T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T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DD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기지국 및 단말 장치의 송수신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TDD의 케이스에서도, 전반 지연에 기인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DL 수신 타이밍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늦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UL 송신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보다도 빠르다.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UL 송신 타이밍은,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DL 수신 타이밍(95)보다도 TA(93)만큼 빠르다. 또한, 기지국에 있어서, UL 수신으로부터 DL 송신으로의 전환에 시간(97)을 요한다.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에 있어서도, DL 수신으로부터 UL 송신으로의 전환에 시간(99)을 요한다.
(b)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
단말 장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최대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DL 수신 타이밍과,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라이머리 셀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DL 수신 타이밍과,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세컨더리 셀의 PUSCH/SRS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지국이, 동기한 복수의 C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복수의 CC에 공통인 TA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CC는, 동일한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에 속하고, 상기 TA는, 이 TAG의 TA이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TAG의 TA를 관리한다. 단말 장치는, 어떤 TAG에 속하는 CC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당해 어떤 TAG의 TA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TA 커맨드 MAC(Medium Access Control) 컨트롤 엘리먼트는, 2비트의 TAG ID, 및 6비트의 TA 커맨드를 포함한다.
(2) ACK/NACK의 송신
(a) FDD
FDD-LTE에서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당해 DL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3은, FDD-LTE에 있어서의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FDD의 DL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FDD의 UL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서브프레임 번호가 0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4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DL 데이터가, 서브프레임 번호가 1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5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b) TDD
TDD의 케이스에서는, DL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이, 꼭 UL 서브프레임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마다, DL 데이터가 송신되는 DL 서브프레임과,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송신되는 UL 서브프레임의 대응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36.213 Table 10.1.3.1-1에서 규정되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으로서,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TDD에서는,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UL 서브프레임 및 DL 서브프레임의 수 및 배치가 상이하다. 또한,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은 3GPP TS 36.211에 포함되는 Table 4.2-2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하다.
<<2.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1)은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1) 기지국(100)
기지국(100)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또는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이다. 일례로서, 당해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이다. 기지국(100)은 FDD를 서포트하고, FDD의 DL 대역 및 UL 대역을 사용하고, (셀(101)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은, UL의 컴포넌트 캐리어(CC)이며, 상기 DL 대역은, DL의 CC이다.
특히,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서 단말 장치로의 DL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UL 대역에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UL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서 단말 장치로의 DL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단말 장치로의 DL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서 UL 서브프레임에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UL 신호를 수신한다.
(2) 단말 장치(200)
단말 장치(200)는 상기 이동체 통신 시스템(또는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이다. 특히, 기지국(100)은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DL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UL 대역에서 기지국(100)으로의 UL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DL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DL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100)으로의 UL 신호를 송신한다.
(3) HetNet
(a) 매크로셀의 케이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셀의 기지국이다. 즉, 셀(101)은 매크로셀이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6은, 기지국(100)이 매크로셀의 기지국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매크로셀의 기지국이며, 셀(101)은 스몰셀(21)과 겹치는 매크로셀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몰셀(21)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몰셀(21)의 기지국(2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스몰셀의 케이스
기지국(100)은 스몰셀의 기지국이어도 된다. 즉, 셀(101)은 스몰셀이어도 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7은, 기지국(100)이 스몰셀의 기지국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스몰셀의 기지국이며, 셀(101)은 매크로셀(31)과 겹치는 스몰셀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매크로셀(31)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크로셀(31)의 기지국(3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각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3.1. 기지국의 구성>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로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로의 DL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UL 신호를 수신한다.
(3)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로의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노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노드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4)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5) 처리부(150)
처리부(150)는 기지국(100)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50)는 전환부(151) 및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전환부(151) 및 제어부(153)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3.2. 단말 장치의 구성>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DL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의 UL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부(220)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20)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220)에 포함되는 FDD-DL 수신 회로(221), FDD-UL 송신 회로(223), TDD-DL 수신 회로(22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FDD의 UL 대역을 위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227), 및 FDD의 DL 대역을 위한 국부 발진기(229)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부(210)에 포함되는 안테나(211)도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가,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인 경우에는, FDD-DL 수신 회로(221) 및 FDD-UL 송신 회로(223)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인 경우에는, FDD-DL 수신 회로(221) 및 FDD-UL 송신 회로(223)에 추가로, TDD-DL 수신 회로(225)가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분할로, FDD-UL 송신 회로(223) 및 TDD-DL 수신 회로(225)가 사용된다.
(3)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4) 처리부(240)
처리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40)는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241) 및 제어부(243)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4. 제1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4.1. 기술적 과제>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를 설명한다.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당해 방법은, 플렉시블 듀플렉스라고 불릴 수 있다.
