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243A -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243A
KR20170092243A KR1020160013335A KR20160013335A KR20170092243A KR 20170092243 A KR20170092243 A KR 20170092243A KR 1020160013335 A KR1020160013335 A KR 1020160013335A KR 20160013335 A KR20160013335 A KR 20160013335A KR 20170092243 A KR20170092243 A KR 2017009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fting
fixing
fixing por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크람 키르티 쿠마 데이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243A/ko
Priority to EP17747778.3A priority patent/EP3398516A4/en
Priority to PCT/KR2017/001193 priority patent/WO2017135733A1/ko
Priority to US16/075,466 priority patent/US20190069862A1/en
Publication of KR2017009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7Tiltable gant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4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42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5Inflatable rests for lifting of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의료용 테이블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용 영상장치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본체 및 환자가 위치되는 의료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로서, 상기 의료용 테이블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장치,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Medical tabl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영상장치는 각종 질병 진단을 위해 환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의료용 영상장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방사선 촬영장치, 자기공명 영상장치 및 의학진단장치 등이 있다.
방사선 촬영장치는 인체의 전신 또는 일부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인체 내부의 물질, 구조나 조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시스템이다. 방사선 촬영장치는, 인체 내부의 병변과 같은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의료 이미지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자기공명 영상장치는 영상촬영조건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연부 조직에서의 우수한 대조도와 다양한 진단 정보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의료용 영상을 이용한 진단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자기공명 영상장치는 원자핵에 일정한 전자장을 가한 상태에서 일정한 주파수와 에너지를 공급하면 공명 현상을 일으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를 신호로 변환하여 인체 내부를 진단하는 영상 진단장치이다.
방사선 촬영장치 및 자기공명 영상장치는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갠트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갠트리에는 엑스선 발생장치, 엑스선 검출부가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자기공명 영상장치에 구비되는 갠트리에는 코일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촬영 대상이 되는 환자는 테이블에 위치되어 갠트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갠트리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테이블은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테이블을 하강시킨 후 테이블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환자가 테이블 상에 위치된 후, 갠트리에 형성된 개구부의 높이에 맞게 테이블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테이블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의료용 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영상장치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본체 및 환자가 위치되는 의료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로서, 상기 의료용 테이블은,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장치;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송부가 상승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송부가 하강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일측은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일측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링크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링크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중심축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링크의 일측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1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2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승하강장치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에 위치되는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가 틸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은, 갠트리에 형성되는 개구부 내에 환자를 위치시키는 의료용 테이블로서, 상기 의료용 테이블은, 환자가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 및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복수의 링크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된다.
상기 고정부와 이격된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장치 및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구동원에 의해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는 원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 힘을 전달한다.
상기 승하강장치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에 위치된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테이블에 장착된 승하강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테이블에 위치된 환자의 무게에 따라 이송부가 쳐지는 것을 보상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이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에 환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의 이송부가 갠트리 내부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가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이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영상장치(1)는 환자의 생체 조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얻는 장치이다. 의료용 영상장치(1)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본체(2) 및 환자가 위치되는 의료용 테이블(3)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영상장치(1)는 외부의 제어장치(4)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자의 신체의 일부 중 촬영의 대상이 되는 부분을 대상체라 한다.
