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583A - 자동화재 탐지설비 - Google Patents

자동화재 탐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583A
KR20170093583A KR1020160015167A KR20160015167A KR20170093583A KR 20170093583 A KR20170093583 A KR 20170093583A KR 1020160015167 A KR1020160015167 A KR 1020160015167A KR 20160015167 A KR20160015167 A KR 20160015167A KR 20170093583 A KR20170093583 A KR 2017009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ire
power supply
senso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378B1 (ko
Inventor
나흥주
이규석
Original Assignee
나흥주
이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흥주, 이규석 filed Critical 나흥주
Priority to KR102016001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3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0Monitoring of the annunciator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등(녹색, 황색, 적색)을 구비하여 건물에 출입하는 불특정 다수인 누구나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 작동 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 작동 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불특정 다수인 누구나가 건물의 관계인(소유자, 점유자, 관리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항시 정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화재 탐지설비{auto-fire det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신기와 발신기가 정상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수신기 및 발신기가 항상 정상작동 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정확하게 화재를 알릴 수 있게 한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신기 및 발신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등을 구비하여 불특정 다수인 누구나 수신기 및 발신기가 정상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발신기가 비정상상태로 유지 관리 하였을 경우 건물에 출입하는 불특정 다수인 누구나가 건물의 관계인(소유자, 관리자, 점유자)에게 경고하여 이 설비를 항시 정상인 상태로 유지 관리 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에는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소방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 화재 발생을 알리는 발신기, 화재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표시 및 기록하는 수신기 및 음향 경보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감지기가 감지하여 중앙제어실 및 수신기와 발신기에 신호를 보내어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되어 건물 내의 사람들은 안전한 곳으로 바로 대피하도록 하고, 또한 소방시설이 작동하여 초기화재를 바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관련된 기술로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아파트 각층별로 복도와 세대 내부에 각각 한 세트로 구비된 경보설비장치부와; 경보설비 장치부로부터 각종 화재관련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아파트 각동의 관리실 등에 구비된 경보 관리부를 갖되, 원격시험 중계기와 댁내 수신기에 의해 개별 위치 식별형 감지기의 작동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화재 경보 모드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이 화재 경보 모드로 전환하여 조명등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로 화재 인자를 감지하는 단계;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이 화재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인자를 감지한 센서 값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센서 값이 입력되면,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이 조명등 또는 사이렌을 구동시키거나, 지정된 기관에 화재 경보 상황을 통보하는 화재 경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허문헌 3은 화재 감지 시스템과 구내방송 시스템을 구비한 건물에 설치되는 TTS(Text-To-Speech)를 이용한 화재경보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텍스트로 구성되고 편집 가능한 화재방송 시나리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 및 건물 내의 위치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피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발생 위치에 따른 상기 대피경로를 획득하고,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획득된 대피경로를 화재방송 시나리오에 반영함으로써 화재방송용 텍스트를 구성하는 화재방송용 텍스트 구성부; TTS 엔진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음성 변환부에서 변환된 음성을 구내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수신된 화재발생신호에 포함된 화재발생 위치정보에 부합하는 화재방송 시나리오를 검색하고, 화재방송용 텍스트 구성부를 제어하여 수신된 화재발생신호에 포함된 화재발생 위치정보에 따라 화재방송용 텍스트를 구성하고, 음성 변환부를 제어하여 구성된 화재방송용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송부를 통해 구내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TTS를 이용한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관련된 기술들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할 수 있어 화재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오동작이나, 임의의 조작에 의해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의 경우,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관리 소홀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불의의 작동에 의해 많은 사람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가 있으므로 관계인은 주로 수신기의 경종(주경종,지구경종)을 오프(off)시키는 일이 종종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지 못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았을 때,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예비 전원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예비전원이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경보를 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종래의 화재 경보 수단으로는 사이렌 등과 같은 청각경보기만 있어 청각 장애인의 경우, 화재 발생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791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7351호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발신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등(녹색, 황색, 적색)을 구비하여 출입하는 사람이 모두 수신기 및 발신기가 정상작동하고 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발신기가 정상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 관리 하고 있을 때에는 건물에 출입하는 불특정 다수인 누구나가 이를 관계인(소유자, 점유자, 관리자)에게 경고하여, 이 설비가 정상인 상태로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각경보기도 구비하여 청각 장애인이 화재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 화재 발생을 알리는 발신기, 화재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수단으로 경종과 경고등을 구비한 수신기, 상기 수신기 및 발신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대를 구비하고 각 장치의 상태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 화재경보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에 구비된 표시등은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 작동하고 있을 때 점등되는 녹색등; 관계인의 고의 또는 과실로 수신기 스위치감시수단(주경종, 지구경종 누름스위치 차단 등), 예비전원감시수단, 경종감시수단, 램프감시수단 등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을 감지하거나, 오작동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눌러진 것이 감지되었을 때 점등되는 황색점멸등; 감지기 등에서 실제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점등되는 적색점멸등;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색점멸등은 경종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녹색등은 램프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황색점멸등은 전화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각 단자에는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여 경보기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전원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경보기에 구비된 경종과 적색점멸등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종센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병렬 연결되어 화재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경보기의 상태를 작동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경보기감시단말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는 수신기에 구비된 단자대의 각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수단은 경보기에 구비된 표시등 중 녹색등과 황색점멸등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램프센서와, 발신기에 구비된 누름스위치에 전기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엘이디램프로 이루어지되, 각각 분리되어 단독적으로 구비되거나, 녹색, 황색, 적색 엘이디램프를 하나의 램프에 균일하게 배열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구비된 발신기 표시등은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서로 다른 색(녹색, 황색점멸, 적색점멸)의 표시등을 구비하여 발신기 표시등의 상태를 불특정 다수인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정상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인지하여 항상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 작동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화재로 인한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작동되지 