그러나,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UL 대역에서 무선 통신이 양호하게 행하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기인하여 당해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이 지연된다. 그 결과,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의 타이밍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된 U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된 UL 송신 타이밍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전환에 기인하는 DL 송신 타이밍의 지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UL 대역에서의 UL과 DL의 전환에 기인하는 DL 송신 타이밍의 지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의 송수신 타이밍과, 당해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에서의 당해 기지국에 있어서의 송수신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 DL 송신 타이밍과 UL 수신 타이밍이 동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시간(81)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 당해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지연된다. 그 결과, 단말 장치에서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보다도 지연된다. 그 때문에, 상기 DL 대역에 관한 상기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되는 U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되는 UL 송신 타이밍이 상이하다. 따라서,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2. 기술적 특징>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동작 모드의 전환
기지국(100)(전환부(151))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a) 전환의 트리거
예를 들어, 셀(101)에 있어서 DL의 트래픽이 UL의 트래픽보다도 충분히 커지고, 또한,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단말 장치의 수가 충분하면, 기지국(100)(전환부(151))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
(b) 전환 전후에서의 UL 송신 타이밍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 전후에, UL 송신 타이밍(환언하면, UL 프레임 타이밍)을 변경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 장치(이하, 「레거시 단말기」라 칭한다)에 대한 영향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은,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에 기인하는 지연의 분만큼,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느려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c) 전환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모드 전환 정보」라 칭한다)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중에서,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로의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당해 개별의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d) 전환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동작
단말 장치(200)(정보 취득부(241))는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취득한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 UL 송신을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 DL 수신 및 UL 송신을 행한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의 DL 수신 및 UL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에 관한 지시, 및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동일한 단말 장치(200)로의 지시이다.
한편,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는,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a) 제2 모드에서의 지시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b) 제1 TA 및 제2 TA
예를 들어, 상기 제2 TA는, 상기 제1 TA보다도 길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제1 TA 및 제2 TA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의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송수신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100)에서는,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시간(41)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당해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이,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지연된다. 그 결과, 단말 장치(200)에서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보다도 지연된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TA(43)에 관한 지시와,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TA(45)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제2 TA(45)는, 제1 TA(43)보다도 길다.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제1 TA(43)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는,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제2 TA(45)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c) 지시의 방법
(c-1)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타이밍 어드밴스(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개개의 TA 커맨드
예를 들어, 상기 TA 커맨드는,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2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제1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TA를 조정하기 위한 TA1을 나타내는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2 TA를 조정하기 위한 TA2를 나타내는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TA1으로부터, 상기 제1 TA에 관한 NTA1을 산출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인 NTA1을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NTA1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는, 단말 장치(200)는 TA2로부터, 상기 제2 TA에 관한 NTA2를 산출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인 NTA2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NTA2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2개의 TA를 따로따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및 상기 UL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중 어디에 기초하더라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UL 대역과는 지연 분산이 상이한 상기 DL 대역에서의 DL 수신 타이밍이 아니라, 상기 UL 대역에서의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의 타이밍 조정이 가능해진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
예를 들어, 상기 제1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는, 제1 TAG를 위한 커맨드이며, 상기 제2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는, 상기 제1 TAG와는 다른 제2 TAG를 위한 커맨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1 TAG의 TAG ID를 포함하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2 TAG의 TAG ID를 포함하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2) 오프셋의 통지
기지국(100)(제어부(153))은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한쪽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TA와 상기 제2 TA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오프셋 정보」라 칭한다)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다른 쪽에 관한 지시를 행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상기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정보와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상기 다른 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한쪽은, 상기 제1 TA이며,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 중 다른 쪽은, 상기 제2 TA여도 된다.
―구체적인 예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TA를 조정하기 위한 TA1을 나타내는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는 TA1으로부터, 상기 제1 TA에 관한 NTA1을 산출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인 NTA1을 생성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중에서,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제1 TA와 상기 제2 TA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오프셋 정보)인 NTA _ offset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는 NTA1과 NTA _ offset으로부터, NTA2(예를 들어, NTA1+NTA _ offset)를 산출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인 NTA2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NTA _ offset는, 소정값(예를 들어, 624)이어도 된다.
―오프셋의 사용 방법
――동작 모드의 전환 시의 사용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의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때에,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1)와, 상기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NTA_offset)로부터,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2)를 초기값으로서 생성해도 된다. 그 후,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2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2)를 생성(갱신)해도 된다.
――계속적인 사용
또는, 단말 장치(200)는 계속적으로,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1)와, 상기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NTA _ offset)로부터,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2)를 생성해도 된다.
―통지의 예
――통지의 방법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오프셋 정보의 통지를 행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오프셋 정보의 통지를 행해도 된다.
――통지의 타이밍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오프셋 정보의 통지를 행해도 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해도 된다.