의료용 영상장치(1)는 엑스선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엑스선 촬영기기,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등이거나, 자기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일 수도 있다. 의료용 영상장치(1)의 종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2)는 원통형의 갠트리(20) 및 갠트리(20)를 지지하는 스탠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환자는 개구부(21)로 삽입될 수 있다. 개구부(21)로 환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갠트리(20)에는, 대상체에 대한 단층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검출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되거나, 자기공명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코일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환자는 의료용 테이블(3)에 위치된 상태에서 개구부(21)로 삽입될 수 있다. 의료용 테이블(3)은 고정부(31) 및 이송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32)는 고정부(3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부(32)는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갠트리(20)에 형성된 개구부(21)로 삽입될 수 있다. 이송부(32)는 이송부(32)에 위치된 대상체에 대한 3D 입체 촬영이 가능하도록 엑스선 또는 자기장 등이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환자가 이송부(32)에 위치되면, 이송부(32)는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개구부(21)에 삽입될 수 있다. 촬영을 마치면, 이송부(3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개구부(2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송부(32)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32)가 갠트리(20)의 개구부(2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고정되는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이송부(32)에 스스로 올라가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타인에 의해 이송부(32)에 위치되기가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32)는 하강하여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승하강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1)의 하부에는 베이스(3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는 고정부(3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30)와 고정부(31) 사이에는 승하강장치(5)가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는 고정부(31)의 저면을 지지하고,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는 베이스(30)가 위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1)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방향을 z축 방향이라고 할 때, 승하강장치(5)는 z축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 고정부(31)가 상승될 수 있고, z축 방향으로 단축되면 고정부(31)가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하강장치(5)는 z축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어 고정부(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적은 크기의 힘으로 고정부(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종래에 비해 적은 힘에 의해 고정부(31)를 승하강 시킬 수 있으므로 출력이 작은 구동원에 의해 승하강장치(5)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장치(5)에 필요한 구동원의 크기도 작아질 수 있고, 승하강장치(5)의 구현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5)는 구동원(53)에 의해 길이가 일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는 종래에 개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승하강 장치(5)는 소정의 폭을 가진 금속 패널이 복수 회 감겨 있는 금속패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패널유닛은 베이스(30)에 위치될 수 있다. 금속패널의 일단부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원에 의해 금속패널 유닛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패널 유닛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이스(30) 측에 감겨있던 금속패널이 풀리면서 원통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금속패널 유닛이 일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원통부(50)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원통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고정부(31)는 상부로 밀어올려질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31)가 상승할 수 있다.
베이스(30) 측에 감겨있던 금속 패널은 풀리면서 인접한 금속패널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패널의 일측 모서리 측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 측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패널은 나선형을 이루면서 풀어지게 되고, 금속패널은 풀어지면서 금속패널의 일측 모서리 측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인접한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서 금속패널이 형성하는 원통부(50)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고정부(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금속패널 유닛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홀로부터 결합돌기가 빠져나오면서 감길 수 있다. 금속패널 유닛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금속패널이 형성하는 원통부(50)의 길이가 짧아지고 고정부(31)는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패널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부(3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승하강장치(5)의 구성은 종래에 공개된 미국특허 US 4,875,660에 개시된 구성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30)와 고정부(31) 사이에는 링크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링크부(6)는 일측이 베이스(30)에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부(31)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고정부(31)를 지지할 수 있다. 링크부(6)는 승하강장치(5)와 함께 고정부(31)를 지지할 수 있다.
링크부(6)는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61),제2링크(62)는 중심축(60)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에 의해 고정부(31)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제1링크(61)와 제2링크(62) 사이의 각도(θ)는 가변될 수 있다. 고정부(3)가 상승하면 제1링크(61)와 제2링크(62) 간의 각도(θ)는 작아지고, 고정부(3)가 하강하면 제1링크(61)와 제2링크(62) 간의 각도(θ)는 커질 수 있다.
