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835A - 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835A
KR20170092835A KR1020160014009A KR20160014009A KR20170092835A KR 20170092835 A KR20170092835 A KR 20170092835A KR 1020160014009 A KR1020160014009 A KR 1020160014009A KR 20160014009 A KR20160014009 A KR 20160014009A KR 20170092835 A KR20170092835 A KR 2017009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post
support
storage system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16001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835A/ko
Publication of KR2017009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을 위한 작업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수납 시스템을 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납 시스템은, 포스트 및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는, 길다란 포스트 몸체; 요입홈; 및 한 쌍의 대향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유닛은,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1 지지 브라켓; 상기 요입홈을 이루는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위치되는 제2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그 조입력을 해제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은 상기 대향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세로 폭과 그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가로 폭을 가지고, 상기 세로 폭은 상기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의 레일 간격보다 작고, 상기 가로 폭은 상기 레일 간격보다 크고 상기 요입홈의 홈 너비보다 작다.

Description

수납 시스템{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드레스룸 등을 포함하는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 시스템은 옷이나 소품 등을 정리하기 위해 집, 호텔 또는 오피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반을 통해 옷이나 소품 등을 올려서 보관하거나, 옷걸이봉을 통해 옷걸이 등을 걸어서 보관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은 기존의 드레스룸 시스템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기존의 등록특허공보 제10-1375599호에 개시된 드레스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 수직 프레임(40)과, 2개의 수직 프레임(40)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수직 프레임(40)에 양측 단부가 제1 조절 볼트(630)를 포함하는 선반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선반(60)과, 2개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수직 프레임(40)에 양측 단부가 제2 조절 볼트(730)를 포함하는 옷걸이봉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옷걸이봉(70)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의 드레스룸 시스템은, 제1 조절 볼트(630)를 포함하는 선반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선반(60)의 높이를 조절하고, 제2 조절 볼트(730)를 포함하는 옷걸이봉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옷걸이봉(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드레스룸 시스템은, 제1 조절 볼트(630)[또는 제2 조절 볼트(730)]를 풀고 조이는 방식으로 선반(60)[또는 옷걸이봉(7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제1 조절 볼트(630)[또는 제2 조절 볼트(730)]를 풀고 조이는 등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2개의 수직 프레임(40)에 동일한 높이로 선반(60)[또는 옷걸이봉(70)]의 양단을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여러 번 제1 조절 볼트(630)[또는 제2 조절 볼트(730)]를 풀고 조이면서 양측의 높이를 맞추게 되므로,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숙련된 서비스 전문 직원이 아닌 일반 소비자가 직접 작업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을 위한 작업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시스템은,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는, 길다란 포스트 몸체; 상기 포스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요입된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의 대향 내면에 상기 포스트 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포스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대향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유닛은,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위치되며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브라켓; 상기 요입홈을 이루는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 브라켓; 및 상기 돌출부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그 조입력을 해제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은 상기 대향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세로 폭과 그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가로 폭을 가지고, 상기 세로 폭은 상기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의 레일 간격보다 작고, 상기 가로 폭은 상기 레일 간격보다 크고 상기 요입홈의 홈 너비보다 작다.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이 상기 요입홈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 유닛이 회전될 때,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이 상기 요입홈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브라켓 중 상기 가로 폭을 이루는 양단부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의 상기 세로 폭이 상기 레일 간격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를 위치시킨 후, 상기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를 통해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을 상기 요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의 상기 가로 폭이 상기 홈 너비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접하도록 한 제1 포스트 지지대; 및 상기 제1 포스트 지지대에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외부 부재를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제1 포스트 지지대 중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제1 마찰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받침대 중 상기 외부 부재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캠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접하도록 한 제2 포스트 지지대; 및 상기 제2 포스트 지지대 중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제2 마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포스트 지지대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트와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포스트는 포스트 몸체, 요입홈, 그리고 한 쌍의 대향 레일을 포함하고, 높낮이 조절 유닛은 제1 지지 브라켓과, 제2 지지 브라켓과, 그리고 캠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캠 부재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 제1 지지 브라켓과 제2 지지 브라켓 사이가 조여져 포스트의 원하는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임력을 가할 수 있고,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 조임력을 해제할 수 있어, 숙련되지 않은 