않음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막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동작 상태를 불특정 다수인이 쉽게 육안으로 인지할수 있어 소방대상물 관계인의 관리 소홀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시각 경보등을 구비하여 시각적으로도 경보를 할 수 있어 청각 장애인에게도 화재 발생 여부를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구성하는 발신기의 결선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상시 작동되게 관리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제 역할을 하여 화재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같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 화재 발생을 알리는 발신기(20), 화재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표시 및 기록하는 경보기(30) 및 수신기(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수신기(40)에는 발신기 및 경보기에 구비된 각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용 단자대와,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지수단은 특히 경종과 표시등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종센서(43s)를 구비하고, 누름스위치(20p)의 작동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위치센서(43p)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종래의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동일 유사하게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 화재 발생을 알리는 발신기(20), 화재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수단으로 경종(31)과 표시등(32)을 구비한 경보기(30), 상기 경보기 및 발신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대(41)를 구비하고, 각 장치의 상태를 수신하는 수신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기(10), 발신기(20), 경보기(30) 및 수신기(40)는 종래의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동일 유사하게, 감지기(10)는 화재감지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발신기(20)와 경보기(30)는 하나의 함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신기(40)는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어 각 발신기로부터 발생되는 화재 신호를 수신한다.
즉, 발신기(20)와 경보기(30)는 하나의 통체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사람의 출입이 작은 공용 공간인 복도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의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발신기의 구성을 달리하여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작동 여부를 누구라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특징은 상기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과, 센서들에서 감지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등(32)에 표시등을 구비한 것이고, 이렇게 표시등(32)에 다색의 등 즉, 적색점멸등(32r), 황색점멸등(32y), 녹색등(32g)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공급라인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이렇게 새로운 전원공급라인을 배선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추가 소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수신기(40)에 구비된 전원공급라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즉, 기존에는 전화기를 연결하여 비상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화 잭을 구비하고 있으나, 지금은 휴대폰 등 이동식 통신수단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전화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전화 잭이 연결되는 라인을 녹색등(32g) 또는 황색점멸등(32y)의 전원공급라인으로 배치하고, 경종(31)과 적색점멸등(32r)을 하나의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경하여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며, 나머지 하나의 등을 기존의 표시등이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연결하여 전원공급라이 추가 배선되지 않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선된 수신기(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원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단자대(41)를 구비하고, 일면에는 상용전원을 대신할 수 있는 비상전원(통상적으로 배터리)(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된 각각의 전원공급라인에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 즉 각 구성품 들이 작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한 경종센서(43s)와 스위치센서(43p)를 포함한다.
상기 경종센서(43s)는 경보기(40)에 구비된 음향 경보 수단인 경종(31)과 적색점멸등(32r)의 동작 가능여부, 즉 경종과 적색점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지 여부 즉,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경종이 작동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경종센서(20s)의 바람직한 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종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41)의 경종 연결단자에 전류감지센서를 연결하여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보를 알리는 경종과 적색점멸등이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지를 감지하여 화재감지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으나, 이들이 작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누름스위치(20p)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즉, 누름스위치가 눌렸을 때 경고수단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정상적으로 화재경보를 울릴 수 없다.
이에 따라 감지수단에는 상기한 스위치센서(43p)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센서(43p)은 경보기에 구비된 누름스위치(20s)의 동작 가능여부, 즉 누름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원이 공급되어 화재 발생 시 누름스위치를 누르면 경보가 울릴 수 있는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스위치센서(43p)의 바람직한 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센서(43p)의 양단에 연결되어 누름스위치가 눌렸을 때 접속이 이루어지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의 연결단자에 연결하여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에는 경보기에 구비된 표시등(32) 중 녹색등과 황색점멸등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램프센서(43l)와,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병렬 연결되어 화재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센서(43e)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센서(43l)은 경보등(32)에 구비된 시각 경보 수단인 녹색등(32g), 황색점멸등(32y)의 동작 가능여부, 즉 각 표시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들이 작동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램프센서의 바람직한 예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이 연결된 단자대의 연결단자에 전류감지센서를 연결하여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다수의 표시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표시등을 따로 설치할 수 있으나, 표시등을 따로 설치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고, 수신기로부터 경보기로 배선되는 전선이 추가됨에 따라 배선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색을 표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발신기 표시등은 녹, 황, 적색의 엘이디를 균일하게 배치한 엘이디 등을 사용하고, 경종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3색으로 이루어진 표시등의 각 엘이디는 제어기(44)에 의해 상황에 맞게 점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센서(43e)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원센서(43e)는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병렬 연결되어 화재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발생기 전체 전원의 공급여부 즉, 화재발생기가 동작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용전원 차단 시 비상전원으로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작동되며, 이때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또는 충전지)가 방전되거나, 비상전원으로부터 각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라인이 오프 되면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비상전원의 공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비상전원 공급라인에 전류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전원센서(43e)를 설치하여 비상전원 공급라인을 감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신기는 자체의 구동 여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수신기(40)는 상기 표시등(32)에 구비된 녹색등(32g), 황색점멸등(32y) 및 적색점멸등(32r) 중 어느 하나의 점등과 동시에 수신기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통신수단은 수신기에 설치된 경보기감시단말기(5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녹색등이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해당 건물의 관계인이 고의 또는 과실로 화재 수신기의 비상전원을 차단하거나 주 경종(지구경종 포함)의 스위치를 차단 할 경우, 예비전원감시 및 스위치가 오프 되었다는 주의표시 즉, 황색점멸등이 점멸을 반복하여 누구나 육안으로 쉽게 소방시설 작동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에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 의하여 화재 수신기에 신호를 주어, 경종이 울림과 동시에 발신기의 등이 적색점멸등으로 점멸되어 시각 및 청각으로 화재를 전파하게 됨으로, 신속하게 상황이 전파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10: 감지기
20: 발신기
30: 경보기
31: 경종
32: 표시등
32g: 녹색등 342y: 황색점멸등
32r: 적색점멸등
40: 수신기
41: 단자대
42: 비상전원
43s: 경종센서 43l: 램프센서
43p: 스위치센서 43e: 전원센서
44: 제어기
50: 경보기감시단말기