제1링크(61)의 일단부(611a)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링크(61)의 일단부(611a)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힌지(63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링크(61)의 일단부(611a)는 제1힌지(631)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힌지(631)는 고정부(31)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1레일(641)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1)가 승하강장치(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제1힌지(631)는 제1레일(641)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링크(61)의 타단부(611b)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링크(61)의 타단부(611b)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힌지(63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링크(61)의 타단부(611b)는 제2힌지(632)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힌지(632)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힌지(631)와 제2힌지(632)는 이송부(32)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평행한 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62)는 제1링크(61)와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62)와 제1링크(61)는 중심축(60)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62)의 일단부(621a)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링크(62)의 일단부(621a)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3힌지(63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링크(62)의 일단부(621a)는 제3힌지(633)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힌지(633)는 베이스(3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레일(642)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비된다. 승하강장치(5)에 의해 고정부(31)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제3힌지(633)는 제2레일(642)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링크(62)의 타단부(621b)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링크(62)의 타다부(621b)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된 제4힌지(634)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4힌지(634)는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2링크(62)의 타단부(621b)는 고정부(31)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4힌지(634)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3힌지(633)와 제4힌지(634)는 이송부(32)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부(32)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부(3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이송부(32)가 되돌아오기 위해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힌지(631)와 제3힌지(633)는 후방에 위치되고, 고정부(31)의 저면, 베이스(3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힌지(632)와 제4힌지(634)는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는 링크부(6)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승하강 장치(5)는 링크부(6)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링크부(6)는 의료용 테이블(3)의 좌우 양쪽 측방에 각각 구비되고, 승하강장치(5)는 테이브(3)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는 링크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하강장치(5)와 링크부(6)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거나 승하강 장치(5)와 링크부(6)가 중첩되도록 위치됨으로써 의료용 테이블(3)의 좌우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료용 테이블(3)을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30) 또는 고정부(31)에는 레일(641,64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힌지(631) 또는 제3힌지(633)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5)에 의해 고정부(31)가 특정 높이에 위치되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제1힌지(631) 또는 제3힌지(633)의 이동에 제동이 걸려 슬라이딩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31)는 특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링크부(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승하강장치(5)는 고정부(31)가 승하강되는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적은 힘으로 고정부(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고정부를 지지하는 링크부가 구비되고, 링크부의 일측을 통해 고정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이 전달되었다. 링크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은 전후 방향으로 전달되거나 링크부의 연장 방향으로 전달되었다. 링크부를 통해 전달되는 힘의 일부는 링크부의 일측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전달되고, 나머지 힘은 고정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전달되었다.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받은 힘의 일부만이 고정부를 승하강시키는 데에 이용되므로, 구동원의 출력은 고정부를 승하강시키는 데에 필요한 출력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출력이 크고 부피가 큰 구동원에 의해 고정부의 승하강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의료용 테이블의 승하강장치에 필요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승하강장치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승하강장치(5)가 고정부(31)가 승하강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므로 종래에 비해 출력이 작은 구동원에 의해서 고정부(31)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승하강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승하강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의료용 영상장치(1)는 제어장치(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4)는 외부에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어장치(4)에 의해 본체(2) 및 의료용 테이블(3)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장치(4)는 조작부(40)와 디스플레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본체(2), 의료용 테이블(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에는 본체(20) 및 의료용 테이블(3)의 상태, 대상체에 대해 획득된 영상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에 환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의 이송부가 갠트리 내부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가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에에 따른 의료용 테이블(3)의 이송부(32)에 환자가 위치되고 촬영을 위해 갠트리(2)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부(32)는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갠트리(2)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송부(32)에 위치시킬 때, 작업자는 제어장치(41)를 조작하여 이송부(32)를 하강시킬 수 있다. 환자는 하강되어 낮은 높이에 위치된 이송부(32)로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환자가 이송부(32)에 위치된 후, 작업자는 제어장치(41)를 조작하여 이송부(3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송부(32)는 갠트리(20)에 구비되는 개구부(21)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송부(32)는, 상부면에 환자가 위치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갠트리(20)에 형성된 개구부(2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32)는 슬라이딩되어 고정부(3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31)로부터 돌출된 이송부(32)는 상부면에 위치된 환자의 무게에 의해 휘어져서 하부로 쳐질 수 있다. 고정부(31)의 전방에서 고정부(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이송부(32)의 상부면과 고정부(31)로부터 돌출된 이송부(32) 간의 각도를 θ1이라 할 수 있다.