일반 소비자도 캠 부재의 원 터치(one touch) 방식의 회전을 통해 직접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을 위한 작업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제2 지지 브라켓의 세로 폭이 한 쌍의 대향 레일의 레일 간격보다 작고, 제2 지지 브라켓의 가로 폭이 레일 간격보다 크고 요입홈의 홈 너비보다 작은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를 통해 제2 지지 브라켓을 요입홈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바, 높낮이 조절 장치가 이미 포스트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미 설치된 높낮이 조절 장치를 포스트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바로 원하는 높이의 포스트에 새로운 높낮이 조절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드레스룸 시스템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높이 조절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선반 지지구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이 그 조임력에 의해 포스트의 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이 그 조임력의 해제로 포스트의 레일에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포스트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지지 브라켓의 세로 폭과 가로 폭, 대향 레일의 레일 간격, 요입홈의 홈 너비에 대한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신축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높이 조절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선반 지지구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이 그 조임력에 의해 포스트의 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높이 조절 유닛이 그 조임력의 해제로 포스트의 레일에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포스트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2 지지 브라켓의 세로 폭과 가로 폭, 대향 레일의 레일 간격, 요입홈의 홈 너비에 대한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시스템(S)은,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post)(200)와 높이 조절 유닛(10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포스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시스템(S)의 기둥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포스트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포스트 몸체(210)와, 포스트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요입된 요입홈(220)과, 그리고 요입홈(220)의 대향 내면에 포스트 몸체(210)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포스트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대향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00)의 대향 레일(230)을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후술할 소켓(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브라켓(110)과, 제2 지지 브라켓(120)과, 그리고 캠 부재(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지지 브라켓(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레일(230)의 외면에 위치되며 관통공(110a)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관통공(110a)에는 후술할 제2 지지 브라켓(120)의 돌출부(120a)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브라켓(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스트 지지대(111)와 받침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스트 지지대(111)는, 상술한 관통공(110a)을 가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관통공(110a)에 삽입된 후술할 제2 지지 브라켓(120)의 돌출부(120a)가 당겨지면서 포스트(200)의 대향 레일(도 7의 230)의 외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12)는 제1 포스트 지지대(111)에 대략 90도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소켓(300)을 받칠 수 있다.
나아가, 제1 지지 브라켓(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 돌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찰 돌기(11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스트 지지대(111) 중 대향 레일(230)의 외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대향 레일(230)의 외면에 마찰력을 가할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브라켓(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돌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 돌기(114)는, 받침대(112) 중 소켓(300)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후술할 소켓(300)의 제1 결합홈(3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반대로, 제1 결합 돌기를 소켓에 형성하고 결합홈을 받침대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지지 브라켓(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220)을 이루는 대향 레일(230)의 내면에 위치되며 관통공(110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120a)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브라켓(120)은 대향 레일(230)의 길이 방향으로 세로 폭(W1)과 그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가로 폭(W2)을 가진다. 이 경우, 세로 폭(W1)은 한 쌍의 대향 레일(230) 사이의 레일 간격(G1)보다 작게 설계되고, 가로 폭(W2)은 레일 간격(G1)보다 크고 요입홈(220)의 홈 너비(G2)보다 작게 설계된다. 나아가, 제2 지지 브라켓(120)이 요입홈(220)에 놓인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 유닛(100)이 회전될 때, 제2 지지 브라켓(120)이 요입홈(220)의 내면에 걸림 없이 요입홈(220)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제2 지지 브라켓(120) 중 가로 폭(W2)을 이루는 양단부(도 10의 "C" 참조)는 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지지 브라켓(120)의 세로 폭(W1)이 레일 간격(G1)에 상응하도록 높낮이 조절 장치(100)를 위치시킨 후, 한 쌍의 대향 레일(230) 사이를 통해 제2 지지 브라켓(120)을 요입홈(220)에 삽입시키고, 삽입이 완료되면 제2 지지 브라켓(120)의 가로 폭(W2)이 홈 너비(G2)에 상응(도 10 참조)하도록 높낮이 조절 장치(1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포스트(200)에 높낮이 조절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술구성과 설치 방식을 이용할 경우, 복수의 높낮이 조절 장치(100)가 이미 포스트(200)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미 설치된 높낮이 조절 장치(100)를 포스트(2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바로 원하는 높이의 포스트(200)에 새로운 높낮이 조절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지지 브라켓(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포스트 지지대(121)와 제2 마찰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포스트 지지대(121)는, 상술한 돌출부(120a)를 가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술한 제1 지지 브라켓(110)의 관통공(110a)에 삽입된 돌출부(120a)가 당겨지면서 대향 레일(230)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찰 돌기(122)는 제2 포스트 지지대(121) 중 대향 레일(230)의 내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대향 레일(230)의 내면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a)는 제2 포스트 지지대(121)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캠 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120a)가 당겨질 경우, 제2 지지 브라켓(120)이 한 쪽으로 치우침 없이 당겨질 수 있다.