―기타
기지국(100)이 상기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NTA_offset)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하는 대신, 상기 오프셋 정보가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d)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타이밍 조정 방법의 선택
(d-1) UL 데이터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상기 DL 대역에서, UL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서,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상기 UL 영역에 있어서, DL 서브프레임에서, UL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d-2) ACK/NACK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해서,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해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3) 기타
(a)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UL/DL 컨피규레이션에 따라서 상기 UL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a-1) UL/DL 컨피규레이션의 예
예를 들어,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 중 어느 것이다.
또한,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아니고, 별도의 컨피규레이션(예를 들어, FDD에 고유한 컨피규레이션)이어도 된다.
(a-2) UL/DL 컨피규레이션의 선택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UL/DL 컨피규레이션을 선택하고, 당해 UL/DL 컨피규레이션을 상기 UL 대역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셀(101)에 있어서의 DL의 트래픽과 UL의 트래픽에 기초하여,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UL/DL 컨피규레이션을 선택한다.
(a-3)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해도 된다.
(a-4) UL/DL 컨피규레이션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컨피규레이션 정보」라 칭한다)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는, 새로운 정보로서 시스템 정보 중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는,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 중에,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함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로의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b) 랜덤 액세스
(b-1)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2) 중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컨피규레이션 인덱스 및 PRACH 주파수 오프셋을 통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송신이 허가되는 무선 리소스(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FDD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하나의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만이 배치된다. 무선 프레임 중 어느 서브프레임에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이 배치될지는, PRACH 컨피규레이션 인덱스로부터 알 수 있다. 어느 리소스 블록에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이 배치될지는, PRACH 주파수 오프셋으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UL 서브프레임에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을 배치한다.
(b-2) 랜덤 액세스 수속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의 천이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때에, 기지국(100)은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또는, 기지국(100)은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c) 동기 신호의 송신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의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어부(243)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생성, 및/또는 무선 리소스에의 상기 동기 신호의 맵핑 등을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정확하게 동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1) 동기 신호
예를 들어,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동기 신호와 마찬가지로, 셀 ID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이다.
(c-2) 소정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또한, 무선 프레임 중 적어도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이 DL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그리고, 기지국(100)의 제어부(243)는 무선 프레임 중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무선 프레임 중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동기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UL 대역에서의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일례로서, 통상의 TDD의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번호 1, 6인 서브프레임(PSS용의 서브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번호 0, 5인 서브프레임(SSS용의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통상의 FDD의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번호 0, 5인 서브프레임(PSS 및 SSS용의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에서 동기 신호가 확실하게 송신되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3) 단말 장치에 의한 동작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동기를 취한다.
(d) 스케줄링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무선 리소스의 할당(즉, 스케줄링)을 행한다.
(d-1) 레거시 단말기
―DL 리소스의 할당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레거시 단말기(즉,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 장치)에는, DL 리소스로서, 상기 DL 대역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특히,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의 UL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전에 있는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DL 대역의 무선 리소스를, 레거시 단말기에 할당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당해 레거시 단말기는, 상기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케줄링 정보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서, 스케줄링 정보(즉,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를 레거시 단말기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있어서, 상기 DL 대역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상기 UL 대역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레거시 단말기에 통지한다.
(d-2) 단말 장치(200)
―DL 리소스의 할당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즉,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단말 장치)에는, DL 리소스로서, 상기 DL 대역의 무선 리소스, 또는 상기 UL 대역의 무선 리소스(DL 서브프레임 내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는 측정을 행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100)에 보고해도 된다. 그리고,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측정 결과가 양호하면(예를 들어, 수신 전력이 충분히 크면), 상기 UL 대역의 무선 리소스(DL 서브프레임 내의 무선 리소스)를 단말 장치(200)에 할당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의 통지
――DL 대역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서, 상기 DL 대역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의 PDCCH에 있어서, 상기 DL 대역의 PD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UL 대역(DL 리소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서, 상기 UL 대역의 DL 리소스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의 PDCCH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의 PD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행하여진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UL 대역의 DL 리소스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의 PDCCH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의 PD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UL 대역(UL 리소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서, 상기 UL 대역의 UL 리소스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의 PDCCH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의 PU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UL 대역의 UL 리소스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의 PDCCH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의 PU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e)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플렉시블 듀플렉스(Flexible Duplex)의 가부를 나타내는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지국(1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당해 캐퍼빌리티 정보는, 단말 장치(200)가 서포트하는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마다, 플렉시블 듀플렉스의 가부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가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캐퍼빌리티 정보는, (단말 장치(200)가 서포트하는 대역 조합마다) DL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가부 및 UL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가부를 또한 나타내도 된다.