Claims (5)

  1.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10), 화재 발생을 알리는 발신기(20), 화재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수단으로 경종(31)과 표시등(32)을 구비한 경보기(30), 상기 경보기 및 발신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대(41)를 구비하고 각 장치의 상태를 수신하는 수신기(40)로 이루어진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30)에 구비된 표시등(32)은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 점등되는 녹색등(32g);
    하기 전원센서, 경종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전원공급라인의 이상을 감지하거나, 오작동에 의해 누름스위치가 눌려진 것이 감지되었을 때 점등되는 황색점멸등(32y);
    및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을 점등되는 적색점멸등(32r)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색점멸등(32r)은 경종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녹색등(32g)은 램프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황색점멸등(32y)은 전화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각 단자에는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여 경보기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전원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경보기에 구비된 경종(31)과 적색점멸등(32r)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종센서(43s)와; 발신기에 구비된 누름스위치(20s)에 전기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센서(43p)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상태를 작동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경보기감시단말기(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경보기에 구비된 표시등(32) 중 녹색등과 황색점멸등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라인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램프센서(43l)와,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병렬 연결되어 발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 전기가 흐르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센서(43e)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는 수신기에 구비된 단자대의 각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32)은 엘이디램프로 이루어지되, 각각 분리되어 단독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32)은 녹색, 황색, 적색 엘이디램프를 하나의 램프에 균일하게 배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KR1020160015167A 2016-02-05 2016-02-05 자동화재 탐지설비 KR1017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67A KR101777378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화재 탐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67A KR101777378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화재 탐지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83A true KR20170093583A (ko) 2017-08-16
KR101777378B1 KR101777378B1 (ko) 2017-09-11

Family

ID=5975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167A KR101777378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화재 탐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253B1 (ko) 2020-12-09 2021-11-03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자동화재 탐지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080B2 (ja) 1994-06-23 2002-02-04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監視装置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2-03-15 윤종용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378B1 (ko) 201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4353B1 (en) Wireless control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luminaire
JP3147873U (ja) 警報器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1466427B1 (ko) 경보기
CN109819676B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JP5908047B2 (ja) 照明装置及び非常時照明システム
JP6709146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5890121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発信機
JP5000002B1 (ja) 災害表示システムおよび災害監視装置および災害表示装置
KR101777378B1 (ko) 자동화재 탐지설비
JP3147874U (ja) 警報器
JP3148429U (ja) 警報器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JP2011028707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2011215903A (ja) 警報器
JP5507930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2012048631A (ja) 照明装置及び非常時照明システム
JP5638879B2 (ja) 照明装置及び非常時照明システム
CN210442912U (zh) 一种火灾报警系统
JP5878713B2 (ja) 警報システム
AU2010206023A1 (en) Fire Sensitive Emergency Lighting And Alarm System
FI85920B (fi) Kombinerat alarm-, saekerhets- och raeddningssystem.
JP2015043228A (ja) 非常時照明システム
KR200306862Y1 (ko) 센서 및 비상 점등 기능을 구비한 공용조명등 제어시스템
JP5580099B2 (ja) 非常時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