캠 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a)의 말단부에 힌지축(1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1 지지 브라켓(110)의 관통공(110a)에 삽입된 제2 지지 브라켓(120)의 돌출부(120a)가 당겨지면서 제1 지지 브라켓(110)과 제2 지지 브라켓(120) 사이가 조여져 포스트(200)의 원하는 높이에 높이 조절 유닛(100)이 고정되도록 대향 레일(230)에 조임력을 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가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1 지지 브라켓(110)의 관통공(110a)에 삽입된 제2 지지 브라켓(120)의 돌출부(120a)가 밀리면서 그 조임력이 해제되어 높이 조절 유닛(100)이 포스트(200)의 대향 레일(23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놓일 수 있다.
나아가, 도 2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30)에는 손잡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40)를 통해 캠 부재(130)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시스템(S)은,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0)과, 옷걸이봉(400)과, 그리고 선반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소켓(3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유닛(100)을 감싸며 외면에 봉걸이홈(310)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소켓(300)에 선반부(500)와 옷걸이봉(400)을 함께 지지할 수 있어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분리와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봉걸이홈(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0)의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깊어지는 경사면(31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봉(400)의 단부가 끼워질 때 옷걸이봉(400)의 단부가 경사면(311)을 따라 원활하게 하향 이동되어 봉걸이홈(310)의 하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옷걸이봉(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걸이홈(310)에 끼워져 걸리며 이에 옷걸이(미도시)가 걸리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옷걸이봉(400)의 단부에는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지지된 지지 돌기(4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봉(400)이 경사면(311)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는 지지 돌기(410)가 눌려 탄성체에 복원력이 발생되고, 옷걸이봉(400)이 봉걸이홈(310)에 최종 안착되면 지지 돌기(410)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튀어나와 옷걸이봉(400)과 소켓(300)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선반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물건 등이 올려지는 부분으로 소켓(3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선반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선반 지지구(510)와, 상기 제1 선반 지지구(5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선반 지지구(520)와, 그리고 제2 선반 지지구(52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반(5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선반 지지구(510)의 하면에는 제2 결합홈(511)이 형성되고, 소켓(300)의 상면에는 제2 결합 돌기(330)가 형성되어 제2 결합 돌기(330)가 제2 결합홈(51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1 선반 지지구(510)가 소켓(3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선반 지지구(510)의 상면에는 제3 결합 돌기(512)가 형성되고, 제2 선반 지지구(520)의 하면에는 제3 결합홈(521)이 형성되어 제3 결합 돌기(512)가 제3 결합홈(5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1 선반 지지구(510)가 제2 선반 지지구(5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선반 지지구(520)의 상면에는 제4 결합 돌기(522)가 형성되고, 선반(530)의 하면에는 제4 결합홈(531)이 형성되어 제4 결합 돌기(522)가 제4 결합홈(53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선반(530)이 제2 선반 지지구(5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선반 지지구(510)는, 소켓(3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소면적부(515)와, 제2 선반 지지구(52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대면적부(516)와, 그리고 소면적부(515)와 대변적부(516)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300)의 상면의 면적이 좁더라도 경사부(517) 및 대면적부(516)를 통해 제2 선반 지지구(520)에 접하는 면을 충분히 확장시킬 수 있어 제2 선반 지지구(520) 및 선반(5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시스템(S)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수납 시스템 중 신축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신축 유닛(600)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00)의 하단에 구비되며 포스트(200)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축 유닛(600)을 이용하여, 건물 마다 천장 높이가 다르더라도 포스트(200)를 천장 높이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 유닛(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신축 부재(610)와, 제1 신축 부재(610)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 신축 부재(620)와, 그리고 제1 신축 부재(610)에 일단부가 나사 체결되고 타단부가 제2 신축 부재(620)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나사 부재(63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630)가 제3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 신축 부재(610)(620)가 서로 멀어지면서 포스트(20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 신축 부재(610)(62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포스트(20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높이 조절 유닛
110: 제1 지지 브라켓 110a: 관통공
111: 제1 포스트 지지대 112: 받침대
113: 제1 마찰 돌기 114: 제1 결합 돌기
120: 제2 지지 브라켓 120a: 돌출부
121: 제2 포스트 지지대 122: 제2 마찰 돌기
130: 캠 부재 140: 손잡이
200: 포스트 210: 포스트 몸체
220: 요입홈 230: 대향 레일
300: 소켓 310: 봉걸이홈
311: 경사면 320: 제1 결합홈
330: 제2 결합 돌기 400: 옷걸이봉
410: 지지 돌기 500: 선반부
510: 제1 선반 지지구 511: 제2 결합홈
512: 제3 결합 돌기 515: 소면적부
516: 대면적부 517: 경사부
520: 제2 선반 지지구 521: 제3 결합홈
522: 제2 결합 돌기 530: 선반
531: 제4 결합홈 600: 신축 유닛
610: 제1 신축 부재 620: 제2 신축 부재
630: 나사 부재 S: 수납 시스템
W1: 제2 지지 브라켓의 세로 폭 W2: 제2 지지 브라켓의 가로 폭
G1: 대향 레일의 레일 간격 G2: 요입홈의 홈 너비