<4.3. 처리의 흐름>
이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1) 제1 모드에서의 처리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기지국(100)은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01). 당해 제1 TA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이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FDD의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0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0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2) 제2 모드에서의 처리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기지국(100)은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21). 당해 모드 전환 정보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히, 상기 모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S323).
기지국(100)은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25). 당해 제1 TA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이다. 또한, 기지국(100)은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27). 당해 제2 TA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이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29).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31).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3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3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및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중 어디에 기초하더라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된다. 그 결과,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5.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5.1. 기술적 과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5.2. 기술적 특징>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동작 모드의 전환
기지국(100)(전환부(151))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TA에 관한 지시, 및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특히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지 않는 레거시 단말기로의 지시이며,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단말 장치(200)로의 지시이다.
한편, 상기 레거시 단말기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특히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a) 제2 모드에서의 지시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b) 제1 TA 및 제2 TA
예를 들어, 상기 제2 TA는, 상기 제1 TA보다도 길다.
상기 제1 TA 및 상기 제2 TA의 예의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c) 지시의 방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타이밍 어드밴스(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개개의 TA 커맨드
예를 들어, 상기 TA 커맨드는,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TA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2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레거시 단말기는, 상기 제1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제2 TA를 위한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3) 기타
(a)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
UL/DL 컨피규레이션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 랜덤 액세스
(b-1)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2) 랜덤 액세스 수속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의 천이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때에, 기지국(100)은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특히,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상기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제1 TA(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여기에서의 「제1 TA」란, 단순히,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를 의미하고, 특정한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레거시 단말기)를 위한 TA를 의미하지 않는다. 즉, 단말 장치(200)를 위한 「제1 TA」와, 상기 레거시 단말기를 위한 「제1 TA」는, 서로 다른 TA이다.
(c) 동기 신호의 송신
동기 신호의 송신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d) 스케줄링
스케일링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e)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5.3. 처리의 흐름>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1) 제1 모드에서의 처리
제1 모드에서의 처리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2) 제2 모드에서의 처리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기지국(100)은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41). 당해 모드 전환 정보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히, 상기 모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S343).
기지국(100)은 제1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레거시 단말기에 통지한다(S345). 당해 제1 TA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이다. 또한, 기지국(100)은 제2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47). 당해 제2 TA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이다.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2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49).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51).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레거시 단말기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제1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53). 그리고, 상기 레거시 단말기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5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그 때문에,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된다. 그 결과,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를 위한 TA의 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6. 제3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6.1. 기술적 과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5.2. 기술적 특징>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동작 모드의 전환
기지국(100)(전환부(151))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a) 전환의 트리거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의 트리거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 전환의 통지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의 통지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c) 전환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동작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2) 다운링크 송신의 타이밍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DL 대역 및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의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송수신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100)에서는,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시간(51)을 요한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시간(51)을 고려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을,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동기시킨다. 그 결과, 단말 장치(20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 동기한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DL 수신 타이밍(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또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TA(53)에 기초하여,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타이밍을 동기시키는」이란, 「타이밍 간의 차가 완전히 없어지도록, 당해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타이밍 간의 차가 소정 범위 내에 수렴되도록, 당해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3) 업링크 수신의 타이밍
(a) 제2 모드
예를 들어, 적어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소정 시간만큼 빠르다. 예를 들어, 당해 소정 시간은, 상기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요하는 시간이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100)에 있어서,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시간(51)(즉, 상기 UL 대역에서의 UL로부터 DL로의 전환에 요하는 시간)만큼 빠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b) 제1 모드
(b-1) 제1 예
제1 예로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기지국(100)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동기한다. 즉,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때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빠르게 한다.
(b-2) 제2 예
제2 예로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도, 기지국(100)에 있어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빨라도 된다. 즉,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이 있었다고 해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4)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a) 제1 예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예로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동기한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빠르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가 상기 소정 시간만큼 길어지도록, 당해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당해 지시는, 단말 장치(200)로의 지시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전환에 따라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을 소정 시간만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UL 서브프레임과 DL 서브프레임 사이에서의 충돌이 방지된다.
(a-1) TA 커맨드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전환의 6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당해 TA 커맨드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상기 TA를 상기 소정 시간만큼 길게 하는 값(TA)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전환의 타이밍에서, 상기 TA를 상기 소정 시간만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TA)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 전에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가 상기 소정 시간만큼 짧아지도록, 당해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전환의 6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a-2) 오프셋의 통지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오프셋 정보」라 칭한다)의 통지에 의해, 상기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TA)를 생성해도 된다.
―구체적인 예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중에서,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오프셋 정보 NTA _ offset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는 NTA와 NTA _ offset으로부터, 새로운 NTA를 산출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인 NTA를 새롭게 생성해도 된다. 또한, NTA_offset는, 소정값(예를 들어, 624)이어도 된다.