갠트리(20)는 개구부(21) 내에 환자가 개구부(2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경우에 대상체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이송부(32)가 고정부(31)와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환자를 개구부(21)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갠트리(20)에 구비되는 촬영장치에 의해 정확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21) 내부에 위치되는 이송부(32)가 고정부(31)와 평행하게 위치되지 않고 소정 각도(θ1)로 휘어지는 경우,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부정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송부(32)가 기울어진 각도(θ1)를 보상하기 위해 갠트리(20)가 소정 각도(θ2)만큼 틸팅될 수 있다. 갠트리(20)가 틸팅되는 각도(θ2)는 틸팅되기 전의 갠트리(2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1과 틸팅된 후 갠트리(2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2가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갠트리(20)가 틸팅되는 각도(θ2)와 이송부(32)가 기울어진 각도(θ1)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이송부(32)가 반시계 방향으로 θ1만큼 기울어지면 갠트리(20)도 반시계 방향으로 θ1의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이송부(32)가 기울어지는 각도와 갠트리(20)가 틸팅되는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32)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갠트리(20)가 틸팅됨으로써 대상체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갠트리(20)는 제어장치(4)에 의해 틸팅되는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장치(4)는 이송부(32)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갠트리(20)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31)와 승하강장치(5) 사이에는 무게감지센서(7)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1)의 저면에는 무게감지센서(7)가 장착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7)는 이송부(32)에 위치된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장치(4)에는 이송부(32)에 가해진 힘에 따라 이송부(32)가 휘어지는 정도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환자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장치(4)는 입력받은 데이터에 의해 이송부(32)가 슬라이딩되어 휘어지는 정도를 계산하여 갠트리(20)를 틸팅시킬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7)는 고정부(31)의 전방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7)가 고정부(31)의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이송부(32)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환자의 무게가 정확히 측정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7)는 승하강장치(5)와 고정부(31) 사이에 위치되거나, 고정부(3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감지센서(7)에 의해 이송부(32)에 위치되는 환자의 무게가 측정되고, 측정된 환자의 무게에 따라 이송부(32)가 휘어지는 정도가 계산될 수 있다. 이송부(32)가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제어장치(4)는 갠트리(20)를 틸팅시켜 환자가 개구부(2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이송부(32)가 환자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더라도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송부(32)가 휘어지는 경우에 갠트리(20)를 틸팅시키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대상체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어장치(4)를 조작하여 갠트리(20)를 소정 각도 틸팅시킬 수 있다.
갠트리(20)를 틸팅시키는 구조는 기존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따르면, 의료용 테이블은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의료용 테이블을 하강시켜 용이하게 의료용 테이블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장치는 의료용 테이블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의료용 테이블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의료용 테이블의 승하강에 필요한 힘의 크기가 작게 구비됨으로써 승하강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장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는 링크부와 함께 의료용 테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는 링크부 사이에 위치되거나 링크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가 링크부의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승하강장치에 의해 의료용 테이블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블에는 의료용 테이블에 위치되는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환자의 무게가 감지되고, 제어장치는 환자에 무게에 따라 이송부가 휘어지는 정도를 계산하여, 이송부가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갠트리가 틸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대상체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의 획득이 가능해진다.
1: 의료용 영상장치 2: 본체
3: 의료용 테이블 4: 제어장치
5: 승하강장치 6: 링크부
7: 무게감지센서 20: 갠트리
21: 개구부 22: 스탠드
30: 베이스 31: 고정부
32: 이송부 40: 조작부
41: 디스플레이부 50: 원통부
53: 구동원 60: 중심축
61: 제1링크 62: 제2링크
631: 제1힌지 632: 제2힌지
633: 제3힌지 634: 제4힌지
641: 제1레일 642: 제2레일

Claims (20)

  1.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본체 및 환자가 위치되는 의료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로서,
    상기 의료용 테이블은,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장치;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비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송부가 상승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송부가 하강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일측은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일측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에 의해 지지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링크부 사이에 위치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링크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중심축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링크의 일측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1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2레일이 구비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에 위치되는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가 틸팅되는 의료용 영상장치.