Claims (9)

  1.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는,
    길다란 포스트 몸체;
    상기 포스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요입된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의 대향 내면에 돌출되는 한 쌍의 대향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유닛은,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위치되며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브라켓;
    상기 요입홈을 이루는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 브라켓; 및
    상기 돌출부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그 조임력을 해제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은 상기 대향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세로 폭과 그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가로 폭을 가지고,
    상기 세로 폭은 상기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의 레일 간격보다 작고,
    상기 가로 폭은 상기 레일 간격보다 크고 상기 요입홈의 홈 너비보다 작은
    수납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이 상기 요입홈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 유닛이 회전될 때,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이 상기 요입홈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브라켓 중 상기 가로 폭을 이루는 양단부는 라운드 처리되는
    수납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의 상기 세로 폭이 상기 레일 간격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를 위치시킨 후, 상기 한 쌍의 대향 레일 사이를 통해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을 상기 요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의 상기 가로 폭이 상기 홈 너비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를 회전시키는
    수납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접하도록 한 제1 포스트 지지대; 및
    상기 제1 포스트 지지대에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외부 부재를 받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수납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제1 포스트 지지대 중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외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제1 마찰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수납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은,
    상기 받침대 중 상기 외부 부재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수납 시스템용 높이 조절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캠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접하도록 한 제2 포스트 지지대; 및
    상기 제2 포스트 지지대 중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 부재가 조임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대향 레일의 내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제2 마찰 돌기
    를 포함하는
    수납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포스트 지지대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수납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캠 부재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수납 시스템.
KR1020160014009A 2016-02-04 2016-02-04 수납 시스템 KR20170092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09A KR20170092835A (ko) 2016-02-04 2016-02-04 수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09A KR20170092835A (ko) 2016-02-04 2016-02-04 수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35A true KR20170092835A (ko) 2017-08-14

Family

ID=601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09A KR20170092835A (ko) 2016-02-04 2016-02-04 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8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91B1 (ko) * 2018-03-09 2018-07-10 윤이용 시스템 가구
KR102019753B1 (ko) * 2018-03-21 2019-09-10 도디스 주식회사 안정성이 강화된 조립식 앵글 선반
EP3569108A1 (de) * 2018-05-18 2019-11-20 Sortimo International GmbH Regalsystem zum einbau in ein fahrzeug
KR20210146532A (ko) * 2020-05-27 2021-12-06 이선기 높이조절 시스템 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91B1 (ko) * 2018-03-09 2018-07-10 윤이용 시스템 가구
KR102019753B1 (ko) * 2018-03-21 2019-09-10 도디스 주식회사 안정성이 강화된 조립식 앵글 선반
EP3569108A1 (de) * 2018-05-18 2019-11-20 Sortimo International GmbH Regalsystem zum einbau in ein fahrzeug
KR20210146532A (ko) * 2020-05-27 2021-12-06 이선기 높이조절 시스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835A (ko) 수납 시스템
US20200146473A1 (en) Mounting a frame onto a previously installed mirror
US6062525A (en) Picture frame hanger
US20110260384A1 (en) Fix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door panels during painting and finishing
US20050194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flat panel display
US20110101179A1 (en) Tv support structure with latching mechanism
KR101162662B1 (ko) 2단 높이 조절 받침대
KR20170061383A (ko) 수납 시스템
KR20140095372A (ko) 빨래 건조대
CA2728929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JP6770631B1 (ja) 乗物用座席及びそのクイックレリーズ支持装置
KR101553300B1 (ko) 옷걸이 겸용 크리스마스트리
KR101580525B1 (ko) 가변형 액자 거치대
KR102107969B1 (ko) 간격조절형 레그장치
JP2513806Y2 (ja) 棚受用具
CN209881258U (zh) 一种建筑施工用电缆悬挂装置
KR20130115936A (ko) 티 자형 스탠드
JP2013158568A (ja) 掛止装置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CN220042880U (zh) 一种电气工程电缆桥架安装结构
KR102360231B1 (ko) 욕실용 슬라이드 바 어셈블리
US20220195713A1 (en) Deck Framing Device
KR20160001707U (ko)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643380B1 (ko) 레일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