―오프셋의 사용 방법(동작 모드의 전환 시의 사용)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의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때에,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를 생성해도 된다. 그 후, 단말 장치(200)는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예를 들어, NTA)를 생성(갱신)해도 된다.
―통지의 예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오프셋 정보의 통지를 행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오프셋 정보의 통지를 행해도 된다. 당해 개별의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기타
기지국(100)이 상기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NTA_offset)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하는 대신, 상기 오프셋 정보가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b) 제2 예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예로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수신 타이밍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보다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빨라도 된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의 상기 전환의 유무에 상관없이, 통상대로,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에 관한 지시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통상대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TA에 관한 지시를 행해도 된다.
(c) 단말 장치(200)의 동작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의 TA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D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다.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DL 수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어도 되고, 또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이어도 된다.
(5) 기타
(a) 업링크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의 통지
UL/DL 컨피규레이션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 랜덤 액세스
(b-1)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2) 랜덤 액세스 수속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의 천이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때에, 기지국(100)은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c) 동기 신호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여도, 상기 UL 대역에서 동기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다. 즉,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여도, 상기 UL 대역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동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가 절약된다.
또는,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d) 스케줄링
스케일링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e)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6.3. 처리의 흐름>
이어서, 도 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당해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FDD의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처음에, 제1 모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100)은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61).
단말 장치(200)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FDD의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6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6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은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67). 당해 모드 전환 정보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히, 상기 모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의 상기 전환 전에,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69).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전환의 6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S371). 또한,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킨다(S373).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 또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75).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77).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및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 중 어디에 기초하더라도,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된다. 그 결과,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를 위한 TA의 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7. 제4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7.1. 기술적 과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7.2. 기술적 특징>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동작 모드의 전환
기지국(100)(전환부(151))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에 관한 지시를 행한다. 당해 지시는, 단말 장치(200)로의 지시이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에 관한 지시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특히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TA를 위한 TA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당해 TA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한다. 단말 장치(정보 취득부(241))는 상기 TA 커맨드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TA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TA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생성한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TA(43)(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TA(43)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3) 기타
(a) 업링크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의 통지
UL/DL 컨피규레이션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 랜덤 액세스
(b-1)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b-2) 랜덤 액세스 수속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의 천이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때에, 기지국(100)은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c) 동기 신호
동기 신호의 송신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d) 스케줄링
스케일링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e)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 간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7.3. 처리의 흐름>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당해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FDD의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처음에, 제1 모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100)은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81).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FDD의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8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8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은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87). 당해 모드 전환 정보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히, 상기 모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S389).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TA를 위한 TA 커맨드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391).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과, 상기 TA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S39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행한다(S395).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그 때문에,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된다. 그 결과, 상기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를 위한 TA의 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8. 제5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8.1. 기술적 과제>
먼저, 도 19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과제를 설명한다.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당해 방법은, 플렉시블 듀플렉스라고 불릴 수 있다.
그러나,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UL 대역에서 무선 통신이 양호하게 행하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FDD의 DL 대역에서,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FDD의 UL 대역에서, 당해 어떤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떤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상기 ACK/NACK를 송신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DL 대역에서 DL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UL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만에 한정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DL 서브프레임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FDD의 DL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FDD의 UL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당해 UL 대역은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D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0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통상,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4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상기 UL 대역은,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어, 서브프레임 번호가 4인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이므로, 단말 장치는,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할 수 없다. 또는,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0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D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D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1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통상,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5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상기 UL 대역은,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어, 서브프레임 번호가 5인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이므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할 수 없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번호가 1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D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적절하게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2. 기술적 특징>
이어서,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동작 모드의 전환
기지국(100)(전환부(151))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2) UL/DL 컨피규레이션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UL/DL 컨피규레이션에 따라서 상기 UL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a) UL/DL 컨피규레이션의 예
예를 들어,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 중 어느 것이다.
또한,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은,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아니고, 별도의 컨피규레이션(예를 들어, FDD에 고유한 컨피규레이션)이어도 된다.
(c)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한다.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을 동적으로(dynamically) 변경해도 되고, 상기 UL 대역에 관한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을 준정적으로(semi-statically) 변경해도 된다.
(c-1)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TDD의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 중 2개 이상이다. 일례로서,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1, 3, 4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TDD의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아니고, 별도의 복수의 컨피규레이션(예를 들어, FDD에 고유한 복수의 컨피규레이션)이어도 된다.
(c-2) 변경의 방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셀(101)에 있어서의 DL의 트래픽과 UL의 트래픽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의 보다 적절한 비율을 갖는 UL/DL 컨피규레이션으로 변경한다.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에 의해, 예를 들어, DL 리소스의 양과 UL 리소스의 양을 보다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 UL/DL 컨피규레이션의 통지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컨피규레이션 정보」라 칭한다)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는, 새로운 정보로서 시스템 정보 중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는,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 중에, TDD의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함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로의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당해 개별의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다.