  15. 갠트리에 형성되는 개구부 내에 환자를 위치시키는 의료용 테이블로서,
    상기 의료용 테이블은, 환자가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 및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복수의 링크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테이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의료용 테이블.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이격된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장치 및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의료용 테이블.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구동원에 의해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테이블.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 힘을 전달하는 의료용 테이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에 위치된 환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의료용 테이블.
KR1020160013335A 2016-02-03 2016-02-03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KR20170092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35A KR20170092243A (ko) 2016-02-03 2016-02-03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EP17747778.3A EP3398516A4 (en) 2016-02-03 2017-02-03 PATIENT LIEGE AND MEDICAL IMAGING DEVICE THEREFOR
PCT/KR2017/001193 WO2017135733A1 (ko) 2016-02-03 2017-02-03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US16/075,466 US20190069862A1 (en) 2016-02-03 2017-02-03 Medical tabl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35A KR20170092243A (ko) 2016-02-03 2016-02-03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243A true KR20170092243A (ko) 2017-08-11

Family

ID=5950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35A KR20170092243A (ko) 2016-02-03 2016-02-03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69862A1 (ko)
EP (1) EP3398516A4 (ko)
KR (1) KR20170092243A (ko)
WO (1) WO20171357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660A (en) 1988-02-02 1989-10-24 Pierre Gagnon Push actuator
JPH05344965A (ja) * 1992-06-17 1993-12-27 Toshiba Corp 医療用寝台装置
JP3485974B2 (ja) * 1994-09-14 2004-01-13 株式会社東芝 医療用寝台装置
DE10211081A1 (de) * 2002-03-13 2003-10-16 Siemens Ag System zur medizinischen Notversorgung und -überwachung eines Patienten
KR100896817B1 (ko) * 2008-09-24 2009-05-11 광주광역시 남구 환자 이동 장치
JP2015058227A (ja) * 2013-09-19 2015-03-30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診断装置
CN204708869U (zh) * 2015-04-17 2015-10-21 山西锦地裕成医疗设备有限公司 用于核成像设备的检查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733A1 (ko) 2017-08-10
US20190069862A1 (en) 2019-03-07
EP3398516A4 (en) 2019-05-29
EP3398516A1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936B2 (en) Image diagnostic apparatus, X ray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medical bed apparatus, and bed control method
JP5490981B2 (ja) X線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20150190101A1 (en) Mammography system and method employing offset compression paddles, automatic collimation, and retractable anti-scatter grid
US10743822B2 (en) Fiducial marker for geometric calibration of bed-side mobile tomosynthesis system
KR101812923B1 (ko) 이동형 의료진단기기
US20220133251A1 (en) Radiation tracking for portable fluoroscopy x-ray imaging system
CN216091096U (zh) 转运装置及医疗设备
US7556427B2 (en) X-ray radiography apparatus and X-ray generator moving device
US201601751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patient support table based upon sensed patient height
US8496380B2 (en) Medical radiological device and radiological system
JP2011024702A (ja) X線撮影システム及び被検体支持装置
KR20170092243A (ko) 의료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장치
JP2009247391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2106083A (ja) 医用撮影装置および寝台動作制御方法
JP2011072535A (ja)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6122548A (ja) 画像診断装置
JP6287719B2 (ja) X線装置
JP2006197961A (ja) 着座位置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診断装置並びにx線ct装置
EP3165206B1 (en) Subject and surgical equipment monitoring system
KR102627758B1 (ko)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EP4176817A1 (en) Medical analysis apparatus
JP2023116864A (ja) 放射線撮影装置、品質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81838A (ko) 오토 포지셔닝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JP2023116868A (ja) 放射線撮影装置、撮影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58772A (zh) 用于x射线成像系统的通用定位系统