(3) 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의 통지
(a)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특히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하,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라 칭한다)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한편, 단말 장치(정보 취득부(241))는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한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적절하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1) DL 데이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DL 데이터는,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적절하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DL 데이터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기도 하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도 적절하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2)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UL 서브프레임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되었다고 해도,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확실하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변경 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을 알기 전에, 당해 변경 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적용되었다고 해도, 단말 장치(200)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제1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위하여 정의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이라 칭해질 수 있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의 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테이블은, 3GPP TS 36.213에 포함되는 Table 10.1.3A-1과 동일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컨피규레이션 4를 위해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2, 3인 서브프레임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에서는, 당해 서브프레임보다도 7 내지 12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0 내지 5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송신된다. 또한,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에서는, 당해 서브프레임보다도 4 내지 7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6 내지 9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UL 서브프레임의 수가 최소인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이다. 일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1, 3, 4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4이다. 또한, 이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번호가 2, 3인 서브프레임이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FDD의 DL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FDD의 UL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당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제2 모드이며, 당해 UL 대역은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은, 컨피규레이션 4이다.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D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0 내지 5 중 어느 것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D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6 내지 9 중 어느 것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도 22는,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FDD의 DL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FDD의 UL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당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제2 모드이며, 당해 UL 대역은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은, 컨피규레이션 4이다.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0, 1, 4, 5 중 어느 것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DL 데이터가,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6 내지 9 중 어느 것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당연히,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임의의 UL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서브프레임에 상관없이,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한다.
(a-3)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 정보」라 칭한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 중 2개 이상이며,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인덱스 0 내지 6 중 어느 것이다.
또한, 당연히,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정보여도 된다. 일례로서,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도시하는 테이블의 어느 행에 상당하는 정보여도 된다.
(a-4) 통지 방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천이할 때에 상기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별의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당해 시스템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여도 되고,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여도 된다.
(b)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하,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라 칭한다)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한편, 예를 들어, 단말 장치(정보 취득부(241))는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수신한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수신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적절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1) 업링크 데이터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UL 데이터이다.
(b-2)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DL 서브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당해 DL 서브프레임은, 순수한 DL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스페셜 서브프레임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되었다고 해도,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확실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변경 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을 알기 전에, 당해 변경 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적용되었다고 해도, 단말 장치(200)는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DL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제2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위하여 정의된,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이라 칭해질 수 있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의 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위하여 정의된,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테이블은, 3GPP TS 36.213에 포함되는 Table 9.1.2-1과 동일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컨피규레이션 0에서는, UL 데이터가,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6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컨피규레이션 0에서는, UL 데이터가,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7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0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UL 데이터가, 서브프레임 번호가 4, 7, 8, 9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각각, 6, 4, 7, 6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번호가 0, 1, 5, 5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컨피규레이션 0을 위해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0, 1, 5, 6인 서브프레임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DL 서브프레임의 수가 최소인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이다. 예를 들어, 당해 DL 서브프레임은, 순수한 DL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스페셜 서브프레임도 포함한다. 일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1, 3, 4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이다. 또한, 이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번호가 0, 1, 5, 6인 서브프레임이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예를 설명한다.
도 24는,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FDD의 DL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FDD의 UL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당해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제2 모드이며, 당해 UL 대역은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은, 컨피규레이션 4이다. 예를 들어, UL 데이터가,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2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6인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UL 데이터가,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3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면, 당해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는, 상기 UL 대역에서, 서브프레임 번호가 0인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또한, 당연히,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임의의 DL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서브프레임에 상관없이,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한다.
(b-3)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 정보」라 칭한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도 4에 도시되는 컨피규레이션 0 내지 6 중 2개 이상이며,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인덱스 0 내지 6 중 어느 것이다.
또한, 당연히,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정보여도 된다. 일례로서,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도시하는 테이블의 어느 행에 상당하는 정보여도 된다.
(a-4) 통지 방법
예를 들어, 기지국(100)(제어부(153))은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단말 장치(2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천이할 때에 상기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별의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다.
또한, 기지국(100)(제어부(153))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해도 된다. 당해 시스템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여도 되고, 상기 DL 대역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여도 된다.
(4) 기타
(a) 측정(measurements)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UL/DL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DL 서브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당해 DL 서브프레임은, 순수한 DL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스페셜 서브프레임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제어부(243))는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측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UL 대역에서 송신되는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측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이며, 상기 측정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의 측정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레퍼런스 신호가 확실하게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즉, DL 서브프레임)을 대상으로 하여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측정의 오류가 방지된다.
(b) 랜덤 액세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에 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c) 동기 신호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기 신호의 송신에 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동기 신호의 송신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d) 스케줄링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에 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e)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에 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캐퍼빌리티 정보의 통지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8.3. 처리의 흐름>
이어서, 도 25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도 2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당해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FDD의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는, 처음에, 제1 모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100)(제어부(153))은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401). 당해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FDD의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D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지국(100)(제어부(153))은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403). 당해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는, UL 레퍼런스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지국(100)은 모드 전환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405). 당해 모드 전환 정보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히, 상기 모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S407).
기지국(100)은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한다(S409).
기지국(100)은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S411).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는,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서,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413).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415). 그러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S417).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상기 ACK/NACK를 수신한다.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한다(S419).
기지국(100)은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S421).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는, 기지국(100)은 상기 DL 대역에서, DL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423).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425). 그러면, 기지국(100)은 상기 UL 대역에서, DL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S427). 단말 장치(200)는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서,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상기 ACK/NACK를 수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어떤 타이밍에서, 변경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200)에는, ACK/NACK의 송신(S423, S427) 전에, 상기 변경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통지되어도 되고, ACK/NACK의 송신(S423, S427) 후에, 상기 변경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통지되어도 된다. 어떻든, 단말 장치(200)는 상기 D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L 데이터에 대하여 ACK/NACK를 송신할 수 있고(S423), 상기 UL-ACK/NACK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L 데이터에 관한 상기 ACK/NACK를 수신할 수 있다(S427).
이상,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적절하게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U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적절하게 송신된다.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과 제5 실시 형태가 조합될 수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기지국(100)(특히, 제어부(153))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100)(특히, 제어부(153))의 동작을 행해도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200)(특히, 제어부(243))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200)(제어부(243))의 동작을 행해도 된다.
<<9.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여러가지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 중 어떤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셀보다도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이면 된다. 그 대신에,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한다)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여러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에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의 모바일 라우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말한다)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에서 실현되어도 된다.
<9.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6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00)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6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이면 되고,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가 여러가지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여러가지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떤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안테나(810)를 통하여,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여러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고,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여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또는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1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6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26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21)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또는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컨트롤러(8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7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30)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동일한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떤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하여,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하여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동일한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27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51)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또는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는 컨트롤러(85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전환부(151) 및/또는 제어부(15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9.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8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1개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이면 되고,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떤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16)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8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8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28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28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또는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9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1개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이면 되고,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떤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37)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9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9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29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29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또는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1개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즉, 정보 취득부(241) 및/또는 제어부(24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이 제공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로 출력한다.
<<10. 정리>>
여기까지, 도 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 및 각 처리를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1)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151)와,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TA에 관한 지시, 및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TA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153)를 구비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151)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과, 상기 UL 대역에 관한 DL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부(153)를 구비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200)는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241)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의 UL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UL 대역에서의 DL 수신 및 DL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243)를 구비한다. 제어부(243)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UL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DL 대역에 관한 DL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UL 대역에 관한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기지국에 있어서의 UL 수신 타이밍의 동기가 실현된다.
(2)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FDD의 UL 대역이 UL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UL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UL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151)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하는 제어부(15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UL 대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DD의 UL 대역을 시분할로 DL 및 UL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에, DL 데이터에 관한 ACK/NACK가 적절하게 송신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해서,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다른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 또는 시퀀스도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스텝은, 흐름도 또는 시퀀스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실행되어도 되고,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 또는,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에 구비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DSP 등)를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전환부 및/또는 제어부, 또는, 정보 취득부 및/또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환언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1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 또는,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전환부 및/또는 제어부, 또는, 정보 취득부 및/또는 제어부)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도, 본 개시에 관한 기술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장치.
(3)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동일한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장치.
(5)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와,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를 포함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장치.
(6)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을 위한 커맨드이며,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과는 다른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을 위한 커맨드인,
상기 (5)에 기재된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중 한쪽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중 다른 쪽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상기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8)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지 않는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이며,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
(9)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말 장치인,
상기 (8)에 기재된 장치.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1)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고, 또한, 무선 프레임 중 적어도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이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무선 프레임 중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장치.
(12)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13)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수신 타이밍은, 적어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보다도 소정 시간만큼 빠른, 상기 (12)에 기재된 장치.
(14)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의 전환에 요하는 시간인, 상기 (13)에 기재된 장치.
(15)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수신 타이밍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동기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보다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빠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의 타이밍 어드밴스가 상기 소정 시간만큼 길어지도록, 당해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장치.
(1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의 6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장치.
(1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장치.
(18)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여도,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 동기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 상기 (12)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20)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장치.
(21)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2)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3)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4)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5)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6)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7)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8)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9)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장치.
(31)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32)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33)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4)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장치.
(35)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36)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37)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과, 당해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당해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2)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장치.
(3)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을,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5)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제1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위하여 정의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인,
상기 (4)에 기재된 장치.
(6)
상기 제1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최소인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인, 상기 (5)에 기재된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다른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8)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인, 상기 (7)에 기재된 장치.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을,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에서 변경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장치.
(10)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제2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위하여 정의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다른 정보는, 상기 제2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인,
상기 (9)에 기재된 장치.
(11)
상기 제2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는, 상기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중,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최소인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인, 상기 (10)에 기재된 장치.
(12)
상기 제어부는, 개별의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5)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16)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장치.
(17)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장치.
(18)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17)에 기재된 장치.
(19)
상기 취득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다른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에 관한 상기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수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상기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20)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복수의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 후보 사이에서 공통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측정을 제어하는,
상기 (19)에 기재된 장치.
(21)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2)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프로세서에 의해,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4)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5)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ACK/NACK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 시스템
100: 기지국
151: 전환부
153: 제어부
200: 기지국
241: 정보 취득부
243: 제어부

Claims (20)

  1.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 및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동일한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와,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를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을 위한 커맨드이며,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위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는,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과는 다른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을 위한 커맨드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중 한쪽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 중 다른 쪽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지 않는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이며,
    상기 제2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는,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는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지시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말 장치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고, 또한, 무선 프레임 중 적어도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이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무선 프레임 중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장치.
  12.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수신 타이밍은, 적어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보다도 소정 시간만큼 빠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의 전환에 요하는 시간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수신 타이밍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과 동기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송신 타이밍보다도 상기 소정 시간만큼 빠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의 타이밍 어드밴스가 상기 소정 시간만큼 길어지도록, 당해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지시를 행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의 6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의 통지에 의해,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에 관한 상기 지시를 행하는,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여도,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 동기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다운링크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장치.
  20. FDD의 업링크 대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업링크 대역이 시분할에 의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양쪽에 사용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상기 업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FDD의 다운링크 대역에 관한 다운링크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대역에 관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장치.
KR1020177011394A 2014-12-12 2015-10-21 장치 KR20170093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1662 2014-12-12
JPJP-P-2014-251662 2014-12-12
PCT/JP2015/079746 WO2016092959A1 (ja) 2014-12-12 2015-10-21 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85A true KR20170093785A (ko) 2017-08-16

Family

ID=5610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394A KR20170093785A (ko) 2014-12-12 2015-10-21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33320B2 (ko)
EP (1) EP3232718B1 (ko)
JP (1) JP6617717B2 (ko)
KR (1) KR20170093785A (ko)
WO (1) WO20160929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9700A1 (zh) * 2018-12-12 2020-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时信息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8662A1 (en) * 2015-03-05 2016-09-0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signaling for flexible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7139969A1 (zh) * 2016-02-19 2017-08-24 富士通株式会社 频带配置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JP6855701B2 (ja) * 2016-08-10 2021-04-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EP3711387A1 (en) * 2017-11-17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ta-offset in nr
AU2018402444B2 (en) * 2018-01-12 2022-03-10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Uplink Transmission Timing Adjustment Method
WO2023159366A1 (en) * 2022-02-23 2023-08-3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witching between different ul timings for mdci mtr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372B2 (ja) * 2001-05-16 2006-07-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GB2398455B (en) 2003-02-11 2007-09-26 Ipwireless Inc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TDD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59343B2 (en) * 2009-12-23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ubframes
WO2012124924A2 (ko) * 2011-03-11 201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10121B1 (ko) 2011-05-27 2017-12-18 애플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20130188533A1 (en) * 2012-01-23 2013-07-25 Hong He Dynamic Direction Changing in Time Division Duplex Radio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9700A1 (zh) * 2018-12-12 2020-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时信息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和系统
RU2769943C1 (ru) * 2018-12-12 2022-04-11 Зте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фигурации информации синхронизации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2718A1 (en) 2017-10-18
JP6617717B2 (ja) 2019-12-11
EP3232718B1 (en) 2020-03-11
EP3232718A4 (en) 2018-08-01
WO2016092959A1 (ja) 2016-06-16
US10433320B2 (en) 2019-10-01
US20170325248A1 (en) 2017-11-09
JPWO2016092959A1 (ja)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93201B (zh) 一种通信装置及方法
US11317452B2 (en) Device and method
JP6617717B2 (ja) 装置
JP643265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6194896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27880B1 (ko) 기지국 및 단말 장치
US1157615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7268955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32515A1 (ja) 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6265204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JP620989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AU2013339953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rogra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WO2014185185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202300461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6092953A1 (ja) 装置
WO2020144973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83682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